맨위로가기

김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하기는 1958년 울산 출생의 소설가이다. 1980년 계엄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복역 중 가석방되었으며, 옥중시·편지 모음 《한 젊은이가 갇혀 있다》를 간행했다. 1989년 《창작과 비평》에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소설집 《완전한 만남》으로 임수경 통일문학상을 수상했다. 장기 징역형을 받는 사람들의 문제와 1990년대 격변하는 현실을 다룬 작품을 주로 발표했으며, 신동엽 창작기금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부산대학교 동문 - 허형구
    허형구는 김해 출신의 법조인으로, 검사,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찰총장 재임 중 봉사하는 검찰상을 정립하고 선거법 위반 사범을 수사했으나 저질 연탄 사건 수사로 경질되었다.
  • 부산대학교 동문 - 박흥대
    박흥대는 1954년생으로 부산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 법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법무법인 대표 변호사로 활동한다.
  • 울산광역시 출신 - 서정협
    서정협은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청에서 다양한 보직을 거쳐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울산광역시 출신 - 정치근
    정치근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공안통 검사로 활동하며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전두환 정권의 검찰 장악 시도 및 유신 체제 옹호, 민주화 운동 탄압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김하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김하기
출생일1958년 6월 24일
출생지울산광역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모국어한국어
작품 활동
장르소설
데뷔작『어떤 젊은이가 갇혀 있다』
대표작「살아있는 무덤」
학력
출신 학교부산대학교

2. 생애

1958년 6월 24일 경상남도 울산에서 태어났다.[2][3] 1978년 부산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재학 중 1980년 계엄법 위반으로 구속, 강제징집되었다. 부림 사건으로 재구속되어 10년을 언도받고 복역 중 1988년 가석방으로 출소하였다.[4]

출소 후 옥중시·편지 모음 <한 젊은이가 갇혀 있다>를 간행하였으며, 1989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살아있는 무덤>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노란 불꽃〉,〈해미〉등을 발표하였다. 작품집 《완전한 만남》으로 제1회 임수경 통일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1992년 제10회 신동엽창작기금을 수상하였다.[5] 일부 평론가들은 김하기의 작품이 너무 도식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지만, 김하기는 그의 작품을 통해 장기 수감자 문제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알렸다.[6]

3. 작품 세계

김하기는 출소 후 투옥 중에 쓴 시와 편지를 묶어 낸 시집 《옥중 젊은 날》을 발표하며 전업 작가가 되었다. 1989년에는 단편 소설 《산 자들의 무덤》이 창작과비평에 발표되었다. 김하기의 소설집 《완전한 연대》는 제1회 《임수경 통일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92년에는 제10회 《신동엽 창작기금》을 받았다.[5] 일부 평론가들은 김하기의 작품이 너무 도식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지만, 김하기는 그의 작품을 통해 장기 수감자 문제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알렸다.[6]

김하기의 첫 작품인 《살아있는 무덤》은 자신이 경험한 옥중 체험을 바탕으로 장기간 징역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문제를 그린 소설이다. 《완전한 만남》에서도 장기 징역형을 받고 있는 사람이나 시국사범들의 고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도시적이라는 지적도 받았지만, 사회적으로도, 문학적으로도 조명받지 못하는 장기 징역형을 받는 사람들의 문제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편 소설 《항로 없는 비행》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 격변하는 현실에 직면한 개인의 이야기로, 학생 운동과 그 주변 인물들이 겪는 방황과,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그의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젊은이들을 중심 인물로 내세워, 그들이 기성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재해석하고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1989년제1회 임수경 통일문학상
1992년제10회 신동엽 창작기금


5. 작품 목록

김하기는 소설집, 소설, 기타 저작물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소설집'''으로는 《완전한 만남》(1991), 《은행나무 사랑》(1996), 《복사꽃 그자리》(2002)가 있다.

'''소설'''로는 《항로 없는 비행》(상, 하)(1993), 《천년의 빛》(1~3권)(2001), 《식민지 소년》(2007)이 있다.

'''기타 저작물'''로는 《늦깎이》(1991), 《마침내 철책 끝에 서다》(1995), 《부마민주항쟁 (역사 다시읽기 4)》(2004), 《미인들의 동굴》(경상일보 연재, 2006-2009), 《하기C칼럼》(기호일보 연재, 2011-2012)이 있다.

김하기의 초기작들은 주로 장기수 문제를 다루며 사회적, 문학적으로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이후 《항로 없는 비행》에서는 학생 운동과 관련된 젊은이들의 방황과 성장을 그려내며 이전 작품들과는 다른 시각을 보여주었다.

5. 1. 소설집


  • 《완전한 만남》, 창작과비평사, 1991년
  • 《은행나무 사랑》, 실천문학사, 1996년
  • 《복사꽃 그자리》, 문학동네, 2002년

5. 2. 소설


  • 완전한 만남, 창작과비평사, 1991
  • 은행나무 사랑, 실천문학사, 1996
  • 복사꽃 그자리, 문학동네, 2002
  • 항로 없는 비행(상), 창작과비평사, 1993
  • 항로 없는 비행(하), 창작과비평사, 1993
  • 천년의 빛 1 ~ 3, 고도, 2001
  • 식민지 소년, 청년사, 2007


김하기의 첫 작품인 《살아있는 무덤》은 자신이 경험한 옥중 체험을 바탕으로 장기간 징역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문제를 그린 소설이다. 《완전한 만남》에서도 장기 징역형을 받고 있는 사람이나 시국사범들의 고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도시적이라는 지적도 받았지만, 사회적으로도, 문학적으로도 조명받지 못하는 장기 징역형을 받는 사람들의 문제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편 소설인 《항로 없는 비행》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 격변하는 현실에 직면한 개인의 이야기로, 학생 운동과 그 주변 인물들이 겪는 방황과,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그의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젊은이들을 중심 인물로 내세워, 그들이 기성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재해석하고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5. 3. 기타


  • 《늦깎이》, 친구, 1991
  • 《마침내 철책 끝에 서다》, 문학동네, 1995
  • 《부마민주항쟁 (역사 다시읽기 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 《미인들의 동굴》, 경상일보 연재, 2006-2009
  • 《하기C칼럼》, 기호일보 연재, 2011-2012

참조

[1] 웹사이트 Kim Hagi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kim ha gi,wirter https://people.searc[...] Naver 2013-11-08
[3] 서적 Gingko Love Asia Publisher
[4] 웹사이트 Kim Hagi http://klti.or.kr/ke[...] 2013-09-21
[5] 서적 Gingko Love Asia Publisher
[6] 웹사이트 Kim Hagi http://klti.or.kr/ke[...] 2013-09-21
[7] 웹사이트 NAVER 네이버
[8] 웹사이트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