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꿩의밥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꿩의밥속은 외떡잎식물 골풀과에 속하는 식물로, 겉모습은 골풀과 달리 벼과 식물과 유사하다. 짧은 줄기와 뿌리잎을 가지며, 선형의 잎은 녹색에 흰 털이 있고, 3월경에 꽃이 핀다.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며, 약 140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꿩의밥, 털꿩의밥, 산꿩의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골풀과 - 골풀속
    골풀속은 춥거나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초본 식물로, 습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부 종은 전통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골풀과 - 산꿩의밥
  • 1805년 기재된 식물 - 팽나무
    팽나무는 아시아 온대 지역에 자생하며 높이 20m까지 자라는 낙엽성 활엽수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국에서는 정자목, 당산목으로 숭배받았으며, 목재와 잎, 잔가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마편초과
    마편초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과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네오스파르톤족, 두란타족, 란타나족, 마편초족 등 다양한 족으로 나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꿩의밥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루줄라 실바티카, 큰 숲지기
학명Luzula
학명 명명자DC., 보존명
동의어Luciola Sm., 잉여명
Juncoides Ség., 거부된 이름
Gymnodes (Griseb.) Fourr.
Nemorinia Fourr.
Cyperella J.G.H.Kramer ex MacMill.
Pterodes (Griseb.) Börner
Ebingeria Chrtek & Krísa
스즈메노야리
스즈메노야리
학명Luzula capitata (Miq.) Miq. ex Kom.
분류 체계APG IV 분류 체계
식물계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아강닭의장풀군
벼목
골풀과
스즈메노야리속
스즈메노야리 L. capitata
꿩의밥속
꿩의밥(L. capitata)
학명Luzula
학명 명명자DC.
벼목
골풀과
모식종L. campestris (L.) DC.

2. 특징

꿩의밥속은 골풀과으로, 약 140종이 있다.[7] 겉모습은 골풀보다는 벼과 식물과 비슷하다.

줄기는 짧고 땅속에 있으며, 땅 위로는 뿌리잎만 뻗어 나온다. 3월경에는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꽃대 끝에 머리 모양으로 꽃이 모여 핀다. 잎은 벼과 식물처럼 가늘고 긴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흰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는 남서 제도에서 북쪽 전역에 분포하며, 해외에서는 중국에서 캄차카 반도, 동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 참새귀리는 잘 알려진 근연종인데, 꽃차례의 형태가 다르지만, 꽃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몇 종의 근연종이 있다.

개꼬리새 종류는 꽃자루 끝에 머리 모양으로 모인 꽃차례를 달지 않고, 다수의 가지가 뻗어 나와 각각의 끝에 꽃을 하나씩 단다. 흔히 보이는 종 중에서는 개꼬리새는 다소 습한 곳, 참새피는 건조한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고산에 서식하는 고산참새피는 잎 끝이 가늘게 뾰족해지는 등 다른 종들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북방계의 환북극 요소도 많으며, 다이세쓰산에서 보이는 좁쌀개꼬리새나, 혼슈 중부 이북의 고산대에서 보이는 구름참새피 등은 북반구에 넓게 분포한다.

사초과 사초속의 좀사초는 결실했을 때의 모습이 꿩의밥속 식물과 매우 흡사하다.

2. 1. 형태적 특징

꿩의밥속은 약 140종이 있는 골풀과이다.[7] 겉모습은 골풀과 비슷하지 않고, 벼과 식물과 유사하다.

줄기는 짧고 땅속에 있으며, 땅 위로는 뿌리잎만 뻗어 나온다. 3월경에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꽃대 끝에 머리 모양으로 꽃이 모여 핀다.

2. 1. 1. 잎

벼과 식물과 같이 가늘고 긴 선형이며, 느슨하게 굽어 있고, 단면은 얕은 U자 모양이다. 잎은 녹색으로 약간 윤기가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길고 흰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7] 잎의 끝은 가늘게 뻗지 않고, 가늘면서도 두꺼운 막대 모양으로 끝난다. 일본산 꿩의밥속 식물은 대부분 이 특징을 가지므로, 꽃이 없어도 구별할 수 있다.[7]

2. 1. 2. 줄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꿩의밥속 식물의 줄기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2. 1. 3. 꽃

꿩의밥속 식물의 꽃은 3월경에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꽃대에 머리 모양으로 모여 핀다. 개별 꽃은 뚜렷하지 않고 적갈색의 둥근 덩어리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벼과 식물의 작은이삭과는 달리 하나하나의 꽃이 뚜렷하다.

