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골리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골리안트는 J. R. R. 톨킨의 작품에 등장하는 어둡고 거대한 거미로, 신다린으로 '어두운 거미'를 의미한다. 웅골리안트는 악의 발라 모르고스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를 파괴하고, 바르다의 우물을 파괴하여 세상의 빛을 빼앗았다. 모르고스와의 갈등 이후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도망쳤으며, 쉴롭의 조상이 되었다. 웅골리안트는 끊임없는 굶주림으로 인해 다른 거미들을 잡아먹는 존재로 묘사되며, 톨킨의 다른 작품들, 특히 《실마릴리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웅골리안트는 헤비 메탈 음악의 소재가 되었으며, 피터 잭슨의 영화 《호빗》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등장인물 - 에루 일루바타르
에루 일루바타르는 톨킨의 가운데땅 세계관에서 '모든 것의 아버지'로 불리는 절대적인 창조신으로, 아이누를 통해 세계를 창조하고 요정과 인간을 직접 창조하여 '일루바타르의 자손'이라 칭하며, 작품 내 직접적인 등장은 적지만 세상 모든 일에 그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고, 특히 아칼라베스에서 그의 권능이 드러난다. - 가운데땅의 등장인물 - 나즈굴
나즈굴은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사우론의 반지 유령으로, 힘의 반지를 통해 강력한 능력을 얻었으나 인간성을 잃고 공포와 절망을 무기로 사용하는 사악한 존재가 되었다. - 가공의 악마 - 크툴루
크툴루는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 등장하는 기괴한 외모와 강력한 힘을 지닌 고대 존재로, 르리예에 잠들어 꿈을 통해 사람들을 광기에 빠뜨리며 크툴루 신화의 중심이자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공의 악마 - 헬보이
1944년 나치의 의식으로 소환된 반인반마 헬보이는 악마의 아버지와 마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파괴적인 힘을 지닌 "운명의 오른손"을 가지고 BPRD 요원으로 활동하며 초자연적 위협에 맞서는 인기 캐릭터이다.
| 웅골리안트 |
|---|
2. 어원
웅골리안트는 신다린 언어로 '검은 거미'를 의미하고, 그것은 퀘냐의 웅궤 리안테/Ungwë liantëqya의 번역어다. 그녀는 또한 퀘냐로 궤르룸/Gwerlumqya, 신다린으로 위릴로메/Wirilomësjn으로 알려져 있다. ''웅골리안트''는 톨킨이 창작한 신다린(가상 언어)로 '어두운 거미'를 의미한다.
웅골리안트는 악의 발라 멜코르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세계의 빛을 꺼버렸고, 바르다의 우물을 뽑아 그 빛이 페아노르의 실마릴 내에서만 지속되게 만들었다.[8]
3. 소설 속 행적
멜코르는 웅골리안트에게 그녀의 도움에 대한 대가로 그녀가 원하는 모든 것을 내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마릴을 내놓지 않음으로써 이 약속을 배신했고, 발록들을 불러 그녀를 물리쳤다.[3] 웅골리안트는 멜코르의 보물들을 가로채려고 시도하였고, 결국에는 멜코르가 쥔 실마릴까지 빼앗으려고 하였다. 멜코르가 이에 반발하자 그를 거미줄로 묶어버렸다. 멜코르는 공포와 강도의 외침을 외쳤고, 발록들이 불꽃들의 채찍으로 웅골리안트를 쫓아내어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달아났다.[8] 이후 그녀는 반지의 제왕의 쉴롭의 먼 조상이 되었다.[8]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도망쳤다. 어느 시점에서 그녀는 거대한 거미들을 낳았는데, 여기에는 ''반지의 제왕''의 등장인물인 쉴롭도 포함되었다. ''실마릴리온''에서는 그녀가 숨었을 때 그녀의 굶주림이 극심하여 다른 거미들과 교미하여 나중에 잡아먹고, 새끼들은 완전히 자라면 식량으로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실마릴리온''은 웅골리안트의 끊임없는 굶주림이 그녀를 자신을 잡아먹도록 몰아갔음을 암시한다.[3]
