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윈 M. 스탠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윈 M. 스탠턴은 1814년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에 참여했다. 그는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 시기 법무장관을 역임했고, 남부의 탈퇴를 반대했다.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에서 전쟁 장관을 맡아 남북 전쟁에서 북군의 승리에 기여했으며, 링컨 암살 후 암살 공모자 처벌을 주도했다. 앤드루 존슨 대통령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으나, 의회의 지원을 받아 복직하기도 했다. 이후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에 의해 연방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으나, 재임 4일 만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뷰캐넌 행정부의 각료 - 루이스 캐스
    루이스 캐스는 미영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자 미시간 준주 지사, 육군 장관, 주 프랑스 공사, 상원 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한 정치인, 외교관으로,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 앤드루 존슨 행정부의 각료 -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H. 수어드는 뉴욕 주지사,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고 알래스카 매입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의 각료 - 앤드루 존슨
    가난한 환경에서 독학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대통령이 된 앤드루 존슨은 남북전쟁 이후 온건한 재건 정책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고 탄핵 소추를 받았으나 부결되었으며,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의 각료 -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H. 수어드는 뉴욕 주지사,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고 알래스카 매입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에드윈 M. 스탠턴
기본 정보
1866-1869년 경 촬영된 사진
이름에드윈 맥매스터스 스탠턴
출생일1814년 12월 19일
출생지미국 오하이오주 스타이벤빌
사망일1869년 12월 24일
사망지미국 워싱턴 D.C.
안장지오크 힐 공동묘지, 워싱턴 D.C., 미국
정당민주당 (1862년 이전)
공화당 (1862년–1869년)
배우자메리 램슨 (1836년 12월 31일 결혼, 1844년 사망)
엘렌 허치슨 (1856년 6월 25일 결혼)
아버지데이비드 스탠턴
어머니루시 노먼
학력케니언 칼리지
서명Edwin McMasters Stanton Signature.svg
법조 경력
임기취임 전 사망
지명자율리시스 S. 그랜트
전임자로버트 쿠퍼 그리어
후임자윌리엄 스트롱
정치 경력
대통령에이브러햄 링컨
앤드루 존슨
임기 시작1862년 1월 20일
임기 종료1868년 5월 28일
전임자사이먼 캐머런
후임자존 스코필드
대통령제임스 뷰캐넌
임기 시작1860년 12월 20일
임기 종료1861년 3월 4일
전임자제레미아 블랙
후임자에드워드 베이츠

2. 어린 시절과 경력

오하이오주 스타이벤빌에서 퀘이커교 내과 의사인 데이비드 스탠턴과 루시 노먼의 4남매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827년 부친이 사망하자, 스탠턴은 서점에서 일하며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2] 어린 시절 에드윈은 천식을 앓아 격렬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없었고, 대신 책과 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감리교 교회와 주일학교에 정기적으로 참석했고, 열세 살에 감리교회 정식 회원이 되었다.[3]

스탠튼의 오하이오주 스튜번빌에 있는 출생지


스탠턴은 1831년 감리교회 계열의 케니언 대학교에서 대학 공부를 시작했다. 케니언에서 스탠턴은 필로마테시안 문학회에 참여하여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토론에 참여했다. 재정 문제로 3학기 만에 케니언을 떠나야 했지만, 1832년 폐기 위기 당시 앤드루 잭슨 대통령을 지지하며 민주당에 가입했고, 노예 제도에 대한 혐오감을 굳혔다.[2]

케니언 대학교를 중퇴한 후, 스탠턴은 콜럼버스에서 서점원으로 일했다. 그는 케니언에서 마지막 학년을 마치기를 바랐으나, 서점의 적은 봉급으로는 불가능했다. 그는 곧 스튜번빌로 돌아와 법률 공부를 시작했다.[2] 1835년 변호사 자격을 얻은 그는 오하이오주 케이디즈의 유명한 법률 사무소에서 일을 시작했다. 그는 주로 사무소의 소송 업무를 담당했다.[2]

