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스로리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로리엔은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엘프의 숲으로,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꿈의 땅' 또는 '황금 숲'으로 묘사된다. 린도리난드, 로리난드, 로렐린도레난, 드위모르데네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제3시대에는 신다린어로 '로스로리엔'으로 불렸다. 역사적으로는 난도르 엘프들이 정착하여 실반 엘프 왕국을 이루었으며,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이 통치했다. 반지원정대가 모리아에서 간달프를 잃고 이곳에서 보급을 받은 후, 사우론의 몰락 이후 쇠퇴하여 아르웬 여왕의 죽음 무렵에는 버려진 상태가 된다. 로스로리엔은 빛과 시간의 왜곡, 지상 낙원의 이미지로 묘사되며, 영화,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장소 - 모르도르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모르도르는 사우론이 지배하는 악의 땅으로, 운명의 산과 바라드-듀르를 중심으로 검은 문, 그림자 산맥, 고르고로스 등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절대반지의 파괴와 함께 멸망한 곳으로, 산업화 시대와 전쟁 경험 등 다양한 영향을 반영한다.
  • 가운데땅의 장소 - 에리아도르
  • 가공의 나라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가공의 나라 - 오세아니아 (1984)
    오세아니아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체주의 국가이며, 빅 브라더를 최고 지도자로 하여 이중사고와 신어 등의 수단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고, 유라시아와 지속적인 전쟁을 벌인다.
로스로리엔
지리
기본 정보
이름로스로리엔
다른 이름로리엔
로리난드
라우렐린도레난
황금 숲
숨겨진 땅
드위모르덴
유형엘프의 영역
지리와일더랜드 서쪽
수명창건: 제2시대 약 1350년
폐쇄: 제4시대 119년
창립자암디르, 암로스 (제2시대)
켈레보른갈라드리엘 (제2시대 및 제3시대)
수도카라스 갈라돈
위치카라스 갈라돈
케린 암로스
나이스 또는 앵글
님로델 강
실버로드 강
역사
창건제2시대 1350년경, 린다르들이 안두인 강을 건너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세워짐
통치제2시대: 암디르, 암로스 통치
제3시대: 켈레보른과 갈라드리엘 통치
쇠퇴반지의 전쟁 이후 갈라드리엘이 발리노르로 떠남
켈레보른이 로스로리엔을 떠나 리븐델로 감
엘프들이 가운데땅을 떠나면서 폐허가 됨
최종제4시대 119년, 엘프들이 모두 떠나면서 로스로리엔은 버려짐
문화
특징엘프들이 나무 위에 지은 도시 카라스 갈라돈
금빛 나무 멜리른
엘프들의 아름다운 노래
마법의 힘이 깃든 땅
거주민실반 엘프
신다르 엘프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
관련 작품
등장 작품반지 원정대
두 개의 탑
왕의 귀환
호빗
실마릴리온

2. 명칭

로스로리엔은 중간계 여러 민족들의 인식과 그 허구적인 역사에 따라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이름의미어원
린도리난드 (Lindórinand)노래하는 자들의 땅 계곡[1]이 지역의 옛 난도린어 (Nandorin) 이름
로리난드 (Lórinand)황금 계곡[1]말로른 나무가 도입된 후의 난도린어 이름
로렐린도레난 (Laurelindórenan)노래하는 황금 계곡[1]말로른 나무가 도입된 후의 신다린어 (Sindarin) 이름
로스로리엔 (Lothlórien)꿈의 꽃[3]제3시대 (Third Age)의 신다린어 이름
로리엔 (Lórien)꿈의 땅[3]로리엔 정원 (Gardens of Lórien)과 아만의 이름과 일치하는 로스로리엔의 축약형
드위모르데네 (Dwimordene)환영의 계곡로한에서 사용됨,[4] 고대 영어 (Old English) dwimor "환영", denu "계곡"에서 유래
황금의 숲 (The Golden Wood)공통어 (The Common Speech)[5]


