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단은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1956년 영국과 이집트로부터 독립했다. 2011년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여 현재의 영토를 갖게 되었으며, 아랍 문화와 이슬람교가 주요 문화적 특징을 이룬다. 1969년 쿠데타 이후 군부 독재와 민주화 운동을 겪었으며, 2019년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 축출 이후 과도 정부를 수립했으나, 2021년 쿠데타로 다시 군부가 권력을 장악했다. 2023년에는 내전이 발발하여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고 있으며, 경제는 농업, 목축업, 석유 생산에 의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 국가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이슬람 국가 - 카타르
    카타르는 아라비아 반도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무역과 진주 채취로 번성하다가 1971년 독립하여 풍부한 천연가스를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고, 2022년 FIFA 월드컵을 개최한 국가이다.
  • 아랍 연맹 회원국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 연맹 회원국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 아랍 연맹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 연맹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수단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수단 위치
수단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수단 공화국
현지 명칭아랍어: (Jumhūriyyat as-Sūdān)
영어: Republic of the Sudan
수단 국기
수단 국기
수단 국장
수단 국장
국가 표어(an-Naṣr lanā, "승리는 우리 것이다")
국가 (국가)(Naḥnu jund Allah, jund al-waṭan, "우리는 하느님의 군대, 조국의 군대")
수도하르툼
임시 수도포트수단
최대 도시하르툼
공용어아랍어
영어
면적1,886,068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15위
인구 (추정)50,467,278명 (2024년)
인구 순위30위
인구 밀도21.3 명/제곱킬로미터
인구 밀도 순위202위
통화수단 파운드
통화 코드SDG
시간대중앙 아프리카 시간 (CAT)
UTC 오프셋+2
차량 통행 방향오른쪽
국제 전화 코드+249
ISO 3166 코드SD
국가 도메인.sd
.سودان
주민수단인
정치
정부 형태연방 공화국 (현재 군사 정권)
국가 원수주권 평의회
국가 원수 (직함)의장
국가 원수 (이름)압델 파타 알부르한 (의장)
말리크 아가르 (부의장)
정부 수반총리
정부 수반 (이름)오스만 후세인(대행)
입법부공석
민족
민족 구성70% 수단 아랍인
5.9% 베자족
2.5% 누바족
2% 푸르족
2% 이집트인
1.3% 누비아인
16.3% 기타
종교
종교97% 수단 이슬람 (수니파)
1.5% 수단 기독교
1.5% 전통 아프리카 종교
0.9% 기타
경제
GDP (PPP)1,726억 5,100만 달러 (2023년)
GDP (PPP) 순위71위
1인당 GDP (PPP)3,604 달러 (2023년)
1인당 GDP (PPP) 순위151위
명목 GDP255억 6,900만 달러 (2023년)
명목 GDP 순위96위
1인당 명목 GDP533 달러 (2023년)
1인당 명목 GDP 순위171위
지니 계수34.2 (2014년)
인간 개발 지수0.516 (2022년)
인간 개발 지수 순위170위
역사
국가 형성케르마 문화 (기원전 2500년)
쿠시 왕국 (기원전 1070년)
마쿠리아, 노바티아, 알로디아 (기원후 350년경)
툰주르 왕국, 푼지 술탄국, 다르푸르 술탄국 (기원후 1500년경)
투르크-이집트 수단 (1820년)
마흐디스트 국가 (1885년)
영국-이집트 수단 (1899년)
수단 독립 (1956년 1월 1일)
수단 민주 공화국 (1969년 5월 25일)
수단 공화국 (1985-2019) (1985년 4월 6일)
남수단 분리 (2011년 7월 9일)
수단 혁명 (2018년 12월 19일)
2019년 헌법 초안 선언 발효 (2019년 8월 20일)

2. 역사

기원전 5세기경, 이집트와 블레미스(Blemmyes)사이의 완충지대로 메로에를 지원했다. 기원후 350년 경, 아비시니아의 군대가 메로에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수단지역 최초의 독립왕국이 붕괴했다. 18세기에 영국·이집트의 공동관리라는 명분하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2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11년 만인 1956년 영국이집트로부터 독립했다.

2011년 1월 9일에서 15일까지 남수단의 독립을 위해 수단 전체 국민 투표를 하여 99.8%의 찬성을 얻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9일 수단에서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였다. 그러나 남수단의 석유지대, 남북 수단의 종교 갈등 등 여러 정치적 문제 및 경제적 이권 때문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1956년 1월 1일 독립 기념식에서 이스마일 알아자리 수상이 반대파 지도자 모하메드 아메드 알마주브의 참석하에 수단 국기를 게양하는 모습.


투표 과정을 거쳐 민주적인 의회가 구성되었고, 이스마일 알아자리가 초대 수상으로 선출되어 최초의 현대 수단 정부를 이끌었다.[63] 1956년 1월 1일, 인민궁전에서 열린 특별 기념식에서 이집트와 영국의 국기가 내려오고, 녹색, 파란색, 노란색 줄무늬로 구성된 새로운 수단 국기가 수상 이스마일 알아자리에 의해 게양되었다.

불만이 고조되어 1969년 5월 25일 쿠데타가 발생했다. 쿠데타 지도자인 가파르 니메이리 대령이 수상이 되었고, 새로운 정권은 의회를 폐지하고 모든 정당을 불법화했다. 집권 군부 연합 내 마르크스주의자와 비마르크스주의자 사이의 분쟁은 1971년 7월 짧게 성공한 쿠데타로 이어졌고, 이는 수단 공산당이 주도했다. 며칠 후, 반공산주의 군부 세력이 니메이리의 권력을 복원했다.

1971년 수단 쿠데타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으로 남북 내전이 종식되고 일정 수준의 자치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내전이 10년간 중단되었지만, 종글레이 운하 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투자가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상부 나일 지역 관개 및 환경 재앙과 대규모 기근을 예방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딘카 부족에게 중요했다. 이후 내전에서 그들의 고향은 습격당하고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수십 년간 지속된 피비린내 나는 내전에서 부족민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했다.

1970년대 초까지 수단의 농업 생산량은 대부분 자급자족에 집중되었다. 1972년 수단 정부는 친서방적인 성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식량과 돈 작물 수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970년대 내내 상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단의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했다. 동시에 농업 기계화에 투입된 자금으로 인한 부채 상환 비용이 증가했다. 1978년 IMF은 정부와 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협상했다. 이는 기계화된 수출 농업 부문을 더욱 촉진했고, 이는 수단의 유목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1976년 안사르는 유혈 사태를 빚은 쿠데타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1977년 7월 니메이리 대통령은 안사르 지도자 사디크 알마흐디를 만나 화해의 길을 열었다. 수백 명의 정치범들이 석방되었고, 8월에는 모든 반대파에 대한 사면이 선포되었다.

1956년 1월 1일에 '''수단 공화국'''(Republic of Sudan영어1956년 - 1969년)으로 독립하였다.

1958년 11월 이브라힘 아부드(Ibrahim Abboud)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부드 정권(1958년 - 1964년)이 수립되었다.

1960년경,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hood)의 지원을 받아 하산 알 투라비(Hassan al-Turabi)가 이슬람 헌장전선(ICF, National Islamic Front)을 결성했다.

1964년 아부드 정권 붕괴 후 1965년 4월 움마당(ウンマ党)과 국민통일당(国民統一党)의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1969년 5월, 육군 쿠데타로 자파르 누메이리를 의장으로 하는 혁명평의회가 전권을 장악하고, 국호를 '''수단 민주 공화국'''으로 개칭하였으며, 1971년에 누메이리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71년 7월에는 좌파 장교들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누메이리 의장이 일시적으로 추방되었으나, 같은 달 반쿠데타가 발생하여 정권에 복귀하였다.[266] 제1차 수단 내전은 1972년의 아디스아베바 합의까지 계속되었다.

1975년 쉐브론에 의해 유전이 아비에이에서 발견되자, 자파르 누메이리는 남북 경계의 헤글리그 유전 지대를 북부에 편입하기 위해 지역 구분의 재편을 시작하였다.[267]

1978년, 가 결성되었다.

1983년 초, 남부에서 '신 수단' 건설을 내세운 비아랍계 흑인 주요 민족인 딩카족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조직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소련과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존 가랑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와 반정부 조직의 주도권을 다투게 되었다. 누메이리 정권은 1983년 9월 이슬람법을 도입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하는 SPLA가 게릴라 투쟁을 확대하여 제2차 수단 내전에 돌입했다. 1984년부터는 과 에티오피아에서 유입된 난민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1985년4월 6일 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누메이리 대통령이 실각하여 이집트로 망명했다. 12월에 국호는 '''수단 공화국'''으로 환원되었고, 이듬해 1986년 4월, 의회 선거에서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증손자인 를 총리로 하는 민정 정부가 수립되었다.

1989년 6월 30일,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대령이 무혈 쿠데타(1989년 수단 쿠데타)를 주도했다.[64] 새로운 군사 정부는 정당 활동을 중단시키고 국가 차원에서 이슬람 법규를 도입했다.[65] 이후 알-바시르는 군 수뇌부의 숙청과 처형, 단체 및 정당, 독립 신문의 금지, 주요 정치인과 언론인의 투옥을 단행했다.[66] 1993년 10월 16일, 알-바시르는 자신을 "대통령"으로 임명하고 혁명 사령부를 해산했다. 알-바시르는 의회의 행정 및 입법 권한을 장악했다.[67]

1996년 총선에서 그는 법적으로 유일한 대선 후보였다.[68] 수단은 국민회의당(NCP) 하에 일당 체제가 되었다.[69] 1990년대에 당시 국회의장이었던 하산 알 투라비는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들에게 손을 내밀고 오사마 빈 라덴을 수단으로 초청했다.[70] 이후 미국은 수단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했다.[71] 알카에다의 케냐와 탄자니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이후 미국은 인피니트 리치 작전을 개시하여 미 정부가 테러 단체를 위해 화학 무기를 생산한다고 잘못 믿었던 알-시파 제약 공장을 공격했다. 알-투라비의 영향력은 약해지기 시작했고, 더 실용적인 지도부를 선호하는 다른 세력들은 수단의 국제적 고립을 바꾸려고 노력했다.[72] 수단은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 회원들을 추방하고 빈 라덴의 출국을 장려함으로써 비판을 무마하려고 노력했다.[73]

|thumb|다르푸르의 정부군 민병대]]

2000년 대선 전에 알-투라비는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는 법안을 제출했고, 이에 알-바시르는 의회 해산을 명령하고 비상 사태를 선포했다. 알-투라비가 수단인민해방군과의 재선 캠페인 서명 협정을 거부하자 알-바시르는 그들이 정부 전복을 모의하고 있다고 의심했다.[74] 하산 알-투라비는 같은 해 후반에 투옥되었다.[75]

2003년 2월, 다르푸르의 수단 해방 운동/군(SLM/A)과 정의평등운동(JEM) 단체들이 수단 아랍인을 선호하는 비아랍계 수단인에 대한 수단 정부의 탄압을 비난하며 무기를 들었다. 이는 다르푸르 분쟁을 촉발했다. 이 분쟁은 그 이후로 집단 학살로 묘사되었고,[76] 헤이그의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알-바시르에 대해 두 건의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77][78] 잔자위드로 알려진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목민 민병대는 많은 잔혹 행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2005년 1월 9일, 정부는 나이로비 포괄 평화 협정에 수단인민해방운동(SPLM)과 서명하여 제2차 수단 내전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90호에 따라 그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 평화 협정은 2011년 국민 투표의 전제 조건이었다. 그 결과 남수단의 분리를 찬성하는 만장일치 투표가 이루어졌습니다. 아비에이 지역은 나중에 자체 국민 투표를 실시할 것입니다.

|thumb|2011년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당시 투표를 기다리는 남수단 주민들]]

수단인민해방군(SPLA)은 수단 동부에서 활동하는 반군 연합인 동부 전선의 주요 구성원이었습니다. 평화 협정 이후, 그들의 자리는 2004년 2월 더 큰 풀라니족과 베자 의회가 더 작은 라샤이다 자유 사자단과 합병된 후 대체되었습니다.[79] 수단 정부와 동부 전선 간의 평화 협정은 2006년 10월 14일 아스마라에서 체결되었습니다. 2006년 5월 5일, 다르푸르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그 시점까지 3년 동안 계속된 분쟁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80] 아드레 전투가 차드의 전쟁 선포를 촉발한 후 차드-수단 분쟁(2005-2007)이 발생했습니다.[81] 수단과 차드의 지도자들은 2007년 5월 3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다르푸르 분쟁이 양국 국경 1000km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습니다.[82]

2007년 7월, 수단은 엄청난 홍수의 피해를 입었고,[83] 40만 명 이상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습니다.[84] 2009년 이후, 수단과 남수단의 라이벌 유목민 부족 간의 일련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인해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1983년 초, 남부에서 '신 수단' 건설을 내세운 비아랍계 흑인 주요 민족인 딩카족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조직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소련과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존 가랑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와 반정부 조직의 주도권을 다투게 되었다. 누메이리 정권은 1983년 9월 이슬람법을 도입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하는 SPLA가 게릴라 투쟁을 확대하여 제2차 수단 내전에 돌입했다. 1984년부터는 과 에티오피아에서 유입된 난민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

1985년4월 6일 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누메이리 대통령이 실각하여 이집트로 망명했다. 12월에 국호는 '''수단 공화국'''으로 환원되었고, 이듬해 1986년 4월, 의회 선거에서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증손자인 를 총리로 하는 민정 정부가 수립되었다.

1989년 6월 30일[268],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준장이 이슬람주의 단체인 국민이슬람전선(NIF)과 연합하여 무혈 쿠데타(1989년 수단 쿠데타)를 성공시켰다. 바시르는 “혁명위원회”를 설립하여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스스로 국가원수, 총리, 혁명위원회 의장, 국방장관에 취임하여 NIF의 주장에 따른 이슬람화를 추진했다.

1991년 이웃 나라 에티오피아에 “아프리카 최대의 인권 탄압자”로 불리는 메레스 제나위(Meles Zenawi) 신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남수단인민해방군(SPLA)은 지원을 잃고 3개로 분열되었다.

최고 기관이었던 혁명위원회는 1993년 10월 민정 이양을 위해 해산되었고, 위원회의 권한은 내각에 이양되었지만, 바시르는 총리를 겸임한 채 대통령에 취임했다. 1994년 코르도판 주가 북코르도판 주, 남코르도판 주, 서코르도판 주로 3개 주로 분할되었다. 같은 해, SPLA의 새로운 지원국이었던 우간다를 비난하자, 2월 6일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 대통령으로부터 신의 저항군(LRA)에 최후통첩이 전달되었지만, 그 2주 후 신의 저항군은 남수단 침범을 시작했다.(en:Lord's Resistance Army insurgency (1994–2002))

1996년 3월 총선에서는 유럽과 미국 등 서구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는 바시르 대통령파가 압승하여 바시르 정권이 유지되었다. 1997년 제1차 콩고 전쟁이 종결되자, 우간다에 대한 태도도 완화시켰다.

1998년 5월, 정당 결성의 자유 등을 포함한 새로운 헌법의 가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96.7%의 찬성으로 성립되었고, 1989년 이후 금지되었던 정당 활동이 해제되었다(정당 등록 시작은 1999년 1월). 그러나 바시르 대통령은 대통령 권한 축소를 노리는 국민의회의 하산 알 투라비(Hassan al-Turabi) 의장과의 불화로 1999년 12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민의회를 해산시켰으며, 내각도 총사퇴하였고, 2000년 1월 투라비 지지파를 제거한 새로운 내각이 발족하였고, 투라비는 바시르 정권의 여당인 “국민회의(National Congress, NIF을 모태로 하는 이슬람주의 정당)”의 서기장에서 해임되었다.

투라비는 신당인 “인민국민회의(PNC)”를 결성하여 대항하였지만, 12월 총선과 대선에서 야당은 보이콧하였고, 바시르 대통령과 바시르파 정당이 승리하였다. 2001년 2월 PNC와 남부의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2차 내전 종식과 민주화를 향해 협력한다는 양해각서에 서명하였기 때문에, 정부는 투라비 등을 체포하여 대응하였다.

바시르 대통령은 2002년 8월 19일 소규모 내각 개편을 단행하여 이슬람주의 중도파인 움마당(UP) 분파 인사들을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11월 30일에는 중도 자유주의 정당인 민주통합당(DUP) 분파 인사들도 입각시키는 등 야당 세력을 끌어들여 SPLA와의 평화 협상과 함께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2005년 1월 9일에는 바시르와 SPLM 간에 포괄적 평화협정(CPA)과 6개월 후 과도정부 출범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수단 서부 다르푸르 3주에서는 2003년 이후 아랍계 주민과 비아랍계 정착민인 후르족(フール人)이나 유목민인 자가와족(ザガワ人) 등의 대립이 격화되어 다르푸르 분쟁(ダルフール紛争)이 발발했다. 양측 모두 무장 세력을 조직했지만, 특히 정부의 지원을 받은 아랍계 민병대(民兵) 조직인 잔자위드(ジャンジャウィード)의 세력이 강하여, 민족 청소(民族浄化)를 자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많은 난민이 차드(チャド)로 넘어갔고, 자가와족 출신의 이드리스 데비(イドリス・デビ) 대통령이 실권을 장악한 차드와의 관계도 극도로 악화되었다. 2004년 아프리카 연합(アフリカ連合)(AU)이 감시 요원 파병을 결정했다.

2005년 7월 9일, 바시르(Omar Hassan Ahmad al-Bashir)를 대통령으로, SPLA(Sudan People's Liberation Army)의 존 가랑(John Garang) 최고사령관을 제1부통령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출범했다. 과도정부는 6년간 통치한 후 남부에서 주민투표를 실시하여 북부 이슬람교도계 정권과 남부 정부의 연방을 형성할지, 아니면 남부가 독립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269]

[[파일:Political Regions of Sudan, July 2010.svg|섬네일|

]]

7월 30일, 부통령에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가랑이 우간다 방문 귀국길에 사고로 사망했다. 악천후로 인해 헬리콥터가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을 들은 남부 주민 수천 명이 아랍계 주민을 공격하는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가랑의 사망은 SPLA 내부의 권력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SPLA는 남부 정부 대표라고는 하지만, 그중 구 주류파는 딩카족(Dinka) 중심이었다. 남부의 누어족이 정권의 지원을 받아 SPLA를 공격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었다.

우간다와 콩고민주공화국군이 주도한 신의 저항군 소탕 작전(2008년 12월 14일 - 2009년 3월 15일)에 남수단 자치정부가 협력 부대를 파병했다. 2009년 3월 4일, 다르푸르에서의 전쟁범죄 혐의( 인도에 대한 죄 등의 혐의)로 바시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 발부되었다. 바시르 대통령은 체포영장 발부 후 에리트리아와 이집트를 방문했다. 2009년 3월 26일, 바시르 대통령은 리비아를 방문하여 아프리카 연합(AU) 의장인 카다피 대령과 회담했다. 리비아는 세 번째 방문 국가였다.

2010년 7월 11일, 국제연합과 AU의 합동 다르푸르 파견단은 해당 지역의 무력 분쟁으로 6월 사망자가 221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2010년 7월 12일, 국제형사재판소(ICC)는 바시르 대통령에게 대량학살 범죄 혐의로 두 번째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7월 15일, 수단의 2005년 포괄적 평화협정(CPA)의 북부 수단 국민회의(NC)와 남부 SPLA는 남북 국경 획정 합동위원회를 보조하는 소위원회 설치에 합의했다는 것을 밝혔다. 이 남북 국경 획정 합동위원회는 3년 전에 발족했다. 7월 21일, 바시르 대통령은 사헬(사하라 남연) 국가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차드를 방문했다. 바시르 대통령이 ICC 가입국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었다.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2017년

2. 1. 고대 누비아 왕국



과거 수단의 나일강 북부 유역은 누비아(Nubia)라 불렸으며, 북쪽에 번영했던 고대 이집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지역이다. 고대 이집트의 여러 왕조는 세력이 강해지면 나일강을 따라 남하하여 금과 상아의 교역 거점을 만들고 지배 영역을 넓혔으며, 국력이 쇠퇴하면 철수하는 것을 반복했다. 그러한 가운데 기원전 2200년경, 남쪽에서 이동해 온 흑인 집단이 이 지역에 쿠시 왕국이라는 최초의 왕국을 건설했다. 이 왕국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그 후 이집트가 신왕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투트모세 1세가 쿠시를 멸망시켰다.[46]

기원전 900년경, 나파타(게벨 바르칼)를 수도로 하여 쿠시는 부흥했고, 곧 쇠퇴한 이집트를 공격하여 이집트 제25왕조를 건국했다. 제25왕조는 아시리아에 패하여 누비아로 철수했지만, 누비아의 지배권은 계속 유지했다. 기원전 6세기 중반에 쿠시는 수도를 더 남쪽의 메로에로 천도했고, 이후 이 왕국은 메로에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메로에는 목축과 수수 농업을 주산업으로 삼았고, 철의 산지로도 알려졌다.

기원전 5세기경, 이집트와 블레미스(Blemmyes)사이의 완충지대로 메로에를 지원했다. 기원후 350년 경, 아비시니아의 군대가 메로에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수단지역 최초의 독립왕국이 붕괴했다.