오하이오주 케이디즈에 있는 스탠턴의 집


18세의 스탠턴은 콜럼버스의 트리니티 성공회 교회에서 메리 앤 램슨과 약혼했다.[2] 케이디즈에 집을 산 후, 그는 1836년 12월 31일 트리니티 성공회 교회 사제의 집에서 그녀와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후 스탠턴은 변호사이자 연방 판사인 벤자민 태펀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케이디즈에서 그는 지역 사회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는 마을의 반노예제 협회와 지역 신문인 ''센티넬''에서 일하며 기사를 쓰고 편집했다.[2] 1837년 스탠턴은 민주당 후보로 해리슨 군의 검사로 선출되었다. 그는 워싱턴 군에 큰 땅을 그리고 케이디즈에 여러 필지의 토지를 구입할 정도로 재정적으로도 성공했다.[2]

3. 법률과 정치

1837년 노예제 폐지론자인 벤저민 태펀 판사와 협력 관계를 맺고, 그의 미국 상원 진출을 도왔다. 1840년1844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7] 1856년 워싱턴 D. C.로 이주하여 미국 대법원 관련 사건들을 담당하며 명성을 얻었다.[7] 1859년 필립 바턴 키 2세를 살해한 대니얼 E. 시클스 의원의 변호를 맡아, 미국 역사상 최초로 심신상실을 이유로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7]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정당방위로 인정될 여지가 있는 사건이었다.)

스탠턴은 변호사 자격 시험을 준비하며 다니엘 콜리어의 지도 아래 법률을 공부했다. 1835년 변호사 자격을 얻었고, 저명한 변호사인 찬시 디위 밑에서 오하이오주 케이디즈의 유명한 법률 사무소에서 일을 시작했다. 사무소의 소송 업무는 주로 그가 담당했다.

결혼 후 스탠턴은 변호사이자 연방 판사인 벤자민 태펀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스탠턴의 여동생 또한 태펀의 아들과 결혼했다. 케이디즈에서 스탠턴은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는 마을의 반노예제 협회와 지역 신문인 ''센티넬''과 함께 일하며 기사를 쓰고 편집했다. 1837년 스탠턴은 민주당 후보로 해리슨 군의 검사로 선출되었다. 또한 스탠턴의 재산이 증가하면서 그는 워싱턴 군에 큰 땅을 그리고 케이디즈에 여러 필지의 토지를 구입할 수 있었다.

사이러스 H. 매코믹(Cyrus H. McCormick)의 판화


스탠턴이 ''펜실베이니아 대 휠링 앤 벨몬트(Pennsylvania v. Wheeling and Belmont)'' 사건에서 보여준 실력 덕분에 그는 발명가 사이러스 매코믹(Cyrus McCormick)의 매코믹 콤바인 특허 소송(McCormick Reaper patent case)과 같은 다른 중요한 사건들을 맡게 되었다.