3. 역사

난도르놀도르신다르와 달리 오랜 세월 통치자를 세우지 않았다. 렌웨, 데네소르와 같은 이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2시대 전에 죽었고 이후 별다른 새로운 통치자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사우론과 같은 악의 세력이 부흥하고 요정의 세력이 과거에 비해 쇠퇴하는 것을 체감한 난도르는 통치자를 세우게 된다. 2시대에 로스로리엔의 통치자가 된 이는 아므디르와 아므로스였다. 서로 부자 관계였던 이들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으나, 그들의 죽음 이후 안개산맥을 넘어온 켈레보른갈라드리엘이 4시대 초엽까지 공동으로 다스렸다.[1]

소설 《반지의 제왕》에서 반지 원정대모리아 내부의 적으로부터 대원을 지키고자 간달프가 희생하여 그가 없이 로스로리엔에 도착한다. 반지원정대는 여기서 보급을 받고 배를 타 남쪽으로 여정을 이어간다. 머지않아 보로미르호빗 대원을 지키다 사루만오크에게 죽임을 당한다. 그의 시신은 로스로리엔에서 받은 배로 장사지내고 강으로 떠내려 보낸다.[9]

사우론의 몰락 후 갈라드리엘켈레보른은 돌굴두르에서 사우론의 영향력을 제거했다.[10] 갈라드리엘은 제4시대 초에 발리노르로 떠났고, 켈레보른은 나중에 그녀를 따라갔다. 로스로리엔은 점차 쇠퇴하여 아르웬 여왕이 죽을 무렵에는 버려진 상태가 되었다.[11]

3. 1. 난도르의 땅

난도르놀도르신다르와 달리 오랜 세월 통치자를 세우지 않았다. 렌웨, 데네소르와 같은 자가 있었으나, 그들은 2시대 전에 죽었고 이후 별다른 새로운 통치자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사우론과 같은 악의 세력이 부흥하고 요정의 세력이 과거에 비해 쇠하는 것을 체감한 난도르는 통치자를 세우게 된다.[1]

제1시대 초기에 일부 엘다르(Eldar)들이 발리노르(Valinor)로 향하는 대장정(Great March)을 떠나 안개산맥(Misty Mountains) 동쪽 땅에 정착했다. 이 엘프들은 난도르(Nandor)로, 나중에는 실반 엘프(Silvan Elves)로 알려지게 되었다. 갈라드리엘(Galadriel)은 로스로리엔(Lothlórien)이 된 곳에 이미 존재하던 난도르 왕국인 린도리난드(Lindórinand)와 접촉하여 길갈라드(Gil-galad)가 타르알다리온(Tar-Aldarion)으로부터 선물 받은 황금색 말론(mallorn) 나무를 심었다.[1]

실반 엘프들의 문화와 지식은 안개산맥 서쪽에서 온 싱다르(Sindar) 엘프들이 도착하면서 풍부해졌고, 실반어(Silvan language)는 점차 싱다린어(Sindarin)로 대체되었다. 이들 중에는 최초의 영주가 된 아므디르(Amdír)와 엘프와 사우론의 전쟁(War of the Elves and Sauron) 중 에레기온(Eregion)의 멸망에서 도망친 갈라드리엘(Galadriel)과 켈레보른(Celeborn)이 있었다. 제3시대에 로스로리엔의 전 영주였던 아므로스(Amroth)는 사랑하는 님로델(Nimrodel)과 함께 중간계 남쪽으로 갔지만, 그녀가 에레드 님라이스(Ered Nimrais)에서 실종된 후 돌아오지 않자 벨팔라스 만(Bay of Belfalas)에서 익사했다. 로스로리엔의 통치는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에게 넘어갔다. 갈라드리엘의 권력의 반지(Rings of Power)는 그 땅을 죽음과 쇠퇴로부터 보존하고 사우론(Sauron)의 시선을 막았다.[7][8]

3. 2. 통치자

난도르놀도르신다르와 달리 오랜 세월 통치자를 세우지 않았다. 렌웨, 데네소르와 같은 이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2시대 전에 죽었고, 그 후 난도르는 새로운 통치자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그러나, 사우론과 같은 악의 세력이 부흥하고 요정의 세력이 쇠퇴하면서 난도르는 통치자를 세우게 된다.

