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성, 여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 여성》은 장 뤽 고다르가 감독한 1966년 프랑스 영화이다. 이 영화는 군 복무를 마친 폴이 가수 지망생 마들렌을 만나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중심으로, 1960년대 프랑스 사회의 청년 문화, 정치, 사랑, 젠더 문제를 다룬다. 영화는 폴의 죽음으로 마무리되며, 샹탈 고야, 말렌 조베르, 장피에르 레오 등이 출연했다. 개봉 당시 18세 미만 관람 불가 판정을 받았지만, 비평적으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고다르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 드 모파상 원작의 영화 작품 - 쾌락 (영화)
    1952년 막스 오퓔스 감독이 기 드 모파상의 단편 소설 세 편을 각색하여 쾌락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프랑스 영화 《쾌락》은 여성의 연대, 사회적 편견, 성적 욕망 등을 다룬다.
  • 기 드 모파상 원작의 영화 작품 - 벨아미 (2012년 영화)
    기 드 모파상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12년 영화 벨아미는 1880년대 파리를 배경으로 조르주 뒤루아가 매력과 재치로 사회적 성공을 탐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로버트 패틴슨, 우마 서먼 등이 출연했으며 부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 장뤼크 고다르 감독 영화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장뤼크 고다르 감독 영화 - 작은 병정
    《작은 병정》은 장 뤽 고다르가 감독한 1963년 프랑스 영화로, 알제리 전쟁을 배경으로 프랑스 테러 조직과 알제리 독립 지지 단체 사이의 갈등을 다루며 세뇌, 고문, 영화의 본질 등을 탐구한다.
  • 프랑스의 로맨틱 드라마 영화 - 퐁네프의 연인들
    레오스 카락스 감독이 연출하고 쥘리에트 비노쉬와 드니 라방이 주연한 퐁네프의 연인들은 파리의 퐁네프 다리를 배경으로 다리 보수 공사로 폐쇄된 동안 부랑자 알렉스와 시력을 잃어가는 화가 미셸의 사랑을 그린, 프랑스 영화 역사상 가장 제작비가 많이 든 영화 중 하나이자 실제 크기의 퐁네프 다리 세트를 건설한 것으로 유명한 1991년 프랑스 영화이다.
  • 프랑스의 로맨틱 드라마 영화 - 제르미날 (1993년 영화)
    19세기 프랑스 탄광촌을 배경으로 광부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과 파업을 그린 클로드 베리 감독의 1993년 프랑스 영화 제르미날은 에밀 졸라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프랑스 대표 배우들이 출연, 프랑스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하고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남성, 여성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로마자 표기maskyllaeng feminaeng kenz fe peuresi
영화 정보
감독장뤼크 고다르
각본장뤼크 고다르
제작아나톨 도망
주연샹탈 고야
장피에르 레오
촬영윌리 쿠랑
편집아녜스 귈모
음악장자크 드부
제작사아누슈카 필름
아르고스 필름
스벤스크 필름인더스트리
산드레우스
배급사콜롬비아 필름 (프랑스)
산드류 필름 & 테아터 AB (스웨덴)
개봉일프랑스: 1966년 3월 22일
스웨덴: 1966년 9월 14일
일본 (프랑스 영화제): 1966년 10월 17일
일본 (일반): 1968년 7월 20일
상영 시간103분
제작 국가프랑스
스웨덴
언어프랑스어
흥행 수익프랑스: 427,430명 입장

2. 줄거리

군 복무를 마치고 갓 사회에 나온 젊은 이상주의자 폴은 직업을 찾던 중 카페에서 가수 지망생 마들렌을 만난다. 두 사람은 우연히 한 여성이 파트너와 다투다 총을 쏘는 장면을 목격한다. 폴은 친구이자 저널리스트인 로버트를 통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국가 정책에 반대하는 예술가와 작가들을 석방하라는 청원에 서명한다.

폴은 잡지사에서 일하게 되고, 마들렌과의 관계는 연인으로 발전한다. 마들렌은 룸메이트 엘리자베스와 로버트가 좋아하는 카트린을 소개한다. 폴은 로버트와 함께 베트남 평화를 외치는 활동을 돕는다.