워싱턴 D.C.의 스탠턴의 집


시클스가 키를 사살하는 장면을 묘사한 ''Harper's Weekly'' 그림


대니얼 시클스 재판 중 법정 모습


뉴욕 출신의 미국 하원 의원이었던 대니얼 시클스(Daniel Sickles)는 작곡가 안토니오 바지올리(Antonio Bagioli)의 딸인 테레사 바지올리 시클스(Teresa Bagioli Sickles)와 결혼했다. 시클스의 아내는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의 작곡가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의 아들인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검사 필립 버튼 키 2세(Philip Barton Key II)와 불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1859년 2월 27일 일요일, 시클스는 라파예트 광장에서 키와 대면하여 "키, 이 악당아, 당신은 내 집의 명예를 더럽혔소. 당신은 죽어야 해"라고 말한 후 키를 사살했다. 시클스는 이후 법무장관 블랙의 집으로 가서 자신의 범죄를 자백했다. 그 다음 목요일, 그는 대배심에 의해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다. 시클스 사건은 그 파렴치한 성격과 백악관과의 근접성으로 전국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곧 언론은 대니얼 시클스의 정치적 명성이 그의 아내와 부캐넌 대통령 사이의 불륜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저명한 형사 변호사 제임스 T. 브레이디(James T. Brady)와 그의 동료 존 그레이엄은 시클스의 변호를 맡아 스탠턴에게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재판에 대한 변론은 4월 4일에 시작되었다. 검찰은 시클스도 간통을 저질렀고 아내나 그녀의 행동에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는 이론을 제기하고 싶어했다. 판사가 이를 허용하지 않자 검찰은 대신 시클스의 살인의 극악한 성격을 부각하고 그가 범죄를 저지른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 시클스의 변호는 시클스가 일시적인 정신 이상에 시달렸다고 반박했는데, 이는 미국 사법 역사상 최초로 성공한 정신 감정 사례였다. 재판 중 법정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극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스탠턴이 결론 변론에서 결혼은 신성하며 남성은 자신의 결혼을 더럽히려는 자들에 맞서 싸울 권리가 있다고 말하자 법정은 환호성으로 터져 나왔다. 한 법대생은 재판 중 스탠턴의 주장을 "전형적인 빅토리아 시대의 수사학, 가족의 신성함에 대한 격언의 기발한 동의어 사전"이라고 묘사했다. 배심원단은 1시간 조금 넘게 심의한 후 시클스에 대해 무죄 평결을 내렸다. 판사는 시클스의 체포를 해제하라고 명령했다. 법원 밖에서 시클스, 스탠턴, 그리고 동료들은 승리를 기뻐하는 사람들의 무리와 만났다.

4. 법무장관

1860년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에 의해 법무장관으로 임명된 스탠턴은 남부 주들의 탈퇴를 강하게 반대하였고, 이를 용인하는 것은 비헌법적이자 불법이라고 주장했다.[7]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스탠턴은 부통령 존 C. 브레킨리지를 지지했지만, 비공개적으로는 링컨이 승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7]

1860년 말, 뷰캐넌 대통령은 의회에 대한 연례 국정연설문을 작성하면서 법무장관 블랙에게 탈퇴의 합법성과 헌법적 타당성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블랙은 스탠턴에게 조언을 요청했고, 스탠턴은 연방으로부터의 탈퇴를 불법으로 규정한 블랙의 답변 초안을 승인했다.

스탠턴은 탈퇴 문제로 혼란에 빠진 미국 내각에서 뷰캐넌이 남부를 더 이상 자극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남부의 대의에 공감했다고 생각했다. 12월 30일, 블랙과 스탠턴은 포트섬터 철수 명령에 대한 반대 의견을 뷰캐넌에게 제출하기로 합의했고, 뷰캐넌은 그들의 의견을 받아들였다. 1860년 12월 31일 뷰캐넌 대통령은 찰스턴 항구에서 병력을 철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1861년 2월 1일까지 6개의 남부 주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뒤를 이어 탈퇴를 선언했고, 2월 18일에는 제퍼슨 데이비스가 남부연합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스탠턴은 링컨의 취임 연설에서 연방을 떠나려는 어떤 시도도 합법적이지 않다고 말한 것에 대해 신중한 낙관론으로 반응했다. 링컨은 3월 5일에 내각 인선을 제출했고, 그날이 끝나갈 무렵 스탠턴은 더 이상 법무장관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의 후임자인 에드워드 베이츠를 돕기 위해 한동안 사무실에 남아있었다.

