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만 (아일랜드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만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문헌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타인 보 컬린게와 브레슬레흐 마이게 무이르템네와 같은 서사시에서 네만은 군대를 혼란에 빠뜨려 아군끼리 서로 죽이게 만드는 존재로 묘사되며, 단 하나의 전투 함성으로 100명의 남자를 죽일 수 있는 강력한 여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코르마크의 용어집과 렌스터의 서에 따르면 네만은 전쟁의 신 네이트의 아내로 언급되며, 페아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네만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며, '독', '적', 또는 '위대한 탈취자'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추정된다.

2. 문학 속 묘사

타인 보 컬린게 등 아일랜드 서사시에 나타난 네만은 군대를 혼란에 빠뜨려 아군끼리 서로 죽이게 만드는 강력한 존재이다.[1] 네만은 단 한 번의 전투 함성으로 100명의 남자를 죽일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닌 여신으로 묘사된다.[1]

2. 1. 타인 보 컬린게

타인 보 컬린게라는 아일랜드 서사시에서 네만은 군대를 혼란에 빠뜨려 아군들이 서로 죽이게 만든다.[1] 메브 여왕의 군대가 현재 롱포드 카운티의 마그-트레감에 도착하여 컬린게로 가는 길에 네만이 그들 앞에 나타난다.[1]

> "그때 네만이 그들을 공격했고, 거인 두브타흐가 잠결에 내는 소란 때문에 그들에게 가장 편안한 밤은 아니었다. 군대는 즉시 놀랐고, 혼란에 빠졌으며, 메브가 혼란을 막으러 갈 때까지 서로에게 피해를 입혔다."[1]

"브레슬레흐 마이게 무이르템네"라는 다른 구절에서는 쿠 훌린이 울라드 경계 안에 적대적인 남서부 군대가 진을 치고 있는 것을 보고 격노하는 끔찍한 묘사가 나온다. (Book of Leinster, fol.54, a2, and b1) 네만은 매우 강력한 아일랜드 여신으로, 단 한 번의 전투 함성으로 100명의 남자를 죽일 수 있다고 묘사된다.[1]

> "그는 저녁 구름이 드리우기 전 에리우의 네 개의 큰 지방 머리 위로 빛나는 밝은 황금 무기의 열렬한 빛을 보았다. 그는 그들을 보고, 적들의 수와 그들의 다수에 큰 분노와 분개를 느꼈다. 그는 두 개의 창과 방패와 검을 잡고 목에서 전사의 함성을 질렀는데, 요정, 사티로스, 계곡의 미치광이, 그리고 하늘의 악마들이 그가 높이 올린 외침에 공포에 질려 응답했다. 그리고 네만이 군대를 혼란에 빠뜨렸고, 에리우의 네 개의 지방이 자신의 창과 무기의 칼날에 부딪혀 그날 밤 요새와 야영지 한가운데서 백 명의 전사가 두려움과 떨림으로 죽었다."[1]

2. 2. 브레슬레흐 마이게 무이르템네

타인 보 컬린게라는 아일랜드 서사시에서 네만은 군대를 혼란에 빠뜨려 아군끼리 서로 죽이게 만든다. 메브 여왕의 군대가 현재 롱포드 카운티의 마그-트레감에 도착하여 컬린게로 가는 길에 네만이 그들 앞에 나타난다.[1]

> "그때 네만이 그들을 공격했고, 거인 두브타흐가 잠결에 내는 소란 때문에 그들에게 가장 편안한 밤은 아니었다. 군대는 즉시 놀랐고, 혼란에 빠졌으며, 메브가 혼란을 막으러 갈 때까지 서로 뒤엉켰다."[1]

"브레슬레흐 마이게 무이르템네"라고 불리는 또 다른 구절에는 쿠 훌린이 울라드 경계 안에 적대적인 남서부 군대가 진을 치고 있는 것을 보고 격노하는 끔찍한 묘사가 나온다. 여기서 네만은 매우 강력한 아일랜드 여신으로, 단 한 번의 전투 함성으로 100명의 남자를 죽일 수 있다고 묘사된다.[2]

