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민신문은 1964년 농협중앙회 기관지로 주간 《농협신문》으로 창간되어, 1976년 현재의 제호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농업 관련 일간 신문이다. 2016년 일반 일간신문으로 종별이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NBS 한국농업방송 TV를 개국했다. 2020년 기준 발행 부수는 43만 부이며 유료 부수는 42만 부를 넘어섰다. 주 3회(월, 수, 금) 발행되며, 16~24면으로 구성된다. 자매지로는 어린이동산, 전원생활, 디지털농업, 월간축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창간 - 더 선
더 선은 1964년 창간되어 루퍼트 머독 인수 후 타블로이드로 변모한 영국의 대중지로, 여러 논란과 정치적 지지 변경, 선정적 보도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영국 총선과 국민투표에 영향력을 행사해왔고, '3면' 누드 모델 게재 중단 및 발행 부수 감소를 겪고 있다. - 1964년 창간 - 한국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은 1963년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창달을 사시로 하며, 한국경제TV, 한경닷컴 등 다양한 계열사를 통해 미디어 사업을 펼치고 주 6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 농협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 농협 -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은 1969년 한보증권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사명 변경을 거쳐 2015년 NH농협증권과 합병하여 출범한 대한민국의 증권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신문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신문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농민신문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간행 주기 | 일간(월‧수‧금 격일 발행) |
종류 | 농업 |
판형 | 타블로이드배판 |
창간일 | 1964년 8월 15일 |
발행인 | 이성희 |
발행 법인 | 농민신문사 |
가격 | 1부 500원 |
발행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독립문로 59 (냉천동) |
웹사이트 | 농민신문 |
2. 역사
1964년 농협중앙회 기관지로 주간 《농협신문》이 창간되었고, 1976년 《농민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했다. 1982년 4월 사단법인 농민신문사가 설립되었다. 이후 발행 횟수와 지면을 증면하고, 가로쓰기 발행, 인터넷 신문 개통 등 여러 변화를 거쳤다.[1]
2. 1. 창간과 제호 변경
농협중앙회 기관지로 1964년 주간 《농협신문》이 창간되었다.[1] 1976년 《농민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하였다.[1] 1977년 8면으로 증면되었고,[1] 1978년 발행 부수 100만 부를 돌파하였다.[1] 1982년 4월, 사단법인 농민신문사가 설립되었다.[1]2. 2. 발행 혁신
연도 | 사건 |
---|---|
1964년 | 농협중앙회 기관지로 주간 《농협신문》 창간[1] |
1976년 | 《농민신문》으로 제호 변경[1] |
1977년 | 8면 증면[1] |
1978년 | 100만부 돌파[1] |
1982년 4월 | 사단법인 농민신문사 설립[1] |
1983년 | 12면 증면[1] |
1988년 1월 | 주 2회 발행[1] |
1991년 7월 | 주 3회 발행[1] |
1993년 | 16면 증면[1] |
1997년 5월 | 가로쓰기 발행[1] |
1997년 12월 | 인터넷 농민신문 개통(www.nongmin.com)[1] |
2015년 11월 | 지령 5000호 돌파[1] |
2016년 | 20~24면 증면[1] |
2016년 11월 | 일반 일간신문으로 종별 변경[1] |
2018년 8월 15일 | NBS 한국농업방송 TV 개국[1] |
2. 3. 최근 동향
농민신문은 2015년 11월에 지령 5000호를 돌파했으며,[1] 2016년에는 20~24면으로 증면하고 일반 일간신문으로 종별을 변경했다.[1] 2018년 8월 15일에는 NBS 한국농업방송 TV를 개국했다.[1]3. 발행 부수
한국ABC협회가 2020년 발행·유료 부수 현황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농민신문은 43만 부의 공식 발행 부수를 기록했으며, 유료부수는 42만 부가 넘는다.[1] 이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에 이어 5번째로 많은 유료부수이다.[1] 한국경제, 한겨레, 문화일보, 한국일보, 경향신문 등이 그 뒤를 이었다.[1]
4. 지면
5. 자매지
- 어린이동산
- 전원생활
- 디지털농업
- 월간축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