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차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깡통 차기는 술래 한 명과 나머지 참여자들이 함께 하는 놀이로, 술래가 깡통을 특정 장소에 놓고 숨은 참여자들을 찾아 잡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술래는 숨은 사람을 찾아 이름을 부르고 깡통을 밟아 잡으며, 잡힌 사람은 감옥에 모인다. 잡히지 않은 사람은 술래 몰래 깡통을 차서 잡힌 사람들을 풀어줄 수 있다. 술래가 모든 참여자를 잡거나, 참여자들이 깡통을 차서 게임에서 이기면 종료된다. 변형 규칙으로 술래잡기처럼 터치 대신 이름과 위치를 외치거나, 술래와 숨은 사람 간의 깡통 경주, 깡통 여러 개를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깡통 차기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유산으로 평가받으며, 참가자들의 성격이 드러나고, 서로 모르는 사람들끼리 친구가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형 숨바꼭질 - 까막잡기
까막잡기는 눈을 가린 술래가 다른 사람들을 잡는 전 세계적인 전통 놀이로, 다양한 이름과 변형이 존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신체 발달에 기여하고, '눈 가리고 아옹'이라는 표현의 유래가 되기도 한다. - 변형 숨바꼭질 - 레디 오어 낫
2019년 개봉한 미국 공포 코미디 영화 《레디 오어 낫》은 부유한 가문에 시집온 여성이 기이한 전통의 희생양이 되어 숨바꼭질 게임을 통해 추격당하며 가문의 어두운 비밀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사마라 위빙, 마크 오브라이언, 아담 브로디 등이 출연하고 매트 베티넬리-올핀과 타일러 질렛이 공동 연출을 맡아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현재 속편이 제작 중이다. - 변형 술래잡기 - 까막잡기
까막잡기는 눈을 가린 술래가 다른 사람들을 잡는 전 세계적인 전통 놀이로, 다양한 이름과 변형이 존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신체 발달에 기여하고, '눈 가리고 아옹'이라는 표현의 유래가 되기도 한다. - 변형 술래잡기 - 깃발 뺏기
깃발 뺏기는 두 팀으로 나뉘어 상대 팀 깃발을 빼앗는 놀이 또는 스포츠로, 규칙과 장소의 변형이 가능하며,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는 사이버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겨루는 CTF 형태로도 활용된다. - 길거리 게임 - 스틱볼
스틱볼은 막대기와 고무 공을 사용하여 길거리에서 즐기는 스포츠로, 18세기 잉글랜드에서 유래하여 1920년대 미국 대공황 시기 동부 해안 도시에서 확산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전역에서 즐기고 명예의 전당까지 설립되었다. - 길거리 게임 - 길거리 축구
길거리 축구는 정식 축구와 다르게 장소와 규칙에 제약 없이 길거리 등에서 자유롭게 즐기는 축구로, 폐품을 활용한 시설, 다양한 단체와 대회, 나이키 광고를 통한 인기, 비디오 게임 소재 활용 등의 특징을 지닌다.
깡통차기 | |
---|---|
놀이 | |
종류 | 어린이 놀이 |
인원수 | 3명 이상 |
장비 | 깡통 |
2. 기본 규칙
깡통차기는 술래 한 명과 그 외의 사람들로 나뉘어 진행되는 놀이이다. 먼저 빈 깡통을 적당한 장소에 놓는다. 술래는 눈을 가리고 숫자를 세거나, 다른 참여자가 깡통을 멀리 차서 숨을 시간을 번다. 술래는 깡통을 원래 위치에 되돌려 놓고 숨은 사람들을 찾기 시작한다.[3]
술래는 숨은 사람을 발견하면 그 사람의 이름을 부르고 깡통으로 돌아와 깡통을 밟아서 잡는다. 잡힌 사람들은 깡통 근처의 지정된 장소(일종의 감옥)에 모인다. 하지만 잡히지 않은 사람은 술래 몰래 깡통을 차서 잡힌 사람들을 모두 풀어줄 수 있다.[3]
술래가 모든 사람을 잡거나, 숨은 사람들이 모두 깡통을 차서 술래를 방해하여 게임에서 이기면 게임이 종료된다. 보통 다음 게임에서는 이전 게임에서 가장 오랫동안 잡혀 있던 사람이 술래가 된다.[3]
참가 인원은 3명 이상이 필요하며, 10~20명 정도가 적당하다. 놀이 장소는 충분히 넓은 공원이나 공터가 좋으며, 아이들이 깡통을 힘껏 차도 깡통이 밖으로 나가지 않을 정도의 넓이가 필요하다. 숨을 장소도 충분히 있어야 한다.
