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다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다 제국은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 왕국에서 시슈나가 왕조가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전복되면서 성립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마하파드마 난다는 십육대국 국가들을 마가다 왕국에 통합하려는 야심을 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그리스 기록과 칼링가 왕국 등의 비문을 통해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난다 왕조는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보유했으며, 20만 명의 보병과 3천 또는 4천의 전투 코끼리를 보유했다는 기록이 있다. 마하파드마 난다와 다나 난다를 포함한 9명의 통치자가 있었으며, 기원전 321년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벵골의 고대사 - 강가리다이
    강가리다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이 갠지스 강 유역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하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코끼리 부대 때문에 정복을 포기했고, 프라시이와 연합하거나 동일 세력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벵골의 고대사 - 방가 왕국
    방가 왕국은 갠지스강 하류 델타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해군력을 바탕으로 벵골만 일대를 지배했으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여러 인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 벵골의 왕조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벵골의 왕조 - 찬드라 왕조
    찬드라 왕조는 370년 드베나찬드라에 의해 건국되어 밀교 불교의 중심지로 번영하며 동남아시아 전파에 기여하고 해상 무역을 통해 여러 나라와 교류했으나, 9세기 고빈다찬드라 왕 시대에 촐라 왕조의 침략으로 멸망한 벵골 지역의 왕조이다.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난다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난다 제국의 판도
난다朝의 판도
기본 정보
약칭난다
한국어 국명난다朝
건국 시기기원전 345년
멸망 시기기원전 321년
선대 국가 1시슈나가朝
선대 국가 2십육대국
후대 국가 1마우리아朝
수도파탈리푸트라
공용어고대 인도 제어
정치
정치 체제전제군주제
원수 칭호
원수 1마하파드마 (우그라세나)
면적 및 인구
역사
변천 1건국
변천 1 날짜기원전 345년
변천 5멸망
변천 5 날짜기원전 321년
기타

2. 역사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국에서 사이슈나가 왕조가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전복되고 난다 제국이 성립되었다.[1] 난다 왕조는 푸라나 문헌, 자이나교 전설, 쿠르티오스 루포스의 기록 등 다양한 문헌에서 그 기원이 낮은 카스트 출신으로 나타난다.[1] 마하파드마는 "모든 크샤트리아를 멸망시키고 유일한 왕으로 통일할 것이다."라고 선포하며 십육대국들을 정복, 북인도 지역 대부분을 통일한 것으로 보인다.[1]

난다 왕조의 초대 왕인 마하파드마 난다는 88년을 통치하였으며 그에게 여덟 명의 아들이 있어서 각자가 12년씩 통치하였다고 알려졌으나, 연구 결과 28년간의 착오로 추정된다. 오늘날 역사적인 실존 인물로 추측되는 난다 왕조의 왕들은 초대 왕인 마하파드마 난다와 마지막 군주인 다나 난다 둘 뿐이다. 마하파드마 난다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345년 ~ 기원전 329년, 다나 난다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329년 ~ 기원전 321년으로 추정된다.[1]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인도로 침공하였을 때 파우라바 왕국의 군주인 포루스가 알렉산드로스에게 난다 왕조가 보병 20만 명, 기병 2만 명, 전차 2000대, 전투 코끼리 3000마리 이상의 군대를 지닌다고 말한 후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인도 침공을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아 막강한 군사력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1]

2. 1. 건국 배경

마가다국에서는 원래 샤이슈나가 왕조가 번영하고 있었는데 기원전 345년 경에 마하파드마 난다라는 인물에 의해 샤이슈나가 왕조가 전복되고 난다 제국이 성립되었다.[1] 푸라나에 따르면 난다 왕조의 시조인 마하파드마는 마하난딘이라는 사람과 수드라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는 반면, 1세기 그리스 출신의 로마의 역사가로 《알렉산드로스 전기》를 저술한 쿠르티오스 루포스의 기록에서는 이발사와 왕비 사이에서 난 아들이라고 적혀 있으며, 이 두 기록 모두 난다 왕조의 시조인 마하파드마 난다가 하위 카스트 출신이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1]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샤이슈나가 왕조를 몰아내고 마가다 왕국의 권력을 장악한 마하파드마는 「모든 크샤트리아를 절멸시키고 유일한 왕으로써 통일할 것이다.」라고 선포하였다고 한다.[1] 이는 당시 십육대국 국가들을 전부 마가다 왕국에 합병시키겠다는 의미로 보이는데, 그리스인의 기록에서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시대 인도는 파탈리푸트라 한 사람의 왕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적어도 난다 왕조가 당시 십육대국 국가들이 위치한 북인도 지역들을 대부분 정복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이며, 후세의 칼링가 왕국의 전승이나 쿤타라 지방(데칸 고원 서부)의 전승 및 비문에 난다 왕의 지배를 언급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들 지역에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지녔던 것으로 추측된다.[1]