개별 꽃에는 여섯 장의 꽃덮이가 있는데, 끝이 뾰족한 타원형으로 자갈색을 띤다. 꽃덮이가 열리면 노랗고 큰 이 나타나며, 꽃덮이는 열매가 된 후에도 남아 녹색 열매의 아래쪽을 감싼다. 이러한 꽃덮이와 약은 눈에 잘 띄어 초봄 들풀로서 친숙하다.

꽃대 중간에는 한 장의 포엽이 붙는다. 꽃 덩어리는 하나 또는 두 개로 나뉘어져 있으며, 때로는 짧은 자루 끝에 더 작은 덩어리가 달리기도 한다.

2. 1. 4. 뿌리

원문에는 꿩의밥속 식물의 뿌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2. 2. 생태적 특징

꿩의밥속 식물은 약 140종에 이른다.[7] 겉모습은 골풀과 비슷하지만, 벼과 식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줄기는 짧고 땅 속에 있으며, 지표면에는 뿌리잎만 뻗어 나온다. 잎은 벼과 식물처럼 가늘고 긴 선형이며, 느슨하게 굽어 있고 단면은 얕은 U자 모양이다. 잎은 녹색이고 약간 윤기가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길고 흰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잎 끝은 가늘게 뻗지 않고, 가늘면서도 두꺼운 막대 모양으로 끝난다. 일본산 꿩의밥속 식물은 대부분 이 특징을 가지고 있어 꽃이 없어도 구별할 수 있다.

3월경에 이삭을 뻗는다.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꽃대 끝에 꽃이 머리 모양으로 모인다. 개별 꽃은 뚜렷하지 않고 적갈색의 둥근 덩어리처럼 보인다. 덩어리는 하나 또는 두 개로 나뉘며, 때로는 짧은 자루 끝에 더 작은 덩어리가 달리기도 한다. 꽃대 중간에는 포엽 한 장이 붙는다.

꽃 덩어리는 자세히 보면 벼과 식물의 작은이삭과 달리 개별 꽃이 뚜렷하다. 각 꽃에는 여섯 장의 꽃덮이가 있다. 꽃덮이는 끝이 뾰족한 타원형이고 자갈색을 띤다. 꽃덮이가 열리면 노랗고 큰 이 나온다. 꽃덮이는 열매가 되어도 남아 녹색 열매의 아래쪽을 감싼다.

꽃덮이와 약은 눈에 잘 띄어 초봄에 볼 수 있는 들풀로 친숙하다. 일본에서는 남서 제도에서 북쪽 전역에 분포하며, 해외에서는 중국에서 캄차카 반도, 동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

3. 분포

꿩의밥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140종이 분포한다.[7] 일본에서는 남서 제도에서 북쪽 전역에 분포하며, 해외에서는 중국에서 캄차카 반도, 동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 이 속의 식물은 세계적으로 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분포하며, 약 60~8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는 약 10종이 있으며, 대부분 일본 이북의 아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종에 따라서는 북반구 전역의 온대에 걸쳐 넓은 분포 범위를 가지기도 한다. 다이세쓰산에서 보이는 좁쌀개꼬리새나, 혼슈 중부 이북의 고산대에서 보이는 구름참새피 등은 북방계의 환북극 요소로서 북반구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다.

3. 1. 세계적 분포

꿩의밥속에는 약 140종이 있다.[7] 꿩의밥속 식물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이 각기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다. 다음은 꿩의밥속에 속하는 종의 목록이다.