2. 1. 1. 선사 시대 수단 (기원전 8000년 이전)

고대 케르마(Kerma) 도시의 서쪽 데푸파(Western Deffufa)로 알려진 큰 진흙 벽돌 사원


신왕국 시대(기원전 1200년경)에 재건된 중왕국 시대 부헨(Buhen)의 요새


아파드 23(Affad 23)은 수단 북부 동골라 리치(Dongola Reach) 남부 아파드(Affad) 지역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지[38]로, "잘 보존된 선사 시대 야영지 유적(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야외 오두막의 유물)과 다양한 사냥과 채집 유적지로 약 5만 년 된 것"을 보여준다.[39][40][41]

기원전 8천년경에는 신석기 문화의 사람들이 요새화된 진흙 벽돌 마을에 정착하여 정착 생활을 시작했으며, 나일강에서의 사냥과 어업을 곡물 채집과 목축으로 보충했다.[42]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R12(R12 (cemetery))와 같은 묘지를 만들었다. 기원전 5천년경에는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로 인한 이동으로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농업과 함께 나일 계곡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유전적 혼합으로 인한 인구는 그 후 수세기 동안 사회적 계층을 발전시켜 기원전 2500년에 케르마 왕국(Kingdom of Kerma)을 건설했다. 인류학적 및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전왕조 시대 누비아(Nubia)와 나가다(Nagadan) 상이집트는 민족적, 문화적으로 거의 동일했으며, 따라서 기원전 3300년경 동시에 파라오 왕권 시스템을 발전시켰다.[43]

2. 1. 2. 케르마 문화 (기원전 2500년~기원전 1500년)



케르마 문화는 수단의 케르마를 중심으로 한 초기 문명이었다. 이 문명은 고대 누비아에서 기원전 25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번영하였다. 케르마 문화는 누비아 남부, 즉 "상누비아"(오늘날 수단 북부와 중부 일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나중에는 북쪽으로 하누비아와 이집트 국경까지 영향력을 확장하였다.[44] 이 정치체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 나일 계곡의 여러 국가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7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지속된 케르마 왕국의 마지막 단계에서 케르마는 수단의 사이 왕국을 흡수하여 이집트에 필적하는 규모가 크고 인구가 많은 제국이 되었다.

2. 1. 3. 이집트의 누비아 지배 (기원전 1504년~기원전 1070년)



과거 수단의 나일강 북부 유역은 누비아(Nubia)라 불렸으며, 북쪽에 번영했던 고대 이집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지역이다. 고대 이집트의 여러 왕조는 세력이 강해지면 나일강을 따라 남하하여 금과 상아의 교역 거점을 만들고 지배 영역을 넓혔으며, 국력이 쇠퇴하면 철수하는 것을 반복했다. 그러한 가운데 기원전 2200년경, 남쪽에서 이동해 온 흑인 집단이 이 지역에 쿠시 왕국이라는 최초의 왕국을 건설했다. 이 왕국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그 후 이집트가 신왕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투트모세 1세가 쿠시를 멸망시켰다.[46]

누비아 왕자 헤카네페르(Heqanefer)가 이집트 왕 투탕카멘(Tutankhamun)에게 공물을 바치는 모습, 제18왕조, 후이 무덤.


기원전 21세기 중왕국을 건설한 멘투호테프 2세(Mentuhotep II)는 그의 재위 29년차와 31년차에 쿠시(Kush)에 대한 원정을 감행한 기록이 있다. 이는 이집트에서 '쿠시'라는 명칭을 사용한 가장 초기의 기록이며, 누비아(Nubia) 지역은 고왕국 시대에는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45] 투트모세 1세(Thutmose I) 치하에서 이집트는 남쪽으로 여러 차례 원정을 감행했다.

이집트는 이집트 왕 투트모세 1세가 쿠시를 점령하고 수도 케르마(Kerma)를 파괴하면서 신왕국 시대부터 쿠시를 지배하게 되었다.[46]

이는 결국 기원전 1504년경 누비아의 병합으로 이어졌다. 기원전 1500년경 누비아는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of Egypt)에 흡수되었지만, 반란은 수 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정복 후 케르마 문화는 점차 이집트화되었지만, 기원전 1300년까지 220년 동안 반란이 계속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비아는 경제적, 정치적, 영적으로 신왕국의 중요한 속주가 되었다. 실제로 나파타(Napata) 근처 제벨 바르칼(Jebel Barkal)에서는 중요한 파라오 의식이 거행되었다.[47] 기원전 16세기부터 이집트 식민지였던 누비아("쿠시")는 이집트 쿠시 총독(Viceroy of Kush)에 의해 통치되었다.

근처 쿠시의 제18왕조 이집트 지배에 대한 저항은 네브페트리아 아흐모세(Nebpehtrya Ahmose, 기원전 1539–1514년), 제세르카라 아멘호테프 1세(Djeserkara Amenhotep I, 기원전 1514–1493년), 아케페르카라 투트모세 1세(Aakheperkara Thutmose I, 기원전 1493–1481년) 치하에서 복무한 이집트 전사 아흐모세 이바나의 아들(Ahmose, son of Ebana)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집트 제2중간기(Second Intermediate Period of Egypt) 말기(기원전 16세기 중반) 이집트는 북쪽의 히크소스(Hyksos)와 남쪽의 쿠시테(Kushites)라는 두 가지 존재론적 위협에 직면했다. 그의 무덤 예배당 벽에 새겨진 자서전적 비문에서 알 수 있듯이, 이집트인들은 아멘호테프 1세(Amenhotep I)(기원전 1514–1493년) 통치하에 쿠시를 물리치고 누비아를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감행했다. 아흐모세의 글에서 쿠시테는 궁술(archery)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폐하께서 아시아의 베두인을 처치하신 후, 그는 상누비아(Upper Nubia)로 거슬러 올라가 누비아 궁수들을 파괴하기 위해 항해하셨다."[48] 무덤 비문에는 쿠시의 누비아 궁수들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기원전 1200년경에는 이집트의 동골라리치(Dongola Reach) 개입이 사라졌다.

2. 1. 4. 쿠시 왕국 (기원전 1070년경~서기 350년)



기원전 480년경 아케메네스 제국의 쿠시야(Kušiya) 군인. 크세르크세스 1세 묘지 부조.


쿠시 왕국은 청나일과 백나일, 그리고 아트바라 강과 나일 강이 합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한 고대 누비아 국가였다. 청동기 시대 붕괴와 이집트 신왕국의 붕괴 이후에 건설되었으며, 초기에는 나파타를 중심으로 했다.[50]

과거 수단의 나일강 북부 유역은 누비아라 불렸으며, 북쪽에 번영했던 고대 이집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지역이다. 고대 이집트의 여러 왕조는 세력이 강해지면 나일강을 따라 남하하여 금과 상아의 교역 거점을 만들고 지배 영역을 넓혔으며, 국력이 쇠퇴하면 철수하는 것을 반복했다. 그러한 가운데 기원전 2200년경, 남쪽에서 이동해 온 흑인 집단이 이 지역에 쿠시 왕국이라는 최초의 왕국을 건설했다. 이 왕국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그 후 이집트가 신왕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투트모세 1세가 쿠시를 멸망시켰다.

기원전 900년경, 나파타(게벨 바르칼)를 수도로 하여 쿠시는 부흥했고, 곧 쇠퇴한 이집트를 공격하여 이집트 제25왕조를 건국했다.

기원전 8세기에 카시타(Kashta) 왕("쿠시트인")이 이집트를 침략한 후, 쿠시트 왕들은 약 1세기 동안 이집트 제25왕조의 파라오로 통치하다가 아시리아인들에게 패배하여 쫓겨났다.[53] 전성기에는 현재 남 코르도판으로 알려진 곳에서부터 시나이 반도에 이르는 제국을 정복했다. 파라오 피예는 제국을 근동으로 확장하려 했으나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에 의해 저지되었다.

기원전 800년부터 서기 100년 사이에 누비아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는데, 그중에는 엘 쿠루 피라미드, 카시타 피라미드, 피예 피라미드, 탄타마니 피라미드, 샤바카 피라미드, 제벨 바르칼의 피라미드, 메로에 피라미드(베가라위야), 세덴가 피라미드, 그리고 누리 피라미드 등이 있다.[51]

제25왕조는 아시리아에 패하여 누비아로 철수했지만, 누비아의 지배권은 계속 유지했다. 기원전 6세기 중반에 쿠시는 수도를 더 남쪽의 메로에로 천도했고, 이후 이 왕국은 메로에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메로에는 목축과 수수 농업을 주산업으로 삼았고, 철의 산지로도 알려졌다.

쿠시 왕국은 성경에 아시리아의 분노로부터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지만, 포위자들 사이의 질병이 도시 함락 실패의 원인 중 하나였을 가능성도 있다.[52]

파라오 타하르카와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 사이에 벌어진 전쟁은 서구 역사에서 결정적인 사건이었는데, 누비아인들이 아시리아에 의해 근동에 발판을 마련하려는 시도에서 패배했기 때문이다. 센나케리브의 후계자인 에사르하돈은 더 나아가 레반트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이집트 자체를 침략했다. 그는 하이집트에서 타하르카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타하르카는 상이집트와 누비아로 도망쳐 2년 후 사망했다. 하이집트는 아시리아의 속국이 되었지만 다스리기 어려워 아시리아에 반항했지만 실패했다. 그 후 타하르카의 후계자인 탄타마니 왕은 새로 복귀한 아시리아의 속국 네코 1세로부터 하이집트를 탈환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필사적인 시도를 했다. 그는 멤피스를 탈환하는 과정에서 네코를 죽였고 나일 델타의 도시들을 포위했다. 에사르하돈의 후계자인 아슈르바니팔은 이집트에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통제권을 되찾았다. 그는 멤피스 근처에서 탄타마니를 격파하고 그를 추격하여 테베 약탈을 자행했다. 아시리아인들은 이 사건 후 곧바로 상이집트를 떠났지만, 약해진 테베는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네코의 아들 프사메티쿠스 1세에게 평화적으로 항복했다. 이로써 누비아 제국의 부흥에 대한 모든 희망은 사라졌고, 오히려 나파타를 중심으로 한 작은 왕국으로 계속되었다. 이 도시는 기원전 590년경 이집트인들에게 약탈당했고, 기원전 3세기 후반에 쿠시트인들은 메로에로 재정착했다.[53][54][55]

기원전 5세기경, 이집트와 블레미스(Blemmyes)사이의 완충지대로 메로에를 지원했다. 기원후 350년 경, 아비시니아의 군대가 메로에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수단지역 최초의 독립왕국이 붕괴했다.

2. 2. 중세 기독교 누비아 왕국 (350년경~1500년경)

기원전 5세기경, 이집트와 블레미스(Blemmyes)사이의 완충지대로 메로에를 지원했다. 350년경, 아비시니아의 군대가 메로에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수단지역 최초의 독립왕국이 붕괴했다. 4세기경, 메로에는 에티오피아 고원의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했고, 그 옛 땅은 북쪽부터 노바티아, 마쿠리아, 알로디아의 세 왕국으로 나뉘었다. 세 왕국 모두 5세기경에 기독교를 받아들여 이후 1000년 가까이 기독교를 믿었다.

세 개의 기독교 누비아 왕국. 알로디아의 북쪽 경계는 불분명하지만,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나일 강 폭포 사이의 더 북쪽에 위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5세기 전환기에 블레미에스족은 상이집트와 하누비아에 단명한 국가를 건설했는데, 아마도 탈미스(칼랍샤)를 중심으로 했을 것이다. 그러나 450년 이전에 그들은 노바티아인들에 의해 나일 계곡에서 쫓겨났고, 후자는 결국 스스로 왕국인 노바티아를 세웠다. 6세기에는 총 세 개의 누비아 왕국이 있었다. 북쪽의 노바티아는 파코라스(파라스)에 수도를 두었고, 중앙 왕국인 마쿠리아는 퉁굴(구 동골라)에 수도를 두었는데, 현대 동골라에서 남쪽으로 약 13km 떨어져 있었다. 그리고 알로디아는 옛 쿠시 왕국의 중심지에 수도를 소바(현대 수단 카르툼의 교외)에 두었다. 6세기에 그들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7세기, 아마도 628년과 642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노바티아는 마쿠리아에 병합되었다.

639년에서 641년 사이에 라시둔 칼리파의 무슬림 아랍인들이 정복하여 비잔티움 이집트를 차지했다. 641년 또는 642년과 다시 652년에 그들은 누비아를 침략했지만 격퇴되었고, 누비아인들은 이슬람의 확산 중 아랍인들을 물리친 몇 안 되는 사람들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 마쿠리아 왕과 아랍인들은 독특한 불가침 조약을 맺었는데, 이 조약에는 연례 선물 교환도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마쿠리아의 독립을 인정했다. 아랍인들이 누비아를 정복하는 데 실패했지만, 그들은 나일 강 동쪽에 정착하기 시작하여 결국 여러 항구 도시를 건설했고 현지 베자족과 혼인했다.

모세 게오르기오스, 마쿠리아와 알로디아의 왕


8세기 중반부터 11세기 중반까지 기독교 누비아의 정치적 힘과 문화적 발전이 절정에 달했다. 747년 마쿠리아는 이집트를 침략했는데, 이때 이집트는 쇠퇴하는 우마이야 왕조에 속해 있었다. 그리고 960년대 초에 다시 침략하여 악밈까지 북쪽으로 진격했다. 마쿠리아는 알로디아와 긴밀한 왕조 관계를 유지했는데, 아마도 두 왕국이 일시적으로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었을 것이다. 중세 누비아인들의 문화는 "''아프로-비잔틴''"으로 묘사되었지만, 아랍 문화의 영향을 점점 더 많이 받았다. 국가 조직은 6세기와 7세기의 비잔티움 관료제를 기반으로 매우 중앙집권적이었다. 도자기 그림과 특히 벽화의 형태로 예술이 번창했다. 누비아인들은 자신의 언어인 고대 노비인어에 대한 알파벳을 개발했는데, 콥트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면서 그리스어, 콥트어, 아랍어도 사용했다. 여성은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 그들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토지를 소유, 매매할 수 있었으며, 종종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교회와 교회 그림에 기부했다. 심지어 왕위 계승도 모계제였는데, 왕의 여동생의 아들이 정당한 상속인이었다.

11세기 후반/12세기부터 마쿠리아의 수도 동골라는 쇠퇴했고, 알로디아의 수도도 12세기에 쇠퇴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베두인 부족들이 수단 대부분을 휩쓸었고, 부타나, 게지라, 코르도판, 다르푸르로 이주했다. 1365년 내전으로 마쿠리아의 궁정은 하누비아의 게벨 아다로 피신했고, 동골라는 파괴되어 아랍인들에게 넘어갔다. 그 후 마쿠리아는 작은 왕국으로만 존속했다. 번영했던 왕 요엘(활동 시기 1463년-1484년)의 통치 이후 마쿠리아는 붕괴되었다. 수단 남부에서 항구 도시 수아킨까지의 해안 지역은 15세기에 아달 술탄국에 의해 계승되었다.[56] 남쪽의 알로디아 왕국은 부족 지도자 압달라 자마가 지휘하는 아랍인들 또는 남쪽 출신의 아프리카인인 푼지족에게 멸망했다. 연대는 히즈라 이후 9세기(약 1396년-1494년), 15세기 후반, 1504년에서 1509년까지 다양하다. 알로디아의 잔존 국가는 파주흘리 왕국의 형태로 1685년까지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 3. 이슬람 왕국 (1500년경~1821년)

17세기에 건설된 세나르의 대모스크


1504년 펀지족이 세나르 왕국을 건국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압달라 자마의 영토가 포함되었다. 1523년 유대인 여행가 다비드 레우베니가 수단을 방문했을 때, 펀지 국가는 이미 돈골라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한편, 15세기와 16세기에 그곳에 정착한 수피 성직자들에 의해 나일강에서 이슬람이 전파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다비드 레우베니의 방문으로 이전에 이교도 또는 명목상의 기독교인이었던 아마라 덩카스 왕이 무슬림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펀지족은 18세기까지 신성 왕권이나 알코올 섭취와 같은 비이슬람적 관습을 유지했다. 수단의 민속 이슬람은 최근까지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한 많은 의식들을 보존했다.

곧 펀지족은 오스만 제국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오스만 제국은 1526년경 수아킨을 점령했고 결국 나일강을 따라 남쪽으로 밀고 들어가 1583/1584년에 세 번째 나일 폭포 지역에 도달했다. 돈골라를 점령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후속 시도는 1585년 펀지족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세 번째 폭포 바로 남쪽에 위치한 하닉은 두 국가의 경계를 표시하게 되었다. 오스만 침략의 여파로 북부 누비아의 소왕인 아지브의 찬탈 시도가 있었다. 펀지족이 결국 1611/1612년에 그를 죽였지만, 그의 후계자인 압달라비 부족은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고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의 모든 지역을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17세기 동안 펀지 국가는 가장 넓은 영토에 도달했지만, 다음 세기에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718년 쿠데타로 왕조가 바뀌었고, 1761~1762년 또 다른 쿠데타로 하마지 섭정이 되었는데, 하마지(에티오피아 국경 지방 사람들)가 펀지 술탄들을 단순한 꼭두각시로 삼아 실질적으로 통치했다. 그 직후 술탄국은 분열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초에는 본질적으로 게지라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1800년경 남수단. 현대 국경이 표시되어 있다.


1718년 쿠데타는 더 정통적인 이슬람을 추구하는 정책을 시작했고, 이는 국가의 아랍화를 촉진했다. 아랍 피지배민에 대한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펀지족은 우마이야 족손을 선전하기 시작했다.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 알 다바까지 하류 지역에서 누비아인들은 아랍 자알린 부족의 부족 정체성을 채택했다. 19세기까지 아랍어는 중앙 수단 강 지역과 코르도판 대부분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나일강 서쪽 다르푸르에서 이슬람 시대에는 처음에 툰주르 왕국이 15세기에 오래된 다주 왕국을 대체했고, 와다이까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툰주르족은 아마도 아랍화된 베르베르인이었고, 적어도 그들의 지배 엘리트는 무슬림이었다. 17세기에 툰주르족은 푸르 케이라 술탄국에 의해 권좌에서 쫓겨났다. 술레이만 솔롱(재위 1660~1680년경)의 통치 이후 명목상으로 무슬림이었던 케이라 국가는 처음에는 북부 제벨 마라의 작은 왕국이었지만, 18세기 초에 서쪽과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무함마드 타이랍(재위 1751~1786)의 통치하에 동쪽으로 확장되어, 1785년 코르도판을 정복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크기와 거의 같은 이 제국의 전성기는 1821년까지 지속되었다.

1596년에는 서쪽의 다르푸르에서도 이슬람교의 다르푸르 술탄국이 건국되어, 이 지역은 완전히 이슬람화되었다[264]

2. 3. 1. 센나르 술탄국



1504년 펀지족이 세나르 왕국을 건국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압달라 자마의 영토가 포함되었다. 1523년 유대인 여행가 다비드 레우베니가 수단을 방문했을 때, 펀지 국가는 이미 돈골라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한편, 15세기와 16세기에 그곳에 정착한 수피 성직자들에 의해 나일강에서 이슬람이 전파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다비드 레우베니의 방문으로 이전에 이교도 또는 명목상의 기독교인이었던 아마라 덩카스 왕이 무슬림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펀지족은 18세기까지 신성 왕권이나 알코올 섭취와 같은 비이슬람적 관습을 유지했다. 수단의 민속 이슬람은 최근까지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한 많은 의식들을 보존했다.

곧 펀지족은 오스만 제국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오스만 제국은 1526년경 수아킨을 점령했고 결국 나일강을 따라 남쪽으로 밀고 들어가 1583/1584년에 세 번째 나일 폭포 지역에 도달했다. 돈골라를 점령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후속 시도는 1585년 펀지족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세 번째 폭포 바로 남쪽에 위치한 하닉은 두 국가의 경계를 표시하게 되었다. 오스만 침략의 여파로 북부 누비아의 소왕인 아지브의 찬탈 시도가 있었다. 펀지족이 결국 1611/1612년에 그를 죽였지만, 그의 후계자인 압달라비 부족은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고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의 모든 지역을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17세기 동안 펀지 국가는 가장 넓은 영토에 도달했지만, 다음 세기에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718년 쿠데타로 왕조가 바뀌었고, 1761~1762년 또 다른 쿠데타로 하마지 섭정이 되었는데, 하마지(에티오피아 국경 지방 사람들)가 펀지 술탄들을 단순한 꼭두각시로 삼아 실질적으로 통치했다. 그 직후 술탄국은 분열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초에는 본질적으로 게지라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1718년 쿠데타는 더 정통적인 이슬람을 추구하는 정책을 시작했고, 이는 국가의 아랍화를 촉진했다. 아랍 피지배민에 대한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펀지족은 우마이야 족손을 선전하기 시작했다.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 알 다바까지 하류 지역에서 누비아인들은 아랍 자알린 부족의 부족 정체성을 채택했다. 19세기까지 아랍어는 중앙 수단 강 지역과 코르도판 대부분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2. 3. 2. 다르푸르 술탄국

1504년 펀지족이 세나르 왕국을 건국했으며, 여기에는 압달라 자마의 영토가 포함되었다. 1523년 유대인 여행가 다비드 레우베니가 수단을 방문했을 때, 펀지 국가는 이미 돈골라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 수피 성직자들이 나일강에서 이슬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다비드 레우베니의 방문으로 이전에 이교도 또는 명목상의 기독교인이었던 아마라 덩카스 왕은 무슬림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펀지족은 18세기까지 신성 왕권이나 알코올 섭취와 같은 비이슬람적 관습을 유지했다. 수단의 민속 이슬람은 최근까지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한 많은 의식들을 보존했다.

