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무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무성은 한국의 재즈 평론가, 만화가, 영화 감독, 음반 프로듀서이다. 1997년 한국 최초의 재즈 월간지 《몽크뭉크》를 창간하고, 재즈 잡지 《두밥》의 편집장을 역임하며 한국 재즈 1세대를 소개했다. 만화 《Jazz It Up》으로 대한민국 만화대상 특별상 등을 수상했으며, 《Paint It Rock》 시리즈를 출간하여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활동했다. 영화 《브라보! 재즈라이프》를 제작, 감독했으며, 재즈 관련 음반 프로듀싱, 재즈 공연 기획, 음악 감독 등으로 활동했다. 2023년에는 그림 전시회를 열었으며, 현재는 음악 관련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차명진
차명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 후 노동운동과 정치 활동을 거쳐 부천시 소사구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MBN 뉴스 패널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남무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남무성 |
직업 | 음악 평론가 음반 제작자 영화감독 작가 |
장르 | 재즈 |
활동 시기 | 1996년 ~ 현재 |
관련 활동 | jazz it up paint it rock 브라보 재즈 라이프 jazz life pop it up! 한잔의 칼럼 만화로 보는 영화의 역사 |
2. 경력
남무성은 언론, 출판, 공연 기획, 음반 프로듀싱, 영화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분야 | 주요 활동 및 내용 |
---|---|
언론 및 출판 | |
공연 기획 및 음악 감독 | |
음반 프로듀싱 | |
영화 제작 | |
기타 활동 |
2. 1. 언론 및 출판
1997년 한국 최초의 재즈 월간지 《몽크뭉크(현 MMJAZZ)를 창간하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재즈 잡지 《두밥(Doobop)》의 편집장을 지냈다.[1]2003년 《만화로 보는 재즈의 역사, Jazz It Up》을 출간하여 대한민국 만화대상에서 특별상과 신인상을 수상하였다.[1]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재즈 전문지 《스윙 저널》에 연재된 뒤 고단샤를 통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고, 중화민국에서는 차이나 타임즈를 통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1]
2009년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 Paint It Rock》을 출간하여 주요 서점 대중문화 부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1] 2014년에 《Paint It Rock》 1, 2, 3권 시리즈를 완간했고, 주요 서점 종합 베스트셀러 10위권에 진입했다. 2017년 《Paint It Rock》 시리즈는 일본 디스크나인과 계약을 맺고 수출되었다.[1]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네이버뮤직에 〈All That Rock〉, 〈All That Jazz〉를 연재하였다. 2018년에는 《Jazz It Up!》 출간 15주년 기념 개정증보판을 출간하여 예스24 예술 분야에서 14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1]
2018년 장기호와 함께 기초 화성 및 작곡 이론을 다룬 《Pop It Up》을 출간하였다. 2019년에는 재즈 음악과 일상을 담은 에세이 만화 《재즈 라이프, Jazz Life》를 출간하여 주요 서점 예술 분야 베스트셀러에 올랐다.[1]
2. 2. 공연 기획 및 음악 감독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재즈 잡지 《두밥》(Doobop) 편집장을 지냈으며, 한국 재즈 1세대 콘서트, 대한민국 재즈 어워드, 2000 대한민국 재즈 페스티벌 등을 기획 및 주최하였다.[1] 2003년에서 2004년에는 문화관광부 후원, 전국 문예회관 주최로 14개 도시에서 재즈 워크숍을 열고 최초로 워크숍 콘서트를 개최하였다.[1] 2006년에는 척 맨지온, 로라 피지, 옐로우자켓 등이 참여한 국제 재즈 페스티벌 〈썸머 재즈 세너테리움〉의 프로그래머 및 음악 감독을 맡았다.[1]2. 3. 음반 프로듀싱
2002년 서영은 3집, 2005년 젠틀레인 1집, 2007년 이정식 6, 7집 앨범을 프로듀싱했다.[1] 2010년에는 영화 《브라보! 재즈라이프》의 사운드트랙 앨범을, 2011년에는 이은하의 재즈 앨범을 프로듀싱했다.[1] 2020년에는 성우 정형석의 가수 데뷔 곡인 <하얀나비>와 <사랑 그대로의 사랑>을 프로듀싱했다.2. 4. 영화 제작
2010년 12월 16일, 남무성이 감독, 제작, 각본, 음악 프로듀싱을 맡은 영화 '''브라보 재즈 라이프'''가 개봉하였다. 이 영화는 강대관, 이판근, 조상국, 류복성 등 한국 재즈 1세대 원로들의 감동적인 무대를 다룬 작품으로, 2010년 제천국제영화제 본선 경쟁작에 올랐으며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 영화음악상을 수상했다.[1]2. 5. 기타 활동
2020년 10월, 서울 합정역 부근에서 재즈바 <가우초>를 열어 약 2년간 재즈 뮤지션들의 릴레이 라이브 공연을 진행했으나,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면서 문을 닫았다.[1] 2021년 여름에는 EBS TV e클래스에서 <남무성의 올댓재즈> 16강연이 방송되었다.[1]2023년 7월, 롯데월드타워 BGN갤러리에서 <Imagine of Music>이라는 첫 그림 전시회를 개최하여 음악가들을 그린 디지털 일러스트 작품 9점을 완판했다.[1] 현재는 경기도 양평에서 작은 음악바를 운영하며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