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병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병길은 명문가 출신으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30여 권의 저술을 남긴 인물이다. 주요 저서로는 《성경》, 《시헌기요》, 《중성신표》, 《춘관통고》 등이 있으며, 천문 관측, 역법, 수학 이론 등을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수학자 - 윤두서
    조선 후기 문인화가이자 학자인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으로, 당쟁으로 출사하지 않고 그림과 학문에 전념하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조선 3재로 불렸고, 자화상, 심득경 초상 등의 작품과 지도를 통해 조선 후기 화단과 실학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의 수학자 - 이가환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이가환은 성호 이익의 문하생으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신유박해 때 천주교와 연루되어 옥사했으며, 천문학과 수학에도 밝아 《기전고》를 저술했다.
  • 조선의 천문학자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조선의 천문학자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1869년 사망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1869년 사망 - 에드윈 M. 스탠턴
    에드윈 M. 스탠턴은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링컨 대통령 시절 전쟁장관을 역임하며 남북 전쟁 북군 승리에 기여하고 노예 해방 선언에 영향을 미쳤으며, 존슨 대통령 재임 시절 탄핵 과정에 등장한 후 대법관에 지명되었으나 사망했다.
남병길
기본 정보
관복 차림의 남병길 초상
관복 차림의 남병길 초상
한글 이름남병길
한자 이름南秉吉
자상
육일재, 혜천
생애
출생1820년
사망1869년
직업조선의 천문학자, 수학자, 관료
학문 및 업적
저서시헌기요
성경
양도 의도 설
추보 첩례
칠정 보법
태양 출입표
산학정의
선택기요
중성 신표
춘추 일식 고

2. 가계 및 생애

남병길은 남구순과 김조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남병철의 동생이다. 부인은 조기겸의 딸이다.

2. 1. 가계

항목내용
증조부남일구
조부남종헌
부친남구순
모친김조순의 딸
남병철
부인조기겸의 딸


3. 주요 저서 및 업적

남병길은 남병길, 남원상, 육일재 등의 이름으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3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4]


  • 성경(星鏡)》
  • 《시헌기요(時憲紀要)》[4]
  • 《중성신표(中星新表)》(1853년)
  • 《춘관통고(春官通考)》(1869년)
  • 《양도의도설(量度儀圖說)》
  • 《추보첩례(推步捷例)》
  • 《칠정보법(七政步法)》
  • 《태양출입표(太陽出入表)》
  • 《산학정의(算學正義)》
  • 《선택기요(選擇紀要)》
  • 《춘추일식고(春秋日食攷)》

3. 1. 천문학 분야

남병길은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30여 권의 저술을 남겼는데, 그중 천문학 분야의 저술은 다음과 같다.[4]

  • 성경(星鏡)》: 별 관측에 대한 내용을 담은 천문서이다.
  • 《시헌기요(時憲紀要)》: 서양 역법인 시헌력에 대한 해설서로 추정된다.
  • 《중성신표(中星新表)》(1853년): 독자적인 별 관측을 바탕으로 제작한 새로운 성표이다.
  • 《춘관통고(春官通考)》(1869년): 천문 관측 기록과 역법 계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양도의도설(量度儀圖說)》: 천문 관측 기구의 제작과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추보첩례(推步捷例)》, 《칠정보법(七政步法)》, 《태양출입표(太陽出入表)》: 역법 계산과 관련된 저술로 추정된다.
  • 《춘추일식고(春秋日食攷)》: 춘추 시대일식 기록을 연구한 저술로 추정된다.

3. 2. 수학 분야

남병길은 산학정의(算學正義) 등의 수학 저술을 남겼다.[4]

3. 3. 기타

남병길은 남병길, 남원상, 육일재 등의 이름으로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3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4] 이 중 《선택기요(選擇紀要)》는 택일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남병길(南秉吉) http://encykorea.aks[...] 2021-06-12
[2] 논문 Astronomy in Korea
[3] 웹사이트 남병길 http://100.nate.com/[...] 한국학중앙연구원
[4] 서적 순조실록 29년 10월 3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