마들렌은 RCA 레코드에서 첫 싱글 발매를 앞두고, 폴은 그녀에게 프로포즈하려 하지만 무산된다. 폴은 동전 작동식 레코드 부스에서 마들렌에게 메시지를 녹음하고, 칼을 든 남자에게 찔리는 사건을 겪는다. 그는 로버트에게 누군가 자신을 미행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털어놓는다.

폴은 마들렌, 엘리자베스, 카트린과 함께 살게 되고, IFOP의 여론 조사원으로 일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한다. 카페에서 폴은 엘리자베스에게 마들렌의 임신 소식을 알리지만, 엘리자베스는 회의적이다. 폴, 마들렌, 엘리자베스, 카트린은 영화를 보러 가고, 상영 중 마들렌은 폴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로버트는 카트린이 폴을 사랑한다고 말한다.

어느 날, 한 남자가 폴에게서 성냥을 빌려 분신자살을 시도하며 "베트남 평화"라는 쪽지를 남긴다. 폴과 카트린은 마들렌의 녹음 스튜디오를 방문하지만, 마들렌은 폴에게 냉담하다. 폴은 전쟁성에 장군을 사칭해 차를 요구하고, 마들렌, 카트린과 함께 현장을 떠난다.

1966년 1월부터 3월까지 폴은 여론 조사를 계속하며 무의식적인 편견이 답변의 진실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깨닫는다. 경찰서에서 카트린은 폴이 고층 아파트를 샀다고 말한다. 마들렌은 엘리자베스를 함께 살게 하고 싶어 했지만 폴은 반대했다. 폴은 창문에서 떨어져 사망하고, 카트린은 사고사라고 주장한다. 마들렌은 임신한 채로 경찰관에게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3. 등장인물


  • 샹탈 고야 - 마들렌 지머 역, 젊은 가수[3]
  • 말렌 조베르 - 엘리자베스 쇼케 역, 마들렌의 룸메이트
  • 카트린 이자벨 뒤포르 - 카트린 이자벨 역[4], 마들렌의 또 다른 룸메이트
  • 장피에르 레오 - 폴 역, 낭만적인 젊은 이상주의자[3]
  • 미셸 드보르 - 로베르트 패커드 역, 기자
  • 이브 아폰소 - 자살로 사망하는 남자 역 (칼로 찌름)[5][6] (크레딧 없음)
  • 엘사 르로이 - "마드무아젤 19앙" 역, 폴이 IFOP 여론 조사 인터뷰를 하는 젊은 프랑스 여성 (크레딧 없음)
  • 브리지트 바르도 - 카페의 여자 역 (크레딧 없음)
  • 앙투안 부르스예 - 카페의 남자 역 (크레딧 없음)
  • 프랑수아즈 아르디 - 미국 장교의 아내 역 (크레딧 없음)
  • 에바 브리트 스트란드베리 - 스웨덴 영화 속 여자 역
  • 빌예르 말름스텐 - 스웨덴 영화 속 남자 역
  • 샹탈 달제 - 지하철의 여자 역
  • 메도 온도 - 지하철의 남자 역
  • 도미니크 잘디 - 잡지를 읽는 남자 역
  • 앙리 아탈

3. 1. 주요 등장인물


  • 폴 (장피에르 레오 분): 낭만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청년이다.[3] 제대 후 사회에 적응하려 노력하며, 마들렌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 마들렌 지머 (샹탈 고야 분): 가수 지망생으로, 폴과 연인 관계가 된다.[3]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다.
  • 엘리자베스 쇼케 (말렌 조베르 분): 마들렌의 룸메이트.
  • 로베르 패커드 (미셸 드보르 분): 폴의 친구이자 기자. 폴에게 정치적 영향을 준다.
  • 카트린 이자벨 뒤포 (카트린 이자벨 뒤포 분):[4] 마들렌의 또 다른 룸메이트.
  • 자살로 사망하는 남자 (이브 아퐁소 분):[5][6] 칼로 자해한다.
  • 엘사 르로이 ("마드무아젤 19앙" 역): 폴이 IFOP 여론 조사 인터뷰를 하는 젊은 프랑스 여성 (크레딧 없음)


브리지트 바르도와 앙투안 부르스예는 카페에서 배우와 감독으로 크레딧 없이 출연한다. 프랑수아즈 아르디 역시 미국 장교의 아내로 크레딧 없이 출연한다.[7]

