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 (이집트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심연'을 의미하는 원초의 물을 의인화한 신이다. 창조 신화에서 모든 것의 근원으로 묘사되며, 아툼, 라 등 다른 신들의 기원이 되기도 한다. 누는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모두 가진 자웅동체로 묘사되며, 태양의 배를 받치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헤르모폴리스 창세 신화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의 일원이며, 숭배 대상이 되지는 않았지만,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그도아드 - 아문
아문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숨겨진 자'라는 의미를 지닌 테베의 수호신으로, 후에 태양신 라와 결합하여 아문-라로서 숭배받으며 창조신과 다산의 신으로서 이집트 신앙의 중심이 되었다. - 오그도아드 - 쿡 (이집트 신화)
쿡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의 일원이며, 뱀과 개구리 또는 개구리 머리를 가진 남성과 뱀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된다. - 아버지 신 - 이자나기
이자나기는 일본 신화에서 아내 이자나미와 함께 천지창조와 신들을 낳았지만, 이자나미의 죽음 후 요미노쿠니에서 그녀를 되찾으려다 실패하고, 목욕을 통해 아마테라스, 쓰쿠요미, 스사노오를 낳은 뒤 은거한 신으로, 인간의 탄생과 죽음, 일본 신화의 기원을 설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버지 신 - 다그다 모르
다그다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투아하 데 다난의 왕이자 '좋은 신' 또는 '위대한 신'을 의미하며 풍요, 재생, 지혜, 마법을 관장하는 신으로 곤봉, 솥, 하프 등의 강력한 소유물을 지니고 모리안의 남편이자 여러 신들의 아버지이다. - 혼돈의 신 - 앙그라 마이뉴
조로아스터교에서 앙그라 마이뉴는 '파괴적인 정신'이라는 뜻을 가진 절대 악으로, 최고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항하여 재앙을 일으키고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는 존재이다. - 혼돈의 신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누 (이집트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 이집트 신화 |
역할 | 원초의 물, 혼돈 |
상징 | 물 |
숭배 중심지 | 헬리오폴리스 헤르모폴리스 |
이름 | |
이집트어 | nnw Nānaw |
콥트어 | Noun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나우네트 |
부모 | 없음 (오그도아드에 속하는 경우) |
자녀 | 아툼 |
기타 | |
관련 신 | 헤흐 |
2. 이름
'누'라는 이름은 고대 이집트어로 "심연"을 뜻한다. 여성형 이름인 '나우넷' 또는 '누넷'으로도 불렸다. 고대 이집트 오그도아드 사상에 따라 나우넷을 누의 아내로서 독립된 여신으로 표현하거나, 수호의 여신 네이트를 그의 아내로 보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누(Nun)를 생명의 구체가 갇혀 있는 해양 심연으로 생각했으며, 이는 그들의 우주론에서 가장 깊은 수수께끼를 나타낸다.[3] 고대 이집트 창조 설화에서, 원래의 땅 언덕은 누의 물에서 생겨났다.[4] 눈은 분화된 세계에 나타나는 모든 것의 근원이며, 신적 존재와 현세적 존재의 모든 측면을 포함한다. 구궁 우주론에서 눈은 창조 시점에 창조신 아툼과 함께 초월적인 존재로 인식된다.[3]
고대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는 "모든 신들의 아버지"라 불렸다[11]. 누(Nu)라는 이름은 "수동성"이라는 의미의 nen|넨egy과 말장난을 통해 연결되는데, "나는 그들을 물의 덩어리[nu|누egy]에서, 수동성[nen|넨egy]에서부터 일으켜 세웠다"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된다. 이 이름은 또한 콥트어 'noun' "심연; 깊이"와 비교되기도 한다.[2]
이 이름은 콥트어의 Ⲛⲟⲩⲛ "abyss; deep"과도 비교된다[8]。
이름은 표음 문자 nw(
3. 신화
원초의 물은 모든 존재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누(Nun)의 이름은 아툼이 선 대지인 "원초의 언덕"을 가리키기도 한다. 헬리오폴리스 창세 신화에서 누(Nun) 안에서 의지의 힘에 의해 창조신 아툼이 탄생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아툼과 라가 습합되면서, 라는 누(Nun) 안에서 의지의 힘으로 태어났다는 신화도 존재한다.
