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이슈나가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이슈나가 왕조는 기원전 413년경 시슈나가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하리앙카 왕조를 계승한 고대 인도의 왕조이다. 시슈나가는 하리앙카 왕조의 재상이었다가 반란을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아반티 왕국을 멸망시키고 수도를 바이샬리에서 파탈리푸트라로 옮겼다. 시슈나가의 아들 칼라쇼카 시대에는 제2차 불교 결집이 이루어졌다. 이후 칼라쇼카의 열 명의 아들들이 공동으로 통치했으며, 난디바르다나를 거쳐 마지막 왕 마하난딘 시대에 마하파드마 난다에게 멸망하여 난다 왕조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이슈나가 왕조 - 마하난딘
마하난딘은 시슈나가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으며, 사생아인 마하파드마 난다에게 살해되었다. - 샤이슈나가 왕조 - 시슈나가
시슈나가는 마가다 왕국의 하리얀카 왕조를 무너뜨리고 샤이슈나가 왕조를 개창한 재상 출신의 왕으로, 수도를 바이샬리로 옮기고 밧사와 아반티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 마가다의 왕조 - 칸바 왕조
칸바 왕조는 숭가 왕조를 멸망시키고 건국되었으며, 4명의 왕이 45년간 통치하다가 사타바하나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 마가다의 왕조 - 하리얀카 왕조
하리얀카 왕조는 기원전 544년 빔비사라가 마가다 왕국을 지배하며 시작되어, 아자타샤트루, 우다야바드라 등을 거치며 영토를 확장하고 불교와 자이나교를 지원했으나, 기원전 413년 샤이슈나가에게 왕위를 빼앗기며 멸망했다. - 인도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인도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샤이슈나가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샤이슈나가 왕조 |
일반 명칭 | 샤이슈나가 왕조 |
존속 기간 | 기원전 413년 ~ 기원전 345년 |
위치 | 마가다 |
수도 | 라자그리하 (주요) 바이샬리 (보조) 이후 파탈리푸트라 |
언어 | 산스크리트어 마가다어 기타 프라크리트어 |
종교 | 브라만교 불교 자이나교 |
정치 체제 | 군주제 |
역대 군주 | |
칭호 | 왕 |
시슈나가 | 기원전 413년 ~ 기원전 395년 |
칼라쇼카 |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67년 |
난디바르다나 | 기원전 367년 ~ 기원전 355년 |
마하난딘 | 기원전 355년 ~ 기원전 345년 |
역사 | |
이전 | 하리얀카 왕조 |
이후 | 난다 왕조 |
기타 | |
현재 국가 | 인도 |
2. 역사
시슈나가 왕조는 기원전 413년경 시슈나가가 건국하였다.[2] 시슈나가는 원래 하리앙카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나가다사카의 재상이었으나, 대중 반란 이후 왕위에 올랐다.
시슈나가는 아반티국을 지배하고 있던 프라디요타 왕조를 멸망시켰다. 시슈나가의 아들 칼라쇼카(카카바르나?)는 바이샬리에서 제2차 불교 공의회를 개최하고 수도를 파탈리푸트라로 이전하였다. 칼라쇼카 왕의 후계자는 그의 10명의 왕자들이었으며, 그들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다.
시슈나가 왕조는 난다 왕조를 건국한 마하파드마 또는 우그라세나에 의해 멸망하였다. 난다 왕조 시대부터 역사적 기록이 풍부해지는 반면, 시슈나가 왕조 시대는 기록이 적어 전설적인 성격이 강하다.