오스만 제국은 1526년경 수아킨을 점령했고, 1583/1584년에 세 번째 나일 폭포 지역에 도달했다. 돈골라를 점령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후속 시도는 1585년 펀지족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세 번째 폭포 바로 남쪽에 위치한 하닉은 두 국가의 경계를 표시하게 되었다. 오스만 침략의 여파로 북부 누비아의 소왕인 아지브의 찬탈 시도가 있었다. 펀지족이 1611/1612년에 그를 죽였지만, 그의 후계자인 압달라비 부족은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고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의 모든 지역을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17세기 동안 펀지 국가는 가장 넓은 영토에 도달했지만, 다음 세기에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718년 쿠데타로 왕조가 바뀌었고, 1761~1762년 또 다른 쿠데타로 하마지 섭정이 되었는데, 하마지(에티오피아 국경 지방 사람들)가 펀지 술탄들을 단순한 꼭두각시로 삼아 실질적으로 통치했다. 그 직후 술탄국은 분열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초에는 본질적으로 게지라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1718년 쿠데타는 더 정통적인 이슬람을 추구하는 정책을 시작했고, 이는 국가의 아랍화를 촉진했다. 아랍 피지배민에 대한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펀지족은 우마이야 족손을 선전하기 시작했다. 청백 나일의 합류점 북쪽, 알 다바까지 하류 지역에서 누비아인들은 아랍 자알린 부족의 부족 정체성을 채택했다. 19세기까지 아랍어는 중앙 수단 강 지역과 코르도판 대부분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나일강 서쪽 다르푸르에서 이슬람 시대에는 처음에 툰주르 왕국이 15세기에 오래된 다주 왕국을 대체했고, 와다이까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툰주르족은 아마도 아랍화된 베르베르인이었고, 적어도 그들의 지배 엘리트는 무슬림이었다. 17세기에 툰주르족은 푸르 케이라 술탄국에 의해 권좌에서 쫓겨났다. 술레이만 솔롱(재위 1660~1680년경)의 통치 이후 명목상으로 무슬림이었던 케이라 국가는 처음에는 북부 제벨 마라의 작은 왕국이었지만, 18세기 초에 서쪽과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무함마드 타이랍(재위 1751~1786)의 통치하에 동쪽으로 확장되어, 1785년 코르도판을 정복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크기와 거의 같은 이 제국의 전성기는 1821년까지 지속되었다.

1596년에는 서쪽의 다르푸르에서도 이슬람교의 다르푸르 술탄국이 건국되어, 이 지역은 완전히 이슬람화되었다[264]

2. 4. 오스만 제국과 마흐디스트 수단 (1821년~1899년)

1821년, 이집트의 오스만 통치자 무함마드 알리(Muhammad Ali of Egypt)가 북부 수단을 침략하여 정복했다.[57]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 이집트와 수단 지도를 보면 이집트의 남진을 확인할 수 있다.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 이집트와 수단 지도
기술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발리였지만, 무함마드 알리는 사실상 독립적인 이집트의 헤디브로 자칭했다. 그는 자신의 영토에 수단을 추가하기 위해 셋째 아들 이스마일을 파견하여 수단을 정복하고 이집트에 편입시켰다. 이집트의 정복 정책은 이브라힘 파샤의 아들 이스마일에 의해 확장되고 강화되었으며, 그의 통치하에 오늘날 수단의 대부분이 정복되었다.

이집트 당국은 수단의 기반 시설(주로 북부)을 크게 개선했으며, 특히 관개 시설과 목화 생산에 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1879년, 열강은 이스마일을 축출하고 그의 아들 투픽 파샤(Tewfik Pasha)를 그의 자리에 세웠다. 투픽의 부패와 실정은 '우라비 반란'을 초래했고, 이는 헤디브의 생존을 위협했다. 투픽은 영국에 도움을 요청했고, 영국은 1882년 이집트를 점령했다. 수단은 헤디브 정부의 손에 남겨졌고, 관리들의 부패와 실정이 계속되었다.[57]

헤디브 시대 동안 대부분의 활동에 부과된 가혹한 세금으로 인해 불만이 확산되었다. 1870년대, 노예 무역에 대한 유럽의 주도권은 북부 수단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쳐 마흐디스트 세력의 부상을 촉진했다.[58] 무함마드 아흐마드 이븐 압드 알라, ''마흐디''(지도받는 자)는 ''안사르''(그의 추종자들)와 그에게 항복한 사람들에게 이슬람을 받아들이거나 죽임을 당할 선택권을 주었다. 마흐디야(마흐디스트 정권)는 전통적인 샤리아 이슬람법을 시행했다. 1881년 8월 12일, 아바 섬에서 사건이 발생하여 마흐디스트 전쟁이 발발했다.

1881년 6월 마흐디야 선포부터 1885년 1월 카르툼 함락까지, 무함마드 아흐마드는 수단의 튀르크-이집트 정부인 튀르키야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이끌었다. 무함마드 아흐마드는 카르툼 정복 불과 6개월 후인 1885년 6월 22일에 사망했다. 그의 부관들 사이의 권력 투쟁 후, 압달라히 이븐 무함마드(Abdallahi ibn Muhammad)는 주로 서수단의 바가라의 도움으로 다른 반대파를 극복하고 마흐디야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지도자로 등장했다.

1898년 옴두르만 전투(Battle of Omdurman)에서 패배한 후 도망치는 할리파
마흐디야 시대 대부분 동안 지역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했는데, 이는 할리파가 전국에 걸쳐 통치를 확장하기 위해 잔혹한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1887년, 6만 명의 안사르 군대가 에티오피아를 침략하여 곤다르까지 진격했다. 1890년대, 영국은 수단에 대한 통제권을 재확립하려고 했는데, 공식적으로는 이집트 헤디브의 명의로 다시 한번 그렇게 했지만, 실제로는 수단을 영국의 식민지로 취급했다. 1890년대 초, 영국, 프랑스, 벨기에의 영유권 주장이 나일 강 상류에서 수렴되었다. 허버트 키치너(Herbert Kitchener)는 1896년부터 1898년까지 마흐디스트 수단에 대한 군사 작전을 이끌었다. 키치너의 작전은 1898년 9월 2일 옴두르만 전투(Battle of Omdurman)에서의 결정적인 승리로 절정에 달했다. 1년 후인 1899년 11월 25일 움 디와이카라트 전투(Battle of Umm Diwaykarat)에서 압달라히 이븐 무함마드(Abdallahi ibn Muhammad)가 사망하여 마흐디스트 전쟁이 종식되었다.

2. 5. 영국-이집트 수단 (1899년~1956년)

1899년, 영국과 이집트는 수단을 영국의 동의를 얻어 이집트가 임명한 총독이 통치하는 협정을 맺었다.[59] 사실상 수단은 왕립 식민지로서 효과적으로 관리되었다. 영국은 무함마드 알리 파샤 시대부터 시작된 이집트 지도부 아래 나일 계곡 통일 과정을 되돌리고 두 국가의 추가적인 통합을 목표로 하는 모든 노력을 방해하려 했다.[265]

경계 획정에 따라 수단과 아비시니아의 국경은 노예 매매를 하는 침략 부족민들에 의해 분쟁이 되었다. 이들은 법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1905년, 지역 수장인 술탄 얌비오는 마지못해 영국군과의 투쟁을 포기했고, 영국군은 코르도판 지역을 점령하여 무법 상태에 종지부를 찍었다. 영국이 발표한 법령은 조세 제도를 제정했다. 이것은 칼리파가 설정한 선례를 따른 것이었다. 주요 세금은 토지세, 가축세, 대추야자세였다.[60]

수단에 대한 영국의 지속적인 통치는 점점 더 강력한 민족주의적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집트 민족주의 지도자들은 영국이 이집트와 수단의 단일 독립 연합을 인정하도록 강요하려 했다. 1914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공식적으로 종식되자, 12월 리지날드 윙게이트 경이 새로운 군사 총독으로 수단을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후세인 카멜은 이집트와 수단의 술탄으로 선포되었고, 그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푸아드 1세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이집트 술탄국이집트와 수단 왕국으로 개칭되었을 때조차 단일 이집트-수단 국가를 주장했지만, 사드 자글룰은 1927년 사망할 때까지 이러한 야망에 좌절했다.

20세기 초 영국군의 토착군 소속 낙타병


1924년부터 1956년 독립까지 영국은 수단을 북부와 남부라는 두 개의 본질적으로 별개의 영토로 운영하는 정책을 취했다. 1924년 이후에는 남북을 분단하여 통치하는 수법(Britain's Southern Policy)을 채택했고, 말라리아 등의 예방이라는 명목으로 북위 8도 이북의 사람이 남쪽으로, 남위 10도 이남의 사람이 북쪽으로 가는 것을 모두 불법으로 규정한 것도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영국-이집트 수단 총독의 카이로 암살이 원인이었고, 새로 선출된 와프드 정부의 식민군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켰다. 하르툼에 두 개 대대의 상설 주둔군을 설치하는 것은 정부의 지휘 아래 작전하는 수단 방위군으로 개명되었고, 이전의 이집트군 주둔군을 대체하여 왈왈 사건 중에 이후 작전을 수행했다. 와프드주의 의회 다수당은 런던에서 오스틴 체임벌린과 사르왓 파샤의 타협안을 거부했지만, 카이로는 여전히 자금이 필요했다. 수단 정부의 수입은 1928년 660만 파운드로 최고치에 달했지만, 그 후 와프드주의의 혼란과 소말릴란드에서의 이탈리아 국경 침범으로 런던은 대공황 동안 지출을 줄이기로 결정했다. 면화와 고무 수출은 영국으로부터 거의 모든 것을 수입해야 할 필요성에 비해 미미했고, 하르툼에서의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졌다.

1936년 7월 자유주의 헌법 지도자 무하마드 마흐무드는 와프드 대표들을 런던으로 데려와 영국-이집트 조약에 서명하도록 설득했고, 앤서니 이든은 "영국-이집트 관계의 새로운 단계의 시작"이라고 썼다. 영국군은 수에즈 운하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수단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들은 훈련 시설을 찾을 수 있었고, RAF는 이집트 영토 상공을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수단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수단 지식인들은 대도시 통치로의 복귀를 요구하며 독일 요원들과 공모했다.[61]

1912년 영국-이집트 수단 지도


이탈리아 파시스트 지도자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집트와 수단을 정복하지 않고서는 아비시니아를 침략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그들은 이탈리아 리비아와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의 통일을 의도했다. 영국 제국 참모본부는 지역 방어를 준비했지만, 병력이 부족했다.[62] 영국 대사는 이탈리아가 이집트-수단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려는 시도를 막았다. 그러나 마흐무드는 예루살렘의 대무프티를 지지했고, 이 지역은 제국이 유대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과 이민 중단을 요구하는 온건한 아랍인들의 요구 사이에 갇혔다.

수단 정부는 동아프리카 전역에 직접 군사적으로 참여했다. 1925년에 설립된 수단 방위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침입에 대응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1940년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 소말릴란드에서 카살라와 기타 국경 지역을 점령했다. 1942년 SDF는 영국과 연합군이 이탈리아 식민지를 침공하는 데에도 참여했다. 1942년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이 를 설치했다(전후에는 수단 공군에 양도). 마지막 영국 총독은 로버트 조지 호였다.

1945년, 이스마일 알 아즈하리(Ismail al-Azhari) 등을 중심으로 움마당을 결성하여 독립 운동을 주도했다. 1954년 자치 정부가 발족했다.

1952년 이집트 혁명은 마침내 수단 독립을 향한 행진의 시작을 알렸다. 1953년 군주제를 폐지한 이집트의 새로운 지도자들인 어머니가 수단인 무함마드 나기브와 후에 가말 압델 나세르는 영국의 수단 지배를 종식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이집트가 공식적으로 주권 주장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나세르는 이집트가 독립 후 빈곤한 수단을 통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반면 영국은 이집트의 수단 독립 압력에 저항할 것이라고 여겨진 마흐디의 후계자 압드 알-라흐만 알-마흐디에 대한 정치적, 재정적 지원을 계속했다. 압드 알-라흐만은 이것이 가능했지만, 그의 정권은 정치적 무능으로 인해 수단 북부와 중부에서 엄청난 지지율을 잃었다. 이집트와 영국 모두 커다란 불안정이 고조되고 있음을 감지하고, 따라서 수단의 북부와 남부 지역 모두 독립을 원하는지, 아니면 영국의 철수를 원하는지에 대한 자유 투표를 허용하기로 했다.

2. 6. 독립 (1956년~현재)

## 독립 (1956년~현재)

기원전 5세기경, 이집트와 블레미스사이의 완충지대로 메로에를 지원했다. 기원후 350년 경, 아비시니아의 군대가 메로에를 멸망시켰고 이로써 수단지역 최초의 독립왕국이 붕괴했다. 18세기에 영국·이집트의 공동관리라는 명분하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2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11년 만인 1956년 영국이집트로부터 독립했다.

2011년 1월 9일에서 15일까지 남수단의 독립을 위해 수단 전체 국민 투표를 하여 99.8%의 찬성을 얻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9일 수단에서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였다. 그러나 남수단의 석유지대, 남북 수단의 종교 갈등 등 여러 정치적 문제 및 경제적 이권 때문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투표 과정을 거쳐 민주적인 의회가 구성되었고, 이스마일 알아자리가 초대 수상으로 선출되어 최초의 현대 수단 정부를 이끌었다.[63] 1956년 1월 1일, 인민궁전에서 열린 특별 기념식에서 이집트와 영국의 국기가 내려오고, 녹색, 파란색, 노란색 줄무늬로 구성된 새로운 수단 국기가 수상 이스마일 알아자리에 의해 게양되었다.

불만이 고조되어 1969년 5월 25일 쿠데타가 발생했다. 쿠데타 지도자인 가파르 니메이리 대령이 수상이 되었고, 새로운 정권은 의회를 폐지하고 모든 정당을 불법화했다. 집권 군부 연합 내 마르크스주의자와 비마르크스주의자 사이의 분쟁은 1971년 7월 짧게 성공한 쿠데타로 이어졌고, 이는 수단 공산당이 주도했다. 며칠 후, 반공산주의 군부 세력이 니메이리의 권력을 복원했다.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으로 남북 내전이 종식되고 일정 수준의 자치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내전이 10년간 중단되었지만, 종글레이 운하 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투자가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상부 나일 지역 관개 및 환경 재앙과 대규모 기근을 예방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딘카 부족에게 중요했다. 이후 내전에서 그들의 고향은 습격당하고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수십 년간 지속된 피비린내 나는 내전에서 부족민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했다.

1970년대 초까지 수단의 농업 생산량은 대부분 자급자족에 집중되었다. 1972년 수단 정부는 친서방적인 성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식량과 돈 작물 수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970년대 내내 상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단의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했다. 동시에 농업 기계화에 투입된 자금으로 인한 부채 상환 비용이 증가했다. 1978년 IMF은 정부와 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협상했다. 이는 기계화된 수출 농업 부문을 더욱 촉진했고, 이는 수단의 유목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1976년 안사르는 유혈 사태를 빚은 쿠데타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1977년 7월 니메이리 대통령은 안사르 지도자 사디크 알마흐디를 만나 화해의 길을 열었다. 수백 명의 정치범들이 석방되었고, 8월에는 모든 반대파에 대한 사면이 선포되었다.

1956년 1월 1일에 '''수단 공화국'''(Republic of Sudan영어1956년 - 1969년)으로 독립하였다.

1958년 11월 이브라힘 아부드(Ibrahim Abboud)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부드 정권(1958년 - 1964년)이 수립되었다.

1960년경,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hood)의 지원을 받아 하산 알 투라비(Hassan al-Turabi)가 이슬람 헌장전선(ICF, National Islamic Front)을 결성했다.

1964년 아부드 정권 붕괴 후 1965년 4월 움마당(ウンマ党)과 국민통일당(国民統一党)의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1969년 5월, 육군 쿠데타로 자파르 누메이리를 의장으로 하는 혁명평의회가 전권을 장악하고, 국호를 '''수단 민주 공화국'''으로 개칭하였으며, 1971년에 누메이리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71년 7월에는 좌파 장교들의 쿠데타가 발생하여 누메이리 의장이 일시적으로 추방되었으나, 같은 달 반쿠데타가 발생하여 정권에 복귀하였다.[266] 제1차 수단 내전은 1972년의 아디스아베바 합의까지 계속되었다.

1975년 쉐브론에 의해 유전이 아비에이에서 발견되자, 자파르 누메이리는 남북 경계의 헤글리그 유전 지대를 북부에 편입하기 위해 지역 구분의 재편을 시작하였다.[267]

1978년, 가 결성되었다.

1983년 초, 남부에서 '신 수단' 건설을 내세운 비아랍계 흑인 주요 민족인 딩카족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조직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소련과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존 가랑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와 반정부 조직의 주도권을 다투게 되었다. 누메이리 정권은 1983년 9월 이슬람법을 도입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하는 SPLA가 게릴라 투쟁을 확대하여 제2차 수단 내전에 돌입했다. 1984년부터는 과 에티오피아에서 유입된 난민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1985년4월 6일 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누메이리 대통령이 실각하여 이집트로 망명했다. 12월에 국호는 '''수단 공화국'''으로 환원되었고, 이듬해 1986년 4월, 의회 선거에서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증손자인 를 총리로 하는 민정 정부가 수립되었다.

2. 6. 1. 제1차 수단 내전

1956년 영국이집트로부터 독립했다.

2011년 1월 9일에서 15일까지 남수단의 독립을 위해 수단 전체 국민 투표를 하여 99.8%의 찬성을 얻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9일 수단에서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였다. 그러나 남수단의 석유지대, 남북 수단의 종교 갈등 등 여러 정치적 문제 및 경제적 이권 때문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2. 6. 2. 바시르 시대 (1989년~2019년)

1989년 6월 30일,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대령이 무혈 쿠데타(1989년 수단 쿠데타)를 주도했다.[64] 새로운 군사 정부는 정당 활동을 중단시키고 국가 차원에서 이슬람 법규를 도입했다.[65] 이후 알-바시르는 군 수뇌부의 숙청과 처형, 단체 및 정당, 독립 신문의 금지, 주요 정치인과 언론인의 투옥을 단행했다.[66] 1993년 10월 16일, 알-바시르는 자신을 "대통령"으로 임명하고 혁명 사령부를 해산했다. 알-바시르는 의회의 행정 및 입법 권한을 장악했다.[67]

1996년 총선에서 그는 법적으로 유일한 대선 후보였다.[68] 수단은 국민회의당(NCP) 하에 일당 체제가 되었다.[69] 1990년대에 당시 국회의장이었던 하산 알 투라비는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들에게 손을 내밀고 오사마 빈 라덴을 수단으로 초청했다.[70] 이후 미국은 수단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했다.[71] 알카에다의 케냐와 탄자니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이후 미국은 인피니트 리치 작전을 개시하여 미 정부가 테러 단체를 위해 화학 무기를 생산한다고 잘못 믿었던 알-시파 제약 공장을 공격했다. 알-투라비의 영향력은 약해지기 시작했고, 더 실용적인 지도부를 선호하는 다른 세력들은 수단의 국제적 고립을 바꾸려고 노력했다.[72] 수단은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 회원들을 추방하고 빈 라덴의 출국을 장려함으로써 비판을 무마하려고 노력했다.[73]

|thumb|다르푸르의 정부군 민병대]]

2000년 대선 전에 알-투라비는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는 법안을 제출했고, 이에 알-바시르는 의회 해산을 명령하고 비상 사태를 선포했다. 알-투라비가 수단인민해방군과의 재선 캠페인 서명 협정을 거부하자 알-바시르는 그들이 정부 전복을 모의하고 있다고 의심했다.[74] 하산 알-투라비는 같은 해 후반에 투옥되었다.[75]

2003년 2월, 다르푸르의 수단 해방 운동/군(SLM/A)과 정의평등운동(JEM) 단체들이 수단 아랍인을 선호하는 비아랍계 수단인에 대한 수단 정부의 탄압을 비난하며 무기를 들었다. 이는 다르푸르 분쟁을 촉발했다. 이 분쟁은 그 이후로 집단 학살로 묘사되었고,[76] 헤이그의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알-바시르에 대해 두 건의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77][78] 잔자위드로 알려진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목민 민병대는 많은 잔혹 행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2005년 1월 9일, 정부는 나이로비 포괄 평화 협정에 수단인민해방운동(SPLM)과 서명하여 제2차 수단 내전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90호에 따라 그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 평화 협정은 2011년 국민 투표의 전제 조건이었다. 그 결과 남수단의 분리를 찬성하는 만장일치 투표가 이루어졌습니다. 아비에이 지역은 나중에 자체 국민 투표를 실시할 것입니다.

|thumb|2011년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당시 투표를 기다리는 남수단 주민들]]

수단인민해방군(SPLA)은 수단 동부에서 활동하는 반군 연합인 동부 전선의 주요 구성원이었습니다. 평화 협정 이후, 그들의 자리는 2004년 2월 더 큰 풀라니족과 베자 의회가 더 작은 라샤이다 자유 사자단과 합병된 후 대체되었습니다.[79] 수단 정부와 동부 전선 간의 평화 협정은 2006년 10월 14일 아스마라에서 체결되었습니다. 2006년 5월 5일, 다르푸르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그 시점까지 3년 동안 계속된 분쟁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80] 아드레 전투가 차드의 전쟁 선포를 촉발한 후 차드-수단 분쟁(2005-2007)이 발생했습니다.[81] 수단과 차드의 지도자들은 2007년 5월 3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다르푸르 분쟁이 양국 국경 1000km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습니다.[82]

2007년 7월, 수단은 엄청난 홍수의 피해를 입었고,[83] 40만 명 이상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습니다.[84] 2009년 이후, 수단과 남수단의 라이벌 유목민 부족 간의 일련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인해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1983년 초, 남부에서 '신 수단' 건설을 내세운 비아랍계 흑인 주요 민족인 딩카족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조직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소련과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존 가랑의 지휘 아래 조직되어, 와 반정부 조직의 주도권을 다투게 되었다. 누메이리 정권은 1983년 9월 이슬람법을 도입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하는 SPLA가 게릴라 투쟁을 확대하여 제2차 수단 내전에 돌입했다. 1984년부터는 과 에티오피아에서 유입된 난민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

1985년4월 6일 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누메이리 대통령이 실각하여 이집트로 망명했다. 12월에 국호는 '''수단 공화국'''으로 환원되었고, 이듬해 1986년 4월, 의회 선거에서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증손자인 를 총리로 하는 민정 정부가 수립되었다.