3. 2. 조연

마를렌 조베르는 마들렌의 룸메이트인 엘리자베스 쇼케 역을 맡았다.[3] 카트린 이자벨 뒤포르는 마들렌의 또 다른 룸메이트인 카트린 이자벨 역을 맡았다.[4] 미셸 드보르는 기자 로버트 패커드 역을 연기했다. 이브 아폰소는 칼에 찔려 자살로 사망하는 남자 역으로 출연했으나 크레딧에는 이름이 없다.[5][6] 엘사 르로이는 폴이 IFOP 여론 조사 인터뷰를 하는 젊은 프랑스 여성인 "마드무아젤 19앙" 역을 맡았지만, 크레딧에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브리지트 바르도와 앙투안 부르스예는 카페에서 배우와 감독으로, 프랑수아즈 아르디는 미국 장교의 아내로 크레딧 없이 출연했다.[7]

그 외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 에바 브리트 스트란드베리 (스웨덴 영화 속 여자)
  • 빌예르 말름스텐 (스웨덴 영화 속 남자)
  • 엘자 르루아 (19세 소녀)
  • 샹탈 달제 (지하철의 여자)
  • 메도 온도 (지하철의 남자)
  • 도미니크 잘디 (잡지를 읽는 남자)
  • 앙리 아탈

4. 제작

1965년, 아르고스 필름의 대표 아나톨 도르만은 알렉상드르 아스트뤽의 영화 ''크림슨 커튼'' 재편집 및 재개봉과 함께 상영할 중편 영화 제작을 장 뤽 고다르에게 제안하며 기 드 모파상의 단편 소설 ''신호'' 각색을 제안했다. 고다르는 ''신호''를 영화화하고 싶어했고, 다우만은 ''폴의 정부''도 각색할 것을 제안하여 두 소설 판권을 확보했다.[14] 그러나 촬영 시작 후 고다르는 두 소설을 모두 버렸고, 모파상 출판업자들은 영화가 작가 작품을 각색한 것이 아니라는 데 동의했다. 영화 속 두 소설의 유일한 부분은 주인공 이름이 폴이라는 것과, 주인공들이 보러 가는 "영화 속 영화"가 ''신호''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점뿐이다.[14]

고다르는 촬영 대본 없이 전날 저녁에 쓴 아이디어, 스케치, 대화로 채워진 노트를 바탕으로 촬영했다.[14] 1965년 11월 22일 촬영을 시작하여 자연광과 최소 스태프를 사용했다.[14]

원작은 기 드 모파상의 단편 소설 『폴의 연인』(1881년)과 『신호』(1886년)이다. "15개의 명백한 진실 ''15 faits précis''"이라는 부제가 붙은 15개 에피소드로, 1965년 겨울 파리 젊은이들의 모습을 직접 포착한다.

아르고스 필름의 영화 프로듀서 아나톨 도르만은 알랭 레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1959년)을 시작으로, 장 루슈와 에드가 모랑의 『어느 여름의 기록』(1961년), 크리스 마르케르의 『제트의 선착장』(1962년) 등 다큐멘터리/실험 영화 프로듀서였다. 고다르는 시네마 베리테 기법을 사용하고자 했기에 도르만은 적합한 인물이었다.

자크 바라티에 감독이 조감독으로 참여하여 1949년 단편 다큐멘터리 ''Désordre''를 찍은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했다. 바라티에는 베르나르 투블랭-미셸과 공동 감독으로 『''L'Or du duc''』을 찍었고, 두 사람은 『남성·여성』 조감독을 맡았다.

스웨덴과 합작으로, 젊은이 문화와 의식 문제를 다루는 데 스웨덴 영화계 협력이 필수적이었다. 스벤스크 필름인더스트리 사와 샌드류스 사는 성 선진국으로서 소위 "스웨덴 포르노"도 제작했다. 안나 카리나와 고다르가 1964년 설립한 아누슈카 필름의 세 번째 작품이자 첫 합작 영화였다. 아누슈카 필름은 장 유스타슈에게 본 작품 미사용 필름을 제공하여 『산타클로스의 눈은 파랗다』(1966년)를 제작했다.