2. 1. 건국과 초기 역사
시슈나가는 원래 하리앙카 왕조의 마지막 왕인 나가다사카의 '아마티야' 즉, "재상"이었다.[2] 기원전 413년경, 백성들의 반란으로 나가다사카가 축출된 후 시슈나가가 왕위에 올라 शिशुनाग|시슈나가sa 왕조를 건국했다.시슈나가는 라자그리하(왕사성)를 수도로 삼았으며, 이후 바이샬리에 제2의 수도를 건설했다.[2] 그는 숙적이었던 아반티국의 프라디요타 왕조를 멸망시키고 마가다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2. 2. 칼라쇼카 왕과 제2차 불교 결집
싱할라 연대기에 따르면 시슈나가의 아들 칼라쇼카가 왕위에 올랐다. 헤르만 야코비, 빌헬름 가이거 등은 『아쇼카바다나』의 증거를 바탕으로 칼라쇼카와 카카바르나가 동일 인물이라고 결론 내렸다. 시슈나가 통치 기간 동안 칼라쇼카는 바라나시의 총독이었다. [1]칼라쇼카 왕의 치세에 있었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사건은 다음과 같다. [1]
- 기원전 383년 바이샬리에서 제2차 불교 공의회 개최
- 수도를 파탈리푸트라로 최종 이전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칼라쇼카는 수도 근처에서 칼에 찔려 죽었다. 불교 전통에 따르면, 칼라쇼카는 아홉 명 또는 열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은 우그라세나 난다에 의해 축출되었다.
『마하밤사』에 따르면 칼라쇼카 왕의 치세에 제2차 불교 결집이 행해졌다.
2. 3. 후기 왕들과 멸망
칼라쇼카는 그의 열 아들에 의해 왕위를 계승했다.[2] 불교 전통에 따르면, 칼라쇼카의 열 아들이 동시에 통치했다고 한다. 《마하보디밤사》에서는 그들의 이름을 바드라세나, 코란다바르나, 망구라, 사르반자하, 잘리카, 우바카, 산자야, 코라비야, 난디바르다나, 판차마카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푸라나 목록에 언급된 사람은 난디바르다나뿐이다.[2]바가바타 푸라나에서는 카카바르나(칼라쇼카)의 뒤를 이어 크세마 다르마, 크셰트라그나, 비디사라, 아자타샤트루, 다르바카, 아자야, 난디바르다나, 마하난딘이 왕위에 올랐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른 《푸라나》들에서는 난디바르다나를 9번째 샤이슈나가 왕으로, 그의 아들 마하난딘을 10번째이자 마지막 샤이슈나가 왕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마하난딘은 그의 사생아 아들 마하파드마에게 살해되었다고 전한다.[2]
《푸라나》에 따르면, 샤이슈나가 왕조의 뒤를 이은 것은 마하난딘의 아들 마하파드마 난다가 창시한 난다 왕조였다.[2] 샤이슈나가 왕조는 기원전 4세기경 마하파드마 또는 우그라세나라는 인물에 의해 멸망하고 난다 왕조가 건국되었다.
3. 역대 왕
시슈나가 왕조의 역대 왕들에 대한 기록은 푸라나와 마하밤사 등 여러 문헌에서 차이를 보인다. 푸라나 문헌에서는 시슈나가를 빔비사라, 아자타샤트루보다 이전의 왕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마하밤사에서는 시슈나가를 빔비사라와 아자타샤트루보다 후대의 왕으로 본다. 현대에는 마하밤사의 기록이 더 사실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시슈나가는 아반티국을 지배하던 프라디요타 왕조를 멸망시켰다. 그의 아들 칼라쇼카 시대에는 제2차 불교 결집이 개최되었다. 칼라쇼카의 후계는 10명의 왕자들이었으며, 이들은 동시에 통치했다고 전해지나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다. 시슈나가 왕조는 난다 왕조에 의해 멸망하였다.
3. 1. 푸라나 문헌에 따른 왕 목록
푸라나 문헌에서는 난디바르다나를 샤이슈나가 왕조의 9번째 왕으로, 그의 아들 마하난딘을 10번째이자 마지막 왕으로 기록하고 있다. 마하난딘은 그의 사생아 아들 마하파드마에게 살해되었다.바가바타 푸라나는 카카바르나의 뒤를 이어 크세마 다르마, 크셰트라그나, 비디사라, 아자타샤트루, 다르바카, 아자야, 난디바르다나, 마하난딘이 왕위에 올랐다고 기록한다.