5. 전쟁장관

스탠턴은 1860년 공화당에이브러햄 링컨에 정치적으로 반대했다. 링컨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1862년 1월 15일 무능한 전쟁장관 사이먼 캐머런을 대체하여 법률 고문으로 일하는 데 동의하였다. 그는 "국가를 구하는 도움을 주는" 것만으로 직위를 받아들였다.[8][9]

그는 방대한 전쟁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했지만, 남부 동조자로 의심되는 북군 사관들을 박해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1862년 8월 8일 스탠턴은 "자원 봉사자 입대를 낙담시키거나, 적을 원조 및 위로하거나, 미국에 대항하는 불충실한 행위에 연설이나 글을 쓰는 사람들을 체포하고 투옥시키는" 명령을 내렸다.[10]

링컨 대통령은 스탠턴의 능력을 인정했지만, 필요할 때마다 그를 견제했다. 스탠턴이 전쟁부 전신국장 토머스 에커트를 해고하려 하자, 링컨은 에커트를 옹호하며 그가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에커트는 직책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링컨은 인기 없는 장관을 해임하라는 압박에도 불구하고 "만약 당신이 그와 같은 또다른 전쟁장관을 찾는다면 난 기꺼이 그를 임명하겠다."라고 답했다. 스탠턴은 공화당원이 되어 노예와 자유 흑인 인구에 혜택을 주는 활동을 단호하게 추진했고, 링컨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바꾸었다.

율리시스 S. 그랜트 사령관과는 좋은 관계를 가졌으나, 윌리엄 T. 셔먼과는 갈등을 빚으며 평생 적으로 남았다. 링컨 암살 사건에 당황한 스탠턴은 즉시 사건 수습을 지휘했다. 링컨의 사망에 스탠턴은 "이제 그는 시대에 속한다."라고 말하며,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통치자가 누워있다."라고 비탄했다. 그는 링컨 암살 연루자 체포와 기소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 소송 절차들은 민사 법원이 아닌 군사 법정에서 스탠턴의 감독 하에 진행되었다. 스탠턴은 이후 Louis J. Weichmann의 증언을 조작하고 재판 결과를 왜곡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1]

5. 1. 남북 전쟁

1860년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에이브러햄 링컨 후보의 정책에 반대했으나, 링컨 당선 후 사이먼 캐머런 육군장관의 법률 고문으로 임명되었다.[8] 1862년 1월 15일 링컨 대통령에 의해 육군장관으로 임명되었다.[9] 그는 "국가를 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육군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북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1862년 8월 8일, 스탠턴은 군 복무 기피, 적 지원, 반역 행위 등에 연루된 자들을 체포 및 구금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0] 이는 전시 상황에서 국가 안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볼 수 있다. 조지 B. 매클렐런 장군과 갈등을 겪었으나,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과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전쟁을 이끌었다.

링컨 암살 사건 이후, 스탠턴은 암살 공모자들을 체포하고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처벌했다.[11] 이는 정의 구현을 위한 단호한 조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암살 공모자 재판 과정에서 증거 조작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5. 2. 앤드루 존슨 행정부

스탠턴은 1868년까지 앤드루 존슨 대통령 아래에서 전쟁장관 직을 계속 유지했다. 처음에는 존슨의 관대한 정책에 동의했지만, 해방 노예들이 학대받는다는 소식을 듣고 존슨과 갈등을 빚었다. 존슨은 스탠턴을 해임하고 로렌조 토머스를 임명하려 했으나, 스탠턴은 직무실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저항했다. 의회 급진파들은 존슨의 행동이 재직기한법 위반이라고 주장하며 탄핵 소송 절차를 시작했다. 하지만 존슨은 단 한 표 차이로 탄핵을 면했고, 스탠턴은 1868년 5월 26일 존 스코필드로 교체되며 사임했다.[4]

6. 대법원에 순간

1869년 율리시즈 S. 그랜트 대통령은 스탠턴을 연방 대법원 판사로 임명했다.[14] 그러나 스탠턴은 상원 인준 4일 후인 1869년 12월 24일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15] 그는 승인을 받았지만 취임 선서를 하기 전에 사망한 유일한 대법원 지명자이다. 스탠턴의 취임 선서는 임종 직전에 이루어졌으며, 대법관 재임 기간 중 최단 기록을 세웠다.[16]

미국 대법원 웹사이트는 대법관 공식 명단에 스탠턴을 올리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이 적어 두었다.