> "쿠 훌린은 저녁 구름이 드리우기 전 에리우의 네 개의 큰 지방 머리 위로 빛나는 밝은 황금 무기의 열렬한 빛을 보았다. 그는 그들을 보고, 적들의 수와 그들의 다수에 큰 분노와 분개를 느꼈다. 그는 두 개의 창과 방패, 검을 잡고 목에서 전사의 함성을 질렀는데, 요정, 사티로스, 계곡의 미치광이, 그리고 하늘의 악마들이 그가 높이 올린 외침에 공포에 질려 응답했다. 그리고 네만이 군대를 혼란에 빠뜨렸고, 에리우의 네 개 지방은 자신의 창과 무기의 칼날에 부딪혀 그날 밤 요새와 야영지 한가운데서 백 명의 전사가 두려움과 떨림으로 죽었다."[2]

3. 가계

코르마크의 용어집에서는 네만이 "이교도 게일의 전쟁의 신"인 네이트의 아내라고 기록되어 있다. 렌스터의 서에 실린 시에서는 바드브와 네만이 네이트의 아내로 묘사된다. 같은 필사본의 다른 구절에서는 페아와 네만이 네이트의 두 아내라고 언급되지만, "템플모어 조례 회고록"에 실린 딘센차스의 앨레크 관련 시에서는 네이트의 아내로 네만만 언급된다.

아일랜드 족보 책에서는 페아와 네만이 모두 브루의 엘크마르(뉴그레인지, 보인 강 근처)의 딸이며, 델바에스의 아들 오그마의 손녀이자 엘라탄의 증손녀, 인데의 고손녀라는 동일한 친족 관계를 가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둘이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딘센차스에서 네만은 "전쟁의 상처"를 입은 자, 네이트는 "법을 제정하는 아내"로 묘사된다.

3. 1. 코르마크의 용어집

코르마크의 용어집에 따르면, 네만은 "이교도 게일의 전쟁의 신"인 네이트의 아내였다고 한다.

렌스터의 서에 실린 시(fol. 6, a2)는 바드브와 네만을 네드 또는 네이트의 아내로 묘사한다.[1]

> "인두의 아들 네이트와 그의 두 아내,[2]

> 바드브와 네민, 진실로,[3]

> 포모르족의 넵투르에 의해 앨레크에서 흠 없이 살해되었다."[4]

같은 필사본의 5절 a2에서 '''페아'''와 네만은 네이트의 두 아내라고 하지만,[5] "템플모어 조례 회고록"(226쪽)에 실린 딘센차스에서 인쇄된 앨레크에 관한 시에서는 네이트의 아내로 네만만 언급되어 있다.[6] 아일랜드 족보 책에서 페아와 네만은 모두 브루의 엘크마르(뉴그레인지, 보인 강 근처)의 두 딸이라고 한다.[7] 엘크마르는 델바에스의 아들이고, 델바에스는 오그마의 아들이며, 오그마는 엘라탄의 아들이고, 네이트는 인데의 아들이다.[8] 페아와 네만이 동일한 친족 관계라는 것은 둘이 동일 인물임을 암시한다.[9]

딘센차스에서 네만은 "전쟁의 상처"를 입은 자로 묘사되며,[10] 네이트의 "법을 제정하는 아내"로 묘사된다.[11]

3. 2. 렌스터의 서

렌스터의 서에 실린 시(fol. 6, a2)는 바드브와 네만을 네드 또는 네이트의 아내로 묘사한다.

> "인두의 아들 네이트와 그의 두 아내,

> 바드브와 네민, 진실로,

> 포모르족의 넵투르에 의해 앨레크에서 흠 없이 살해되었다."

같은 필사본의 5절 a2에서 '''페아'''와 네만은 네이트의 두 아내라고 하지만, "템플모어 조례 회고록"(226쪽)에 실린 딘센차스에서 인쇄된 앨레크에 관한 시에서는 네이트의 아내로 네만만 언급되어 있다. 또한, 아일랜드 족보 책에서 페아와 네만은 모두 브루의 엘크마르(뉴그레인지, 보인 강 근처)의 두 딸이라고 한다. 엘크마르는 델바에스의 아들이고, 델바에스는 오그마의 아들이며, 오그마는 엘라탄의 아들이고, 네이트는 인데의 아들이다. 페아와 네만이 동일한 친족 관계라는 것은 둘이 동일 인물임을 암시한다.

