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다지는 다른 들풀보다 먼저 꽃을 피운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식물이다. 이른 봄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노란색 꽃을 피우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씨는 약재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이뇨 약재로 쓰이며, 씨를 볶은 정력자는 기침, 가래, 변비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장대족 - 꽃다지속
꽃다지속은 전 세계 400종 이상이 분포하며 북반구 한랭지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작은 크기의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로제트 형태 잎과 흰색 또는 노란색 작은 꽃이 특징이고 한국에는 구름꽃다지, 산꽃다지, 꽃다지, 민꽃다지, 털꽃다지 등이 서식한다. - 고산장대족 - 고산장대속
고산장대속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풀로, 다양한 잎 모양, 꽃 색깔, 열매 형태를 가지며 고산 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일부 종은 관상용이나 잡초로 취급되며 대한민국에는 고산장대가 자생한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꽃다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속 | 꽃다지속 |
학명 | Draba nemorosa |
학명 명명자 | L. (1753) |
상태 | |
상태 | TNC |
참조 | https://explorer.natureserve.org/Taxon/ELEMENT_GLOBAL.2.157411/Draba_nemorosa |
2. 명칭
꽃다지라는 이름은 다른 들풀보다 먼저 꽃을 피우기 때문에 붙은 것으로 보인다. 오이와 같은 채소가 처음 틔우는 꽃도 꽃다지라고 한다.[4][5] 한약재로 쓰일 때는 정력자(葶藶子), 대실(大室) 등으로 불린다.[6][7]
이른 봄 햇빛이 잘 드는 밭, 논두렁, 산기슭에서 노란색 꽃을 피운다. 높이는 10cm~20cm 정도이다.[5] 보통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과 줄기에는 별 모양의 짧은 털이 빽빽이 나 있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수가 많고 방석처럼 퍼진다.[8] 뿌리에서 나는 잎은 주걱 모양이고 길이 2cm~4cm, 너비 0.8cm~1.5cm 정도이다.[9] 줄기에 있는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다.[8] 좁은 난형이거나 긴 타원형이고 길이 1cm~3cm, 너비 0.5cm~1.5cm쯤 된다.[9] 꽃은 4~6월에 줄기 끝에서 노란색으로 모여 핀다. 꽃잎은 네 장이며 수술은 여섯 개이다.[8] 꽃자루는 옆으로 퍼지고, 암술대는 매우 짧아 없는 것처럼 보인다.[9] 냉이는 사는 곳이 겹치는데 잎 모양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꽃은 색만 다를 뿐 흡사하다. 냉이 꽃은 희고 꽃다지 꽃은 노랗다.[5]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 이뇨 약재로 이용한다.[8]
3. 생태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전체에 털이 나 있으며 결실기는 7~8월로[8] 꼬투리가 열리는 각과(殼果)이다.[9] 꼬투리에는 두 개의 방에 여남은 개의 씨앗이 들어있다.[5]
4. 쓰임새
4. 1. 음식
끓는 물에 데친 후 양념에 버무려 나물로 먹는다.[10]
4. 2. 약재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 이뇨 약재로 이용한다.[8] 꽃다지 씨를 볶은 약재인 정력자는 거담, 진해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뇨제와 변비약으로도 쓰인다.[5]
참조
[1]
웹사이트
Draba nemorosa
https://explorer.nat[...]
NatureServe
2023-12-02
[2]
웹사이트
Draba nemorosa 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02-15
[3]
서적
약용식물의 효능과 재배법 (상)
문예마당
[4]
서적
우리 들꽃 이야기
해마루북스
[5]
뉴스
남보다 일찍 꽃을 피우는 이유
http://www.kyosu.net[...]
교수신문
2017-03-27
[6]
웹사이트
정력자
https://www.culturec[...]
[7]
웹사이트
정력자B
http://www.koreantk.[...]
[8]
문서
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씨식물-꽃다지
[9]
서적
아름다운 우리 꽃 봄꽃 150
교학사
1999-06-10
[10]
뉴스
한국인의 밥상 - 지리산 봄마중 밥상…꽃다지 냉이 봄동 겉절이·쑥부쟁이 자반·고로쇠수액나물무침·취나물 된장국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7-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