Luzula abchasica
Luzula abyssinica
Luzula acuminata
Luzula acutifolia
Luzula africana
Luzula alopecuroides
Luzula alopecurus
Luzula alpestris
Luzula alpina
Luzula alpinopilosa
Luzula antarctica
Luzula arcuata
Luzula atlantica
Luzula atrata
Luzula australasica
Luzula banksiana
Luzula × bogdanii
Luzula bomiensis
Luzula × bornmuelleriana
Luzula × borreri
Luzula brachyphylla
Luzula bulbosa
Luzula caespitosa
Luzula calabra
Luzula campestris
Luzula canariensis
Luzula capitata
Luzula caricina
Luzula celata
Luzula chilensis
Luzula colensoi
Luzula comosa
Luzula confusa
Luzula congesta
Luzula crenulata
Luzula crinita
Luzula × danica
Luzula decipiens
Luzula densiflora
Luzula denticulata
Luzula desvauxii
Luzula divaricata
Luzula divulgata
Luzula divulgatiformis
Luzula echinata
Luzula ecuadoriensis
Luzula effusa
Luzula elegans
Luzula excelsa
Luzula exspectata
Luzula fallax
Luzula × favratii
Luzula flaccida
Luzula formosana
Luzula forsteri
Luzula × gayana
Luzula gigantea
Luzula glabrata
Luzula groenlandica
Luzula × hasleri
Luzula hawaiiensis
Luzula × heddae
Luzula × hermannii-muelleri
Luzula hitchcockii
Luzula × hybrida
Luzula ignivoma
Luzula inaequalis
Luzula indica
Luzula jimboi
Luzula × johannis-principis
Luzula johnstonii
Luzula kjellmaniana
Luzula kobayasii
Luzula lactea
Luzula leiboldii
Luzula leptophylla
Luzula × levieri
Luzula longiflora
Luzula lutea
Luzula lutescens
Luzula luzulina
Luzula luzuloides
Luzula mannii
Luzula masafuerana
Luzula × media
Luzula melanocarpa
Luzula mendocina
Luzula meridionalis
Luzula modesta
Luzula multiflora
Luzula nipponica
Luzula nivalis
Luzula nivea
Luzula nodulosa
Luzula novae-cambriae
Luzula oligantha
Luzula orestera
Luzula ostenii
Luzula ovata
Luzula pallescens
Luzula papuana
Luzula parviflora
Luzula pedemontana
Luzula pediformis
Luzula peruviana
Luzula × pfaffii
Luzula philippinensis
Luzula picta
Luzula pilosa
Luzula pindica
Luzula piperi
Luzula plumosa
Luzula poimena
Luzula pumila
Luzula purpureosplendens
Luzula racemosa
Luzula × romanica
Luzula rufa
Luzula rufescens
Luzula ruiz-lealii
Luzula seubertii
Luzula × sichuanensis
Luzula × somedana
Luzula spicata
Luzula stenophylla
Luzula subcapitata
Luzula subcongesta
Luzula subsessilis
Luzula sudetica
Luzula sylvatica
Luzula taiwaniana
Luzula taurica
Luzula traversii
Luzula tristachya
Luzula ulei
Luzula ulophylla
Luzula × vinesii
Luzula vulcanica
Luzula wahlenbergii
Luzula × wettsteinii


3. 2. 한국 내 분포

Luzula영어속 식물 중 한국에서 발견되는 종은 다음과 같다:[7]

학명한국어 이름분포 지역 및 특징
Luzula capitata꿩의밥한국 전역의 산이나 들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Luzula multiflora산꿩의밥한국 중부 이북 지역의 산지에서 자라며, 꿩의밥보다 키가 크고 꽃차례가 빽빽하다.
Luzula nipponica참꿩의밥설악산 등 고산 지대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Luzula oligantha애기꿩의밥한라산에서 자생하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Luzula pallescens흰꿩의밥한국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Luzula rufescens너도꿩의밥한국 북부 고산 지대의 초원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Luzula wahlenbergii가는잎꿩의밥한국 북부 지역에서 자란다.



이들 종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특히 애기꿩의밥과 같이 특정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발견되는 희귀종은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며, 멸종 위기종 보호 및 서식지 보전에 힘쓰고 있다.

4. 분류

꿩의밥속은 외떡잎식물 골풀과에 속하는 식물들의 속이다. 겉모습은 골풀보다는 아담한 벼과 식물처럼 보인다.