놀이에 사용되는 도구는 빈 깡통이다. 밟아서 찌그러뜨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알루미늄 캔보다는 높이 10~15cm 정도의 스틸 캔이나 양철 깡통이 좋다. 주스 캔의 경우 350ml 캔 정도가 적당하다. 1970년대 전반까지는 귤 통조림 깡통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캔 음료가 보급되면서 청량 음료 캔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3]
깡통차기는 정해진 규칙이 없기 때문에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왔다. 공을 사용하는 '공 차기', 야구 베이스를 이용한 '베이스 밟기', 벽이나 나무를 이용한 '점 붙이기' 등 다양한 파생 놀이가 존재한다.[3]
2. 1. 변형 규칙
- 이름 외치기: 술래는 술래잡기처럼 다른 사람을 직접 터치하는 대신, 숨어 있는 사람의 이름과 숨은 장소를 함께 외쳐서 잡을 수 있다.
- 깡통 경주: 술래가 숨어 있는 사람을 발견하면, 둘 중 먼저 깡통으로 달려가 깡통을 밟는 사람이 이긴다. 술래가 먼저 깡통을 밟고 "철수는 깡통 안에"라고 외치면 철수가 잡힌다.
- 여러 개의 깡통: 깡통을 여러 개 사용하여 게임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술래는 흩어진 깡통을 모아 쌓아야 하며, 숨은 사람들은 깡통 탑을 넘어뜨려 잡힌 사람들을 구출할 수 있다. 만약 깡통 탑이 쓰러지면 잡혔던 사람이 도망가 다시 숨을 수 있다.
- 팀 대항: 두 팀으로 나누어 깡통을 쓰러뜨리고 세우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각 팀은 번갈아 가며 공을 굴려 깡통을 쓰러뜨리려 하고, 상대 팀은 공으로 깡통을 세우는 것을 방해한다.
- 북아일랜드/잉글랜드: 숨은 사람 중 한 명이 깡통을 차는 것으로 게임을 시작한다. 술래는 깡통을 찾아와 숫자를 세고 숨은 사람을 찾는다. 술래는 숨은 사람을 보면 깡통으로 달려가 세 번 쳐서 잡아야 한다. 숨은 사람은 술래가 깡통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깡통을 차서 잡힌 사람들을 풀어줄 수 있다.
한국의 전통 놀이 방식에서는 술래가 깡통을 밟을 때 이름 뒤에 "피"나 "포코펜", "켄트", "덴"을 붙여 외치기도 한다.[3]
3. 도구 및 장소
깡통차기에 사용되는 도구는 주로 빈 깡통(스틸 캔, 양철 깡통)이다. 밟아서 찌그러뜨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알루미늄 캔은 부적절하다. 높이 10cm에서 15cm 정도의 깡통이 바람직하며, 주스 캔의 경우 350ml 캔 정도가 이상적이다. 강자들만 모인 경우에는 말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나무 마디를 10cm 정도로 잘라서 대신해도 좋다.[3] 1970년대 전반까지는 귤 통조림 등 바닥이 넓은 깡통이 주류였지만, 캔 음료의 보급에 따라 입수가 쉬운 청량 음료 등의 풀탭 캔이 주류가 되었다.[3]
깡통차기를 할 장소로는 충분히 넓은 공원이나 공터 등의 경기장이 필요하다. 아이가 깡통을 힘껏 차도 깡통이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는 넓이와 어느 정도 숨을 장소가 있어야 한다.[3]
4. 참여 인원
3명 이상이 필요하며, 10~20명이 적정 인원으로 여겨진다. 너무 많으면 숨을 장소를 차지하기 위한 다툼이 일어난다.
5. 일반적인 금지 사항 및 주의 사항
6. 전략
깡통차기는 단순한 숨바꼭질에 술래잡기 요소를 더해 독자적인 규칙을 추가한 놀이이다. 술래는 숨은 사람을 찾는 동시에 깡통을 지켜야 하고, 숨은 사람은 깡통을 차서 잡힌 동료를 구출해야 하므로 고도의 심리전과 전략이 필요하다.
아이들의 성격에 따라 술래는 깡통 주변을 지키거나, 적극적으로 수색하거나, 연기로 유인하는 등의 전략을 사용한다. 깡통을 차는 쪽도 소극적인 유형, 과감한 공격형, 우유부단한 유형 등으로 나뉜다.
체력이 약한 참가자를 위한 구제 조치가 있기도 하며, 깡통차기를 통해 서로 모르는 사람들도 친구가 될 수 있다. 게임 후에는 빈 깡통을 치우는 것이 예의다.
