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너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2인칭 대명사이다. 한국어에서는 주격 조사 '가'와 결합 시 '네가' 또는 '니가'로 변형되어 사용되며, 영어에서는 주격, 대격, 소유격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영어 'you'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는 형태가 있었으나 현대 영어에서는 통합되었다. 일본어 'あなた'는 2인칭 대명사로, 존칭의 의미를 가지며, 지시어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칭 대명사 -
    나는 화자 자신을 지칭하는 1인칭 대명사로, 문장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식의 시작점,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구분과 관련된 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한국어 문법 - 어미
    어미는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단어 끝에 붙어 문법 기능을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하는 형태소이며, 한국어에서는 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등으로 나뉘고, 창작물에서는 캐릭터 어미로 활용되기도 한다.
  • 한국어 문법 - 적 (접미사)
    '적(的)'은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접미사로, 각 언어에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고 어휘 의미를 확장하며, 한국어에서는 한자어에 붙어 성격, 관계, 상태 등을 나타낸다.
일반 정보
품사대명사
지칭 대상듣는 사람, 화자의 대화 상대방
언어한국어
의미 및 용법
존칭 여부반말 (낮춤말)
사용 맥락친한 사이
아랫사람
격식을 차리지 않는 상황
높임 표현당신
-님
-요
비표준어니 (전라도 사투리)
문법적 특징
주격 조사 결합"네" (니 + 가)
목적격 조사 결합"너를" (니 + 를)
관형격 조사 결합"너의" (니 + 의)
호격 조사 결합"너야" (니 + 야)
활용 예시
예시 문장너 밥 먹었니?
참고 표현자네
그대
기타
어원'너'는 중세 한국어 '너'에서 유래
관련 단어
우리
저희

너희
당신

2. 한국어

'너'는 의 반대말로, 2인칭 인물을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아내가 남편을 부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31]

최근에는 수평적 관계를 지향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너'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름 뒤에 '~님'을 붙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

2. 1. 문법

표준 한국어 문법에서는 '너' 뒤에 주격 조사 '가'가 붙는 경우, '너'를 '네'로 바꾸어 '네가'라고 쓴다. 이 경우 이인칭 '네'와 일인칭 '내'의 발음 구분이 어려워 '네가'를 '니가'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실생활에서는 불규칙 변화를 적용하지 않고 '너가'라고 쓰기도 한다.

2. 2. 형태

표준 한국어 문법에서는 '너' 뒤에 주격 조사 '가'가 붙는 경우, '너'를 '네'로 바꾸어 '네가'라고 쓴다. 이 경우 이인칭 '네'와 일인칭 '내'의 발음 구분이 어려워 '네가'를 '니가'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실생활에서는 불규칙 변화를 적용하지 않고 '너가'라고 쓰기도 한다.

2. 3. 존칭

표준 한국어 문법에서는 '너' 뒤에 주격 조사 '가'가 붙는 경우, '너'를 '네'로 바꾸어 '네가'라고 쓴다. 이 경우 2인칭 '네'와 1인칭 '내'의 발음 구분이 어려워 '네가'를 '니가'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실생활에서는 불규칙 변화를 적용하지 않고 '너가'라고 쓰기도 한다.[31]

'너'는 2인칭 인물을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이며, 의 반대말이다. 아내가 남편을 부르는 경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31]

최근에는 수평적 관계를 지향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너'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름 뒤에 '~님'을 붙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

3. 영어

영어에서 'you'는 2인칭 대명사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You'는 게르만 조어의 지시 대명사 어근 , 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인도유럽 조어의 *'''' (2인칭 복수 대명사)에서 기원한다.[1] 고대 영어에는 2인칭 단수, 2인칭 이중수, 2인칭 복수 대명사가 있었으나, 중세 영어를 거치면서 이중수는 사라지고 단수도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3]