이름은 표음 문자 nw
3. 1. 창조 신화
세상의 첫 시작에는 빛도 없는 혼돈의 바다, 즉 심연이 있었다. 이는 "누"라고 불리었는데, 어느날 이곳에서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올라 아툼이라는 최초의 창조신이 탄생하였다. 아툼은 태양신 라를 창조하고, 라는 법과 조화의 여신 마아트를 낳았다. 이로써 우주에는 혼돈이 사라지고 질서가 자리잡게 되었다.[3]
고대 이집트인들은 누를 질서의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혼돈의 바다로 생각하였고, 그들의 세계관 중 가장 심오한 존재로 여겼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모든 영적인 것들과 세속적인 존재들은 모두 누에게서부터 흘러나온 것으로 여겨졌으며, 헬리오폴리스 신화에서는 누가 '아툼'과 함께 초월적인 존재로 묘사된다.[3]
태초에 우주는 거대한 혼돈의 우주 바다로만 이루어져 있었고, 이 바다는 누(Nu)라고 불렸다. 이 신화의 몇몇 버전에서는 시간의 시작에 메헤트-웨레트가 묘사되는데, 그녀는 뿔 사이에 태양 원반을 가진 암소로 묘사되며, 창조의 물에서 솟아올라 태양신 라를 낳았다고 한다.[7] 우주는 광대한 원시 물의 덩어리에 휩싸였고, 벤벤(Benben)이라는 피라미드 언덕이 이 원시적인 혼돈 속에서 나타났다. 이 언덕에는 연꽃이 있었는데, 이 연꽃이 피어났을 때 라가 나타났다. 태양이 나타나는 것에 대한 많은 버전이 있었고, 언덕에서 직접 나타나거나, 언덕에서 자란 연꽃에서 왜가리, 매, 풍뎅이, 또는 인간 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한다.[6][7] 헬리오폴리스에서 창조는 라와 밀접하게 관련된 신인 아툼에게 기인하며, 그는 누(Nu)의 물에서 무기력한 잠재적 존재로 존재했다고 한다.
원초의 물이라고 불리며, 모든 존재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누(Nun)의 이름은 아툼이 선 대지인 "원초의 언덕"을 가리키기도 한다. 헬리오폴리스 창세 신화에서 누(Nun) 안에서 의지의 힘에 의해 창조신 아툼이 탄생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아툼과 라가 습합되면서, 라(Ra)는 누(Nun) 안에서 의지의 힘으로 태어났다는 신화도 존재한다. 헤르모폴리스 창세 신화에서도 누(Nun)의 이름이 등장하며, 여기서는 여덟 신을 하나로 묶은 신들 오그도아드의 일원으로서 언급된다.
3. 2. 오그도아드
오그도아드는 헤르모폴리스 창세 신화에 등장하는 여덟 신들의 집단이다. 이들은 누와 나우네트를 비롯하여 아문, 아마우네트, 헤흐, 하우헤트, 케크, 카우케트로 구성된다.[3] 누는 다른 오그도아드 신들과 마찬가지로 사원이나 숭배 중심지를 갖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는 때때로 성스러운 호수 또는 아비도스처럼 지하 시내로 표현되었다.
3. 3. 기타
고대 이집트인들은 누를 질서의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혼돈의 바다로 생각했고, 모든 영적인 것들과 세속적인 존재들은 모두 누에게서부터 흘러나온 것으로 여겨졌다.[2] 후기 이집트에서는 외부 침략과 내분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여 누의 부정적인 면(혼돈, 혼란)이 부각되었다.[2]
고대 이집트에서 내세와 관련이 없다고 여겨진 사산된 아기나 죄인의 영혼은 누에게 보내졌으며, 죽은 자의 영혼이 돌아가는 곳으로 믿어졌다.
4. 묘사
누는 여성의 신체 구조인 유방과 남성의 특징인 턱수염과 성기를 가지고 있어, 자웅동체적이며 남성도 여성도 아닌 모습(중성 혹은 자웅동체)으로 묘사된다. 이는 스스로 최초의 신을 낳았다는 의미와 동시에 혼돈을 상징한다.[11]
이집트 사후세계를 그린 '관문의 서'에서 누는 두 팔을 올려 태양의 배를 받쳐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태양의 배에는 8명의 신들이 타고 있으며, 주로 아침의 태양신 케프리가 중앙에 있고 나머지 7명이 그를 둘러싸고 있다. 누는 물결이 몸을 채운 의인화된 큰 형상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원시 수의 인격화로 묘사되기도 하며, 홈이 파인 야자 가지를 들고 있기도 하다. 또한 개구리 머리를 가진 의인화된 형태로 묘사되기도 하며,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전형적으로 태양의 배 또는 태양 원반을 높이 들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개코원숭이의 모습으로 떠오르는 태양을 맞이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누는 보통 남성으로 묘사되었지만, 여성 또는 남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측면도 가지고 있었다.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누는 물을 나타내는 파란색-녹색 피부를 가진 수염이 있는 남자로 나타나기도 한다.
5. 숭배
누를 직접적으로 숭배하는 신전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누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 걸쳐 많은 신전들의 벽화나 예술품들에 묘사되며, 가끔씩 성스러운 호수 그 자체로 표현되기도 하였고, 이집트의 도시 아비도스의 경우에는 지하 강의 모습으로 경배를 받았다.
참조
[1]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J. Murray
[2]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Or, Studies in Egyptian Mythology
Methuen & Company
[3]
서적
The Oxford Essential Guide to Egyptian Mythology
Berkley
[4]
서적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Creation Myths: From Watery Chaos to Cosmic Egg
https://www.glencair[...]
2023-05-21
[6]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8]
서적
Budge (1904)
[9]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10]
서적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US
[11]
서적
The Oxford Essential Guide to Egyptian Mythology
Berk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