꿩의밥속 식물은 짧은 줄기가 땅 속에 있으며, 지표면에는 뿌리잎만 뻗어 나온다. 잎은 벼과 식물과 같이 선형으로 가늘고 길며, 느슨하게 굽어 있고, 단면은 얕은 U자 모양이다. 잎은 녹색으로 약간 윤기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길고 흰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잎의 끝 부분은 가늘면서도 두꺼운 막대 모양으로 끝난다.

3월경에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꽃대가 뻗어 나와 꽃이 머리 모양으로 모여 핀다. 꽃 덩어리는 적갈색의 둥근 덩어리처럼 보이며, 하나 또는 두 개로 나뉘기도 한다. 꽃대 중간에는 포엽이 한 장 붙는다. 개별 꽃에는 여섯 장의 꽃덮이가 있으며, 꽃덮이는 끝이 뾰족한 타원형으로 자갈색을 띤다. 꽃덮이가 열리면 노랗고 큰 이 나온다. 꽃덮이는 열매가 되어도 남아 녹색 열매의 아래쪽을 감싼다.

일본에서는 남서 제도에서 북쪽 전역에 분포하며, 해외에서는 중국에서 캄차카 반도, 동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

잘 알려진 근연종으로는 참새귀리가 있다. 참새귀리는 꽃자루 끝에서 여러 개의 자루가 뻗어 나와 각각의 끝에 꽃차례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비슷하지만, 참새피처럼 꽃자루 끝에 머리 모양으로 모인 꽃차례를 달지 않는 것은 개꼬리새 종류이다. 개꼬리새는 꽃자루 끝에서 다수의 가지가 뻗어 나와 각각의 끝에 꽃을 하나씩 단다. 흔히 보이는 종 중에서는 개꼬리새는 다소 습한 곳, 참새피는 건조한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고산에 서식하는 고산꿩의밥은 소수의 꽃이 머리 모양으로 모인 것을 몇 개 달고, 잎 끝이 가늘게 뾰족해지는 등 다른 종들과 차이가 있다. 북방계의 환북극 요소도 많으며, 다이세쓰산에서 보이는 좁쌀개꼬리새나, 혼슈 중부 이북의 고산대에서 보이는 구름참새피 등은 북반구에서의 분포가 넓다. 사초과 사초속의 좀사초는 결실했을 때의 모습이 꿩의밥이 결실한 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4. 1. 하위 종

다음은 꿩의밥속에 속하는 하위 종들이다. 꿩의밥속에는 약 140종이 있다.[7]