3. 1. 발리노르의 두 나무 파괴
웅골리안트는 악의 발라 멜코르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세계의 빛을 꺼버렸고, 바르다의 우물을 뽑아 그 빛이 페아노르의 실마릴 내에서만 지속되게 만들었다.[8] 두 개의 나무 시대의 아르다는 발리노르의 두 나무에 의해 빛났다.[2] 톨킨의 원작에 따르면 웅골리안트는 밤의 원시적인 영혼, 즉 모루(Móru)로, 발리노르의 두 나무에 대한 공격에서 멜코르를 도왔다.[1] 멜코르가 나무를 다치게 한 후 나무의 수액을 빨아들였다. 그녀는 또한 바르다의 우물에서 빛의 저장량을 소비했다. 그 후 나무의 빛은 페아노르의 실마릴 안에만 남아 있었다. 웅골리안트는 멜코르가 그녀가 만들어낸 뚫을 수 없는 어둠 속에 그들을 감싸서 발라를 피하도록 도왔다.[2]
웅골리안트는 멜코르의 보물들을 가로채려고 시도하였고, 결국에는 멜코르가 쥔 실마릴까지 빼앗으려고 하였다. 멜코르가 이에 반발하자 그를 거미줄로 묶어버렸다. 멜코르는 공포와 강도의 외침을 외쳤고, 발록들이 불꽃들의 채찍으로 웅골리안트를 쫓아내어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달아났다.[8] 멜코르는 웅골리안트에게 그녀의 도움에 대한 대가로 그녀가 원하는 모든 것을 내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마릴을 내놓지 않음으로써 이 약속을 배신했고, 발록들을 불러 그녀를 물리쳤다.[3] 이후 그녀는 반지의 제왕의 쉴로브의 먼 조상이 되었다.[8]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도망쳤다. 어느 시점에서 그녀는 거대한 거미들을 낳았는데, 여기에는 ''반지의 제왕''의 등장인물인 쉴롭도 포함되었다. ''실마릴리온''에서는 그녀가 숨었을 때 그녀의 굶주림이 극심하여 다른 거미들과 교미하여 나중에 잡아먹고, 새끼들은 완전히 자라면 식량으로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실마릴리온''은 웅골리안트의 끊임없는 굶주림이 그녀를 자신을 잡아먹도록 몰아갔음을 암시한다.[3]
3. 2. 모르고스와의 갈등
웅골리안트는 악의 발라 멜코르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세계의 빛을 꺼버렸고, 바르다의 우물을 뽑아 그 빛이 페아노르의 실마릴 내에서만 지속되게 만들었다.[8] 멜코르는 웅골리안트에게 그녀의 도움에 대한 대가로 그녀가 원하는 모든 것을 내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마릴을 내놓지 않음으로써 이 약속을 배신했다.[3] 웅골리안트는 멜코르의 보물들을 가로채려고 시도하였고, 결국에는 멜코르가 쥔 실마릴까지 빼앗으려고 하였다. 멜코르가 이에 반발하자 그를 거미줄로 묶어버렸다.[8]
멜코르는 공포와 강도의 외침을 외쳤고, 발록들이 불꽃들의 채찍으로 웅골리안트를 쫓아내어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달아났다.[8][3] 톨킨의 원작에 따르면 웅골리안트는 밤의 원시적인 영혼, 즉 모루(Móru)였다.[1] 어느 시점에서 그녀는 거대한 거미들을 낳았는데, 여기에는 ''반지의 제왕''의 등장인물인 쉴롭도 포함되었다.[3] ''실마릴리온''은 웅골리안트의 끊임없는 굶주림이 그녀를 자신을 잡아먹도록 몰아갔음을 암시한다.[3]
3. 3. 벨레리안드에서의 최후
