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경도는 요나라의 지방 통치 제도 중 하나로, 현재의 베이징 일대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관할했다. 요나라는 5도, 부, 주, 현의 행정 체제를 갖추었으며, 연운 16주를 설치하여 남경 석진부를 중심으로 순주, 단주, 탁주, 역주, 계주, 평주, 난주, 영주를 두었다. 각 주는 군사적 기능을 겸했으며, 속현을 거느리며 지방 행정을 수행했다.
요나라는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지방 행정 제도를 운영하였다. 5개의 도(道)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부(府), 주(州), 현(縣)을 두는 방식으로 지방을 통치하였다.
936년 후진의 석경당이 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면서, 현재의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북부 일대가 요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 지역은 요나라의 남쪽 국경을 방어하고 한족 농경 지대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운 16주는 요나라 남경도의 핵심 지역이었다.
2. 요나라의 지방 통치 제도
3. 연운 16주
연운 16주는 다음과 같다.3. 1. 남경 석진부 (南京 析津府)
현재의 베이징 시가지에 있었으며,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연운 16주 중 '''유주(幽州)'''에 건설되었다. '''유도부(幽都府)'''라고도 불렸다. 거용관, 송정관, 유림관이 있다. 상건하, 고량하, 석자하, 대안산, 연산이 있다. 6주 11현을 통치했다.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석진현 析津縣 베이징 시 남경도의 중심지이다. 1012년(개태 원년)에 계북현(薊北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20,000호가 살았다. 완평현 宛平縣 베이징 시 펑타이 구 후진 유도현(幽都縣)을 101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22,000호가 살았다. 창평현 昌平縣 베이징 시 창핑 구 유주(幽州)에 속해있었다. 7,000호가 살았다. 양향현 良鄕縣 베이징 시 팡산 구 698년(성역 원년) 당나라가 폐지하고 고절진(固節鎭)으로 불렀다가 705년(신룡 원년)에 현을 복구했다. 석진부 남쪽 60리 거리에 있다. 6,000호가 살았다. 노현 潞縣 베이징 시 퉁저우 구 627년(정관 원년)에 원주(元州)를 폐하고 현을 둔 것을 그대로 유지했다. 노수가 있다. 6,000호가 살았다. 안차현 安次縣 랑팡 시 안치 구 당나라 때 여러 차례 치소를 옮겼다. 12,000호가 살았다. 영청현 永淸縣 랑팡 시 융칭 현 천찬연간에 무융현(武隆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5,000호가 살았다. 무청현 武淸縣 톈진시 우칭 구 천찬초에 옹노현(雍奴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10,000호가 살았다. 향하현 香河縣 랑팡 시 샹허 현 무청현 밑의 마을이었으나, 요나라 때 무청현 일대의 인구가 늘면서 삼하현, 노현, 무청현 3개의 현을 신설했다. 7,000호가 살았다. 옥하현 玉河縣 베이징 시 먼터우거우 구 영정진(永定鎭) 본래 천산(泉山)이 있는 곳이었다. 계현에서 분리 신설했다. 1,000호가 살았다. 곽음현 漷陰縣 베이징 시 퉁저우 구 남 본래 천산 곽촌진(藿村鎭)이었으나 후에 현으로 분리 승격시켰다. 5,000호가 살았다.
3. 2. 순주 귀화군 (順州 歸化軍)
순이 구에 치소를 두었다. 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연운 16주 중 하나이다. 회유현 (베이징 시 화이러우 구)을 속현으로 두었다. 5,000호가 살았다.
3. 3. 단주 무위군 (檀州 武威軍)
미윈 현에 치소를 두었다. 하급주로 절도사가 주의 만정을 맡았다.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연운 16주 중 하나이다. 요나라 때 지금의 군호가 붙었다. 퍼구산(鮑丘山), 도화산(挑花山), 나산(螺山)이 있다. 속현은 2개였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밀운현 | 密雲縣 | 베이징 시 미윈구 | 북제 때 밀운군을 폐하고 설치한 2개 현 중 하나로, 5,000호가 살았다. |
행당현 | 行唐縣 | 베이징 시 미윈구 동 | 창민궁에 속했으며, 3,000호가 살았다. |
3. 4. 탁주 영태군 (涿州 永泰軍)
바오딩 시 줘저우 시에 치소를 두었다. 오대 십국 시대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연운 16주 중 하나이다. 대방산(大房山), 육빙산(六聘山), 탁수(涿水), 누상하(樓桑河), 횡구하(橫溝河), 예손하(禮遜河), 기구하(祁溝河)가 있었다. 범양현(范陽縣), 고안현(固安縣), 신성현(新城縣), 귀의현(歸義縣)의 4개 현을 통치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범양현 | 范陽縣 | 줘저우 시 | 탁수(涿水)와 범수(範水)가 있으며, 10,000호가 살았다. |
고안현 | 固安縣 | 바오딩 시 구안 현 | 10,000호가 살았으며, 927년 3월 21일 본현에서 북송 태조 조광윤이 태어났다. |
신성현 | 新城縣 | 바오딩 시 신청 현 남동 | 769년(대력 4년) 당나라가 폐지된 옛 신창현을 고안현에서 분리하면서 복구했다가 후에 폐했다. 929년(후당 천성 4년) 범양현에서 쪼개어 복구했으며, 10,000호가 살았다. |