2시대에 로스로리엔의 통치자가 된 이는 암디르와 암로스였다. 이들은 부자 관계였지만,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이들의 죽음 이후 안개산맥을 넘어온 켈레보른갈라드리엘이 4시대 초엽까지 공동으로 로스로리엔을 다스렸다.[1][7][8]

반지 전쟁 이후, 사우론이 몰락하자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은 돌굴두르에서 사우론의 영향력을 제거했다.[10] 갈라드리엘은 제4시대 초에 발리노르로 떠났고, 켈레보른은 나중에 그녀를 따라갔다. 이후 로스로리엔은 쇠퇴하여 아르웬 여왕이 죽을 무렵에는 버려진 상태가 되었다.[11]

4. 지리

로스로리엔 개략도


로스로리엔은 와일더랜드 서쪽에 위치했다. 서쪽에는 미스티 마운틴과 모리아드워프 왕국이 있었고, 동쪽에는 안두인 강이 흘렀다. 안두인 강 건너편에는 미르크우드 숲과 돌 굴두르 요새가 있었는데, 로스로리엔의 높은 지점에서는 이 요새를 볼 수 있었다. 실버로드 강(또는 셀레브란트 강)은 로스로리엔을 흘러 안두인 강과 합류했으며, 서쪽에서 흘러오는 님로델 강이 지류로 합류했다. 로스로리엔 왕국은 주로 실버로드 강 북쪽에 위치했고, 남쪽에는 작은 숲 지역이 있었다. 왕국의 주요 부분은 실버로드 강과 안두인 강이 합류하는 지점 사이의 삼각형 지역으로, 엘프들은 싱다린어로 "창끝"을 의미하는 나이스(Naith)[12]라고 불렀고, 일반어로는 고어(Gore) 또는 앵글(Angle)이라고 불렸다. 나이스의 끝부분은 싱다린어로 "엘프의 꼭짓점"을 의미하는 에글라딜(Egladil)[9]이라고 불렸다.

4. 1. 카라스 갈라돈

카라스 갈라돈(''galadh''("나무")에서 유래)은 로스로리엔의 도시이자 중간계에서 갈라드림(Galadhrim)의 주요 정착지였다.[13] 제3시대에 아므로스(Amroth)에 의해 숲 속 깊은 곳에 건설된 이 도시의 주택들은 키 큰 말로른(mallorn) 나무 위에 세워져 있었는데, 이 나무는 갈라드리엘(Galadriel)에 의해 그곳으로 가져와졌다. 도시는 실버로드(싱다린어: ''Celebrant'') 강과 안두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약 10마일" 떨어진 곳[13], 왕국의 동쪽 경계 근처에 위치했다. 나무들 사이에는 많은 나무 플랫폼들이 있었는데, 정교한 주택이거나 간단한 보초소가 될 수 있었다.Talan|탈란sflet|플렛영어[1] 주요 나무 주변에는 사다리 계단이 설치되었고, 밤에는 "녹색과 금색과 은색"의 "많은 등불"로 도시가 밝혀졌다.[14] 도시의 입구는 남쪽에 있었다.[15]

5. 분석

로스로리엔은 일종의 영토국가로, 중심지는 높은 말로른 나무 위에 세워진 카라스 갈라돈이다. 로스로리엔의 자연은 비정상적으로 선명한 색채를 띄었고, 이곳의 시간은 거의 정지된 것처럼 느껴졌는데, 이는 갈라드리엘이 가진 네냐의 권능 때문이었다.[17] 반지의 힘으로 로스로리엔은 고대의 색채를 잃지 않고 황금색 광휘를 뿜게 되어 황금숲으로 불렸지만, 인간들은 이런 비정상적인 모습을 두려워해 갈라드리엘을 마녀로 취급했다.

upright


지상낙원: 로스로리엔은 중세 영어 시 ''진주''에서 꿈꾸는 장소와 비교되어 왔다. (진주 사본(Cotton Nero A.x)의 미니어처는 시냇물 건너편에 있는 꿈꾸는 자와 진주 처녀를 보여준다.)