학명한국어 이름기타
Luzula abchasica
Luzula abyssinica
Luzula acuminata
Luzula acutifolia
Luzula africana
Luzula alopecuroides
Luzula alopecurus
Luzula alpestris
Luzula alpina
Luzula alpinopilosa
Luzula antarctica
Luzula arcuata
Luzula atlantica
Luzula atrata
Luzula australasica
Luzula banksiana
Luzula × bogdanii
Luzula bomiensis
Luzula × bornmuelleriana
Luzula × borreri
Luzula brachyphylla
Luzula bulbosa
Luzula caespitosa
Luzula calabra
Luzula campestris
Luzula canariensis
Luzula capitata꿩의밥
Luzula caricina
Luzula celata
Luzula chilensis
Luzula colensoi
Luzula comosa
Luzula confusa
Luzula congesta
Luzula crenulata
Luzula crinita
Luzula × danica
Luzula decipiens
Luzula densiflora
Luzula denticulata
Luzula desvauxii
Luzula divaricata
Luzula divulgata
Luzula divulgatiformis
Luzula echinata
Luzula ecuadoriensis
Luzula effusa
Luzula elegans
Luzula excelsa
Luzula exspectata
Luzula fallax
Luzula × favratii
Luzula flaccida
Luzula formosana
Luzula forsteri
Luzula × gayana
Luzula gigantea
Luzula glabrata
Luzula groenlandica
Luzula × hasleri
Luzula hawaiiensis
Luzula × heddae
Luzula × hermannii-muelleri
Luzula hitchcockii하멧-아티
Luzula × hybrida
Luzula ignivoma
Luzula inaequalis
Luzula indica
Luzula jimboi
Luzula × johannis-principis
Luzula johnstonii
Luzula kjellmaniana
Luzula kobayasii
Luzula lactea
Luzula leiboldii
Luzula leptophylla
Luzula × levieri
Luzula longiflora
Luzula lutea
Luzula lutescens
Luzula luzulina
Luzula luzuloides
Luzula mannii
Luzula masafuerana
Luzula × media
Luzula melanocarpa
Luzula mendocina
Luzula meridionalis
Luzula modesta
Luzula multiflora털꿩의밥
Luzula nipponica두메꿩의밥
Luzula nivalis
Luzula nivea백설꿩의밥
Luzula nodulosa
Luzula novae-cambriae
Luzula oligantha구름꿩의밥
Luzula orestera
Luzula ostenii
Luzula ovata
Luzula pallescens산새밥
Luzula papuana
Luzula parviflora
Luzula pedemontana
Luzula pediformis
Luzula peruviana
Luzula × pfaffii
Luzula philippinensis
Luzula picta
Luzula pilosa
Luzula pindica
Luzula piperi
Luzula plumosa별꿩의밥
Luzula poimena
Luzula pumila
Luzula purpureosplendens
Luzula racemosa
Luzula × romanica
Luzula rufa
Luzula rufescens새밥
Luzula ruiz-lealii
Luzula seubertii
Luzula × sichuanensis
Luzula × somedana
Luzula spicata
Luzula stenophylla
Luzula subcapitata
Luzula subcongesta
Luzula subsessilis
Luzula sudetica
Luzula sylvatica큰꿩의밥
Luzula taiwaniana
Luzula taurica
Luzula traversii
Luzula tristachya
Luzula ulei
Luzula ulophylla
Luzula × vinesii
Luzula vulcanica
Luzula wahlenbergii좀꿩의밥, 구름꿩의밥
Luzula × wettsteinii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종들이 알려져 있다.


  • '''고산꿩의밥''' (''L. oligantha''): 소수의 꽃이 머리 모양으로 모인 것을 몇 개 달고, 잎 끝이 가늘게 뾰족해지는 특징이 있다. 열매는 비교적 작고 검게 익는다.
  • '''검정개꼬리새''' (クロボシソウ): 뿌리줄기를 뻗어 번식한다.
  • '''꼬리골풀''' 종류
  • '''괭이밥''' (ミヤマヌカボシソウ)
  • '''구름꿩의밥''' (クモマスズメノヒエ): 혼슈 중부 이북의 고산대에서 보인다.
  • '''너도밤나무'''
  • '''눈잣나무'''
  • '''다이세쓰산'''
  • '''미야마개꼬리새''' (ミヤマヌカボシソウ)
  • '''비늘꿩의밥''' (ヌカボシソウ)
  • '''산참새귀리''' (オカスズメノヒエ)
  • '''새밥''
  • '''좀사초''
  • '''좁쌀개꼬리새''' (コゴメヌカボシ): 다이세쓰산에서 보인다.
  • '''참새귀리''' (ヤマスズメノヒエ)
  • '''털꿩의밥''' (ヤマスズメノヒエ)


사초과 사초속의 '''좀사초'''는 결실했을 때의 모습이 꿩의밥이 결실한 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이 속의 식물은 세계적으로 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분포하며, 60~80종이 있다고 여겨진다. 일본에는 약 10종이 있다.

5. 이용

꿩의밥속 식물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간행물 Flora of North America
[3] 웹사이트 Luzula http://www.ars-grin.[...]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4] 웹사이트 Luzula https://www.itis.gov[...]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5] 웹사이트 Scientific names - meaning and origin https://web.archive.[...] svalbardflora.net 2013-12-23
[6] 웹사이트 Luzula http://ucjeps.berkel[...] The Jepson eFlora 2013
[7] 웹사이트 Luzla http://www.theplantl[...] The Plant List 2013-11-30
[8] 서적 牧野日本植物圖鑑 北隆館
[9] 문서 Flore Françai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