3. 3. 딘센차스

코르마크의 용어집에 따르면, 네만은 "이교도 게일의 전쟁의 신"인 네이트의 아내였다.[1]

렌스터의 서에 실린 시(fol. 6, a2)는 바드브와 네만을 네드 또는 네이트의 아내로 묘사한다.[1]

> "인두의 아들 네이트와 그의 두 아내,[1]

> 바드브와 네민, 진실로,[1]

> 포모르족의 넵투르에 의해 앨레크에서 흠 없이 살해되었다."[1]

같은 필사본의 5절 a2에서 '''페아'''와 네만은 네이트의 두 아내라고 하지만, "템플모어 조례 회고록"(226쪽)에 실린 딘센차스에서 인쇄된 앨레크에 관한 시에서는 네이트의 아내로 네만만 언급되어 있다.[1] 아일랜드 족보 책에서 페아와 네만은 모두 브루의 엘크마르(뉴그레인지, 보인 강 근처)의 두 딸이며, 델바에스의 아들 오그마의 손녀이자 엘라탄의 증손녀, 인데의 고손녀라는 동일한 친족 관계를 가진다.[1] 이는 둘이 동일 인물임을 암시한다.[1]

딘센차스에서 네만은 "전쟁의 상처"를 입은 자로 묘사되며, 네이트의 "법을 제정하는 아내"로 묘사된다.[4]

4. 어원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네만의 이름은 ''Nemon ~ Nemain ~ Neman''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이 단어의 원시 켈트어 형태가 *''Nemānjā'', *''Nemani-s'' 또는 *''Nemoni-s''였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름의 의미는 '독이 있는', '적', '붙잡다, 가져가다, 처리하다' 등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으며, 이는 그리스 신화의 네메시스와 같은 다른 신화 속 존재들과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4. 1. 어원 해석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그녀의 이름은 ''Nemon ~ Nemain ~ Neman'' 형태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형은 이 단계에 테오님(theonym)이 존재했다면, 이 테오님의 원시 켈트어 형태가 *''Nemānjā'', *''Nemani-s'' 또는 *''Nemoni-s''였을 것임을 보여준다.

이 이름의 의미는 여러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스콰이어(Squire, 2000:45)는 이 이름을 '독이 있는'으로 해석했는데, 이는 아마도 원시 켈트어 *''nemi-'' '독의 복용량', '처리되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 *''nem-'' '처리하다' (고대 아일랜드어 ''nem'', 복수 ''neimi'' '독')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nemi-''는 분명히 ''i'' 어간 명사이지만, 재구성된 형태 *''Nemā-njā'', *''Nema-ni-s'' 및 *''Nemo-ni-s''의 어간은 각각 ''a'' 어간과 ''o'' 어간 명사이다.

마찬가지로, 원시 켈트어 ''*nāmant-'' '적'(아일랜드어 ''námhaid'', 속격 ''namhad'' '적', 고대 아일랜드어 ''náma'', g. ''námat'', 복수형 n. ''námait'')는 *''Nemānjā'', *''Nemani-s'' 또는 *''Nemoni-s''와 형태가 너무 달라서 그 어떤 것과도 동일시될 수 없다.

이 이름은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 ''*nem-'' '붙잡다, 가져가다, 처리하다'의 확장된 형태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어 ''Némesis'' '분노, 응보'와 네메시스의 이름과 관련이 있으며, 네메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보복적 정의의 의인화이다. 이는 관습 또는 법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노모스(Nomos)와 관련이 있으며, 나누다, 분배하다, 할당하다는 의미도 있다.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는 고대 고지 독일어 ''nâma'' '강탈', 독일어 ''nehmen'', '가져가다', 영어 ''nimble''; 아베스타어 ''nemanh'' '범죄', 알바니아어 ''name'' '저주' 및 웨일스어, 콘월어, 브르타뉴어 ''nam'' '비난'과 관련이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위대한 탈취자' 또는 '위대한 할당자'와 같은 의미를 가질 것이다.

참조

[1] 서적 Foclóir Gaeḋilge agus Béarla: an Irish–English dictionary, being a thesaurus of the words, phrases and idioms of the modern Irish language Irish Texts Society
[2]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3] 서적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4]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Syracuse University Press
[5]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 문서 "Ailech II" https://celt.ucc.ie/[...]
[7] 문서 『神の文化史事典』
[8] 문서 『世界の神々の事典』
[9] 문서 『虚空の神々』
[10] 문서 『世界女神大事典』
[11] 문서 『西洋神名事典』
[12] 문서 『虚空の神々』
[13] 문서 『ケルト神話』
[14] 문서 『虚空の神々』
[15] 문서 『ケルト』
[16] 문서 『ケルト神話』
[17]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18] 서적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Press
[19]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20]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