로스로리엔에서의 시간은 《토마스 더 라이머》의 요정의 땅(Elfland)처럼 왜곡되었다. (캐서린 캐머런 그림, 1908년)




벌린 플리거의 로스로리엔에서의 엘프 시간의 역설 분석[20]
출처이야기시간
토마스 더 라이머필멸자가 요정의 땅(Elfland)에 들어간다.
몇 밤을 보낸다.
돌아와서 모든 친구들이 죽은 것을 알게 되고,
요정의 땅을 방문한 한 남자의 희미한 기억.
요정의 땅에서 훨씬 느리게 흐른다.
엘베호이 (엘프 언덕)엘프 처녀가 노래한다: "그 빠른 시내가 멈췄다"요정의 땅에서 훨씬 더 빠르게 흐른다;
외부의 모든 것이 멈춘다.
프로도의 견해로스로리엔은 "다른 곳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지나간 시간 속에 있다".오래전 다른 시대.
레골라스의 견해빠르고 느리다 모두:
엘프는 거의 변하지 않고,
"다른 모든 것이 지나간다".
시간 속도에 대한 다른 인식.
아라곤의 첫 번째 견해필멸자들은 로스로리엔에 있는 동안 엘프처럼 시간을 느낀다.시간 속도에 대한 다른 인식.
아라곤의 두 번째 견해그러나 달은
"외부 세계에서" 계속 변했다.
시간의 실제 흐름이 다르다
(토마스 더 라이머처럼)


5. 1. 빛의 땅

로스로리엔은 일종의 영토국가로 중심지는 높은 말로른 나무 위에 세워진 카라스 갈라돈이다. 로스로리엔의 자연은 비정상적으로 선명한 색채를 띄었고, 이곳의 시간은 거의 정지된 것처럼 느껴졌는데, 이것은 갈라드리엘이 가진 네냐의 권능이었다.[14] 반지의 힘으로 로스로리엔은 고대의 색채를 잃지 않고 황금색 광휘를 뿜게 되어 황금숲으로 불렸지만, 인간들은 이런 비정상적인 모습을 두려워해 갈라드리엘을 마녀로 취급했다.

톨킨 학자 폴 H. 코처는 갈라드리엘이 로스로리엔의 빛으로 사우론을 인지하지만, 사우론은 그 빛을 꿰뚫어볼 수 없다고 서술한다. 선한 지성은 악한 지성을 간파하는 "상상력 있는 공감"을 가지고 있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 기독교 작가 엘리자베스 다나는 엘프 할디르가 케린 아므로스 위의 높은 곳(나무 플랫폼 혹은 '플렛')에서 이를 설명하는 대사, "이 높은 곳에서는 서로 대립하는 두 힘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항상 생각 속에서 싸웁니다. 그러나 빛은 어둠의 심장을 인지하지만, 그 빛 자신의 비밀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14]성경의 묘사를 반영한다고 썼다. "빛이 어둠 속에서 비추나 어둠이 이를 깨닫지 못하였느니라."[16][17] 인문학 학자(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대학교) 수잔 로빈스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톨킨이 성경처럼 빛을 "거룩함, 선함, 지식, 지혜, 은총, 희망, 그리고 신의 계시"와 연결시켰으며, 갈라드리엘이 그 빛을 지닌 자들 중 하나였다고(간달프, 글로르핀델과 함께) 지적한다.[18]

5. 2. 지상 낙원

로스로리엔은 갈라드리엘이 가진 네냐의 권능으로 시간이 거의 정지된 것처럼 느껴지는, 일종의 영토국가였다. 반지의 힘으로 로스로리엔은 고대의 색채를 잃지 않고 황금색 광휘를 뿜어 황금숲으로 불렸지만, 인간들은 이런 비정상적인 모습을 두려워해 갈라드리엘을 마녀로 취급했다.[19]

로스로리엔은 톨킨이 "오염되지 않은" 곳으로 묘사하는 전원적인 이상향, 즉 '아름다운 장소'이다. 톨킨 학자 톰 십피는 그곳에 도착하기 위해, 동행자들은 먼저 님로델 강을 건너 일상생활의 오염을 씻어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 완벽한 장소를 중세 영어 시 ''진주''에서 꿈꾸는 자가 말하는 지상낙원과 비교한다. 그러나 십피는 동행자들이 두 번째 강인 실버로드 위의 밧줄다리를 건너야 하며, 그 강물을 마셔서는 안 되고 악당 골룸도 건널 수 없다고 썼다. 그는 그들이 어떤 곳에 도착했는지 궁금해하며, 그들은 "마치 죽은 것처럼"일 수도 있을까라고 질문한다.