촬영 감독 윌리 쿠랑은 벨기에 출신으로, 마랑 카르미츠 초기 단편을 여러 편 맡았다. 카르미츠는 1979년 고다르 상업 영화 복귀작 『도망자』 제작 총괄을 맡았던 MK2 그룹 총수이다.

본 작품에서 가장 유명한 인용구는 "이 영화는 '마르크스와 코카콜라의 아이들'이라고 불리고 싶다"이다.

1965년 11월 22일부터 12월 13일까지 파리스톡홀름에서 촬영했다.


  • 감독: 장 뤽 고다르
  • 각본: 기 드 모파상, 장 뤽 고다르
  • 촬영: 윌리 쿠랑
  • 음악: 장 자크 드부
  • 편집: 아녜스 기모
  • 조감독: 자크 바라티에, 베르나르 투블랑-미셸
  • 제작 주임: 필립 뒤사르
  • 프로듀서: 아나톨 도르만
  • 제작 회사: 스벤스크 필름인더스트리(스톡홀름), 아누슈카 필름(파리), 아르고스 필름(동), 상드리유즈(스톡홀름)

4. 1. 캐스팅

장피에르 레오는 『알파빌』, 『미치광이 피에로』에 조연 및 조감독으로 참여한 데 이어 처음으로 주연을 맡아[3] 낭만적인 젊은 이상주의자이자 "사자 워너비"[14] 폴 역을 연기했다.

샹탈 고야는 당시 떠오르는 팝 스타(예예 걸) 마들렌 역을 맡았다.[3] 폴은 바흐를 좋아하는 반면, 마들렌은 정치에 무관심했지만, 둘은 곧 연인 관계가 된다.

말렌 조베르는 마들렌의 룸메이트 엘리자베스 쇼케 역을,[3] 캐서린-이사벨 듀포트는 또 다른 룸메이트 카트린 이자벨 역을 맡았다.[4]

브리지트 바르도와 앙투안 부르스예는 카페에서 배우와 감독으로, 프랑수아즈 아르디는 미국 장교의 아내로 특별 출연했다.[7]

5. 주제

영화는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당시 젊은 세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 청춘과 사랑: 갓 제대한 이상주의자 폴은 가수 마들렌과 사랑에 빠지지만, 이들의 관계는 순탄치 않다. 마들렌은 음반 발매에 더 큰 관심을 쏟고, 폴의 프러포즈를 미룬다.[14]
  • 정치와 사회 참여: 폴은 친구 로베르와 함께 반전 운동에 참여하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청원에 서명한다. 그는 샤를 드골에 반대하는 슬로건을 벽에 칠하는 등 적극적인 정치적 행동을 한다.[14]
  • 대중문화와 소비주의: 마들렌은 RCA 레코드에서 첫 싱글을 발매할 예정이며,[14] 이는 당시 프랑스 사회에 확산되던 대중문화와 소비주의를 보여준다.
  • 실존주의적 고민: 폴은 여론 조사를 하면서 사람들의 답변에 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고 회의를 느낀다.


이 영화는 "마르크스와 코카콜라의 아이들"이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는데,[14] 이는 당시 젊은 세대가 겪었던 이념적 혼란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다.

5. 1. 1960년대 프랑스 사회와 청년 문화

1960년대 프랑스 사회는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었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시기는 1965년 12월 프랑스 대통령 선거 직후로, 샤를 드골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14] 폴이 벽에 드골을 비판하는 슬로건을 스프레이 페인트로 칠하는 장면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한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 여론도 거셌다. 폴과 로버트가 미군 차량에 "베트남 평화"라는 문구를 페인트칠하는 장면, 한 남자가 "베트남 평화"라는 쪽지를 남기고 분신자살을 시도하는 장면 등은 당시 젊은 세대의 반전 의식을 보여준다.[14] 밥 딜런을 "비엣닉"(비트족과 "베트남"의 혼성어)이라고 칭하는 대사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코카콜라로 대표되는 소비문화가 확산되던 때였다.[14] "이 영화는 '마르크스와 코카콜라의 아이들'이라고 불리고 싶다"라는 문구는 이러한 시대적 특징을 드러낸다.

1968년 68혁명 직전의 사회 분위기도 감지된다. 폴과 그의 친구들의 대화, 행동 등에서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심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을 엿볼 수 있다.