1989년 6월 30일[268],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준장이 이슬람주의 단체인 국민이슬람전선(NIF)과 연합하여 무혈 쿠데타(1989년 수단 쿠데타)를 성공시켰다. 바시르는 “혁명위원회”를 설립하여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스스로 국가원수, 총리, 혁명위원회 의장, 국방장관에 취임하여 NIF의 주장에 따른 이슬람화를 추진했다.

1991년 이웃 나라 에티오피아에 “아프리카 최대의 인권 탄압자”로 불리는 메레스 제나위(Meles Zenawi) 신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남수단인민해방군(SPLA)은 지원을 잃고 3개로 분열되었다.

최고 기관이었던 혁명위원회는 1993년 10월 민정 이양을 위해 해산되었고, 위원회의 권한은 내각에 이양되었지만, 바시르는 총리를 겸임한 채 대통령에 취임했다. 1994년 코르도판 주가 북코르도판 주, 남코르도판 주, 서코르도판 주로 3개 주로 분할되었다. 같은 해, SPLA의 새로운 지원국이었던 우간다를 비난하자, 2월 6일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 대통령으로부터 신의 저항군(LRA)에 최후통첩이 전달되었지만, 그 2주 후 신의 저항군은 남수단 침범을 시작했다.(en:Lord's Resistance Army insurgency (1994–2002))

1996년 3월 총선에서는 유럽과 미국 등 서구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는 바시르 대통령파가 압승하여 바시르 정권이 유지되었다. 1997년 제1차 콩고 전쟁이 종결되자, 우간다에 대한 태도도 완화시켰다.

1998년 5월, 정당 결성의 자유 등을 포함한 새로운 헌법의 가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96.7%의 찬성으로 성립되었고, 1989년 이후 금지되었던 정당 활동이 해제되었다(정당 등록 시작은 1999년 1월). 그러나 바시르 대통령은 대통령 권한 축소를 노리는 국민의회의 하산 알 투라비(Hassan al-Turabi) 의장과의 불화로 1999년 12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민의회를 해산시켰으며, 내각도 총사퇴하였고, 2000년 1월 투라비 지지파를 제거한 새로운 내각이 발족하였고, 투라비는 바시르 정권의 여당인 “국민회의(National Congress, NIF을 모태로 하는 이슬람주의 정당)”의 서기장에서 해임되었다.

투라비는 신당인 “인민국민회의(PNC)”를 결성하여 대항하였지만, 12월 총선과 대선에서 야당은 보이콧하였고, 바시르 대통령과 바시르파 정당이 승리하였다. 2001년 2월 PNC와 남부의 수단인민해방군(SPLA)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2차 내전 종식과 민주화를 향해 협력한다는 양해각서에 서명하였기 때문에, 정부는 투라비 등을 체포하여 대응하였다.

바시르 대통령은 2002년 8월 19일 소규모 내각 개편을 단행하여 이슬람주의 중도파인 움마당(UP) 분파 인사들을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11월 30일에는 중도 자유주의 정당인 민주통합당(DUP) 분파 인사들도 입각시키는 등 야당 세력을 끌어들여 SPLA와의 평화 협상과 함께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2005년 1월 9일에는 바시르와 SPLM 간에 포괄적 평화협정(CPA)과 6개월 후 과도정부 출범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수단 서부 다르푸르 3주에서는 2003년 이후 아랍계 주민과 비아랍계 정착민인 후르족(フール人)이나 유목민인 자가와족(ザガワ人) 등의 대립이 격화되어 다르푸르 분쟁(ダルフール紛争)이 발발했다. 양측 모두 무장 세력을 조직했지만, 특히 정부의 지원을 받은 아랍계 민병대(民兵) 조직인 잔자위드(ジャンジャウィード)의 세력이 강하여, 민족 청소(民族浄化)를 자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많은 난민이 차드(チャド)로 넘어갔고, 자가와족 출신의 이드리스 데비(イドリス・デビ) 대통령이 실권을 장악한 차드와의 관계도 극도로 악화되었다. 2004년 아프리카 연합(アフリカ連合)(AU)이 감시 요원 파병을 결정했다.

2005년 7월 9일, 바시르(Omar Hassan Ahmad al-Bashir)를 대통령으로, SPLA(Sudan People's Liberation Army)의 존 가랑(John Garang) 최고사령관을 제1부통령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출범했다. 과도정부는 6년간 통치한 후 남부에서 주민투표를 실시하여 북부 이슬람교도계 정권과 남부 정부의 연방을 형성할지, 아니면 남부가 독립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269]

[[파일:Political Regions of Sudan, July 2010.svg|섬네일|

]]

7월 30일, 부통령에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가랑이 우간다 방문 귀국길에 사고로 사망했다. 악천후로 인해 헬리콥터가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을 들은 남부 주민 수천 명이 아랍계 주민을 공격하는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가랑의 사망은 SPLA 내부의 권력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SPLA는 남부 정부 대표라고는 하지만, 그중 구 주류파는 딩카족(Dinka) 중심이었다. 남부의 누어족이 정권의 지원을 받아 SPLA를 공격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었다.

우간다와 콩고민주공화국군이 주도한 신의 저항군 소탕 작전(2008년 12월 14일 - 2009년 3월 15일)에 남수단 자치정부가 협력 부대를 파병했다. 2009년 3월 4일, 다르푸르에서의 전쟁범죄 혐의( 인도에 대한 죄 등의 혐의)로 바시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 발부되었다. 바시르 대통령은 체포영장 발부 후 에리트리아와 이집트를 방문했다. 2009년 3월 26일, 바시르 대통령은 리비아를 방문하여 아프리카 연합(AU) 의장인 카다피 대령과 회담했다. 리비아는 세 번째 방문 국가였다.

2010년 7월 11일, 국제연합과 AU의 합동 다르푸르 파견단은 해당 지역의 무력 분쟁으로 6월 사망자가 221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2010년 7월 12일, 국제형사재판소(ICC)는 바시르 대통령에게 대량학살 범죄 혐의로 두 번째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7월 15일, 수단의 2005년 포괄적 평화협정(CPA)의 북부 수단 국민회의(NC)와 남부 SPLA는 남북 국경 획정 합동위원회를 보조하는 소위원회 설치에 합의했다는 것을 밝혔다. 이 남북 국경 획정 합동위원회는 3년 전에 발족했다. 7월 21일, 바시르 대통령은 사헬(사하라 남연) 국가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차드를 방문했다. 바시르 대통령이 ICC 가입국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었다.

2. 6. 3. 남수단 분리 독립

2011년 1월 9일에서 15일까지 남수단의 독립을 위해 수단 전체 국민 투표를 하여 99.8%의 찬성을 얻었다.[85] 이 투표를 위해 유엔은 수단 파병단을 파견했고, 주민투표 감시단 일원으로 전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가 수단에 입국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9일 수단에서 남수단이 분리 독립하였다. 그러나 남수단의 석유지대, 남북 수단의 종교 갈등 등 여러 정치적 문제 및 경제적 이권 때문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85]

2011년 11월 10일, 수단군은 남수단 북부 유니티주 이다[270]상나일주난민 캠프를 폭격했다. 또한, 수단군은 남코르도판주와 청나일주에서 수단인민해방운동-북부(SPLM-N) 민병의 소탕 작전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에는 국경 유전을 둘러싸고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2. 6. 4. 2019년 수단 혁명과 과도 정부

수단 시위대가 2019년 8월 17일 군부와 민간 대표 간에 체결된 헌법선언 초안을 축하하고 있다.


2018년 12월 19일, 수단 정부가 물가를 3배 인상하면서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87] 30년 이상 집권했던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은 사퇴를 거부했고, 이에 따라 반대 세력들이 연합하여 통합된 연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정부는 800명 이상의 반대파 인사와 시위대를 체포하고, 약 40명이 사망했다.[88] 2019년 4월 11일, 수단군 본부 앞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후 알바시르 대통령 정부가 전복되었고, 참모총장들이 개입하여 알바시르 대통령 체포를 명령하고 3개월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했다.[89][90][91] 6월 3일에는 카르툼 학살로 100명 이상이 사망했고,[92][93] 이로 인해 수단은 아프리카 연합에서 정지되었다.[94]

시위는 자유와 변화를 위한 세력(Forces for Freedom and Change)과 과도 군사 평의회가 2019년 7월 정치 협정과 2019년 8월 헌법 선언 초안에 서명하면서 종식되었다.

과도 기구에는 군부와 민간인으로 구성된 수단 주권평의회의 설립, 수단 대법원장 네마트 압둘라 카이르 임명, 그리고 새로운 총리 임명이 포함되었다. 전 총리인 압달라 함독(61세, 전 UN 아프리카 경제위원회 경제학자)은 2019년 8월 21일 취임했다.[96] 9월 3일, 함독은 최초의 여성 외무장관과 최초의 콥트교 기독교인 여성을 포함한 14명의 민간 장관을 임명했다.[98][99] 2021년 8월 기준, 수단은 과도 주권 평의회 의장인 압델 파타 알부르한과 총리 압달라 함독이 공동으로 이끌었다.[100]

2018년 말 빵값 인상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반정부 운동이 발생하여 2019년 4월 11일, 국방군이 오마르 알바시르를 대통령직에서 해임하고 체포했다. 이로써 30년에 걸친 바시르 독재 정권은 막을 내렸다. 정권은 군부가 장악한 과도 군사평의회가 掌握했고, 이에 맞서 민주화 세력인 “자유·변혁 동맹(Forces of Freedom and Change)”은 민선 정부 수립을 요구했다. 양측의 협상은 여러 차례 중단되었으나, 8월 17일 3년 3개월간의 과도 정부를 구성하여 공동 통치하고, 그 수장은 먼저 군인이 1년 9개월, 그 후 민간인이 1년 6개월 역임하며 2022년 선거를 실시하기로 최종 합의하고 과도 헌법에 서명했다.[271][272] 8월 21일, 새로운 통치 기구인 최고 평의회가 발족하여 11명의 구성원이 선서했고, 경제학자 압달라 함독이 총리 취임 선서를 하면서 신정부가 출범했다.[273][274] 아프리카 연합(AU)은 군부와 시위대의 충돌이 발생하자 수단의 회원국 자격을 정지했지만, 과도 정부 수립을 계기로 9월 6일 정지 처분을 해제했다.[275][276]

2021년 10월 25일, 과도 정부의 함독 총리가 군에 의해 구금되었고, 압델 파타 알부르한 의장이 통치 평의회와 과도 정부의 해산을 선언했다.[277]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277](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11월 21일, 부르한 장군은 자택에 연금되었던 함독 총리의 복직에 동의했다.[278]

2. 6. 5. 2021년 쿠데타와 알부르한 정권

수단 정부는 2021년 9월 21일 군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고 40명의 군 장교가 체포되었다고 발표했다.[101][102]

쿠데타 시도 한 달 후인 2021년 10월 25일, 또 다른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전 총리 압달라 함독을 포함한 민정 정부가 축출되었다. 이 쿠데타는 압델 파타 알 부르한(Abdel Fattah al-Burhan) 장군이 주도했으며, 이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03][104][105][106] 부르한은 수단의 사실상 국가원수직을 맡아 2021년 11월 11일 군부 지원 정부를 구성했다.[107]

2021년 11월 21일, 부르한이 민정 이양 복원을 위한 정치 합의(부르한은 여전히 권력을 유지)에 서명한 후 함독이 총리직에 복귀했다. 14개 항으로 구성된 이 합의는 쿠데타 기간 동안 구금된 모든 정치범의 석방을 요구했으며, 2019년 헌법 선언이 정치 이행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명시했다.[108] 함독은 경찰청장 칼리드 마흐디 이브라힘 알 에맘(Khaled Mahdi Ibrahim al-Emam)과 그의 2인자 알리 이브라힘(Ali Ibrahim)을 해임했다.[109]

2022년 1월 2일, 함독은 당시까지 가장 치명적인 시위 중 하나가 발생한 후 총리직에서 사임했다고 발표했다.[110] 그의 뒤를 오스만 후세인이 이었다.[111][112] 2022년 3월까지 쿠데타에 반대하는 148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1,000명 이상이 구금되었고, 25건의 강간 혐의[114]와 11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87명이 사망했다.[113][114]

2021년 10월 25일, 과도 정부의 함독 총리가 군에 의해 구금되었고, 통치 평의회의 부르한 의장이 통치 평의회와 과도 정부의 해산을 선언했다.[277]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277](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11월 21일, 부르한 장군은 자택에 연금되었던 함독 총리의 복직에 동의했다.[278]

2. 6. 6. 2023년~현재: 내전

2024년 3월 8일 기준 군사 상황

  • 수단군 및 동맹 세력 통제 지역
  • 신속지원군 통제 지역
  • SPLM-N (알-힐루) 통제 지역
  • SLM (알-누르) 통제 지역


2023년 4월, 국제적으로 중재된 민정 이양 계획이 논의되는 와중에 군 사령관이자 사실상 국가 지도자인 압델 파타 알 부르한과 그의 부사령관이자 중무장 준군사조직인 신속지원군(RSF, Rapid Support Forces)(잔자위드 민병대 출신)의 수장인 헤메티 사이의 권력 투쟁이 심화되었다.[115][116]

2023년 4월 15일, 이들의 갈등이 수단군과 RSF 간의 카르툼 시가전으로 촉발되어 내전으로 번졌다. 군인, 탱크, 항공기가 동원되었다. 유엔에 따르면 3일째 되는 날까지 400명이 사망하고 최소 3,50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보고되었다.[117] 사망자 중에는 세계식량계획 직원 3명도 포함되어 있어, 수단 대부분 지역에 굶주림이 만연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세계식량계획의 수단 내 활동이 중단되었다.[118] 수단군 야세르 알 아타 장군은 아랍에미리트(UAE)가 RSF에 물자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물자들이 전쟁에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119]

수단군과 신속지원군 모두 전쟁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120][121] 2023년 12월 29일 기준으로 580만 명 이상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고 150만 명 이상이 난민으로 수단을 탈출했다.[122] 그리고 다르푸르의 많은 민간인들이 마살리트 학살의 일환으로 사망했다고 보고되었다.[123] 제네이나 시에서는 최대 1만 5천 명이 사망했다.[124]

전쟁의 결과로 세계식량계획은 2024년 2월 22일 보고서를 발표하여 수단 인구의 95% 이상이 하루에 한 끼도 먹을 수 없다고 밝혔다.[125] 2024년 4월 기준으로 유엔은 860만 명 이상이 집을 떠나야 했고 1800만 명이 심각한 기아에 직면해 있으며, 그중 500만 명은 긴급 수준에 있다고 보고했다.[126] 2024년 5월, 미국 정부 관리들은 지난 1년 동안만 최소 15만 명이 전쟁으로 사망했다고 추산했다.[127] 특히 엘 파셔 시 주변의 흑인 원주민 공동체를 RSF가 표적으로 삼은 것으로 보이는 상황은 국제 관계자들이 다르푸르 지역에서 또 다른 대량학살이 반복될 위험에 대해 경고하게 만들었다.[127]

2024년 5월 31일, 미국 하원의원 엘레노어 홈즈 노턴이 주최한 회의가 수단의 인도적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하원에서 소집되었다. 아랍에미리트의 수단 개입, 전쟁 범죄 및 무기 수출을 포함한 미 국무부 보고서가 회의 논의의 주요 초점이었다. 패널 연사인 모하메드 세이펠딘 의원은 아랍에미리트의 수단 개입 중단을 촉구하며, 아랍에미리트가 수단과 예멘 내전에서 RSF를 이용한 역할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이펠딘은 다른 패널인 하기르 S. 엘셰이크과 함께 국제 사회에 RSF에 대한 모든 지원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수단에서 이 무장 단체의 파괴적인 역할을 지적했다. 엘셰이크는 또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수단 전쟁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국 선출직 관리들에게 아랍에미리트에 대한 무기 판매를 중단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을 권고했다.[128]

수단군은 2022년 민정 이양을 위한 틀에 대해 민주파 세력과 합의했지만, 아랍계 민병대 조직 잔자위드(Janjaweed)를 전신으로 하는 준군사 조직인 RSF(Rapid Support Forces, 신속 지원 부대)와 조직 통합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다가 2023년 4월 15일 수도 하르툼 등 국내 여러 지역에서 전투에 돌입했다.[279]

전투로 인해 많은 난민이 발생했다. 난민 캠프에서는 2023년 9월까지 5개월 동안 5세 미만 어린이 약 1500명이 홍역 등으로 사망했다.[280]

3. 정치

수단은 국내의 여러 갈등으로 정치적 분위기가 불안정하다.[310] 영국이집트식민지에서 독립한 후 공화정이 잠시 실시되었으나, 군사독재 시기를 거쳐 1964년 의회정치로 복귀했다. 그러나 1969년 다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니메이리 중심의 군정이 들어섰다. 1985년 3선 니메이리 대통령의 외유 중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다하브 장관은 1986년 민정이양과 함께 제헌의회 선거를 실시했다. 1989년 바쉬르 대통령이 취임하여 2000년 3선에 성공했다.[310] 하르툼 정권은 1983년부터 2005년까지 수단 내부에서 계속되었던 내전과 내전 종결 후 지금까지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 이슬람 군사정부이다. 하르툼 정권은 2005년 평화협정 전까지 남부 지역의 자연신봉론자, 기독교인까지 아울러 이슬람교로 교화시키려 남부의 반군과 두 차례 내전을 치렀으며, 그 과정에서 200만 명 이상이 죽고, 400만 명 이상이 강제 추방, 구타, 강간 혹은 고문의 고통을 체험하거나 노예로 팔린 것으로 전해진다.[310] 2005년 1월 남부 반군과 북부 정부의 평화협정으로 내전은 종료되었고, 평화협정에 따라 수단 정부는 남부에 반자치권을 부여하였으며, 2011년 남부는 독립투표를 통해 압도적인 찬성률로 남수단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그래서 남부와 북부의 인종, 종교적 갈등이 어느정도 해결됐으나, 여전도 수단 내에는 정치의 혼란기를 겪고 있다.[310]

2019년 4월,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 대통령 정권이 아흐메드 아와드 이븐 아우프(Ahmed Awad Ibn Auf) 부통령이 이끄는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면서, 수단의 정치는 공식적으로 연방 권위주의 이슬람 공화국의 틀 내에서 이루어졌다.[137] 이븐 아우프는 국가 내정을 관리하기 위해 과도 군사평의회를 설립하고, 헌법을 정지시키고 양원제 의회인 국회(하원인 국민의회와 상원인 주의회 포함)를 해산했다. 그러나 이븐 아우프는 단 하루 만에 사임했고, 과도 군사평의회의 지도력은 압델 파타 알부르한에게 넘어갔다.[137] 2019년 8월 4일, 과도 군사평의회와 자유와 변화 세력 대표 간에 새로운 헌법 선언이 체결되었고, 2019년 8월 21일 과도 군사평의회는 11명으로 구성된 주권평의회가 국가 원수로, 민간 총리가 정부 수반으로 공식적으로 대체되었다.[137] 2023년 V-Dem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수단은 아프리카에서 6번째로 민주주의가 부족한 국가이다.[137]

2019년 4월 11일 군부에 의해 쿠데타가 발생하여 헌법이 정지되고 잠정 군사 정권이 실권을 장악함에 따라 의회는 기능을 정지하였다. 같은 해 8월 21일 압달라 함독(Abdallah Hamdok)이 총리가 되어 내각을 구성하였다.[281] 군부와 민주화 세력이 3년 3개월간의 잠정적인 공동 통치를 하고 있으며, 2022년 선거 실시를 목표로 하였으나, 2024년 현재까지도 실시되지 않고 있다. 쿠데타 이전 의회는 단원제인 국민의회(360석)로, 전체 의석의 60%는 소선거구제, 15%는 비례대표제로 선출하며, 나머지 25%는 여성 의원 할당제였다.