초기 현대 영어에서는 복수형 ''''와 단수형 ''''를 구분했는데, 당시 영어에도 T–V 구별이 있어서 복수형이 더 존칭적이고 공손하게 사용되었으며 낯선 사람이나 상류층에게 사용되었다.[3]

표준 현대 영어에서 ''you''는 다섯 가지 형태를 갖는다.[5]


  • ''you'': 주격 (주어) 및 대격 (목적어) 형태
  • ''your'': 의존적인 소유격 (소유) 형태
  • ''yours'': 독립적인 소유격 (소유) 형태
  • ''yourselves'': 복수 재귀 형태
  • ''yourself'': 단수 재귀 형태


'you'는 의미상 단수일 때조차 거의 항상 복수 동사와 일치한다.

'You'는 일반적으로 청자를 가리키며, 의인화된 대상이나 불특정 다수를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25] 1인칭으로 사용될 때는 혼잣말을 할 때 흔하며,[28][29] 3인칭으로는 불특정 다수를 지칭하는 'one'의 대안으로 사용된다.[30]

3. 1. 역사

'You'는 게르만 조어의 지시 대명사 어근 , 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인도유럽 조어의 *'''' (2인칭 복수 대명사)에서 기원한다.[1] 고대 영어에는 2인칭 단수, 2인칭 이중수, 2인칭 복수 대명사가 있었다. 이중수 형태는 12세기까지 소멸되었고,[2] 단수 형태는 1600년대 초까지 소멸되었다.[3] 그 발전 과정은 다음 표에 나타나 있다.[2]

고대 영어, 중세 영어, 현대 영어의 2인칭 대명사
단수이중수복수
고대 영어중세 영어현대 영어고대 영어중세 영어현대 영어고대 영어중세 영어현대 영어
주격þu|투angþu|투enmrowspan="4" |ġit|이트angcolspan="2" rowspan="4" |ġe|예angȝē|예enmyou
대격þe|테angþē|테enminc|잉크angēow|에오우angȝou|유enm
여격
소유격þīn|틴angþī(n)|티(인)enmincer|잉케르angēower|에오웨르angȝour(es)|유어(즈)enmyour(s)



초기 현대 영어에서는 복수형 ''''와 단수형 ''''를 구분했다. 다른 많은 유럽 언어와 마찬가지로, 당시 영어에도 T–V 구별이 있어서 복수형이 더 존칭적이고 공손하게 사용되었고, 낯선 사람이나 사회적 상류층에게 사용되었다.[3] 이러한 구별은 결국 친밀한 의미의 ''thou''가 현대 영어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일부 영어 방언에서는 여전히 남아 있다.

''Yourself''는 14세기 초에 발전했고, 복수형 ''yourselves''는 1520년부터 증명되었다.[4]

3. 2. 형태

표준 현대 영어에서 ''you''는 여섯 개의 개별적인 단어 형태를 나타내는 다섯 가지 형태를 가진다.[5]

  • ''you'': 주격 (주어) 및 대격 (목적어) 형태
  • ''your'': 의존적인 소유격 (소유) 형태
  • ''yours'': 독립적인 소유격 (소유) 형태
  • ''yourselves'': 복수 재귀 형태
  • ''yourself'': 단수 재귀 형태


"너"는 의미상 단수일 때조차 거의 항상 복수 동사 일치를 유발한다.

3. 3. 의미

'너'는 일반적으로 청자를 가리키며, 의인화된 대상이나 불특정 다수를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25] 예를 들어 자동차에게 ''"왜 시동이 안 걸리니?"''와 같이 말할 수 있다. 1인칭으로 사용될 때는 혼잣말을 할 때 흔히 사용된다.[28][29] 3인칭으로 사용될 때는 불특정 다수를 지칭하는 'one'의 대안으로 사용된다.[30] 예를 들어, "''One''은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대신 "''You''는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4. 일본어