귀의현 | 歸義縣 | 622년(당 무덕 5년) 북의주(北義州)를 설치했다가 폐지했다. 주민들은 거마하(巨馬河) 남쪽에 거주하고 있으며, 신성현과 치소를 공유했다. 4,000호가 살았다. |
3. 5. 역주 고양군 (易州 高陽軍)
바오딩 시 이 현에 치소를 두었으며 상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때 역현과 고안현이 있던 곳인데 수나라 때 역주가 설치되었다. 수나라 말에 상곡군이 설치되었다가 621년에 역주로 복구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상곡군으로 개명했다가 758년(건원 원년) 다시 역주로 바뀌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후 정주절도사(定州節度使)가 있었다. 946년(회동 9년), 손방간(孫方簡)이 이곳을 가지고 거란에 귀부했다. 959년(응력 9년), 후주 세종이 가졌다가 송나라로 넘어왔다. 989년(통화 7년) 송나라에게서 빼앗아와 고양군으로 승격시켰다. 역수(易水), 래수(淶水), 낭산(狼山), 대녕산(大寧山), 백마산(白馬山)이 있었다. 3개 현을 통치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역현 | 易縣 | 바오딩 시 이 현 | 주의 치소가 있었다. 한대의 성이 요대의 현 치소에서 동남쪽으로 60리 거리에 있다. 556년(북제 천보 7년)에 폐지했다. 595년(개황 16년), 옛 고안성(故安城) 서북 모퉁이에 현을 설치했는데, 이 치소가 요나라 때까지 전해 내려왔다. 25,000호가 살았다. |
내수현 | 淶水縣 | 바오딩 시 라이수이 현 | 한나라 도현(道縣)이 있었다. 요나라 때 현 치소는 한대 고성 남쪽 1리에 있다. 북위가 옛 성의 남쪽으로 옮긴 것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다. 580년(북주 대상 2년)에 폐지했다. 597년(개황 18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내수(淶水)가 있다. 27,000호가 살았다. |
곡성현 | 谷城縣 | 바오딩 시 딩싱 현 서남 | 한대 고성이 웅주(雄州) 서남쪽에 있다. 622년(당 무덕 5년) 북의주(北義州)에 속했고 627년(정관 원년) 역주로 들어왔다. 699년(성력 2년) 전충현(全忠縣)으로 개명했다. 742년(천보 원년) 곡성현으로 개칭했다. 거마하(巨馬河)의 남쪽에 주민들이 살고 있다. 탁주 신성현과 치소를 공유하고 있다. 5,000호가 살았다. |
3. 6. 계주 상무군 (薊州 尙武軍)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연운 16주 중 하나로, 716년(개원 4년) 유주로 통폐합되었다가 독립했다. 3현을 통치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어양현 | 漁陽縣 | 톈진 시 지저우 구 | 주의 치소가 있었다. 포구수(鮑丘水)가 있었으며, 4,000호가 살았다. |
삼하현 | 三河縣 | 랑팡 시 싼허 시 | 716년 노주(潞州)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3,000호가 살았다. |
옥전현 | 玉田縣 | 탕산 시 위톈 현 | |
준화현 | 遵化縣 | 탕산 시 쭌화 시 | 중희 연간에 경주 청안군(景州 淸安軍)으로 독립했으며, 3,000호가 살았다. |
3. 7. 평주 요흥군 (平州 遼興軍)
절도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던 상급주이다. 석경당이 연운 16주의 하나로 할양하였다. 2주 3현을 통치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노룡현 | 盧龍縣 | 친황다오 시 루룽 현 | 주의 치소가 있었다. 7,000호가 살았다. |
안희현 | 安喜縣 | 탕산 시 첸안 시 동 | 요 태조가 정주 안희현(定州 安喜縣)의 주민들을 이곳에 정착시켰다. 5,000호가 살았다. |
망도현 | 望都縣 | 친황다오 시 루룽 현 남 | 태조가 정주 망도현의 주민들을 이곳에 옮겨 설치했다. 해양산(海陽山)이 있다. 3,000호가 살았다. 986년에 소배압이 이곳에 들어온 송나라의 군대를 격파했다.[2] |
3. 8. 난주 영안군 (灤州 永安軍)
탕산 시 롼 현에 치소를 두었으며, 의풍현(義豊縣), 마성현(馬城縣), 석성현(石城縣)을 속현으로 두었다. 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의풍현 | 義豊縣 | 탕산 시 롼 현 | 황락고성(黃洛故城)이 있었다. 황락수가 현 북쪽 노룡산(盧龍山)에서 나와 남쪽으로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요 세종이 현을 설치했다. 4,000호가 살았다. |
마성현 | 馬城縣 | 탕산 시 롼 현 남쪽 | 본래 노룡현이 있던 곳이다. 현 동북쪽에 천금야(千金冶)가, 동쪽에 무향산(茂鄕山)이 있다. 3,000호가 살았다. |
석성현 | 石城縣 | 탕산 시 카이핑 구 | 696년(만세통천 원년)에 임유현(臨渝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주 남쪽 30리 거리에 있다. 3,000호가 살았다. |
3. 9. 영주 인해군 (營州 鄰海軍)
요 태조가 정주 주민들을 이곳에 정착시켰다. 창리 현에 치소를 두었으며 3,000호가 살았다.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석경당이 할양한 연운 16주 중 하나였다. 742년(천보 원년)에 유성군으로 고쳤다.[1]참조
[1]
서적
요사 권40 지리지 4 남경도조
https://zh.wikisourc[...]
[2]
서적
요사 권 88 열전 제 18 소배압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