바시르 정권 하에서는 그가 결성한 국민회의가 여당이었다. 20년 이상 군사 독재 정권이 지속되었지만, 2010년 4월 11일 24년 만에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에서 여당 측의 부정을 이유로 최대 야당인 수단인민해방운동(スーダン人民解放運動)(SPLM)이 대통령 선거를, 일부 야당이 각종 선거를 보이콧했기 때문에 바시르가 득표율 68.24%로 재선되었다.

행정부 수반인 총리직은 1989년을 끝으로 폐지되었지만, 2016년 의회가 부활을 결의했다. 2017년 3월 1일 바시르 대통령이 측근인 바크리 하산 살레흐/Bakri Hassan Saleh영어 제1부대통령을 총리로 지명하고, 이틀 뒤 취임 선서를 했다.[282] 2019년 4월 쿠데타로 총리직이 공석이 되었지만, 같은 해 8월 출범한 잠정 정부에서는 다시 총리가 취임하였다.

한편 법 개정도 진행되고 있으며, 중동 지역과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관습을 불법화하는 법 개정이 승인되었다. 2020년 7월 10일, 수단의 군민 공동 통치 평의회에 의해 관습으로 계속되고 있는 여성기 절제(여자 할례)를 불법화한다는 승인이 보도되었다.[283]

3. 1. 샤리아 법

3. 1. 1. 니메이리 통치하

1983년 9월, 자파르 니메이리(Jaafar Nimeiri) 대통령은 수단에 이슬람 율법(샤리아)을 도입하는, 소위 "9월 법령"을 발표하여 상징적으로 알코올을 금지하고 공개적인 절단과 같은 후두드 형벌(hudud punishments)을 시행했다. 알투라비(Al-Turabi)는 이러한 조치를 지지했지만, 알사디크 알마흐디(Al-Sadiq al-Mahdi)는 반대했다. 알투라비와 그의 동맹 세력은 또한 남부 지역의 자치, 세속적인 헌법, 그리고 비이슬람 문화의 수용에도 반대했다. 국가 화합을 위한 한 가지 조건은 남부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한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을 재검토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소수자 권리에 대한 배려 부족과 이슬람의 인종차별 거부를 활용하지 못한 것을 반영한다.[138] 이슬람 경제는 1984년 초에 이어졌으며, 이자를 없애고 자카트를 도입했다. 니메이리 대통령은 1984년 자신을 수단 우마(Umma)의 이맘으로 선포했다.[139]

3. 1. 2. 알바시르 통치하

오마르 알바시르 정권 시절 수단의 법 체계는 이슬람 샤리아에 기반을 두었다. 2005년 수단 남북 간의 내전을 종식시킨 나이바샤 협정은 수도 하르툼의 비무슬림들에게 일정한 보호를 제공하였다. 수단의 샤리아 적용은 지역적으로 일관되지 않았다.[140]

돌로 치는 형벌은 수단의 사법 제재였다.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여러 여성이 돌로 치는 형벌로 사형을 선고받았다.[141][142][143] 태형 또한 합법적인 처벌이었다. 2009년부터 2014년 사이에 많은 사람들이 40~100대의 태형을 선고받았다.[144][145][146][147][148][149] 2014년 8월에는 태형을 받은 후 수감 중 사망한 수단 남성들이 있었다.[150][151][152] 2001년에는 53명의 기독교인이 태형을 받았다.[153] 수단의 공공질서법은 경찰이 공공장소에서의 부도덕 행위로 고발된 여성들을 공개적으로 채찍질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명백히 인권 침해적인 요소가 다분하다.[154]

십자가형 또한 합법적인 처벌이었다. 2002년에는 살인, 강도, 민족 충돌 참여 등의 죄목으로 88명이 사형을 선고받았다. 국제앰네스티는 이들이 교수형 또는 십자가형으로 처형될 수 있다고 밝혔다.[155]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은 인정되지만, 유보 조항이 있다. 나이바샤 협정에 따라 남수단에서는 이슬람법이 적용되지 않았다.[156] 남수단 분리 이후, 특히 알바시르의 상반된 발언으로 인해 수단 내 비무슬림 소수 민족에게 샤리아가 적용될지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했다.[157]

수단 정부의 사법부는 9명의 판사로 구성된 헌법재판소, 국가대법원, 상고법원[158], 그리고 기타 국가 법원으로 구성되며, 국가사법위원회가 사법부 전반을 관리한다.

3. 1. 3. 알바시르 이후

2019년-2024년 수단 민주주의 이행

알바시르 축출 이후 2019년 8월 서명된 잠정 헌법에는 샤리아 법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159] 2020년 7월 12일 기준으로 수단은 이단법, 공개 태형 및 비무슬림에 대한 알코올 금지 조항을 폐지했다.[160] 새로운 법률 초안은 7월 초에 통과되었다. 수단은 또한 여성 성기 절제를 최대 3년의 징역형으로 처벌하는 범죄로 규정했다.[160] 과도 정부와 반군 지도부 간의 합의는 2020년 9월에 체결되었으며, 정부는 30년간의 이슬람법 통치를 종식시키고 국가와 종교를 공식적으로 분리하는 데 동의했다. 또한 공식적인 국가 종교는 설립되지 않을 것이라고 합의했다.[161][159][162]

4. 행정 구역

수단은 18개 주(''빌라야'', 단수 ''빌라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는 다시 133개의 지역으로 나뉜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a23b55a_87020f6c.svg|thumb|

]]

수단 지도(영어)

  • 하르툼주(하르툼)
  • 카살라주(카살라)
  • 홍해주(포트수단)
  • 알카다리프주(가다리프)
  • 청나일주(다마진)
  • 센나르주(센나르)
  • 알자지라주(와드 메다니)
  • 백나일주(라박)
  • 북부주(돈골라)
  • 나일주(다르말)
  • 북쿠르두판주(오베이드)
  • 남쿠르두판주(카르두글리)
  • 서쿠르두판주(풀라)
  • 북다르푸르주(엘 파실)
  • 남다르푸르주(니알라)
  • 서다르푸르주(주나이나)
  • 중앙다르푸르주(잘린게이)
  • 동다르푸르주(다인)

4. 1. 주

수단은 18개 주(''빌라야'', 단수 ''빌라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는 다시 133개의 지역으로 나뉜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a23b55a_87020f6c.svg|thumb|

]]

  • 하르툼주(하르툼)
  • 카살라주(카살라)
  • 홍해주(포트수단)
  • 알카다리프주(가다리프)
  • 청나일주(다마진)
  • 센나르주(센나르)
  • 알자지라주(와드 메다니)
  • 백나일주(라박)
  • 북부주(돈골라)
  • 나일주(다르말)
  • 북쿠르두판주(오베이드)
  • 남쿠르두판주(카르두글리)
  • 서쿠르두판주(풀라)
  • 북다르푸르주(엘 파실)
  • 남다르푸르주(니알라)
  • 서다르푸르주(주나이나)
  • 중앙다르푸르주(잘린게이)
  • 동다르푸르주(다인)

4. 2. 지역 기구

수단은 18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주 외에도 중앙 정부와 반군 사이의 평화협정에 따라 설립된 지역 행정 기구들이 존재한다.

다르푸르 평화협정에 따라 다르푸르 지역을 구성하는 주들의 조정 기구 역할을 하는 다르푸르 지역 정부가 설립되었다. 수단 정부와 반군 동부 전선 간의 동수단 평화협정에 따라 3개의 동부 주를 조정하는 기구 역할을 하는 동수단 주 조정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남수단과 수단 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아베이 지역은 현재 특별 행정구역으로 지정되어 아베이 지역 행정부에 의해 통치된다. 이 지역은 2011년에 국민투표를 통해 남수단에 속할지 아니면 수단 공화국에 속할지를 결정할 예정이었다.

4. 3. 분쟁 지역 및 분쟁 지대

수단은 18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단은 남수단과 북수단의 장기간에 걸친 내전이 2005년 평화협정 체결과 남수단의 독립 투표로 남수단이 독립하면서 종결되었으나, 다르푸르 지역의 갈등은 다르푸르 분쟁의 여파로 2004년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다르푸르 지역은 프랑스와 같은 면적에 인구 약 5백만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북부 수단측 유목민과 남수단측 아프리카계 농경민의 갈등이 수백년 전부터 있어 왔다. 다르푸르 지역은 여행 허가 없이 여행할 수 없으며, 기타 지역은 허가 없이 방문 가능하다.

2012년 4월, 남수단군이 수단으로부터 헤글리그 유전을 점령했고, 이후 수단군이 탈환했다. 카피아 킹기와 라돔 국립공원은 1956년 바흐르엘가잘 지역의 일부였다.[163] 수단은 1956년 1월 1일 당시의 국경에 따라 남수단의 독립을 인정했다.[164]

아베이 지역은 수단과 남수단 간에 분쟁 중인 지역으로, 현재 수단의 통치하에 있다. 남 코르도판과 청나일 주는 수단 내에서의 헌법적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주민 협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할라이브 삼각지대는 수단과 이집트 간에 분쟁 중인 지역으로, 현재 이집트의 행정 관리하에 있다. 비르 타윌은 이집트와 수단 국경에 위치한 무주지로, 어느 국가도 주장하지 않는다.

북부 측이 딩카족(Dinka) 주민들을 공격하면서 2007년 말부터 전투가 격화되었고, 2008년에는 정규군 간의 충돌까지 발생했다. 이후 중재를 통해 아베이 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수단 측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헤글리그(Heglig) 유전은 남수단이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2012년 3월 남수단군이 해당 유전에 침공하여 남북 수단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수단은 북쪽의 이집트, 남쪽의 남수단과 영토 문제를 갖고 있다.

이집트와는 이집트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할라이브 삼각지대와 와지할파 돌출부에 대해 수단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남수단과는 향후 주민투표를 통해 수단 영토가 될지 남수단 영토가 될지를 결정하게 될 아베이 지역과 남수단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카피아 킹기 지역에 대해 수단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5. 대외 관계

대한민국과는 1977년 4월 13일 수교하였다.[314] 1990년대 대부분 동안 우간다, 케냐, 에티오피아는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국가 이슬람 전선 정부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임시 동맹인 "최전선 국가들"을 형성했다.[165] 수단 정부는 주 예수 저항군(LRA)과 같은 반우간다 반군 세력을 지원했다.[165]

1990년대 중반부터 수단은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탄자니아와 케냐에서 발생) 이후 미국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전에 반군의 손에 있던 유전이 새롭게 개발됨에 따라 점차 입장을 완화하기 시작했다. 2008년 5월, 다르푸르 반군 조직이 수도 하르툼을 공격하자, 수단은 다르푸르 반군의 배후로 차드를 지목하며,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314]

수단은 할라이브 삼각지대를 둘러싸고 이집트와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다. 2003년 이후 수단의 외교 관계는 제2차 수단 내전 종식 지원과 다르푸르 분쟁에서 정부의 민병대 지원에 대한 비난에 초점을 맞추었다.

바시르(오른쪽)와 미국의 부장관 로버트 조엘릭, 2005년


수단은 중국과 광범위한 경제 관계를 맺고 있다. 중국은 수단으로부터 원유의 10%를 수입한다. 전 수단 정부 장관에 따르면 중국은 수단의 최대 무기 공급국이다.[166] 바시르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중국 기업은 수단의 석유 기업 2곳의 최대 주주가 되었고,[285] 국제연합 아프리카연합 다르푸르 지원단에 중국군 유엔 평화유지군을 받아들였으며,[286] 중국의 원조로 대통령궁을 건설하는 등[287] 경제·군사 양면에서 양국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러시아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2017년 11월 수단을 방문한 바시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등 수단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288]

2015년 수단은 2011년 봉기로 축출된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세력과 시아파 후티에 맞서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예멘 개입에 참여했다.[168][169] 2016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시아파의 유력 지도자를 처형한 것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테헤란에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이 습격당한 것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란과의 국교를 단절했고, 수단도 이에 따라 이란과의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289]

2017년 12월,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수단을 방문하여 과거 오스만 제국의 영향하에 있던 홍해 연안의 수아킨 섬/Suakin영어을 터키가 개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터키와 대립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가 반발하고 있다.[290]

2019년 7월 수단을 포함한 37개국의 UN 대사들은 UN 인권이사회에 보낸 공동 서한에 서명하여 신장 지역에서 중국의 위구르족에 대한 처우를 옹호했다.[172]

2020년 10월 2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단이 이스라엘과 국교를 정상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미국이 중재한 아브라함 협정의 일환으로 세 번째 아랍 국가가 된 것이다.[173] 12월 14일 미국 정부는 수단을 테러 지원 국가 목록에서 제외했는데, 이는 수단이 1998년 대사관 폭탄 테러 희생자들에게 3억 3,500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한 것과 관련이 있다.[174] 바시르 정권은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을 지지하고 오사마 빈 라덴의 국제 테러 조직 알카에다도 지원했다는 이유로 1993년 미국으로부터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되어 2020년 12월 지정이 해제될 때까지 경제 제재를 받았다.[284]

수단 주권평의회 의장인 압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과 미국의 국무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2020년


2020년 이웃 국가인 에티오피아 북부 티그라이 주에서 에티오피아 정부군과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간에 티그라이 분쟁이 시작되자 2만 명이 넘는 난민이 가다레프 주와 카사라 주로 유입되어 난민 캠프가 설치되었다. 수단은 1980년대 에티오피아에서 발생한 기근 당시에도 난민 캠프 설치를 허용한 바 있다.[291]

2021년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을 둘러싼 수단과 에티오피아 간의 분쟁이 고조되었다.[175][176][177] 수단 지도자 압델 파타 알부르한의 고문은 상상 이상으로 끔찍한 "물 전쟁"에 대해 언급했다.[178]

2022년 2월 수단 특사가 양국 간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스라엘을 방문했다는 보도가 나왔다.[179]

2024년 4월 15일 프랑스는 수단 내전 발발 1주년을 맞아 수단에 관한 국제 회의를 개최했다. 수단 내전은 인도주의적 및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으며, 프랑스는 국제 사회의 지원을 호소하며 중동의 지속적인 분쟁에 가려진 위기에 대한 관심을 끌기를 목표로 했다.[182]

6. 군사



수단군(Sudanese Armed Forces)은 수단의 정규군으로, 육군, 해군(해병대 포함), 수단 공군, 국경 순찰대, 내무 방위군의 5개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병력은 약 20만 명이다. 수단군은 중화기와 첨단 무기의 국내 생산 증가로 인해 잘 장비된 전투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들은 국회의 지휘를 받으며, 수단의 국경 방어와 내부 안보 유지라는 전략적 원칙을 가지고 있다.

2004년 다르푸르 사태 이후, 수단인민해방군(SPLA), 수단해방군(SLA), 정의평등운동(JEM)과 같은 준군사 반군들의 무장 저항과 반란으로부터 중앙 정부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비공식적이지만, 수단군은 반란 진압전에서 유목민 민병대, 특히 잔자위드를 사용하기도 한다.[183] 이러한 격렬한 투쟁으로 20만 명[184]에서 40만 명[185][186][187]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 중국의 군사 고문단이 정변 때마다 바뀌면서 지도하고 육성해 왔다. 수단 내전을 통한 게릴라]전] 경험과

7. 지리

아프리카 대륙의 북쪽에 있으며 홍해와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1,886,068km2(2011년 7월 9일 남수단 독립 후)로, 해안선은 853km이다. 차드, 에리트레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남수단, 리비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 나일강과 그 지류와도 접한다.

평원과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쪽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제벨 마라라(Jebel Marra)가 있다. 매우 건조한 누비아 사막이 있다. 우기는 3개월(7월~9월)이며, 건기는 모래 폭풍이 일어 해도 볼 수 없을 때가 많다. 북서쪽 사막 지대에는 거의 강우가 없어 유목을 하는 경우가 많아 사람들이 소떼를 끌고 돌아다닌다. 나일강 인근에는 농업이 발달하여 농장이 발달되었다.

백나일강청나일강이 수단에서 합류하여 나일강을 이루어 이집트와 지중해를 향해 흘러간다. 청나일강은 길이가 800km로 이어지며 딩다 강과 만나기도 한다. 백나일강은 뚜렷한 지류가 '''수단''' 내에서 없다. 댐이 여럿 있으며 누비아 호수 인근에 이집트와 국경을 맞닿는다.

'''수단'''에서는 사막화가 아주 심각한 문제이다. 토양 침식도 이뤄지고 있는데다 나일강 부근의 지나친 경작으로 인해 보호 수단도 없어 환경 파괴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계속적인 사막화로 인하여, 농경지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사냥으로 많은 야생동물이 위협에 처해져 있다. 21종의 포유류와 9종의 조류가 멸종위기종이며 2종의 식물군도 포함된다.

수단 지도. 할라이브 삼각지대는 2000년부터 이집트의 논란 중인 행정 지역이다.


수단의 쾨펜 기후 분류 지도


수단은 북아프리카에 위치하며, 홍해와 접하는 853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129] 수단은 이집트,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리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1,886,068km2의 면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세 번째로 큰 나라이며 (알제리, 콩고 민주 공화국 다음), 세계에서 15번째로 큰 나라이다.

수단은 북위 8°와 23°N 사이에 위치한다. 지형은 대체로 평평한 평원이며, 몇몇 산맥이 분포해 있다. 서쪽에는 마라 산맥에 위치한 데리바 칼데라(3,042m)가 수단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동쪽에는 홍해 산맥이 있다.[130]

청나일 강과 백나일 강은 카르툼에서 합쳐져 나일 강을 형성하며, 이집트를 거쳐 지중해로 북쪽으로 흘러간다. 수단을 통과하는 청나일 강의 길이는 약 800km이며, 딘더 강과 라하드 강이 세나르와 카르툼 사이에서 합류한다. 수단 내 백나일 강에는 중요한 지류가 없다.

청나일 강과 백나일 강에는 여러 개의 댐이 있다. 그중에는 청나일 강의 세나르 댐과 로제이레스 댐 그리고 백나일 강의 제벨 아울리아 댐이 있다. 또한 수단-이집트 국경에는 누비아 호가 있다.

수단에는 석면, 크로마이트, 코발트, 구리, 금, 화강암, 석고, 철, 카올린, 납, 망간, 운모, 천연가스, 니켈, 석유, 은, 주석, 우라늄, 아연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이 있다.[131] 2015년 수단의 금 생산량은 82톤이었다.[132]

국토의 대부분은 광대한 평원이며, 거의 중앙을 나일강과 그 지류가 종관한다. 북부는 누비아 사막, 남부는 스텝 기후이며 사헬 지대가 펼쳐져 있다.

북부는 건조한 사막 기후이며 연강수량은 100mm 이하이다. 나일강과 홍해 연안에 소수의 사람들만이 거주할 뿐이다. 홍해 연안은 기복이 많고 평야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지만, 만입도 적어 좋은 항구는 거의 없다.

중부는 건기에는 건조하지만, 우기에는 상당한 강수량이 있으며, 특히 백나일강 동쪽의 게지라 지구 등은 비옥한 농업 지대이다. 남부의 코르도판과 서부의 다르푸르도 사정은 같아 우기에는 농업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비를 맞아 광대한 초원이 된 땅을 목초지로 삼아 목축이 성행한다.

서부 다르푸르 지역에 있는 마르 산맥이나 중부의 누바 산맥 등 몇몇 산지가 고립되어 존재한다. 최고봉은 마르 산맥의 데리바 칼데라(고도 3,042m). 남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여 스텝 기후가 된다.

참고로 북부의 사막과 홍해 연안은 일년 내내 낮 기온이 40℃를 넘는 혹서의 땅이다.

수계는 거의 모두 나일강으로 유입된다. 중앙을 종관하는 백나일강(White Nile)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나일강의 유량은 남수단 최북단의 주드(Jonglei)에서 급감하지만, 이것이 증가하는 것은 청나일강(Blue Nile)이 합류하는 수도 카르툼(Khartoum) 이북이다.

청나일강은 건기에는 강수량이 감소하지만, 우기에는 에티오피아 고원에 내린 많은 비를 운반해 오기 때문에 유량이 극도로 증가하여, 과거에는 하류의 이집트에서 정기적으로 홍수를 일으켰다.