웅골리안트는 악의 발라 멜코르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세계의 빛을 꺼버렸고, 바르다의 우물을 뽑아 그 빛이 페아노르의 실마릴 내에서만 지속되게 만들었다.[8][2] 멜코르는 웅골리안트에게 그녀가 원하는 모든 것을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마릴을 내놓지 않음으로써 이 약속을 배신했다.[3] 웅골리안트는 멜코르가 쥔 실마릴까지 빼앗으려고 하였고, 멜코르가 이에 반발하자 그를 거미줄로 묶어버렸다. 멜코르는 공포와 강도의 외침을 외쳤고, 발록들이 불꽃들의 채찍으로 웅골리안트를 쫓아냈다.[8]
웅골리안트는 벨레리안드의 에레드 고르고로스로 도망쳤다.[8] 어느 시점에서 그녀는 거대한 거미들을 낳았는데, 여기에는 ''반지의 제왕''의 등장인물인 쉴롭도 포함되었다.[3] ''실마릴리온''에서는 그녀가 숨었을 때 그녀의 굶주림이 극심하여 다른 거미들과 교미하여 나중에 잡아먹고, 새끼들은 완전히 자라면 식량으로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실마릴리온''은 웅골리안트의 끊임없는 굶주림이 그녀를 자신을 잡아먹도록 몰아갔음을 암시한다.[3]
4. 분석

톨킨 학자 존 W. 호튼에 따르면, 웅골리안트와 모르고스의 이야기는 존 밀턴의 ''실낙원''에서 죄가 사탄에 의해 죽음이라는 자식을 잉태하는 내용과 비교할 수 있다. 죄와 죽음 모두 항상 배고프며, 사탄은 그들에게 먹이를 주겠다고 말하고 그들을 세상으로 인도한다.[4]
''미스로르''에 기고한 조 애보트는 웅골리안트와 쉴롭이 "독특한 개념의 산물"인 유사한 괴물이라고 언급한다.[5] 그는 그들이 북유럽 민속에서 발견되는 여성 거인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거미 형태는 아니지만, 그는 "악마가 거미로 나타나 다리가 잘렸다"는 초기 아이슬란드 예시를 언급한다.[5] 웅골리안트의 종족에 대해, 그는 톨킨이 ''잃어버린 이야기의 책''에 수록된 ''멜코의 도둑질''에서 언급한 내용을 인용한다. "아마도 그녀는 램프가 쓰러지고 나무가 켜지기 전, 어둠의 바다 경계에서, 완전한 어둠 속에서 안개와 어둠 속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더욱 그녀는 항상 그래왔을 것이다' [애보트의 이탤릭체]; 그리고 그녀는 여전히 그 검은 곳에 거주하는 것을 좋아하며, 혐오스러운 거미의 '모습'을 취한다."[1][5] 그는 웅골리안트가 항상 존재해 왔고 단순히 거미의 "모습"을 선택한다는 톨킨의 제안에 주목하며, 이는 그녀가 육체적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불멸의 마이아여야 함을 의미한다고 말한다.[5] 그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나오는 "길파기닝"에 등장하는 아이슬란드 여성 거인 노트("밤")를 예로 든다. 노트는 그녀의 모든 친족과 마찬가지로 어두웠고, 웅골리안트와 그녀의 모든 자식들은 어둠 속에 살며 어둠을 "의인화"한다.[5]
4. 1. 밀턴의 《실낙원》과의 비교
톨킨 학자 존 W. 호튼에 따르면, 웅골리안트와 모르고스의 이야기는 존 밀턴의 ''실낙원''에서 죄가 사탄에 의해 죽음이라는 자식을 잉태하는 내용과 비교할 수 있다. 죄와 죽음 모두 항상 배고프며, 사탄은 그들에게 먹이를 주겠다고 말하고 그들을 세상으로 인도한다.[4]
''미스로르''에 기고한 조 애보트는 웅골리안트와 쉴롭이 "독특한 개념의 산물"인 유사한 괴물이라고 언급한다.[5] 그는 그들이 북유럽 민속에서 발견되는 여성 거인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거미 형태는 아니지만, 그는 "악마가 거미로 나타나 다리가 잘렸다"는 초기 아이슬란드 예시를 언급한다.[5] 웅골리안트의 종족에 대해, 그는 톨킨이 ''잃어버린 이야기의 책''에 수록된 ''멜코의 도둑질''에서 언급한 내용을 인용한다. "아마도 그녀는 램프가 쓰러지고 나무가 켜지기 전, 어둠의 바다 경계에서, 완전한 어둠 속에서 안개와 어둠 속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더욱 그녀는 항상 그래왔을 것이다' [애보트의 이탤릭체]; 그리고 그녀는 여전히 그 검은 곳에 거주하는 것을 좋아하며, 혐오스러운 거미의 '모습'을 취한다."