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바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바브는 영국령 인도에서 유래된 용어로, 인도에서 부를 축적하고 영국으로 돌아온 사람들을 지칭한다.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동인도 회사 직원들이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며 부를 쌓았고, 이는 영국 사회에서 부패, 권력 남용,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과 연결되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나바브는 영국 의회를 부패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고, 동인도 회사에 대한 감시 강화로 이어졌다. 인도 지배가 본격화되고 정규 교육을 받은 상류층 출신들이 인도에 진출하면서 나바브는 점차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람에 대한 비유 - 레임덕
    레임덕은 임기 말 권력이 약화된 정치 지도자, 특히 대통령의 현상을 지칭하며, 정치적 영향력 감소와 정책 추진의 어려움을 겪는 현상으로, 국민적 지지율 하락, 여야 관계 악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정치 시스템의 효율성 저하 및 사회적 불확실성 증폭을 야기하고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권력 또는 기능 저하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사람에 대한 비유 -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는 상대방의 주장을 왜곡하여 공격하는 오류로, 허위 진술, 맥락 무시, 단순화 등을 통해 실제 논점과 다른 허수아비를 세워 공격하는 형태를 띤다.
  • 정치적 비유 - 레임덕
    레임덕은 임기 말 권력이 약화된 정치 지도자, 특히 대통령의 현상을 지칭하며, 정치적 영향력 감소와 정책 추진의 어려움을 겪는 현상으로, 국민적 지지율 하락, 여야 관계 악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정치 시스템의 효율성 저하 및 사회적 불확실성 증폭을 야기하고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권력 또는 기능 저하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정치적 비유 - 죽의 장막
    죽의 장막은 냉전 시대 공산주의 국가와 자유주의 국가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철의 장막에서 비롯되었으나 지형적 요인 등으로 덜 정확하게 사용되었으며, 한반도 38선, 타이완 해협, 베트남 17도선 등이 주요 사례이고 냉전 종식 후에는 한반도 비무장지대나 미얀마의 폐쇄된 국경 및 경제를 묘사하는 데 쓰인다.
  • 인도의 칭호 - 자민다르
    자민다르는 무굴 제국부터 현대 인도와 방글라데시까지 존재했던 토지 소유 및 관리 제도로, 시대에 따라 자치 영주나 토지 소유주를 의미했으며, 인도 독립 후 헌법 개정을 통해 대부분 폐지되었다.
  • 인도의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나바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부를 축적한 사람
어원페르시아어: 나와브 (نواب)
힌디어: 나와브 (नवाब)
의미동양, 특히 인도에서 큰 돈을 벌어 본국으로 돌아온 부유한 유럽인
역사적 맥락
대상18세기와 19세기 초 영국
활동 무대인도 아대륙
특징
부의 원천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거래
토지 소유
세금 징수
사회적 영향사치스러운 생활
정치적 영향력 행사
부정적 인식부패
착취
과시적인 소비
관련 용어
유사 용어벼락부자
졸부
반대 용어젠트리

2. 어원

'나바브'(Nabob)는 영국령 인도에서 유래한 용어로, 우르두어에서 영어로 유입되었다. 이는 힌두스탄어의 ''nawāb''/''navāb''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2] 차용어로서, 영국의 인도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영어로 차용되었다.[3] 이 용어는 포르투갈어 ''nababo''를 거쳐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포르투갈은 영국보다 먼저 인도에 진출했기 때문이다.[4]

이 단어는 1612년부터 영국에서 구어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유럽 출신들은 ''나바브''를 인도에서 큰 부를 축적하고 돌아온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5][6]

19세기 후반 샌프란시스코에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서부 해안에는 놉힐에 대저택을 지은 부유하고 유명한 사람들의 배타적인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여기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설립자인 릴랜드 스탠퍼드와 빅4의 다른 구성원과 같은 저명한 거물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나바브''로 알려졌고, 이는 '놉'(nob)으로 줄여져 이 지역의 최종 이름이 되었다.[7]

이 용어는 1970년 미국 부통령 스피로 애그뉴를 위해 윌리엄 사파이어가 작성한 연설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언론의 집중적인 보도를 받았다. 닉슨 행정부 비판에 대한 공격으로 점점 더 알려지게 된 애그뉴는 이러한 반대자들을 "부정주의의 수다스러운 나바브"(nattering nabobs of negativism)라고 묘사했다.[8][9]

3. 역사

'''나바브'''(Nabob)는 영국령 인도에서 유래한 용어로, 우르두어에서 영어로 유입되었다. 이는 힌두스탄어의 ''nawāb''/''navāb''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2] 차용어로서, 영국의 인도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영어로 차용되었다.[3] 포르투갈어 ''nababo''를 거쳐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포르투갈은 영국보다 먼저 인도에 진출했기 때문이다.[4] 이 단어는 1612년부터 영국에서 구어체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유럽 출신들은 ''나바브''를 인도에서 큰 부를 축적하고 돌아온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5][6]