그 후, 북쪽의 아트바라(Atbara)에서 역시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흘러온 아트바라강(Atbara River)을 합친 후, 이집트 영토로 흘러내려간다.[296]

== 기후 ==

수단은 사막에 접해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이 건조 기후이다.[133] 주로 사막, 스텝, 사바나, 열대우림성으로 바뀌며 남하할수록 강우량이 많아지고 기온도 높아진다.[133] 하계에는 전역에서 월평균 기온이 30도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더운 나라 중 하나이다.[133]

강수량은 남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133] 중부와 북부 지역은 북동쪽의 누비아 사막과 동쪽의 바유다 사막과 같이 매우 건조한 반사막 지역이다.[133] 남쪽에는 초원과 열대 사바나가 있다.[133] 수단의 우기는 북부에서는 약 4개월(6월~9월), 남부에서는 최대 6개월(5월~10월) 지속된다.[133]

건조 지역은 해를 완전히 가릴 수 있는 황사(haboob)로 알려진 모래폭풍의 피해를 입는다.[133] 북부와 서부의 반사막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부족한 강우에 의존하여 기본적인 농업을 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유목민으로 양과 낙타 떼와 함께 이동한다.[133] 나일 강 근처에는 관개가 잘 된 농장에서 경작물을 재배한다.[133] 일조 시간은 전국적으로 매우 길지만 특히 사막에서는 연간 4,000시간이 넘을 수 있다.[133]

== 환경 문제 ==

수단은 세계에서 13번째로 물 부족이 심각한 국가이다. 사막화는 수단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또한 토양 침식에 대한 우려도 있다.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진행된 농업 확장은 보전 조치 없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산림 벌채, 토양 건조, 토양 비옥도 및 지하수위 저하로 나타났다.

수단의 야생 동물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다. 2001년 기준으로 21종의 포유류와 9종의 조류, 그리고 2종의 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에는 왈드랍, 북부흰코뿔소, 토라 하르테비스트, 가는뿔영양, 그리고 매부리바다거북이 포함된다. 사하라 오릭스는 야생에서 멸종되었다.

수단은 세계에서 13번째로 물 부족이 심각한 국가이다.


== 야생 동물 ==

수단의 야생 동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수단의 야생 생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1. 기후

수단은 사막에 접해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이 건조 기후이다.[133] 주로 사막, 스텝, 사바나, 열대우림성으로 바뀌며 남하할수록 강우량이 많아지고 기온도 높아진다.[133] 하계에는 전역에서 월평균 기온이 30도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더운 나라 중 하나이다.[133]

강수량은 남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133] 중부와 북부 지역은 북동쪽의 누비아 사막과 동쪽의 바유다 사막과 같이 매우 건조한 반사막 지역이다.[133] 남쪽에는 초원과 열대 사바나가 있다.[133] 수단의 우기는 북부에서는 약 4개월(6월~9월), 남부에서는 최대 6개월(5월~10월) 지속된다.[133]

건조 지역은 해를 완전히 가릴 수 있는 황사(haboob)로 알려진 모래폭풍의 피해를 입는다.[133] 북부와 서부의 반사막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부족한 강우에 의존하여 기본적인 농업을 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유목민으로 양과 낙타 떼와 함께 이동한다.[133] 나일 강 근처에는 관개가 잘 된 농장에서 경작물을 재배한다.[133] 일조 시간은 전국적으로 매우 길지만 특히 사막에서는 연간 4,000시간이 넘을 수 있다.[133]

7. 2. 환경 문제

수단은 세계에서 13번째로 물 부족이 심각한 국가이다. 사막화는 수단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또한 토양 침식에 대한 우려도 있다.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진행된 농업 확장은 보전 조치 없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산림 벌채, 토양 건조, 토양 비옥도 및 지하수위 저하로 나타났다.

수단의 야생 동물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다. 2001년 기준으로 21종의 포유류와 9종의 조류, 그리고 2종의 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에는 왈드랍, 북부흰코뿔소, 토라 하르테비스트, 가는뿔영양, 그리고 매부리바다거북이 포함된다. 사하라 오릭스는 야생에서 멸종되었다.

7. 3. 야생 동물

수단의 야생 동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수단의 야생 생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경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수단은 연평균 6.3%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였다.[311] 총노동인구의 80%가 농업 또는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다. 경지 면적은 800만ha로 주로 나일강 유역에 분포한다.

주요 농산물은 면화인데, 주로 영국인이 건설한 센너댐에 의해 관개(灌漑)된 케디라 지구에서 재배된다. 면화 이외의 경작물로는 아라비아고무, , 낙화생, 사탕수수, , 등이 있다. 공업에 있어서는 독립 후 섬유, 식품, 제당, 제지, 정유, 시멘트 등의 공장이 건설되었다. 현재 수단에서 공업화의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은 자본의 부족, 교통시설의 미비, 기술의 후진성 등이다.

지하자원으로는 철광석·망간· 등이 있다. 2002년 수출 17억 1,770만 달러, 수입 19억 1,48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품은 면화와 낙화생, 아라비아고무 등이다. 대폭적인 무역적자는 외국의 각종 원조와 아랍산유국에 취업한 노동자의 본국 송금으로 메운다.

2019년 수단 수출품 비중


수단의 석유 및 가스 채굴권 – 2004년


수단의 1인당 GDP 성장


2010년 수단은 세계에서 17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였으며,[211] 국제 제재에도 불구하고 석유 이익으로 인한 급속한 발전은 2006년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 언급되었다.[212] 남수단의 분리 독립으로 인해,[213] 수단은 스태그플레이션 단계에 진입했다. 2014년 GDP 성장률은 3.4%로 둔화되었고, 2015년에는 3.1%로 둔화되었으며, 2016년에는 3.7%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인플레이션은 2015년 기준 21.8%에 달했다.[214] 수단의 GDP는 2017년 1,230억 5,300만 달러에서 2018년 408억 5,200만 달러로 감소했다.[215]

남수단 분리 독립 이전 석유 이익에도 불구하고 수단은 여전히 심각한 경제적 문제에 직면했고, 성장은 매우 낮은 수준의 1인당 생산량으로부터의 증가였다. 수단 경제는 2000년대에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GDP 전체 성장률은 2009년 4.2% 성장에 비해 5.2%였다.[185] 이러한 성장은 다르푸르 전쟁과 남수단의 독립 이전 남부 자치 시대에도 지속되었다.[216][217]

석유는 남수단이 2011년 7월 독립하기 전인 2000년대 후반에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수단의 주요 수출품이었다. 석유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단 경제는 호황을 누렸고, 2007년 성장률은 약 9%에 달했다. 그러나 석유가 풍부한 남수단의 독립으로 인해 주요 유전 대부분이 수단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벗어났고, 수단의 석유 생산량은 크게 감소했다. 생산량은 이후 회복되어 2014년~2015년에는 하루 약 25만 배럴 수준을 유지했다.[218]

남수단은 육지국이기 때문에 석유 수출을 위해 수단의 홍해 연안에 있는 수단항으로 가는 파이프라인과 수단의 정유 시설에 의존한다. 2012년 8월 수단과 남수단은 남수단 석유를 수단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단항으로 수송하는 데 합의했다.[219]

중국은 수단의 주요 무역 파트너 중 하나이며, 나일강 유역 석유 개발 회사의 4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220] 중국은 또한 수단에 소형 무기를 판매했는데, 이 무기는 다르푸르 분쟁과 남코르도판 분쟁과 같은 군사 작전에 사용되었다.[221]

역사적으로 수단 인구의 80% 이상을 고용하고 경제 부문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농업이 주요 소득 및 고용원이었지만, 2000년 이후 수단의 성장은 석유 생산에 의해 주도되었다. 현재 국제통화기금(IMF)은 수단 정부와 협력하여 건전한 거시경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부패인식지수에 따르면 수단은 세계에서 가장 부패한 국가 중 하나이다.[222] 2013년 세계 기아 지수에 따르면 수단의 GHI 지수는 27.0으로, "심각한 기아 상황"을 나타낸다. 세계에서 5번째로 기아가 심각한 국가로 평가되었다.[223] 2015년 인간개발지수(HDI)에 따르면 수단은 인간 개발 지수에서 167위를 차지하여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낮은 인간 개발 수준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224] 2014년 기준 인구의 45%가 하루 3.2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2009년 43%에서 증가했다.[225]

국제통화기금(IMF) 추계에 따르면, 2013년 수단의 국내총생산(GDP)은 667억 달러이며,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7위를 차지한다. 반면, 1인당 GDP는 1941달러로, 세계 평균의 20%를 밑도는 수준이다. 1990년대까지는 장기간의 내전과 경제 제재 등으로 경제가 완전히 파탄 상태였으며, 2019년 현재 수단은 평화기금회가 발표하는 「세계 실패 국가 랭킹」 8위 국가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은 중국계 기업이 석유 개발에 진출했다. 수만 명 규모의 중국인 노동자가 수단에 파견되어 석유 플랜트, 석유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다.

Greater Nile Oil Pipeline은 총 길이 1600킬로미터로, 유니티 유전 - 헤글리그 유전 - 하르툼 - 포트수단(홍해에 면한 항구)을 연결하고 있다. Muglad Basin에서 생산하는 석유는 “Nile Blend”라고 불린다. 후에, Thar Jath 유전에서 헤글리그까지 172킬로미터 파이프라인이 연장되었다.

PetroDar Pipeline은 총 길이 1380킬로미터로, Palogue 유전 - Adar/Yale 유전 - Fula 유전 - 포트수단(홍해에 면한 항구)을 연결하고 있다. Melud Basin에서 생산하는 석유는 “Dar Blend”라고 불린다. 이들 유전의 대부분과 남북 총 원유 확인 매장량의 약 80%가 남수단에 귀속되기 때문에, 정부는 남수단에 대해 고액의 원유 통과료를 요구하고 있으며, 독립 후의 불씨가 되고 있다.

희토류의 매장량도 주목받고 있다. 그 밖에, 멜로위댐에 상징되는 대규모 수력 발전소 및 댐, 철도 건설도 중국계 기업이 수주하는 등, 매우 긴밀한 협력 아래 점차 경제가 회복되는 조짐이 보인다. 이상의 이유로, 특히 동부에서는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으며, 수도 하르툼에서는 63개의 고층 빌딩 건설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석유 자원 등이 풍부한 지역은 남수단 지역이며, 수단의 지원국인 중국은 남수단에도 유엔 평화유지군을 파병하여 유전 권익을 확보하고 있다.[297]

동부 지역에 한정하면 “아프리카의 빵 바구니”라고도 불리는 비옥한 나일 강 주변 농지를 이용한 , 옥수수의 재배가 성행한다. 특히, 하르툼 남쪽의 백나일 강과 청나일 강 사이의 삼각주 지대에서는 1925년에 영국식민지정부에 의해 게지라 계획이 시행되어 대규모 관개를 통해 밀과 면화의 대규모 곡창 지대가 되었다.[298]

1993년 내전 당시 대규모 기근, 1998년에는 더욱 대규모의 기근이 발생하면서 한때 침체 상태에 있었지만, 최근에는 터키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변국 기업들의 농업 투자가 활발하다. 특히 걸프 아랍 국가들은 국토의 대부분이 농업에 부적합한 사막이기 때문에 식량 공급지로서 수단에 주목하고 있다. 2008년 농업 투자 계약 건수는 33건으로 2007년도의 3배이다.[299] 수단 정부는 투자 기업에 땅을 저렴하게 제공하고 관세 면제 등의 특전으로 투자국을 유치하려 하고 있다.

8. 1. 과학 및 연구

수단에는 약 25~30개의 대학교가 있으며, 강의는 주로 아랍어 또는 영어로 진행된다. 중등 및 대학교육은 대부분의 남성이 교육을 마치기 전에 병역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으로 인해 심각한 방해를 받았다.[226] 또한 알-바시르 대통령이 장려한 "이슬람화"는 많은 연구자들을 소외시켰다. 대학의 공식 강의 언어는 영어에서 아랍어로 변경되었고 이슬람 과정이 필수가 되었다. 내부 과학 연구비는 고갈되었다.[227] 유네스코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14년 사이에 3,000명이 넘는 수단 연구자들이 수단을 떠났다. 수단국가연구센터에 따르면 2013년 수단의 인구 10만 명당 연구자 수는 겨우 19명으로, 이집트의 1/30에 불과했다. 2015년 수단은 약 500편의 과학 논문만 발표했다.[227] 비교적으로 비슷한 인구 규모의 폴란드는 연간 약 1만 편의 논문을 발표한다.[228]

수단의 국가 우주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큐브샛 위성을 생산했으며, 수단 통신 위성(SUDASAT-1)과 수단 원격 탐사 위성(SRSS-1)을 생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수단 정부는 수단 상공에서 운영되는 민간 부문 지상 측량 위성인 아랍샛 6A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이 위성은 2019년 4월 11일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229] 수단의 오마르 하산 알-바시르 대통령은 2012년 아프리카 우주 기구를 요청했지만, 계획은 결코 확정되지 않았다.[230]

9. 인구

2008년 수단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수단 북부, 서부, 동부 지역의 인구는 3천만 명이 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31] 따라서 남수단 분리 이후 현재 수단 인구는 3천만 명이 조금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 20년 동안 상당한 증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1983년 인구 조사에서는 당시 남수단을 포함한 수단 전체 인구가 2,160만 명이었다.[232] 대쿠르툼(쿠르툼, 옴두르만, 쿠르툼 노스 포함)의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520만 명으로 기록되었다.

2010년 수단 인구 밀도 추정치(현재 독립 국가인 남수단 영토 포함)


난민 발생 국가인 동시에 수단은 다른 국가에서 온 다수의 난민을 수용하고 있다. UNHCR 통계에 따르면, 2019년 8월 기준 110만 명이 넘는 난민과 망명 신청자들이 수단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 인구의 대다수는 남수단(858,607명), 에리트레아(123,413명), 시리아(93,502명), 에티오피아(14,201명),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1,713명), 차드(3,100명) 출신이었다. 이 외에도 UNHCR 보고서에는 1,864,195명의 국내 실향민(IDP)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33] 수단은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의 당사국이다.

9. 1. 민족

수단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이다. 전체 인구의 약 70%는 수단 아랍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인 수단 아랍인으로 추산된다.[234][235] 이들은 주로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주한 사람들과 수단 원주민들의 혼혈로 형성되었다.[238] 12세기에 수단으로 이주한 아랍 부족들은 원주민 누비아인들과 다른 아프리카 인구와 혼혈을 이루었고 점차 이슬람교를 도입했다.[238]

마나시르족(Al-Manasir) 수단 아랍인


비아랍계 집단들은 종종 민족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구분된다. 주요 비아랍계 민족으로는 베자족(200만 명 이상), 푸르족(100만 명 이상), 누바족(약 100만 명) 등이 있다.[234][235] 그 외에도 모로 누바족, 마살리트족, 보르누족, 타마족, 풀라니족, 하우사족, 누비아인, 베르타족, 자가와족, 님망족, 인게사나족, 다주족, 코알립족, 구무즈족, 미도브족, 타갈레족 등이 있다.[235][236][237] 하우사어는 교역 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출처 필요] 또한, 소규모이지만 수단의 그리스계 공동체도 존재한다.[236][237]

베자족 유목민


일부 아랍 부족들은 나즈드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와디아와 파드니아 부족과 바니 아락 부족, 헤자즈 아랍어를 사용하는 베니 하산, 알 아슈라프, 카흘라, 라샤이다 등 다른 지역 아랍어를 사용한다.[234] 북부 리제이갓의 일부 아랍 베두인들은 수단 아랍어를 사용하며 수단 아랍인과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234] 일부 바가라와 툰주르족은 차드 아랍어를 사용한다.[234]

나일-사하라어족누비아어군을 사용하는 누비아인은 북부에, 니제르-콩고어족코르도판어파를 사용하는 누바족은 중부 누바 산지에, 카두어군을 사용하는 민족은 남부에 거주한다.[301] 다르푸르 북부에는 자가와족, 중부에는 풀족, 남부에는 바가라족이 거주하고 있다.[234]

2019년까지 오마르 알바시르의 샤리아 폭정으로 이슬람교 외 다른 종교는 불법이었으나, 2011년 남수단 독립과 2019년 알바시르 축출 이후 2020년 수단 정부는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있는 세속국가"임을 선언하고 헌법에서 이슬람 국교를 폐지했다.[234]

9. 2. 도시 지역

수도의 하르툼을 비롯하여 옴두르만, 알 하르툼 바흐리, 포트수단이 주요 도시이다. 하르툼, 옴두르만, 알 하르툼 바흐리는 나일 강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으며, 삼둥이 도시라고도 불리며 수단 최대의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9. 3. 언어

2005년 헌법 8조에 따르면, 수단의 공용어는 아랍어영어이다.[246] 2005년 이전에는 아랍어만이 유일한 국가 공용어였다.[245]

헌법 8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모든 수단 고유의 언어는 국어이며, 존중받고,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 아랍어는 수단에서 널리 사용되는 국어이다.

# 아랍어는 국가 차원의 주요 언어이며, 영어는 국가 정부의 공용 업무 언어이자 고등 교육의 강의 언어이다.

# 영어와 아랍어 외에, 지방 의회에서는 다른 국어가 추가적인 공적 업무 언어로 채택되어야 한다.

# 정부와 교육의 어떤 단계에서도 영어와 아랍어 사용에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

아랍어(수단 방언(아랍어 수단 방언))와 영어공용어이며, 누비아어 등 비아랍계 민족어도 널리 사용된다. 수단에는 약 70개의 토착어가 있다.[243] 2009년에는 통합된 수단 수화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244] 읽기 능력은 전체 인구의 70.2%이다 (남성: 79.6%, 여성: 60.8%).[247]

9. 4. 종교

수단 인구의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믿으며, 일부는 성공회, 개신교, 로마 가톨릭 등의 기독교와 토착 신앙을 믿는다.[248] 2011년 남수단 분리 독립 이전에는 비무슬림들이 분리 독립을 주장하기도 했다. 남수단 분리 독립 이후, 수단 인구의 97% 이상이 이슬람교를 믿는다.[248]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수피와 살라피 무슬림 두 그룹으로 나뉜다.[249] 수피즘의 두 가지 주요 분파인 안사르와 핫미아는 각각 반대파인 우마당과 민주연합당과 관련이 있다.[249]

2019년까지 오마르 알바시르의 샤리아 폭정으로 이슬람 외의 종교는 불법이었으나, 2019년 오마르 알바시르가 쿠데타로 축출되면서 2020년에는 수단 정부에서 "수단은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있는 세속국가"임을 선언하면서 수단 헌법에서 이슬람 국교가 폐지되었다.

콥트 정교회와 그리스 정교회의 오랜 역사를 가진 그룹이 수도인 카르툼과 다른 북부 도시들에 존재한다.[249]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정교회 공동체도 하르툼과 수단 동부에 존재하며, 대부분 지난 수십 년간의 난민과 이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또한 수단 아르메니아인들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종교적 정체성은 수단의 정치적 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북부와 서부 무슬림들은 독립 이후 수단의 정치 및 경제 체제를 지배해왔다. 국민회의당(NCP)은 북부의 이슬람주의자, 살라피/와하비 및 기타 보수적인 아랍계 무슬림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남수단이 독립함에 따라 기독교도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고 있으며, 수단 내 기독교인들은 시민권을 상실한 상태에 있다.[303]

9. 5. 보건

수단의 기아 문제는 지속되는 사회 문제 중 하나이다.[312] 매년 컨선월드와이드, 세계기아원조, 국제식량정책연구소가 협력하여 발표하는 세계 기아 지수에 따르면, 2016년 수단은 불안한 정치적 상황 때문에 자료를 산출할 수 없지만 눈여겨보아야 할 나라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312] 2014년 조사 자료를 보면 수단 아동의 영양 부족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5세 미만 아동의 발육 부진과 허약 수준은 각각 38.2%와 16.3%이다.[312] 수단의 기아와 영양 부족 문제는 빈곤, 2015-2016년 엘니뇨로 인한 가뭄을 비롯한 농업 및 생태 환경 파괴, 폭력적 충돌과 정치 불안과 관련이 있다.[312] 국내 갈등으로 발생한 남수단 난민 유입과 대규모 국내 이재민으로 기아와 영양 부족은 악화되었다.[312] 식량 불안 피해가 가장 극심한 지역은 분쟁의 영향을 받은 불루나일, 다르푸르, 웨스트코르도판, 사우스코르도판 주이다.[312]

2019년 자료에 따르면 수단의 평균수명은 65.1세이다.[250] 2016년 영아 사망률은 1,000명당 44.8명이었다.[251] 유니세프는 15세에서 49세 사이의 수단 여성의 87%가 여성 성기 절제를 받았다고 추산한다.[252]

9. 6. 교육

1902년 고든 기념 대학으로 설립된 수단 수도 대학교


수단의 교육은 6세에서 13세 아동에게 무상 의무 교육이지만, 경제적 상황과 환경적 및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40% 이상의 아동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들의 경우 학교에 다니는 것이 더 어렵다.[253] 초등 교육은 8년이며, 그 후 3년의 중등 교육이 이어진다. 1990년에 이전의 6 + 3 + 3 교육 체계가 변경되었다. 모든 학년의 주요 언어는 아랍어이다. 학교는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서부 지역의 많은 학교는 수년간의 내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파괴되었다. 세계은행은 2001년 초등 교육 등록률이 적정 연령 학생의 46%이고 중등 교육 등록률은 21%라고 추산했다. 등록률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 일부 주에서는 20% 미만이다. 전체 인구의 문해율은 70.2%이며, 남성은 79.6%, 여성은 60.8%이다.[185]

교육 제도는 8·3·4 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등교육은 초등학교 8년, 중학교(Secondary School) 3년, 고등교육은 대학교 4년이다. 수단의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8년뿐이며, 일본의 고등학교나 미국의 하이스쿨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교는 약 25~30개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고든 기념 대학교가 있다.