6. 1. 술래의 전략
술래는 깡통 근처에 숨어 있다가 깡통을 차러 오는 사람을 잡거나, 깡통을 차러 오는 척하며 다른 사람들을 찾으러 갈 수 있다.[3]6. 2. 깡통을 차는 쪽의 전략
- 깡통에 최대한 가까이 숨어 있다가 술래가 인내심을 잃고 깡통에서 멀어진 틈을 타 깡통을 찬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전략이다.[3]
- 여러 명이 동시에 깡통으로 돌격하여, 술래가 모두의 이름을 부르기 전에 누군가가 깡통을 차는 인해전술을 사용한다. 이 작전은 호흡이 맞지 않으면 실패하거나, 발각될 경우 모두 잡힐 위험이 있다. 또한, 잡히지 않은 사람이 적으면 이 작전을 실행할 수 없다.[3]
- 술래가 수를 세는 동안 술래 등 뒤에 기척을 죽이고 숨었다가, 수가 끝나자마자 바로 깡통을 찬다.[3]
- 옷 등으로 얼굴을 가려 술래가 이름을 헷갈리게 한다. 하지만 달리기가 어려워 스스로 넘어지는 경우도 많다. 이 작전을 발전시켜, 체격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옷을 바꿔 입고 얼굴을 가린 후 돌격하여 술래가 틀린 이름을 부르게 할 수도 있다.[3]
- 잡힌 사람은 술래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잡힌 사람이 숨어 있는 사람의 위치를 알고 있을 경우, 엉뚱한 장소나 반대 방향을 보며 술래의 시선을 끈다. 하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술래에게 간파당하므로, 실제 위치에 신호를 보내는 등, 어느 정도 변화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3]
7. 한국 사회와 깡통 차기
깡통차기는 일제강점기부터 널리 행해진 놀이로,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 속에서도 어린이들의 놀이 문화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에는 도시 빈민촌이나 달동네 아이들의 놀이로 많이 행해졌으며, 당시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에게 해방감을 주는 역할을 했다.
7. 1. 역사적 배경
깡통차기는 일제강점기부터 널리 행해진 놀이로,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 속에서도 어린이들의 놀이 문화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에는 도시 빈민촌이나 달동네 아이들의 놀이로 많이 행해졌으며, 당시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에게 해방감을 주는 역할을 했다.7. 2. 문화적 의의
깡통 차기는 대공황 시기 미국에서 아이들 사이에 큰 인기를 얻었다. 이 놀이는 프란시스코 히메네스의 저서 『이주 아동의 삶의 이야기: 순회(The Circuit: Stories from the Life of a Migrant Child)』에 언급되었다. 놀이 학자 로드니 칼라일은 "아이들의 야외 놀이와 비구조화된 놀이가 계속 줄어들면서 깡통 차기 게임은 점점 더 각 세대에게 알려지지 않게 되고 있다... 한때 십 대들은 어린 아이들과 깡통 차기를 했고, 이 게임과 변형은 아이에서 아이로 전해졌다. 지난 세대는 이 게임을 즐겁게 기억하며, 1962년 에피소드인 ''황혼의 그림자(The Twilight Zone)''의 중심적인 요소였고, 나중에 황혼의 그림자: 극장판(Twilight Zone: The Movie)의 1983년 영화에 통합될 정도로 문화적 현상이었다."라고 언급했다.[3] 이 게임은 2010년 PBS 다큐멘터리 ''뉴욕 거리 게임(New York Street Games)''에도 포함되었다.[4]8. 備考
깡통차기는 숨바꼭질과 술래잡기의 요소를 결합하고, 독자적인 규칙을 더해서 발전된 놀이이다.
술래와 다른 참가자들의 심리전은 숨바꼭질과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지는 깡통차기만의 특징이다. 술래는 숨은 사람을 찾아내는 동시에 깡통을 차이지 않도록 해야 하고, 숨은 사람들은 깡통을 차서 술래를 방해할 수 있다.
작전에는 각 아이들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술래의 경우 깡통 주변을 좀처럼 떠나지 않는 아이, 깡통 곁을 재빨리 떠나 찾으러 갔다가 돌아오지 않는 아이, 교묘하게 연기해서 상대를 유인하는 아이 등의 패턴이 있으며, 차는 쪽의 경우에도 그저 숨어만 있는 아이, 과감하게 공격하는 아이, 찰까 말까 망설이다가 안절부절못하는 사이에 들키는 아이 등의 패턴이 있다.
면식이 없는 사람들끼리 깡통차기를 하면서 서로를 알아가고 친구가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놀이가 끝난 뒤에는 깡통을 쓰레기로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이다.[3]
참조
[1]
웹사이트
Western Mail (Perth, WA : 1885 - 1954), Thursday 7 September 1933, page 26
https://trove.nla.go[...]
[2]
백과사전
Kick the Can
https://pgpedia.com/[...]
2012-08-23
[3]
서적
Encyclopedia of Play in Today's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Inc.
[4]
영상
New York Street Games
https://web.archive.[...]
2011-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