나바브는 주로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까지 동인도 회사의 인도 지배 시기에 등장했다. 동인도 회사 직원들은 회사의 업무 외에도 개인적인 거래를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었으며, 1769년 이후에는 징세 대행을 통해 현지 사회로부터 직접적인 수탈이 가능해졌다. 이들은 인도 현지 관습에 쉽게 동화되었으며, 이는 영국 귀국 후 기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배척당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3. 1. 영국 사회의 비판과 풍자

나바브는 영국에서 부패, 권력 남용,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으로 비판받았다. 새뮤얼 푸트의 희곡 ''나바브''(The Nabob, 1772)는 동인도 회사를 통해 부를 축적한 사람들을 풍자적으로 묘사했다.[11] 이들은 종종 중산층 출신으로, 켈트족 혈통이 많았으며, 신분 상승을 꾀하는 하층민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3]

나바브의 부와 권력은 의회를 부패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11] 1757년 플라시 전투 이후, 나바브는 상당한 부를 축적하여 대규모 부동산 구매, 유리한 결혼, 의회 의석 구매에 사용했다. 1761년에는 의회에서 단 12석만 차지했지만, 1780년경에는 거의 30석으로 증가했다.[13] 헨리 톰슨은 1780년에 출판된 ''나바브의 음모''에서 나바브가 "그가 원하는 대로 동방 세계를 다스릴 수 있다"고 썼다.[17]

이러한 인식은 동인도 회사에 대한 감시 강화로 이어졌다. 많은 저명한 회사 직원들이 부패 혐의로 조사받거나 탄핵되었다.[11] 초대 인도 총독워런 헤이스팅스는 1788년에 탄핵되었으나, 7년간의 재판 끝에 1795년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제1대 클라이브 남작 로버트 클라이브는 하원에서 제기된 혐의에 대해 스스로를 변호해야 했다.[5] 1784년 피트의 인도법은 영국 정부가 처음으로 사기업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했다.[18]

4. 종언

인도 지배가 본격화되고, 풍토병에 대한 대처법이 확립되면서, 인도는 더 이상 위험한 근무지가 아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상류층 출신의 차남, 삼남 등이 인도로 진출했다. 그들은 인도에서 재산을 모아 귀국해도 나바브라고 불리지 않았다. 나바브라고 불린 이들 자신은 상류 계급에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그들의 자손들은 퍼블릭 스쿨과 옥스브리지에서 정규 신사 교육을 받으면서 상류 계급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이후, 1806년에 동인도 회사 이사회는 동인도 칼리지(헤일리버리 칼리지)를 설립했다. 이로 인해 동인도 회사 문관직은 부유층 자녀의 차지가 되었고, 나바브와 같은 계층 상승은 완전히 불가능해졌다.

5. 한국에서의 인식 (별도 추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한국에서의 인식'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학술지 Portrait of a Nabob: Graphic Satire, Portraiture, and the Anglo-India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ttp://www.racar-rac[...]
[2] 웹사이트 nabob http://oxforddiction[...] oxforddictionaries.com 2012-02-14
[3] 서적 The Slang dictionary, etymological, historical and anecdotal https://archive.org/[...] Chatto and Windus
[4] 웹사이트 What did it mean to be nabobs? – Yoforia.com https://www.yoforia.[...] 2023-06-20
[5] 웹사이트 nabobical – Word Origin & History – nabob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2-02-14
[6] 웹사이트 nabob (governor) http://www.memidex.c[...] Memidex.com 2012-02-14
[7] 웹사이트 Nob Hill - A Touch of Class http://www.sftravel.[...] 2017-10-13
[8] 서적 Nabobs: Empire and Identity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 잡지 Naysayer to the nattering nabobs http://www.time.com/[...] 2011-10-10
[10] 서적 Property, Land, Revenue, and Policy: The East India Company, C.1757–1825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 웹사이트 The East India Company and public opinion - Nabobs https://www.parliame[...] UK Parliament 2012-02-14
[12] 웹사이트 nawab, English nabob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2-02-14
[13] 학술지 '"Our Execrable Banditti": Perceptions of Nabobs in Mid-Eighteenth Century Britain' https://www.cambridg[...] 1984-10
[14] 서적 Nineteenth century theatre and the Imperial encounter Routledge 2011
[15] 학술지 Portrait of a Nabob: Graphic Satire, Portraiture, and the Anglo-India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12
[16] 학술지 Sociability in Eighteenth-Century Colonial India: The Nabob, the Nabobian Kothi, and the Pursuit of Leisure https://www.jstor.or[...] 2019
[17] 서적 The Intrigues of a Nabob: Or, Bengal the Fittest Soil for the Growth of Lust, Injustice and Dishonesty
[18] 서적 Cities of Empire: The British Colonies and the Creation of the Urban World https://books.google[...] Henry Holt
[19] 서적 인도의 부상 http://book.naver.co[...] 친디루스 2009-03
[20] 서적 왕관 속의 보석 http://book.naver.co[...] 20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