바시르 정권 수립 이후, 교육의 이슬람화가 중시되어 1991년에는 이슬람 교육이 도입되었다. 이는 비이슬람권에도 적용되었기에 국내 비이슬람교도의 반발을 불렀다. 수단은 역사적 배경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여 아직 해결되지 않았고, 그 영향으로 40% 이상의 아동이 학교에 충분히 다니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10. 문화

수단 문화는 사막에서 열대 우림까지 다양한 지리적 극단을 가진, 아프리카의 축소판과 같은 지역에서 수많은 방언과 언어로 소통하는 약 578개의 민족 집단의 행동, 관습 및 신앙을 융합한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수단 국민들은 수단과 그들의 종교 모두에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만, 아랍과 아프리카의 초국가적 정체성은 훨씬 더 양극화되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한다.[254]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미디어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음악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움두르만의 수피(Sufi) 데르비시(dervish)가 금요일 오후 군중을 위해 북을 친다.


수단은 풍부하고 독특한 음악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 수단 역사 동안 만성적인 불안정과 탄압을 겪어왔다. 1983년 엄격한 살라피ar|Salafi) 해석의 샤리아(sharia) 법 시행으로, 마주브 샤리프(Mahjoub Sharif)와 같은 많은 저명한 시인과 예술가들이 투옥되었고, 무하마드 엘 아민(Mohammed el Amin)(1990년대 중반 수단으로 귀환)과 무하마드 와르디(Mohammed Wardi)(2003년 수단으로 귀환)와 같은 다른 이들은 카이로로 도피했다. 전통 음악 또한 고통을 받았는데, 전통적인 자르(Zār) 의식이 중단되고 북이 압수되었다.

동시에 유럽 군대는 새로운 악기와 스타일을 도입함으로써 수단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스코틀랜드 백파이프(bagpipes)를 포함한 군악대는 유명했으며, 전통 음악을 군악(march (music))으로 편곡했다. '행진 술카위 1번(March Shulkawi No 1)'이 그 예시로, 쉴룩족(Shilluk people)의 소리에 맞춰 편곡되었다. 수단 북부는 수단 다른 지역과 다른 음악을 듣는다. 알들레이브(Aldlayib)라고 불리는 음악 유형은 탐부르(Tambur)라는 악기를 사용한다. 탐부르는 다섯 개의 현을 가진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이며, 사람들의 박수와 노래하는 예술가들의 목소리와 함께 연주된다.

;영화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수단의 영화는 20세기 초 영국 식민 통치 시대의 영화 촬영으로 시작되었다. 1956년 독립 이후 활발한 다큐멘터리 영화 전통이 자리 잡았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이슬람주의 정부가 부과한 심각한 제약으로 1990년대부터 영화 제작이 쇠퇴했다. 2010년대 이후, 주로 수단의 수도인 카르툼에 국한되기는 하지만, 영화 제작과 영화 상영 및 영화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고무적인 부흥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의복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전통 의복이나 서구식 의복을 주로 입는다.[144][255] 수단 남성들은 헐렁하고 긴 소매에 깃이 없는 발목까지 오는 옷인 갈라비야를 널리 입는데, 이는 이집트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144][255] 갈라비야는 계절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흰색, 색깔 있는 것, 줄무늬가 있는 것 등 두께가 다른 천으로 만들어지며, 종종 큰 터번과 스카프와 함께 착용된다.[144][255]

여성들은 토브(타브)를 주로 입는데, 이는 속옷 위에 두르는 흰색 또는 색깔 있는 긴 원피스 천으로, 보통 머리와 머리카락을 가린다.[144][255] 1991년 형법(「공공질서법」)에 따라 여성들은 바지를 공개적으로 입는 것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음란한 복장"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바지를 입는 것에 대한 처벌은 최대 40대의 태형이었지만, 2009년 유죄 판결을 받은 한 여성은 200달러의 벌금형을 받았다.[144][255]

;스포츠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수단에서도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수단 축구 협회는 1936년에 설립되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협회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축구 협회 설립 이전에도 수단은 20세기 초 영국의 식민 통치자들이 이집트를 통해 전파한 축구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 당시 설립된 다른 수단 클럽으로는 알힐랄 옴두르만, 알메리크가 있으며, 이는 수단에서 축구의 대중화로 이어졌다. 카르툼 리그는 수단에서 처음으로 열린 전국 리그가 되어 수단 축구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256]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9번 출전하여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CECAFA컵에서도 3회 우승했다. 1965년에는 프로 축구 리그인 수단 프리미어리그가 창설되었다.

2019년 9월부터는 여자 축구 클럽을 위한 공식 전국 리그가 시작되었다.[257] 2021년에는 수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아랍 여자컵에 처음으로 참가했다.[260]

수단의 국가 비치발리볼 팀은 2018-2020 CAVB 비치발리볼 대륙컵에 여자부와 남자부 모두 출전했다.[259] 2022년 6월,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최초의 수단 여성 레슬러인 파트리시아 세이프 엘딘 엘 하지는 로이터의 사진 기자 모하메드 누렐딘 아브달라에 의해 2024년 하계 올림픽 경기에 대비하기 위해 나이지리아로 출국 준비를 하는 모습이 사진에 담겼다.[260]

10. 1. 미디어

수단에서는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10. 2. 음악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수단은 풍부하고 독특한 음악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 수단 역사 동안 만성적인 불안정과 탄압을 겪어왔다. 1983년 엄격한 살라피ar|Salafi) 해석의 샤리아(sharia) 법 시행으로, 마주브 샤리프(Mahjoub Sharif)와 같은 많은 저명한 시인과 예술가들이 투옥되었고, 무하마드 엘 아민(Mohammed el Amin)(1990년대 중반 수단으로 귀환)과 무하마드 와르디(Mohammed Wardi)(2003년 수단으로 귀환)와 같은 다른 이들은 카이로로 도피했다. 전통 음악 또한 고통을 받았는데, 전통적인 자르(Zār) 의식이 중단되고 북이 압수되었다.

동시에 유럽 군대는 새로운 악기와 스타일을 도입함으로써 수단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스코틀랜드 백파이프(bagpipes)를 포함한 군악대는 유명했으며, 전통 음악을 군악(march (music))으로 편곡했다. '행진 술카위 1번(March Shulkawi No 1)'이 그 예시로, 쉴룩족(Shilluk people)의 소리에 맞춰 편곡되었다. 수단 북부는 수단 다른 지역과 다른 음악을 듣는다. 알들레이브(Aldlayib)라고 불리는 음악 유형은 탐부르(Tambur)라는 악기를 사용한다. 탐부르는 다섯 개의 현을 가진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이며, 사람들의 박수와 노래하는 예술가들의 목소리와 함께 연주된다.

10. 3. 영화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수단의 영화는 20세기 초 영국 식민 통치 시대의 영화 촬영으로 시작되었다. 1956년 독립 이후 활발한 다큐멘터리 영화 전통이 자리 잡았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이슬람주의 정부가 부과한 심각한 제약으로 1990년대부터 영화 제작이 쇠퇴했다. 2010년대 이후, 주로 수단의 수도인 카르툼에 국한되기는 하지만, 영화 제작과 영화 상영 및 영화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고무적인 부흥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10. 4. 의복

수단에서는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전통 의복이나 서구식 의복을 주로 입는다.[144][255] 수단 남성들은 헐렁하고 긴 소매에 깃이 없는 발목까지 오는 옷인 갈라비야를 널리 입는데, 이는 이집트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144][255] 갈라비야는 계절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흰색, 색깔 있는 것, 줄무늬가 있는 것 등 두께가 다른 천으로 만들어지며, 종종 큰 터번과 스카프와 함께 착용된다.[144][255]

여성들은 토브(타브)를 주로 입는데, 이는 속옷 위에 두르는 흰색 또는 색깔 있는 긴 원피스 천으로, 보통 머리와 머리카락을 가린다.[144][255] 1991년 형법(「공공질서법」)에 따라 여성들은 바지를 공개적으로 입는 것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음란한 복장"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바지를 입는 것에 대한 처벌은 최대 40대의 태형이었지만, 2009년 유죄 판결을 받은 한 여성은 200달러의 벌금형을 받았다.[144][255]

10. 5. 스포츠

이슬람 문화가 주요 문화이다.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수단에서도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수단 축구 협회는 1936년에 설립되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협회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축구 협회 설립 이전에도 수단은 20세기 초 영국의 식민 통치자들이 이집트를 통해 전파한 축구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 당시 설립된 다른 수단 클럽으로는 알힐랄 옴두르만, 알메리크가 있으며, 이는 수단에서 축구의 대중화로 이어졌다. 카르툼 리그는 수단에서 처음으로 열린 전국 리그가 되어 수단 축구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256]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9번 출전하여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CECAFA컵에서도 3회 우승했다. 1965년에는 프로 축구 리그인 수단 프리미어리그가 창설되었다.

2019년 9월부터는 여자 축구 클럽을 위한 공식 전국 리그가 시작되었다.[257] 2021년에는 수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아랍 여자컵에 처음으로 참가했다.[260]

수단의 국가 비치발리볼 팀은 2018-2020 CAVB 비치발리볼 대륙컵에 여자부와 남자부 모두 출전했다.[259] 2022년 6월,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최초의 수단 여성 레슬러인 파트리시아 세이프 엘딘 엘 하지는 로이터의 사진 기자 모하메드 누렐딘 아브달라에 의해 2024년 하계 올림픽 경기에 대비하기 위해 나이지리아로 출국 준비를 하는 모습이 사진에 담겼다.[260]