[1][5] 그는 웅골리안트가 항상 존재해 왔고 단순히 거미의 "모습"을 선택한다는 톨킨의 제안에 주목하며, 이는 그녀가 육체적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불멸의 마이아여야 함을 의미한다고 말한다.[5] 그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나오는 "길파기닝"에 등장하는 아이슬란드 여성 거인 노트("밤")를 예로 든다. 노트는 그녀의 모든 친족과 마찬가지로 어두웠고, 웅골리안트와 그녀의 모든 자식들은 어둠 속에 살며 어둠을 "의인화"한다.[5]
4. 2. 북유럽 신화와의 연관성
톨킨 학자 존 W. 호튼은 웅골리안트와 모르고스의 이야기가 존 밀턴의 ''실낙원''에서 죄가 사탄에 의해 죽음이라는 자식을 잉태하는 내용과 유사하다고 설명한다. 죄와 죽음은 항상 배고프며, 사탄은 그들에게 먹이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세상으로 인도한다.[4]''미스로르''에 기고한 조 애보트는 웅골리안트와 쉴롭이 북유럽 민속에 등장하는 여성 거인과 유사하다고 언급하며,[5] "악마가 거미로 나타나 다리가 잘렸다"는 초기 아이슬란드 예시를 든다.[5] 웅골리안트의 종족에 대해, ''잃어버린 이야기의 책''에 수록된 ''멜코의 도둑질''에서 톨킨은 "아마도 그녀는 램프가 쓰러지고 나무가 켜지기 전, 어둠의 바다 경계에서, 완전한 어둠 속에서 안개와 어둠 속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더욱 그녀는 항상 그래왔을 것이다' [애보트의 이탤릭체]; 그리고 그녀는 여전히 그 검은 곳에 거주하는 것을 좋아하며, 혐오스러운 거미의 '모습'을 취한다."라고 언급한다.[1][5] 애보트는 웅골리안트가 항상 존재해 왔고 단순히 거미의 "모습"을 선택한다는 톨킨의 제안에 주목하며, 이는 그녀가 육체적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불멸의 마이아여야 함을 의미한다고 말한다.[5] 그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에 나오는 "길파기닝"에 등장하는 아이슬란드 여성 거인 노트("밤")를 예로 든다. 노트는 그녀의 모든 친족과 마찬가지로 어두웠고, 웅골리안트와 그녀의 모든 자식들은 어둠 속에 살며 어둠을 "의인화"한다.[5]
5.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웅골리안트는 여러 헤비 메탈 음악의 소재가 되었다. 그녀가 실마릴을 두고 모르고스와 벌인 갈등은 블라인드 가디언의 1998년 앨범 ''미들 어스에서의 밤의 몰락''에 수록된 "Into the Storm"의 주제였다. 오스트리아의 블랙 메탈 밴드 서머닝은 1995년 앨범 ''미나스 모르굴''에 "Ungolianth"라는 곡을 수록했다. 아일랜드의 켈틱 메탈 밴드 크루아한은 2006년 앨범 ''모리건의 부름''에 "Ungoliant"라는 곡과 쉴롭의 이름을 딴 곡을 수록했다.[6]
웅골리안트는 피터 잭슨의 영화 ''호빗'' 3부작의 첫 번째 영화인 2012년 영화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 마법사 라다가스트가 어둠숲에 서식하는 악의적인 거대 거미의 기원에 대해 추측할 때 언급된다.[7]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간행물
Ungoliant
Routledge
2013
[5]
서적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Rosenkilde and Bagger
[6]
웹사이트
The Morrigan's Call – Cruachan
"{{AllMusic |id=r862[...]
[7]
웹사이트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2012)
https://transcripts.[...]
2020-07-01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