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 (이집트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는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으로, 그 이름의 어원은 불분명하나 태양과 창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의 머리를 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아툼과 결합하여 헬리오폴리스에서 중요한 신으로 숭배받았다. 라는 창조 신화에서 최초의 빛이자 최초의 신 아툼에게서 비롯되었으며, 인간을 창조하고 파라오를 '라의 아들'로 여겨 권위를 부여했다. 라의 숭배는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아문, 호루스 등 다른 신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숭배되었다. 라의 상징은 태양 원반과 코브라가 장식된 매의 머리, 숫양, 풍뎅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의의 신 - 우투
    우투는 수메르 신화의 태양신으로, 정의의 신으로서 수메르 초기부터 숭배받으며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정의의 신 - 미트라스
    미트라스는 로마 제국에서 유행한 미트라교의 중심 신으로, 프리지아 모자를 쓰고 황소를 죽이는 모습, 바위에서 태어나는 모습, 태양신과 만찬을 즐기는 모습, 사자 머리를 한 레온토세팔린 등으로 묘사된다.
  • 신화의 새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신화의 새 - 간다르바
    간다르바는 힌두교 신화의 신성한 음악가인 하위 신들의 계급이자 불교의 천룡팔부 중 하나인 건달바이며, 힌두교에서 압사라의 남편인 남자 자연정령으로서 음악에 능하고 신과 인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자이나교에서는 비얀타라 데바 중 하나로 분류된다.
  • 빛의 신 - 아톤
    아톤은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으로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숭배된 태양신으로, 태양 원반의 모습과 인간이나 동물이 아닌 태양 광선 형태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 빛의 신 - 수리야
    수리야는 힌두교의 태양신으로, 리그베다 등 초기 문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어둠을 몰아내고 지식, 선, 생명에 힘을 부여하는 존재로 숭배받으며, 인도 문학, 힌두교 경전,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표현되고 숭배된다.
라 (이집트 신화)
기본 정보
태양신 라, 매의 머리에 태양 원반을 이고 있음
여러 모습 중 하나인 태양신 라는 매의 머리를 하고 태양 원반을 우라에우스 안에 얹고 있다.
다른 이름라(Ra), 레(Re)
신화 체계이집트 신화
역할태양신
숭배 중심지헬리오폴리스, 고대 이집트 전역
상징태양 원반
부모알려진 바 없음 (대부분의 기록)
크눔과 네이트 (다른 기록)
하토르 (환생 주기에서)
메헤트-베레트 (일부 기록)
형제자매아펩, 소베크, 셀케트 (크눔과 네이트의 자식으로)
배우자하토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사테트 (일부 신화)
자식, 테프누트, 하토르, 세크메트, 마프데트, 바스테트, 사테트, 안후르, 마아트, 무트
그리스 신화 대응헬리오스
설형 문자
헬리오폴리스의 에네아드
구성원아툼
테프누트
누트
오시리스
세트
이시스
네프티스

게브
관련된 신화적 측면
주요 이야기매일 밤 두아트를 항해
아펩과의 싸움
인간의 파괴
추가 정보
특징창조신, 태양신, 왕권의 상징
숭배고대 이집트인들은 라를 숭배하며, 그에게 신전과 제물을 바쳤다.

2. 이름

라 이름의 어원과 의미는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태양과 창조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생겼다고 추정하고 있다. 라의 명칭은 '태양'이나 '태양 광선'을 뜻하는 유럽 단어 형성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 'Ray' 등)[1]

오벨리스크는 태양 광선을 숭배하는 상징물로써, 태양신 라 혹은 호루스에게 바쳐진 구조물이다.[1]

3. 신화

라는 흔히 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1] 고대 이집트인들은 태양이 해돋이부터 질 때까지 움직이면서 라의 모습도 변한다고 생각했다. 해가 뜰 때는 쇠똥구리 모습의 케프리로 나타나고, 낮에는 의 모습으로 하늘을 가로지르며, 밤에는 숫양의 모습으로 저승을 여행한다고 믿었다. 라는 태양의 배를 타고 이동했는데, 밤에는 세트가 명계의 악마로부터 라를 지켜주었다.

라는 원시 바다 눈에서 태어났으며, , 테프누트, 바스테트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세크메트는 라가 인간을 벌하기 위해 눈에서 만들어낸 존재이다. 라는 눈에서 빛을 뿜어 적을 태웠으며, 빨강을 상징한다.

슈와 테프누트가 돌아오자 라는 기쁨의 눈물을 흘렸고, 이 눈물에서 최초의 인간이 태어났다고 한다. 파라오는 "'''라의 아들'''"로 불리며 신성시되었고, 죽은 후에는 호루스와 함께 태양의 배에 초대된다고 믿어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라의 권위는 약해졌고, 인간을 불신하게 된 라는 세크메트를 보내 벌하려 했으나 오시리스의 중재로 그만두고 토트에게 권좌를 넘겨주었다.

아문 신앙이 널리 퍼지면서 라는 아툼과 결합하여 '''라-아툼'''이 되었고, 창조신의 지위는 아문에게 넘어갔다. 태양은 아문이 만든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 라는 호루스와 결합하여 '''라-호라크티'''가 되기도 하고, 아텐과 결합하여 '''아텐-라'''가 되기도 했다. 이는 라 신앙이 다른 신앙에 흡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3. 1. 창조 신화

최초의 혼돈의 바다 에서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 올라, 최초의 신인 아툼이 스스로 태어났다. 아툼은 처음으로 빛을 창조하였는데, 이 빛은 태양으로서 라가 되었다. 라는 스스로 4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중 하나인 마트는 법과 조화의 여신으로써 우주에 창조질서와 창조계획을 세웠다.[10]

다른 판본에 따르면, 최초의 혼돈의 바다 에서 창조의 신 프타가 스스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는 말로써 처음으로 빛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태양으로서 라가 되었다고도 한다.