참조

[1] 웹사이트 Paramilitary RSF say they have seized Sudan's second city https://www.reuters.[...]
[2] 웹사이트 People and Society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05-10
[3] 웹사이트 Bej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4-06-02
[4] 웹사이트 The Nuba people https://www.thenewhu[...] 2015-08-03
[5] 웹사이트 Fur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1
[6] 웹사이트 الجهاز المركزي للتعبئة العامة والإحصاء https://www.capmas.g[...]
[7] 웹사이트 Nobiin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8
[8] 웹사이트 Dongolawi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8
[9] 웹사이트 Midob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8
[10] 웹사이트 Ghulfan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8
[11] 웹사이트 Kadaru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18
[12] 웹사이트 Demographics and Ethnic Groups of Sudan https://study.com/ac[...] 2023-11-01
[13] 뉴스 Junta and Public at Odds in Sudan https://www.cfr.org/[...]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3-03-20
[14] 뉴스 Analysis: Year post-coup, cracks in Sudan's military junta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3-03-20
[15] 웹사이트 People and Society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05-10
[16] 웹사이트 Sudan 2022-09-24
[1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Suda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5
[18]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21-06-16
[1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3-03-22
[20]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https://www.thearda.[...] 2022-10-08
[21] 웹사이트 Sudan Population 2024 (Live) https://worldpopulat[...] 2024-06-01
[22] 웹사이트 Area https://web.archive.[...]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8-05-13
[23] 논문 The Khormusan: Evidence for an MSA East African industry in Nubia https://www.scienced[...] 2013-06-25
[24] 서적 Stone age prehistory: studies in memory of Charles McBurn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5] 웹사이트 Halfan archaeology https://www.britanni[...] 2023-12-17
[2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ncient Egypt World Civilizations I (HIS101) – Biel https://courses.lume[...] 2023-12-17
[27] 웹사이트 Nubia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3-12-17
[28] 논문 The evolution of lethal intergroup violence 2005-10-01
[29] 논문 New insights on interpersonal violence in the Late Pleistocene based on the Nile valley cemetery of Jebel Sahaba 2021-05-27
[30] 웹사이트 Ancient Nubia: A-Group 3800–3100 BC Institute for the Study of Ancient Cultures https://isac.uchicag[...] 2023-12-17
[31]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https://oxfordre.com[...]
[32] 서적 For Want Of A Camel: The Story of Britain's Failed Sudan Campaign, 1883–1885 Outskirts Press 2016
[33] 웹사이트 عن السودان http://sudan.gov.sd/[...]
[34] 서적 A History of Modern Su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Omar al-Bashir Fast Facts https://www.cnn.com/[...] 2012-12-10
[36]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37] 간행물 Numen EJ Brill
[38] 학술지 Affad 23, a Late Middle Palaeolithic Site With Refitted Lithics and Animal Remains in the Southern Dongola Reach, Sudan https://www.jstor.or[...] 2011
[39] 웹사이트 Unearthing Pan-African crossroad? Significance of the middle Nile valley in prehistory https://projekty.ncn[...] National Science Centre 2020
[40] 서적 From Faras to Soba: 60 years of Sudanese–Polish cooperation in saving the heritage of Sudan Polish Centre of Mediterranean Archaeology/University of Warsaw 2021
[41] 서적 From Faras to Soba: 60 years of Sudanese–Polish cooperation in saving the heritage of Sudan Polish Centre of Mediterranean Archaeology/University of Warsaw 2021
[42] 웹사이트 Sudan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43] 학술지 Studies and Comments on Ancient Egyptian Biological Relationships
[44] 학술지 The Kingdom of Kush: An African Centre on the Periphery of the Bronze Age World System https://www.academia[...] 2009
[4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and Medieval Nubia
[46] 웹사이트 Interrelations of Kerma and Pharaonic Egypt https://www.worldhis[...]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47] 웹사이트 Jebal Barkal: History and Archaeology of Ancient Napata http://www.jebelbark[...] 2012-03-21
[48] 서적 Writings from Ancient Egypt Penguin Classics
[49]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50] 서적 Nubian Past : an Archaeology of the Sudan. Taylor & Francis 2005
[51] 서적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7-17
[52]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01-01
[53] 서적 Graffiti as Devotion along the Nile and Beyond https://lsa.umich.ed[...] Kelsey Museum of Archaeology 2019-01-01
[54] 서적 Forgotten Africa: An Introduction to Its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1-01
[55] 학술지 Semantic Shift on a Geographical Term 1998-07-01
[56] Masters Beleaguered Muslim Fortresses And Ethiopian Imperial Expansion From The 13th To The 16th Century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2008-06-01
[57] 서적 Fire and Sword in the Sudan https://archive.org/[...] E. Arnold
[58] 웹사이트 ICE Case Studies; Case Number: 3; Case Identifier: Sudan; Case Name: Civil War in the Sudan: Resources or Religion? http://www.american.[...] Inventory of Conflict and Environment 1997-11-01
[59] 서적 Oxford World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1-01
[60] 서적 A Modern History of the Sudan Groves Press Inc
[61] 서적 1936-05-08
[62] 서적 1938-09-29
[63]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Sudan http://sudan-embassy[...] Sudan Embassy in London 2008-11-20
[64] 뉴스 Factbox – Sudan's President Omar Hassan al-Bashir https://www.reuters.[...] 2008-07-14
[65] 뉴스 Chickens Are Coming Home To Roost! http://www.ethiopian[...] 2008-07-12
[66] 서적 Jihad: The Trail of Political Islam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7] 뉴스 Profile: Omar al-Bashir https://www.theguard[...] 2008-07-14
[68]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6-03-16
[69] 백과사전 History of the Sudan http://www.historywo[...] n.d.
[70] 뉴스 Bin Laden Uses Iraq To Plot New Attacks http://www.atimes.co[...] 2002-02-23
[71] 뉴스 Families of USS ''Cole'' Victims Sue Sudan for $105 Million https://www.foxnews.[...] Fox News Channel 2011-01-14
[72] 서적 The Future of Political Islam Palgrave Macmillan
[73] 서적 The Looming Tower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6
[74] 뉴스 Profile: Sudan's President Bashir http://news.bbc.co.u[...] 2011-01-08
[75] 뉴스 Sudanese Islamist Opposition Leader Denies Link with Darfur Rebels http://www.sudantrib[...] 2013-05-31
[76] 보도자료 ICC Prosecutor Presents Case Against Sudanese President, Hassan Ahmad al Bashir, for Genocide, Crimes Against Humanity and War Crimes in Darfur http://www2.icc-cpi.[...] Office of the Prosecut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08-07-14
[77] 뉴스 Warrant issued for Sudan's Bashir http://news.bbc.co.u[...] 2011-01-14
[78] 뉴스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harges Sudan's Omar Hassan al-Bashir with Genocide http://pulitzercente[...] 2011-01-14
[79] 웹사이트 UNMIS Media Monitoring Report http://www.unmis.org[...] United Nations Mission in Sudan 2006-01-04
[80] 웹사이트 Darfur Peace Agreement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6-05-08
[81] 뉴스 Restraint Plea to Sudan and Chad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05-12-27
[82] 뉴스 Sudan, Chad Agree To Stop Fighting http://www.chinadail[...] 2007-05-04
[83] 뉴스 UN: Situation in Sudan could deteriorate if flooding continues http://www.iht.com/a[...] 2007-08-06
[84] 보도자료 Sudan Floods: At Least 365,000 Directly Affected, Response Ongoing http://webarchive.lo[...] 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07-08-06
[85] 뉴스 Omar al-Bashir wins Sudan elections by a landslide https://www.bbc.co.u[...] 2015-04-27
[86] 뉴스 Trump Moves to Lift Most Sudan Sanctions https://www.bloomber[...] 2017-10-06
[87] 웹사이트 Sudan December 2018 riots: Is the regime crumbling? https://www.cmi.no/n[...]
[88] 웹사이트 Sudan: Protesters Killed, Injured https://www.hrw.org/[...] 2019-04-09
[89] 뉴스 Sudan military coup topples Bashir https://www.bbc.com/[...] 2019-04-11
[90] 웹사이트 Sudan's Omar al-Bashir vows to stay in power as protests rage | New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1-09
[91] 웹사이트 Future unclear as Sudan protesters and president at loggerheads | New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1-08
[92] 뉴스 Sudan's security forces attack long-running sit-in https://www.bbc.com/[...] 2019-06-03
[93] 웹사이트 "Chaos and Fire" – An Analysis of Sudan's June 3, 2019 Khartoum Massacre – Sudan https://reliefweb.in[...] 2020-03-05
[94] 뉴스 African Union suspends Sudan over violence against protestors – video https://www.theguard[...] 2019-06-07
[95] 뉴스 'They'll have to kill all of us!' https://www.bbc.com/[...]
[96] 뉴스 We recognize Hamdok as leader of Sudan's transition: EU, Troika envoys https://sudantribune[...] 2021-10-27
[97] 뉴스 Sudan needs up to $10 billion in aid to rebuild economy, new PM says https://www.theglobe[...] 2019-08-24
[98] 뉴스 Sudan's PM selects members of first cabinet since Bashir's ouster https://www.reuters.[...] 2019-09-03
[99] 웹사이트 Women take prominent place in Sudanese politics as Abdalla Hamdok names cabinet https://www.thenatio[...] 2019-09-04
[100] 웹사이트 Sudan Threatens to Use Military Option to Regain Control over Border with Ethiopia https://english.aaws[...] 2021-08-17
[101] 뉴스 Coup attempt fails in Sudan – state media https://www.bbc.com/[...] 2021-09-21
[102] 웹사이트 Sudan foils coup attempt and 40 officers arrested, senior officials say https://www.cnn.com/[...] 2021-09-21
[103] 웹사이트 Sudan's civilian leaders arrested – reports https://www.msn.com/[...]
[104] 뉴스 Sudan Officials Detained, Communication Lines Cut in Apparent Military Coup https://www.bloomber[...] 2021-10-25
[105] 뉴스 Sudan's civilian leaders arrested amid coup reports https://www.bbc.com/[...] 2021-10-25
[106] 웹사이트 Gov't officials detained, phones down in possible Sudan coup https://abcnews.go.c[...]
[107] 뉴스 Sudan army chief names new governing Sovereign Council https://www.aljazeer[...] 2023-03-20
[108] 웹사이트 Sudan's Hamdok reinstated as PM after political agreement signed https://www.aljazeer[...] 2021-11-21
[109] 웹사이트 Reinstated Sudanese PM Hamdok dismisses police chiefs https://www.aljazeer[...] 2022-03-22
[110] 웹사이트 Sudan PM Abdalla Hamdok resigns after deadly protest https://www.aljazeer[...] 2022-01-02
[111] 웹사이트 Sudan's Burhan forms caretaker government https://sudantribune[...] 2022-02-20
[112] 웹사이트 Acting Council of Ministers Approves General Budget for Year 2022 https://www.msn.com/[...] 2022-02-19
[113] 웹사이트 Sudan group says 187 wounded in latest anti-coup protests https://abcnews.go.c[...] 2022-03-18
[114] 웹사이트 Oral update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Sudan – Statement by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https://reliefweb.in[...] 2022-03-07
[115] 웹사이트 Fighting continues in Sudan despite humanitarian pause https://www.france24[...] 2023-04-16
[116] 웹사이트 Clashes erupt in Sudan between army, paramilitary group over government transition https://abcnews.go.c[...] 2023-04-16
[117] 뉴스 What's behind the fighting in Sudan, and what is at stake? https://www.washingt[...] 2023-04-18
[118] 웹사이트 Sudan's generals battle for 3rd day; death toll soars to 185 https://apnews.com/a[...] 2023-04-17
[119] 뉴스 Sudanese general accuses UAE of supplying paramilitary RSF https://www.reuters.[...] 2023-11-28
[120] 웹사이트 War crimes and civilian suffering in Sudan https://www.amnesty.[...] 2023-08-02
[121] 뉴스 US declares warring factions in Sudan have committed war crimes https://www.aljazeer[...] 2023-12-06
[122] 웹사이트 DTM Sudan – Monthly Displacement Overview (04) https://dtm.iom.int/[...] 2023-12-30
[123] 뉴스 Genocide returns to Darfur https://www.economis[...]
[124] 뉴스 Ethnic killings in one Sudan city left up to 15,000 dead: UN report https://www.tbsnews.[...] 2024-01-20
[125] 웹사이트 Over 95 Percent Of Sudanese Cannot Afford A Meal A Day: WFP https://www.barrons.[...]
[126] 뉴스 Sudan violence: The horrifying statistics behind the brutal conflict - and still the death toll is unknown https://news.sky.com[...] 2024-04-17
[127] 뉴스 Genocide Survivors in Darfur Are Caught in Another Brutal Battle https://www.wsj.com/[...] 2024-06-01
[128] 뉴스 Congressional Briefing: Report on UAE Intervention in Sudan, War Crimes, and Arms Export https://www.washingt[...] 2024-06-02
[129] 웹사이트 Sudan geography http://www.iss.co.za[...]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5-01-12
[130] 웹사이트 Sudan http://www.country-s[...] Country Studies null
[131] 웹사이트 Geography of Sudan http://www.sudan-emb[...] Sudan Embassy in London null
[132] 웹사이트 Gold production https://ourworldinda[...] 2024-12-17
[133] 웹사이트 Sudan – Geography & Environment http://www.oxfam.org[...] Oxfam GB 2011-01-13
[134] 웹사이트 Desertification & Desert Cultivation Studies Institut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Khartoum 2013-05-31
[135] 웹사이트 Soil conservation and land reclamation in the Sudan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University 2010-06-26
[136] 백과사전 Sudan – Environment http://www.nationsen[...] 2011-01-13
[137]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3-10-14
[138] 웹사이트 تاريخ الحركة الإسلامية في السودان https://web.archive.[...] 2019-04-15
[139] 학술지 The Sharia in Sudan: Implementation and Repercussions, 1983-1989 https://www.jstor.or[...] 1990
[140] 뉴스 Sudan's haphazard Sharia legal system has claimed too many victims https://www.theguard[...] 2012-06-06
[141] 뉴스 Sudanese woman sentenced to stoning death over adultery claims https://www.theguard[...] 2012-05-31
[142] 웹사이트 Woman faces death by stoning in Sudan http://www.ndtv.com/[...]
[143] 웹사이트 Rights Group Protests Stoning of Women in Sudan http://www.voanews.c[...] 2009-11-00
[144] 뉴스 Woman faces 40 lashes for wearing trousers https://www.thestar.[...] 2009-09-06
[145] 뉴스 Sudanese woman who married a non-Muslim sentenced to death https://www.theguard[...] 2014-05-15
[146] 웹사이트 Pregnant woman sentenced to death and 100 lashes http://www.sudanreli[...] 2014-09-28
[147] 웹사이트 TVCNEWS Home page https://www.tvcnews.[...] 2018-11-25
[148] 웹사이트 Detainee dies in custody in Port Sudan after court-ordered flogging – Sudan Tribune: Plural news and views on Sudan https://www.sudantri[...] 2020-04-11
[149] 웹사이트 Sudan: Pair accused of kissing face 40 lashes https://www.amnesty.[...]
[150] 웹사이트 Detainee dies in custody in Port Sudan after court-ordered flogging http://www.sudantrib[...] 2014-09-21
[151] 뉴스 Two Sudanese men died after being detained and flogged 40 times each, says rights group http://www.thejourna[...] 2014-08-08
[152] 뉴스 Two Sudan men die after floggings: rights group https://news.yahoo.c[...]
[153] 웹사이트 Sudanese authorities flog 53 Christians on rioting charges http://www.bgnews.co[...]
[154] 웹사이트 Shocking video: Sudanese woman flogged for getting into car with man who isn't related to her https://www.nydailyn[...] 2013-10-03
[155] 웹사이트 Sudan: Imminent Execution/Torture/Unfair trial http://web.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2002-07-17
[156] 웹사이트 Field Listing – Legal System https://www.cia.gov/[...]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n.d.
[157] 뉴스 Sharia law to be tightened if Sudan splits – president https://www.bbc.co.u[...] 2010-12-19
[158] 웹사이트 Court frees Sudanese woman sentenced to death for being Christian http://www.nydailyne[...] 2014-06-23
[159] 웹사이트 Sudan separates religion from state ending 30 years of Islamic rule https://www.middleea[...] 2020-09-07
[160] 뉴스 Sudan scraps apostasy law and alcohol ban for non-Muslims https://www.bbc.com/[...] 2020-07-12
[161] 웹사이트 Sudan ends 30 years of Islamic law by separating religion, state https://gulfnews.com[...] 2020-09-06
[162] 웹사이트 Islamic world at decisive point in history: Will it take the path of Emirates or Turkey? https://www.firstpos[...] 2020-09-06
[163] 웹사이트 Memorial of the Government of Sudan http://www.pca-cpa.o[...]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2008-12-18
[164] 보도자료 South Sudan ready to declare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Menas Associates 2011-07-08
[165] 뉴스 The world's enduring dictators https://www.cbsnews.[...] CBS News 2011-05-16
[166] 뉴스 China Invests Heavily in Sudan's Oil Industry – Beijing Supplies Arms Used on Villagers https://www.washingt[...] 2004-12-23
[167] 뉴스 Sudan supports Moroccan sovereignty over Southern Provinces http://www.moroccoti[...] 2005-12-26
[168] 뉴스 U.S. Backs Saudi-Led Yemeni Bombing With Logistics, Spying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5-03-26
[169] 뉴스 Saudi-led coalition strikes rebels in Yemen, inflaming tensions in region http://edition.cnn.c[...] CNN 2015-03-27
[170] 웹사이트 Sudan suspended from the African Union https://au.int/en/ar[...] 2021-10-30
[171] 웹사이트 African Union suspends Sudan over coup https://www.aljazeer[...] 2021-10-30
[172] 뉴스 Which Countries Are For or Against China's Xinjiang Policies? https://thediplomat.[...] 2019-07-15
[173] 뉴스 Trump Announces US-Brokered Israel-Sudan Normalization https://www.voanews.[...] 2020-10-23
[174] 뉴스 US removes Sudan from state sponsors of terrorism list https://www.cnn.com/[...] 2020-12-14
[175] 뉴스 Sudan threatens legal action if Ethiopia dam filled without deal https://www.aljazeer[...] 2021-04-23
[176] 뉴스 Egypt, Sudan conclude war games amid Ethiopia's dam dispute https://apnews.com/a[...] 2021-05-31
[177] 뉴스 Egypt and Sudan urge Ethiopia to negotiate seriously over giant dam https://www.reuters.[...] 2021-06-09
[178] 뉴스 Gerd: Sudan talks tough with Ethiopia over River Nile dam https://www.bbc.com/[...] 2021-04-22
[179] 웹사이트 Sudanese envoy in Israel to promote ties – source https://www.jpost.co[...] 2022-02-09
[180] 뉴스 Americans and other foreigners struggle to flee Sudan amid fierce fighting https://www.washingt[...] 2023-04-26
[181] Youtube Trakboys David Mbatha, Blose begin peaceful talks w/ Mayor Kaunda about Durban Port tariff increase https://www.youtube.[...] 2022-07-25
[182] 뉴스 France hosts conference on aid to war-torn Sudan https://www.lemonde.[...] 2024-04-16
[183] 웹사이트 Sudan: National Security http://www.mongabay.[...] Mongabay null
[184] 뉴스 Q&A: Sudan's Darfur Conflict http://news.bbc.co.u[...] 2010-02-23
[185] 웹사이트 Sudan https://www.cia.gov/[...]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07-10
[186] 뉴스 Darfur Peace Talks To Resume in Abuja on Tuesday: AU http://english.peopl[...] 2005-11-28
[187] 뉴스 Hundreds Killed in Attacks in Eastern Chad – U.N. Agency Says Sudanese Militia Destroyed Villages https://www.washingt[...] 2007-04-11
[188] 웹사이트 Sudan: Nearly 2 Million Dead as a Result of the World's Longest Running Civil War http://www.refugees.[...] 2001-04
[189] 웹사이트 CSI highlights 'slavery and manifestations of racism' https://www.thenewhu[...] 2001-09-07
[190] 간행물 UNICEF 2013 http://www.unicef.or[...]
[191] 뉴스 Time to Let Sudan's Girls Be Girls, Not Brides http://www.ipsnews.n[...] 2013-07-10
[192] 웹사이트 Sudan worst in Africa with legal marriage at age 10 http://www.trust.org[...] Thomson Reuters Foundation 2015-02-15
[193] 논문 Geography and correlates of attitude toward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in Sudan: What can we learn from successive Sudan opinion poll data? 2016-02-01
[194] 웹사이트 Sudan drops death penalty for homosexuality https://76crimes.com[...] 2020-07-16
[195] 서적 World Report 2019: Rights Trends in Sudan https://www.hrw.org/[...] 2019-01-17
[196] 웹사이트 Letter to the U.N. Security Council on Sudan Sanctions and Civilian Protection in Darfur http://hrw.org/engli[...] Human Rights Watch 2006-08-15
[197] 뉴스 Darfur Tops U.S. List of Worst Human Rights Abuses https://www.usatoday[...] 2007-03-06
[198] 뉴스 Q&A: Sudan's Darfur conflict http://news.bbc.co.u[...] 2010-02-08
[199] 웹사이트 Sudan – Report 2006 http://web.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200] 뉴스 Africa – Sudan 'has 6,000 child soldiers' http://news.bbc.co.u[...]
[201] 뉴스 The silencing of Sudan's journalists - again http://institute.alj[...] Al Jazeera Media Institute 2023-11-08
[202] 보도자료 Sudanese Authorities Urged Not to Introduce "Censorship Bureau" https://allafrica.co[...] 2015-02-15
[203] 웹사이트 Press freedom under siege after military coup in Sudan https://rsf.org/en/p[...]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3-11-08
[204] 웹사이트 Sudan https://rsf.org/en/c[...]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3-11-08
[205] 웹사이트 Sudan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Organisation for Migration 2013-05-31
[206] 웹사이트 The Sudans https://web.archive.[...] Canadian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2013-05-31
[207] 웹사이트 Darfur – overview https://web.archive.[...] Unicef 2013-05-31
[208] 웹사이트 South Sudan, Nuba Mountains, May 2003 – WFP delivered food aid via road convoy https://web.archive.[...] World Food Programme 2013-05-31
[209] 논문 Humanitarian information systems and emergencies in the Greater Horn of Africa: logical components and logical linkages 2003
[210] 보도자료 EU, UNIDO set up Centre in Sudan to develop industrial skills, entrepreneurship for job creation https://archive.toda[...] UN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sation 2013-06-04
[211] 웹사이트 Economy http://www.goss-onli[...] Government of South Sudan 2009-10-20
[212] 뉴스 Sudanese civil war? Not Where the Oil Wealth Flows https://www.nytimes.[...] 2010-05-24
[213] 웹사이트 Sudan Economic Outlook http://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214] 웹사이트 Sudan Economic Outlook http://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2019-03-29
[215] 웹사이트 GDP (current US$) – Sudan | Data https://data.worldba[...]
[216] 뉴스 South Sudan Gets Ready for Independence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6-21
[217] 뉴스 As Secession Nears, Sudan Steps Up Drive to Stop Rebels https://www.nytimes.[...] 2011-06-20
[218] 간행물 Edit Action Qeios 2020-02-07
[219] 웹사이트 Sudan, South Sudan reach oil deal, will hold border talks https://www.reuters.[...] 2012-08-03
[220] 웹사이트 The 'Big 4' – How oil revenues are connected to Khartoum https://web.archive.[...]
[221] 뉴스 Oil for China, Guns for Darfur http://www.businessw[...] 2008-03-14
[222]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3 http://cpi.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3-12-04
[223] 간행물 2013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Building Resilience to Achieve Food and Nutrition Security http://www.ifpri.org[...] Welthungerhilfe, IFPRI, and Concern Worldwide 2013-10-01
[224] 웹사이트 The 2013 Human Development Report – "The Rise of the South: Human Progress in a Diverse World"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25] 웹사이트 Poverty headcount ratio at $3.20 a day (2011 PPP) (% of population) – Sudan Data https://data.worldba[...]
[226] 웹사이트 Sudan country profile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2004-12-01
[227] 논문 Sudan seeks a science revival 2017-12-15
[228] 웹사이트 The top 20 countries for scientific output http://www.openacces[...]
[229] 웹사이트 Inside Sudan's National Space Programme https://africanews.s[...] 2019-07-23
[230] 뉴스 Sudanese president calls for African space agency https://www.theguard[...] 2012-09-06
[231] 뉴스 Southerners dismiss Sudan pre-poll census count https://web.archive.[...] 2009-05-21
[232] 웹사이트 Sudan – Population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33] 웹사이트 Sudan {{!}} Global Focus http://reporting.unh[...] 2019-12-13
[234]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Sudan: Copts http://www.unhcr.org[...]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35] 웹사이트 Copts migration http://www.sudanupda[...] Sudanupdate.org
[236] 웹사이트 Ethnologue, Sudan https://www.ethnolog[...]
[237] 웹사이트 Sudan https://growup.ethz.[...]
[238]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23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Almshaheer.com
[240] 학술지 Identity, history and power in the historiography of Sudan: some thoughts on Holt and Daly's A History of Modern Sudan https://www.academia[...] 2012
[241] 서적 Le Soudan, de la Préhistoire à la conquête de Méhémet Ali Soleb Bleu autour
[242] 간행물 The chronology of Sudanese Arabic genealogical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3] 웹사이트 Languages of Suda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44] Youtube Language for inclusion (Sign language in Sudan) https://www.youtube.[...]
[245] 웹사이트 L'aménagement linguistique dans le monde, "Soudan" http://www.tlfq.ulav[...]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au Québec 2013-05-31
[246] 웹사이트 2005 constitution in English http://www.mpil.de/s[...] 2013-05-31
[24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5-08-13
[248] 웹사이트 Sudan Overview http://www.sd.undp.o[...] UNDP Sudan 2012-06-20
[249] 서적 Darfur's Political Economy: A Quest for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0] 웹사이트 Sudan Life Expectancy Data https://www.macrotre[...] 2019-11-25
[251] 웹사이트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Data https://data.worldba[...] 2018-08-25
[252] 웹사이트 UNICEF FGM country profile for Sudan https://data.unicef.[...] 2019-05-03
[253] 논문 Female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The Key to Development? https://www.tandfonl[...] 1991
[254] 웹사이트 Hamilton, A. and Hudson, J. (2014) Bribery and Identity: Evidence from Sudan. Bath Economic Research Papers, No 21/14 https://web.archive.[...] 2014-04-30
[255] 뉴스 Sudan Court Fines Woman for Wearing Trousers https://www.nytimes.[...] 2009-09-08
[256] 웹사이트 World Football: The State Of Football In Sudan https://bleacherrepo[...] 2022-08-11
[257] 웹사이트 Sudanese women play first competitive soccer https://web.archive.[...] 2006-02-24
[258] 웹사이트 Arab Women's Cup 2021 set to kick off in Cairo https://arab.news/mh[...] 2021-08-28
[259] 뉴스 Continental Cup Finals start in Africa https://www.fivb.com[...] 2021-06-22
[260] 웹사이트 Reuters Pictures – Sudan-Women/Martial art https://pictures.reu[...] 2022-08-11
[261] 웹사이트 スーダンにおける暫定的な統治機構の設立に向けた合意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2023-04-18
[262] 웹사이트 Sudan https://www.cia.gov/[...] ザ・ワールド・ファクトブック 2022-08-26
[26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国際通貨基金 2021-10-20
[264]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265] 일반
[266] 뉴스 スーダンで反クーデター 再びヌメイリ議長 中國新聞 1971-07-23
[267] PDF Sudan: Breaking the Abyei Deadlock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7-10-12
[268]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269] 서적 新版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2010-11-25
[270] 일반
[271] 뉴스 スーダンのデモ隊、軍事評議会との歴史的合意に歓喜 https://www.afpbb.co[...] 2019-07-06
[272] 뉴스 スーダンで暫定憲法に調印、8か月の混乱に終止符 喜びの声 夜更けまで https://www.afpbb.co[...] 2019-08-18
[273] 뉴스 スーダンで文民多数の統治機構発足 首相就任 https://www.afpbb.co[...] 2019-08-22
[274] 뉴스 Sudan's Opposition Alliance Chooses Prime Minister https://www.voanews.[...] 2019-08-16
[275] 뉴스 アフリカ連合がスーダンの加盟資格を停止 https://www.trt.net.[...] 2019-06-07
[276] 뉴스 スーダン、AUに復帰=組閣受け資格停止解除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9-09-08
[277] 뉴스 スーダン、暫定政権を解散 軍が首相ら拘束、クーデターか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1-10-25
[278] 뉴스 軍、首相の復職に同意 拘束の高官ら解放へ―スーダン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1-11-21
[279] 뉴스 スーダン 民間97人死亡 各地で戦闘、被害拡大も https://www.asahi.co[...] 2023-04-18
[280] 뉴스 難民の子供、4カ月で1200人死亡 紛争が健康に影響―スーダン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3-09-15
[281] 웹사이트 スーダン首相、新内閣の陣容発表 民政移管へ大きく前進 https://www.afpbb.co[...] AFP 2020-05-14
[282] 뉴스 四半世紀ぶり首相復活=大統領側近バクリ氏が就任-スーダン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7-03-05
[283] 웹사이트 スーダン、女子割礼を違法に 長期政権崩壊で権利向上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0-07-13
[284] 웹사이트 米国がスーダンのテロ支援国家リスト指定を解除 https://www.jetro.go[...] JETRO 2020-12-30
[285] 서적 Africa: Crude Continent: The Struggle for Africa's Oil Prize
[286] 뉴스 Chinese peace-keeping force formed for Sudan mission http://en.people.cn/[...] 人民網 2021-08-31
[287] 뉴스 中国資本の新大統領府が完成、スーダン https://www.afpbb.co[...] AFPBB 2018-07-18
[288] 웹사이트 スーダン大統領訪ロ=プーチン氏と会談 https://web.archive.[...] AFP時事 2018-01-16
[289] 뉴스 スーダンもイランと断交 UAEは外交格下げ、周辺国に影響拡大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6-01-04
[290] 뉴스 紅海の島巡り対立/トルコが開発権 サウジなど反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1-16
[291] 웹사이트 エチオピア人約2.5万人、戦闘逃れスーダンに流入 https://www.afpbb.co[...] AFP 2020-11-22
[292] 웹사이트 スーダン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외務省 2021-08-31
[293] 웹사이트 Arms Transfers Database http://armstrade.sip[...] 2018-06-27
[294] 웹사이트 Al-BASHIER Battle Tanks http://mic.sd/images[...] Military Industry Corporation
[295] 뉴스 スーダン陸軍がアフリカ最強に? 中国がロケット砲輸出か http://sankei.jp.msn[...] 2009-05-21
[296] 서적 ナイル川の自然形態 朝倉書店 2007-04-10
[297] 뉴스 中国、南スーダンで存在感 病院、レストラン、油田も… https://www.sankei.c[...] 2017-09-28
[298] 서적 アフリカ現代II 山川出版社 1990-02
[299] 방송 きょうの世界 NHK-BS1 2008-10-21
[300] 웹사이트 Riding the Nile train: could lifting US sanctions get Sudan's railway on track? https://www.theguard[...]
[301] 웹사이트 Kadu languages # URL 없음. 가상 링크임.
[302] 웹사이트 Religion in Sudan according to the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gov 2010-12-23
[303] 뉴스 キリスト教徒、迫害でスーダンから脱国 南部スーダン独立後、迫害深刻に http://www.christian[...] 2013-01-10
[304] 웹사이트 外務省 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 https://www.anzen.mo[...] 2024-12-23
[305] 뉴스 Sudan military leaders reinstate deposed prime minister https://apnews.com/a[...] 2021-11-21
[306] 기타
[307]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Sudan)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308]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309] 서적 A History of Modern Su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10] 서적 그럼에도 나는 좌파다 프로네시스 2008
[311] 뉴스 "아프리카 전환점 돌아..성장 국면으로 들어선 듯 [WB보고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11-15
[312] 저널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http://www.concern.o[...] 2017-08-18
[313] 백과사전 수단의 교통·도시
[314] 뉴스 수단, 이웃나라 차드와 외교관계 단절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8-05-11
[315] 일반텍스트
[316] 일반텍스트
[317] 일반텍스트
[318] 일반텍스트
[319] 일반텍스트
[320] 일반텍스트
[321] 지리
[322] 지리
[323] 지리
[324] 지리
[325] 지리
[326] 지리
[327] 지리
[328] 법률 남극 활동 및 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14조(남극특별보호구역 등의 보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