푸라나 문헌에 따른 샤이슈나가 왕조의 왕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2. 마하밤사에 따른 왕 목록
《마하밤사》에 따르면 샤이슈나가 왕조의 왕 목록은 다음과 같다.- 시슈나가(시수나가): 재위 18년
- 칼라쇼카(카칼라바르나): 재위 28년
- 칼라쇼카의 10명의 왕자 (총 재위 22년)[1]:
- * 바드라세나
- * 코란다바르나
- * 망구라
- * 사르반자하
- * 잘리카
- * 우바카
- * 산자야
- * 코라비야
- * 난디바르다나
- * 판차마카
칼라쇼카의 10명의 아들들은 동시에 통치했다고 전해진다.[1]
4. 연대 결정 문제
샤이슈나가 왕조의 성립 시기는 시슈나가 왕을 빔비사라 왕 이전으로 볼 것인지, 이후로 볼 것인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마하밤사』나 『디파밤사』에는 빔비사라 왕이 석가모니보다 5살 연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석가모니의 생몰 연도는 아직 정설이 없지만 기원전 6세기 혹은 기원전 5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시슈나가 왕이 빔비사라 왕 이전이라면, 샤이슈나가 왕조의 창시는 기원전 7세기 말이나 기원전 6세기 초, 빔비사라 왕 이후라면 기원전 5세기 말이나 기원전 4세기 초가 된다.[1]
4. 1. 시슈나가 왕의 즉위 시기에 대한 논쟁
푸라나에서는 시슈나가 왕이 석가모니와 관련이 깊었던 빔비사라 왕이나 아자타샤트루 왕보다 이전의 왕이며, 이들 왕은 시슈나가 왕조의 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마하밤사』(『대사』)의 기록에서는 시슈나가 왕이 빔비사라 왕이나 아자타샤트루 왕보다 후대의 왕이라고 한다. 『마하밤사』에 따르면, 아자타샤트루의 4대 후손인 나가다사카 왕 시대에, 5대에 걸쳐 이어진 부친 살해 때문에 "그는 부친 살해의 가문이다"라고 주장한 시민들에 의해 나가다사카가 폐위되고, 대신이었던 시슈나가 왕이 추대되어 왕이 되어 왕조를 열었다고 전해진다.현재에는 즉위 순서에 대해서는 『마하밤사』의 기술이 "사실에 가깝다"고 한다. 특히 마가다국의 수도였던 라자그리하(왕사성)가 빔비사라 왕이나 아자타샤트루 왕 시대에는 대규모 조영이 계속되고 있는데 반해, 시슈나가 왕이 바이샬리를 부흥시켰기 때문에 라자그리하가 수도의 자격을 잃었다는 기록이 있어, 시슈나가 왕을 빔비사라 왕이나 아자타샤트루 왕보다 이전의 왕으로 하는 것은 합리성이 결여되어 있다. 다만 시슈나가 왕 이전에 마가다국의 수도가 라자그리하에서 파탈리푸트라로 이전되었다고 추정되고는 있지만, 어느 쪽이든 빔비사라 왕이나 아자타샤트루 왕이 시슈나가 왕보다 후대의 인물이라면, 그들의 주요 활동 범위가 라자그리하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확실한 증거라고 할 만한 것은 없고, 정설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다.
시슈나가 왕조의 성립 시기에 관해서는 시슈나가 왕을 빔비사라 왕 이전으로 볼 것인지, 이후로 볼 것인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마하밤사』(대사)나 『디파밤사』(도사)에는 빔비사라 왕이 석가모니보다 5살 연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석가모니의 생몰 연도는 아직 정설이 없지만 기원전 6세기 혹은 기원전 5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만약 시슈나가 왕이 빔비사라 왕 이전이라고 한다면, 시슈나가 왕조의 창시는 기원전 7세기 말이나 기원전 6세기 초, 빔비사라 왕 이후라고 한다면 기원전 5세기 말이나 기원전 4세기 초가 된다.
5. 사회와 문화
샤이슈나가 왕조 시기에는 사회, 문화, 종교적인 면에서 이전 왕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5. 1. 불교와의 관계
샤이슈나가 왕조 시기에 불교가 발전하고 교단이 정비되었다. 특히, 칼라쇼카 왕 시대에 바이샬리에서 열린 제2차 불교 결집은 불교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1] 이 결집은 기원전 383년에 열렸다.[1]『마하밤사』에 따르면 칼라쇼카 왕의 치세에 제2차 불교 결집이 행해졌다고 한다.[1]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