십피는 로스로리엔이 윌리엄 블레이크의 ''예루살렘''에 나오는 "고대의 '푸른 산'"인 옛 영국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증거로 십피는 그들이 로스로리엔의 가장 깊은 곳에 도착했을 때, 엘프 할디르가 그들을 환영하며 그 지역을 '나이스' 또는 "협곡"이라고 부르고, 두 개의 합류하는 강인 호아웰 또는 '미테이텔'과 라우드워터 또는 '브루이넨' 사이의 땅을 나타내는 두 개의 낯선 단어를 사용한 다음, 특별한 울림을 가진 세 번째 단어인 "앵글"을 사용한다고 설명한다. 십피는 "잉글랜드"라는 이름이 덴마크 옆 독일 북부의 플렌스부르크 피오르드와 슐라이 강 사이의 앵글에서 유래했으며, 잉글랜드를 건설한 앵글족을 포함한 앵글로색슨족의 기원이라고 말한다. 그는 프로도가 "시간의 다리를 건너 옛날의 한 구석으로 들어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걷고 있다"는 느낌이 정확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5. 3. 시간이 다르게 흐르는 요정의 땅

로스로리엔은 일종의 영토국가로, 갈라드리엘이 가진 네냐의 권능으로 인해 시간이 거의 정지된 것처럼 느껴지는 곳이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인간들은 갈라드리엘을 마녀로 여기기도 했다.[20]

톨킨 학자들은 로스로리엔에서 시간이 다르게 흐르는 현상에 대해 다양한 분석을 내놓았다. 톰 십피는 톨킨이 중세 《토마스 더 라이머》나 덴마크 발라드 《엘베호이》에서 보이는 것처럼, 유럽 민속의 요정의 땅(Elfland)에서 시간 왜곡에 대한 상반되는 개념들을 조화시켰다고 보았다.[20]

벌린 플리거는 동지회가 로스로리엔에 머무는 동안 샘 개미지의 시간 인식에 주목했다. 샘은 "거기서는 시간이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라고 말했고, 프로도는 갈라드리엘을 "현재이면서 동시에 멀리 떨어져 있는" 존재로 인식했다. 레골라스는 엘프에게 시간은 멈추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성장이 모든 것과 모든 곳에서 똑같지는 않다"고 설명하며, 엘프의 시간 인식이 필멸자와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20]

십피는 레골라스의 설명이 엘프의 시간에 대한 필멸자와 엘프의 관점 차이를 보여준다고 보았지만, 플리거는 프로도와 레골라스의 견해 사이에 모순이 있다고 지적했다. 플리거는 아라곤의 견해, 즉 동지회가 로스로리엔에 있는 동안 엘프처럼 시간을 느꼈다는 점이 두 입장을 조정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라곤이 "외부 세계에서" 달이 계속 변했다고 말하면서, 로스로리엔이 동화처럼 고유한 자연 법칙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시사했다.[20]

벌린 플리거의 로스로리엔에서의 엘프 시간의 역설 분석[20]
출처이야기시간
토마스 더 라이머필멸자가 요정의 땅(Elfland)에 들어간다.
몇 밤을 보낸다.
돌아와서 모든 친구들이 죽은 것을 알게 되고,
요정의 땅을 방문한 한 남자의 희미한 기억.
요정의 땅에서 훨씬 느리게 흐른다.
엘베호이 (엘프 언덕)엘프 처녀가 노래한다: "그 빠른 시내가 멈췄다"요정의 땅에서 훨씬 더 빠르게 흐른다;
외부의 모든 것이 멈춘다.
프로도의 견해로스로리엔은 "다른 곳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지나간 시간 속에 있다".오래전 다른 시대.
레골라스의 견해빠르고 느리다 모두:
엘프는 거의 변하지 않고,
"다른 모든 것이 지나간다".
시간 속도에 대한 다른 인식.
아라곤의 첫 번째 견해필멸자들은 로스로리엔에 있는 동안 엘프처럼 시간을 느낀다.시간 속도에 대한 다른 인식.
아라곤의 두 번째 견해그러나 달은
"외부 세계에서" 계속 변했다.
시간의 실제 흐름이 다르다
(토마스 더 라이머처럼)