일본어에서 '너'에 해당하는 단어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상황과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あなた'는 2인칭 대명사로 쓰이거나 '저쪽'을 의미하는 지시어로 사용되기도 한다.[1]

4. 1. 2인칭 대명사 'あなた'

2인칭 인물을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이며, 의 반대말이다. 아내남편을 부르는 경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31] '키미'보다 존경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남성에 대해서는 '貴男(귀남)', 여성에 대해서는 '貴女(귀녀)'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소치'라고 불렸다. 일본어에서는 윗사람에게 'あなた(아나타)'라고 부르는 것은 실례가 되며, 일본어 교원은 아시아 여러 나라의 일본어 학습자에게 이 사실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32]

4. 2. 지시어 'あなた'

'あなた(아나타)'는 '저쪽'을 의미하는 지시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쪽을 의미하는 'こっち(콧치)' 또는 'こなた(코나타)'의 반대어이다.[1] 독일시인 카를 부세의 Über den Bergende을 우에다 빈이 번역한 「산의 당신」은 명번역으로 꼽힌다.[1] 이 번역문은 1899년에 출판된 『해조음』에 폴 베를렌의 Chanson d'Automne프랑스어 (번역문에서는 「낙엽」.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암호로 BBC에서 방송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의 번역문 등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it https://www.etymonli[...] 2021-03-20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Volume II 1066–1476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hee https://www.etymonli[...] 2021-03-29
[4] 웹사이트 yourselves https://www.etymonli[...] 2021-03-29
[5]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Volume III 1476–1776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뉴스 'You-guys': It riles Miss Manners and other purists, but for most it adds color to language landscape https://archive.seat[...] The Seattle Times 2007-03-30
[8] 서적 The Lesser-Known Varieties of English: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학술지 Another View of You Guys
[10] 서적 Language: Its Structure and Use Wadsworth Publishing Co Inc
[11] 서적 Further Studies in the Lesser-Known Varieties of Englis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Expressions https://theaussieeng[...]
[13] 서적 Dictionary of Caribbean English Usage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Press 2003
[14] 웹사이트 Dictionary of Trinidad and Tobago https://cguillaumme.[...]
[15] 서적 A Dictionary of Hiberno-English Gill & Macmillan
[16] 서적 Personal Pronouns in Present-Day Englis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Varieties of English: The British Isles Mouton de Gruyter
[18] 서적 Diachronic Perspectives on Address Term System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 웹사이트 Pluralising 'you' to 'youse' https://www.macquari[...] 2013-08-30
[20] 웹사이트 My sweet http://www.philly.co[...] Philadelphia Inquirer 2008-02-03
[21] 웹사이트 Here's hoping all youse enjoy this https://www.chicagot[...] 2017-02-06
[22] 서적 Appalachian folkway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Personal Pronouns in the Germanic Languages: A Study of Personal Morphology and Change in the Germanic Languages from the First Records to the Present Day Walter de Gruyter & Co.
[24] 서적 English History, Diversity and Change Routledge
[25] 웹사이트 you, pron., adj., and n. https://www.oed.com/[...]
[26] 서적 Alphabet Juice: The Energies, Gists, and Spirits of Letters, Word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ir Roots, Bones, Innards, Piths, Pips, and Secret Parts, Tinctures, Tonics, and Essences; With Examples of Their Usage Foul and Savory https://books.google[...] Sarah Crichton Books
[27] 서적 Shakespearean Inside: A Study of the Complete Soliloquies and Solo Asides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Ltd
[28] 학술지 A description of self-talk in exercise 2001-10
[29] 학술지 The inner speech of behavioral regulation: Intentions and task performance strengthen when you talk to yourself as a You: Self-talk person and self-regulation 2014-10
[30] 서적 Garner's Modern English Us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31] 웹사이트 あ‐な‐た【貴=方】 の解説 https://dictionary.g[...] goo辞書
[32] 서적 ニホン英語は世界で通じる 平凡社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