2. 2. 마하파드마 난다의 정복 활동

마가다 왕국에서 사이슈나가 왕조가 번영하고 있었는데, 기원전 345년경 마하파드마 난다라는 인물에 의해 샤이슈나가 왕조가 전복되고 난다 왕조가 성립되었다.[1] 푸라나에 따르면 난다 왕조의 시조인 마하파드마는 마하난딘이라는 사람과 수드라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는 반면, 1세기 그리스 출신의 로마 역사가 쿠르티오스 루포스는 이발사와 왕비 사이에서 난 아들이라고 기록하였다. 이 두 기록 모두 난다 왕조의 시조인 마하파드마 난다가 하위 카스트 출신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사이슈나가 왕조를 몰아내고 마가다 왕국의 권력을 장악한 마하파드마는 "모든 크샤트리아를 멸망시키고, 유일한 왕으로써 통일했다."라고 선포하였다고 한다. 이는 당시 십육대국 국가들을 전부 마가다 왕국에 합병시키겠다는 의미로 보이는데, 그리스인의 기록에서도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인도는 파탈리푸트라 한 사람의 왕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적어도 난다 왕조가 당시 십육대국 국가들이 위치한 북인도 지역들을 대부분 정복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1] 후세의 칼링가 왕국의 전승이나 쿤탈라 지방(데칸 고원 서부)의 전승과 비문에는 난다 왕의 지배를 언급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들 지역에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지녔던 것으로 추측된다.[1]

2. 3. 난다 왕조의 멸망

기원전 321년경 사상가 카우틸랴의 보좌를 얻어 인도 북서부에서 찬드라굽타가 거병하였다.[1] 다나 난다 왕은 장군 바사다라(Bhadrasala)에게 진압을 명령했으나 패배하여 수도 파탈리푸트라도 함락되어 난다 왕조는 멸망하였다. 그 후 찬드라굽타는 마우리아 왕조를 일으켰다. 푸라나 문헌에서는 브라만인 카우틸랴가 8명의 왕 모두를 죽였다고 한다.

3. 국력

난다 왕조의 국력에 대한 사료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그리스인 등이 남긴 기록을 통해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짐작할 수 있다. 인도의 도량형은 난다 왕조의 발명이라는 설이 있으며, 난다 왕조가 발행한 은화가 상당수 발견되어 인도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어떤 전설에는 "난다 왕은 장의 금화를 가지고 있다."라고 한다.[1] 그리스인의 기록에는 난다 왕조가 20만 명의 보병과 3천 또는 4천의 전투 코끼리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은 정확성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당시 난다 왕조의 강대함이 주변에 알려져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1]

3. 1. 군사력

그리스인의 기록에 따르면 난다 왕조는 보병 20만 명, 전투 코끼리 3천 또는 4천 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한다.[1]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인도로 침공하였을 때 파우라바 왕국의 군주인 포루스는 알렉산드로스에게 난다 왕조가 보병 20만 명, 기병 2만 명, 전차 2000대, 전투 코끼리 3000마리 이상의 군대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고, 이후 알렉산드로스 3세는 인도 침공을 중단하고 철수하였다. 이를 보아 난다 왕조가 막강한 군사력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1]

3. 2. 경제력

난다 왕조에 대한 사료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그리스인 등이 남긴 간접적인 기록을 통해서만 그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짐작할 수 있다.

인도의 도량형이 난다 왕조 때 발명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난다 왕조가 발행한 은화가 상당수 발견되어 인도 경제에 깊은 영향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 어떤 전설에는 "난다 왕은 장의 금화를 가지고 있다"라고 전해진다.

4. 통치자 목록

불교 경전에서는 난다 왕조의 통치자가 마하파드마 난다, 판두카, 판두가티, 부타팔라, 라슈트라팔라, 고비샤나카, 다샤시다카, 카이브라타, 다나 난다의 9명이라고 열거한다.[1] 마하보디반사에서는 우그라세나, 판두카, 판두가티, 부타팔라, 라슈트라팔라, 고비샤나카, 다샤시다카, 카이브라타, 다나 난다를 9명의 통치자로 언급하며, 이들의 재위 기간은 모두 합쳐 22년이라고 한다.

4. 1. 푸라나 문헌

불교 경전에서는 난다 왕조의 통치자를 다음과 같이 9명으로 열거한다.[1]

4. 2. 마하보디반사

महाबोधिवांस|마하보디반사|Mahabodhivamsasa에 따르면, 난다 왕조의 통치자는 다음 9명이다.[1]

이들의 재위 기간은 모두 합쳐 22년이라고 한다.

4. 3. 마하반사

불교 경전에 따르면 난다 제국의 통치자는 다음과 같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