"소정의 맹세를 함으로 목격되면서 지명자에 의하여 임명과 위임의 승낙은 여기 암시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개인은 대법원 회원들의 이 명단에 실려있지 않다. 예를 들어 ... 자신이 대법원 회원이 되는 것을 향한 필요적인 단계들을 택할 수 있기 전에 사망한 에드윈 M. 스탠턴이다."

스탠턴의 유해는 워싱턴 D.C.의 오크힐 묘지에 안장되었다.

7. 유산

스탠턴은 남북 전쟁 승리와 노예 해방 선언에 기여한 공로로, 1890년1891년 시리즈의 1달러 법정 지폐에 초상화가 새겨졌다.[17][18] 또한 50센트 소액 통화의 4번째 발행에도 그의 초상화가 등장한다.[17][18] 플로리다주 잭슨빌에 있는 스탠턴 칼리지 예비 학교와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4블록 떨어진 스탠턴 공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18] 1862년에 만들어진 증기 기관차는 새로운 전쟁장관의 영예에 "E. M. 스탠턴 호"로 이름이 붙었다.

1891년 1달러짜리 국고증권에 묘사된 스탠턴


1871년 발행된 최초의 스탠턴 우표


스탠턴의 초상화는 1890년과 1891년 미국 지폐에 등장했는데, 이 지폐는 "국고증권" 또는 "주화증권"으로 불리며 현재 수집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특히 1890년 1달러짜리 스탠턴 "장식 뒷면" 지폐는 희귀하여 "미국 최고의 화폐 100선"에서 83위를 차지했다.[17][18]

그의 이름을 딴 장소로는 네브래스카주 스탠턴 카운티, 오하이오주 해몬즈빌의 스탠턴 중학교, 피츠버그의 스탠턴 하이츠 지역과 주요 도로인 스탠턴 애비뉴, 워싱턴 D.C.의 스탠턴 공원과 포트 스탠턴, 필라델피아의 에드윈 스탠턴 초등학교, 뉴저지주 트렌턴의 스탠턴 거리 등이 있다.[19]

스탠턴은 여러 소설, 영화, 드라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참조

[1] 뉴스 Chancellorsville: Chapter 1: Revolt of the General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5-12-26
[2] 웹사이트 The Admission of Ohio as a State http://history.hous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5-07-15
[3] 웹사이트 Edwin M. Stanton 2010-12-18
[4] 웹사이트 H.R. 297 (32nd): Declaring the Wheeling bridges lawful structures,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govtrack[...] 2015-07-22
[5] 논문 1962
[6] 뉴스 Col. Wm. P. Wood Dead Washington Evening Star 1903-03-21
[7] 서적 Stanton: Lincoln's War Secretary Simon & Schuster 2017-08-08
[8] 논문 1962
[9] 논문 1905
[10] 뉴스 Lincoln's Enforcer https://www.wsj.com/[...] WSJ 2017-08-04
[11] 논문 2015
[12] 논문 2015
[13] 논문 1962
[14] 간행물 Mr. Justice Stanton https://www.fedbar.o[...] Federal Bar Association 2022-04-03
[15] 보고서 Supreme Court Nominations, 1789 to 2020: Actions by the Senate, the Judiciary Committee, and the President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2-04-03
[16] 논문 2015
[17] 웹사이트 Edwin M. Stanton issue of 1871 http://arago.si.edu/[...]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2010-12-18
[18] 서적 Scott United States Stamp Catalogue
[19] 웹사이트 Trenton Historical Society, New Jersey https://www.trentonh[...]
[20] 웹사이트 Airship 1865 https://airship.fm/1[...] 2021-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