5. 2. 정치와 이념

폴은 제대 후 사회에 적응하려는 젊은 이상주의자로, 공산주의에 깊이 공감한다.[14] 그는 친구이자 저널리스트인 로베르를 통해 반전 운동에 참여하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청원에 서명하며, 미군 차량에 "베트남 평화"라는 문구를 페인트칠하기도 한다.[14] 폴은 샤를 드골에 반대하는 슬로건을 벽에 칠하는 등 적극적인 정치 활동을 펼친다.

폴은 잡지사에서 일하기도 하고, IFOP의 여론 조사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한다. 그는 여론 조사를 통해 무의식적인 편견이 사람들의 답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로베르는 노동자를 혁명가로, 노동을 혁명으로 보는 사상을 제시하며, 밥 딜런을 "비엣닉"(베트남과 비트족의 혼성어)이라 칭하는 등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 영화는 "마르크스와 코카콜라의 아이들"이라는 문구로 유명하며,[14] 이는 당시 젊은 세대의 이념적 갈등과 혼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965년 겨울 파리 젊은이들의 모습을 통해 당시 프랑스 사회의 좌파 운동과 정치적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5. 3. 사랑과 젠더

폴과 마들렌은 카페에서 처음 만나 서로에게 끌리지만, 처음에는 마들렌이 폴에게 냉담하게 대한다. 하지만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를 거치면서 둘은 연인 관계로 발전하고, 마들렌은 폴에게 룸메이트 엘리자베스와 친구 카트린을 소개한다.[14] 폴은 마들렌의 음반 발매를 축하하며 프러포즈를 하려 하지만, 마들렌은 음반 발매에 대한 초조함 때문에 나중에 이야기하자고 미룬다.

이후 폴은 마들렌, 엘리자베스, 카트린과 함께 살게 된다. 폴은 여론 조사원으로 일하면서 젊은 여성 엘사를 인터뷰하며 정치, 피임, 사랑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카페에서 폴은 엘리자베스에게 마들렌의 임신 소식을 알리지만, 엘리자베스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마들렌은 폴에게 냉담한 태도를 보이며, 폴은 그녀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영화 속에서 폴과 마들렌의 관계는 당시 프랑스 사회의 젊은이들의 사랑과 젠더 의식을 반영한다. 특히 마들렌은 주체적인 여성상을 보여주며, 이는 당시 프랑스 사회의 여성 해방 운동과 페미니즘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들렌은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폴과의 관계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6. 평가

영화 개봉 당시 프랑스 언론인 조르주 사둘은 이 영화가 젊은이들에게 말을 걸 수 있는 능력을 칭찬했다.[8] 반면 H. 샤피에는 영화의 성적 내용에 대해 비판했지만, 장피에르 레오의 연기를 칭찬했다.[8] 영국의 평론가 톰 밀른은 이 영화를 고다르의 "가장 복잡한 영화"라고 평했고,[8] 미국의 평론가 폴린 케일은 "현대적인 배경 속에서 우아함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드문 성과"라고 말했다.[8] 앤드루 사리스는 "올해의 영화",[8] 주디스 크리스트는 "독창적인 재치와 현대적인 인식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8]

이후 이 영화는 광범위한 비평적 찬사를 받았으며, 종종 고다르의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영화 평점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6%의 긍정도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8.4/10이다. 메타크리틱에서는 14명의 비평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93점을 부여하여 "만장일치 찬사"를 받았다.[10]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의견은 "정치, 대중문화, 그리고 남녀 간의 싸움에 대한 아이디어로 가득한 60년대 타임캡슐, 남성, 여성은 고다르의 고전적인 흑백 영화 중 하나이다"로 요약된다.[9]

제1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이 영화는 청소년에게 적합한 최우수 장편 영화상을 수상했고,[8] 장피에르 레오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은곰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12]

6. 1. 비판적 시각

이 영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평론가들은 영화가 산만하고, 과도한 지적 허세를 부리며, 여성 캐릭터 묘사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슬리 크라우더는 이 영화를 "가장 느슨하고 얼룩덜룩한 종류의 오락"이라고 평가했고,[8] H. 샤피에는 영화의 성적 내용에 대해 비판했다.[8]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영화 속 일부 장면이나 대사는 현재의 시각으로는 부적절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7. 영향