플리거는 톨킨이 "엘프에 대한 인간 이야기는 의심할 여지 없이 불멸로부터의 탈출로 가득 차 있다"라고 쓴 점을 들어, 반지의 제왕에서 죽음과 불멸이라는 주제가 시간과 시간 초월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21][20]

5. 4. 워릭셔와의 연관성



저자 존 가스는 로스로리엔과 워릭셔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한다. 젊은 시절 톨킨과 그의 약혼녀 에디스 브랫은 워릭을 방문했고, 1915년에 톨킨은 워릭셔를 찬양하는 ''나무 사이의 코르티리온''을 썼다. 가스는 로스로리엔의 세린 아모스 중앙에 있는 녹색 언덕이 워릭 성의 잔디 모트인 에셀플레다의 언덕을 연상시키며, 톨킨이 젊은 시절 그곳에서 보낸 행복한 시간을 떠올리게 한다고 제안한다.[22]

6. 각색



피터 잭슨의 영화 ''반지의 제왕'' 3부작에서 로스로리엔의 모습은 콘셉트 디자이너 앨런 리의 삽화를 바탕으로 했다.[23] 로스로리엔 장면 중 일부는 글레노키 근처 파라다이스 밸리의 로케이션에서 촬영되었다.[24]

온라인 게임 ''반지의 제왕 온라인: 모리아 광산''에서는 2009년 3월 로리엔 지역이 게임에 추가되어 플레이어들이 카라스 갈라돈과 다른 장소들을 방문하고 엘프들의 퀘스트를 완료할 수 있게 되었다.[25]

에냐의 앨범 ''양치기 달''에 수록된 "로스로리엔"은 엘프의 영역을 이름으로 한 연주곡이다.[26]

네덜란드 작곡가 요한 더 메이는 그의 교향곡 제1번 "반지의 제왕"의 두 번째 악장 "로스로리엔 (엘프의 숲)"에서 로스로리엔 숲에서 영감을 받은 음악을 작곡했다.[27]

참조

[1] 서적 History of Galadriel and Celeborn 1980
[2] 서적 The Tale of Aragorn and Arwen 1955
[3] 서적 Lothlórien 2005
[4] 서적 The King of the Golden Hall 1954
[5] 서적 The Riders of Rohan 1954
[6] 서적 A Description of Númenor 1980
[7] 서적 The History of Galadriel and Celeborn 1980
[8] 서적 The Tale of Years (Chronology of the Westlands) 1955
[9] 서적 Lothlórien and The Mirror of Galadriel 1954
[10] 서적 The Great Years 1955
[11] 서적 The Tale of Aragorn and Arwen 1955
[12] 서적 Etymologies, SNAS 1987
[13] 서적 Farewell to Lórien 1954
[14] 서적 Lothlórien 1954
[15] 서적 The Mirror of Galadriel 1954
[16] 성경 Gospel of John 1:5 King James Bible
[17] 웹사이트 The Gospel of John and The Lord of the Rings http://ejdanna.com/J[...] 2020-02-28
[18] 학술지 The Biblical Symbol of Light in J.R.R. Tolkien's The Silmarillion and The Lord of the Rings https://repository.m[...] 2017
[19] 웹사이트 The Origins of Wessex http://www.arch.ox.a[...] University of Oxford 2012-11-18
[20] 학술지 A Question of Time https://dc.swosu.edu[...] 1990-03-15
[21] 서적 On Fairy-stories 1983
[22] 서적 The Worlds of J.R.R. Tolkien: The Places that Inspired Middle-earth Frances Lincoln Publisher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23] 웹사이트 Fantasy to reality: The designer who brought Tolkien's Middle-earth to the screen https://www.bbc.co.u[...] BBC Arts 2020-02-28
[24] 웹사이트 3 Most Photographed Lord of the Rings Locations http://pureglenorchy[...] 2021-01-14
[25] 웹사이트 Book 7: Leaves of Lorien http://www.lotro.com[...] 2020-02-28
[26] 음반 Only Time — The Collection Warner Music 2002
[27] 웹사이트 Der Herr der Ringe, Johan de Meij - Sinfonie Nr.1 http://sbor.de/index[...] 2021-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