Masculin, féminin프랑스어은 영화,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남겼다. 특히 누벨바그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서 영화 미학과 기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화 속 대사, 장면, 스타일 등은 이후 다른 작품에서 오마주되거나 차용되었다. 예를 들어, 영화 중간에 삽입된 "이 영화는 '마르크스와 코카콜라의 아이들'이라고 불리고 싶다"라는 문구는 유명한 인용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14]

Masculin, féminin프랑스어은 젊은 세대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1967년 마오이스트이자 시네필 청년 장-피에르 고랭과의 만남으로 이어졌다. 또한, 『중국 여인』 (1967년)과 『즐거운 지식』 (1968년) 등 젊은 세대만을 위한 영화로 발전하였고, 마오쩌둥주의에 대한 사상적 경도와 시네마 베리테를 근본으로 한 영상 제작 그룹 "지가 베르토프 집단" (1968년 - 1972년)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8. 한국에서의 수용

Masculin, féminin프랑스어은 1966년 대한민국에서 개봉되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1968년 7월 20일에 일반 공개되었다.[13] 1966년 5월 7일,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에서 Masculin, féminin프랑스어 특별 상영회가 열려 일본 영화 펜클럽 회원, 일본 영화 감독 협회 회원, 일본 시나리오 작가 협회 회원 등이 참석했다. 상영 후에는 장뤼크 고다르 감독이 직접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으며, 이와사키 치카라가 통역을 맡았다.[17][18] 1966년 10월 11일부터 19일까지 열린 제4회 프랑스 영화제에서도 Masculin, féminin프랑스어이 상영되었다.[19][20]

참조

[1] 웹사이트 Masculin Feminin – Box Office Brigitte Bardot 1966 http://www.boxoffice[...] 2014-03-09
[2] 뉴스 Eternally 'Masculine, Feminine' https://www.washingt[...] 2005-03-25
[3] 웹사이트 "'Masculin féminin': The Young Man for All Times"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2005-09-20
[4] 서적 A World History of Film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5] 서적 Godard au Travail: les années 60 Cahiers du Cinéma
[6] 뉴스 Mort de l'acteur Yves Afonso : les films marquants d'une belle gueule de cinéma https://www.lefigaro[...] 2018-01-22
[7] 웹사이트 Masculin féminin and French Youth Fashion https://exhibitions.[...] The Museum at FIT 2017-03-03
[8] 웹사이트 Godard on "Masculine Feminine" http://www.rialtopic[...] Rialto Pictures
[9] 웹사이트 Masculine-Feminine https://www.rottento[...]
[10] 웹사이트 Masculine Feminine https://www.metacrit[...]
[11] 웹사이트 Cannes Classics 2016 http://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16-04-20
[12] 웹사이트 Prizes & Honours 1966 http://www.berlinal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3] IMDb Masculin féminin
[14] 문서 訳注:「ライオンになりたい(''lion-wannabe'')」=「レオ(''leo'')、子ライオンの意」と同発音の「レオ(''Léaud'')」とをかけている。英語版Wikipedia筆者のシャレと思われる。#解説の基調は、英語版Wikipedia「:en:Masculin, féminin」の項の記述の和訳である。
[15] 간행물 柴田駿、白井佳夫「ゴダール監督の日本の10日間」 『キネマ旬報』1966年6月上旬号、50-54頁。
[16] 간행물 『映画評論』1966年7月号、7頁、「日本にやってきたゴダール」。
[17] 간행물 柴田駿、白井佳夫「ゴダール監督の日本の10日間」 『キネマ旬報』1966年6月上旬号、50-54頁。
[18] 간행물 『映画評論』1966年7月号、68-72頁、「ゴダールへの質問状」。
[19] 간행물 『映画評論』1966年11月号、8-10頁、「秋は映画祭でオオ忙がし」。
[20] 간행물 『映画情報』1966年11月号、国際情報社、「フランス映画の粋を集めて 第4回フランス映画祭の参加作品」。
[21] 웹사이트 Masculin Féminin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9-19
[22] 웹사이트 Masculin Féminin Reviews https://www.metacrit[...] CBSインタラクティブ 2022-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