또 다른 판본에 따르면, 최초의 혼돈의 바다 에서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올라, 최초의 신인 라가 스스로 태어났다. 라는 기침을 하여(혹은 사정을 하여), 그 분비물이 바람과 공기의 신인 와 습기의 여신인 테프네트, 땅의 신인 게브, 하늘의 여신인 누트로 자라나도록 하였다.[10]

태초에 혼돈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을 때, 태양신은 우주를 채운 눈의 물 덩어리 안에 홀로 존재했다.[10] 우주는 광대한 원시의 바다로 뒤덮였고, 피라미드 언덕인 벤벤이 이 원시 혼돈 속에서 나타났다. 벤벤과 함께 연꽃이 있었고,[11] 이 꽃이 피어났을 때 라(Ra)가 나타났다.[12] "나는 눈 속에 홀로 있었을 때의 아툼이고, 라가 새벽을 맞이했을 때, 그가 만든 것을 통치하기 시작했을 때이다."[10] 이 구절은 아툼이 어떻게 혼돈에서 인간의 형태로 모든 것을 창조했고, 라가 어떻게 인간과 신적 존재가 공존하는 지구를 통치하기 시작했는지 이야기한다. 그는 공기의 신인 슈(Shu)와 수분의 여신인 테프누트(Tefnut)를 창조했다. 이 남매는 인간의 두 가지 보편적인 원리, 즉 생명과 옳음(정의)을 상징했다. 라(Ra)는 그들의 비밀 이름을 말함으로써 모든 형태의 생명을 창조했다고 믿어졌다. 어떤 기록에서는 인간이 라(Ra)의 눈물과 땀으로 창조되었다고 한다.[10]

날개를 펼친 매의 모습의 라(Ra)의 보석, 태양 원반으로 장식되었고 상형 문자를 들고 있다.]]
매의 머리 위에 태양 원반을 놓은 웅크린 라(Ra)를 묘사한 상감 세공

3. 2. 두아트(Duat) 여행

태양신 라에 관한 고대 이집트 신화에 따르면, 라는 태양의 돛단배(혹은 태양의 배)를 타고 천상의 나일강, 즉 은하수를 따라 항해한다. 이집트 사람들은 라가 태양의 돛단배를 타고 하늘의 여신인 누트를 따라 동에서 서로 이동하면 낮이 되고, 서쪽에서 땅의 신 게브 아래로 내려가 다음날 동쪽 땅에서 나타날 때까지는 밤이 된다고 믿었다.[7] 이들은 태양이 지는 것을 죽음으로, 태양이 뜨는 것을 부활로 보았기에 서쪽 땅은 죽음의 땅, 동쪽 땅은 부활의 땅으로 여겼다. 그래서 피라미드를 비롯한 대부분의 무덤은 나일강 서편에 짓는 것이 원칙이었다. 또한, 부활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훗날 부활할 시체를 훼손되지 않게 보존하는 기술(미라)도 발전되었다.

서쪽 지평선 끝의 은하수에는 마누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곳에 도달한 태양의 배는 육체와 분리된 수많은 혼령을 싣고 두아트라는 계곡을 지난다. 이곳에는 아팹이라는 거대한 독사가 있어서, 태양신 라는 늘 이 뱀과 싸워야 했으며, 이 뱀에게 잡아 먹히면 일식이 찾아온다고 믿었다. 하지만 태양은 늘 다시 부활하기 때문에 아침이 되면 해가 뜨고(일식도 짧은 시간 내에 끝나며), 이 싸움은 끝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매일의 항해에서 태양 원반으로 장식된 라(𓇯)가 탄 태양 바크


라(Ra)가 지하 나일 강에서 태양 바르크(solar barque)를 타고 저승을 여행하는 모습. 람세스 1세(Ramses I) 무덤 (KV16)에 있는 문(Book of Gates) 사본에서 발췌


이집트 신화에 따르면, 해가 지고 황혼이 오면 라는 서쪽의 ''아케트''(지평선)를 통과하여 저승으로 여행했다. 때때로 지평선은 두아트로 이어지는 문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라는 그곳에서 지하 나일 강을 항해하고 열두 개의 문과 지역을 통과해야 했다. 저승 여정에서 그는 숫양 머리 모습으로 변했다.[8]

라는 아테트(Atet)라는 배를 타고 여행했는데, 이 배는 '만젯(Mandjet)'(억년의 배) 또는 아침 배, '메세크테트(Mesektet)' 또는 저녁 배라는 두 개의 태양 바르크였다.[8] 이 배들은 라를 하늘과 '두아트(Duat)' (밤의 12시간, 즉 이집트의 문자 그대로의 저승)로 데려갔다. 라가 '메세크테트'에 있을 때는 숫양 머리 형상을 하고 있었다.[8]

라가 태양 배를 타고 여행할 때, 시아)(지각), 후)(명령), 헤카)(마법력) 등 다양한 신들이 그와 동행했다. 때로는 엔네아드(Ennead)의 구성원들이 그의 여정을 도왔는데, 뱀 Apophis)을 물리친 세트), 저승의 괴물들로부터 라를 보호한 메헨(Mehen) 등이 있었다. 라가 저승에 있을 때, 그는 자신의 다양한 형상들을 모두 방문했다.[8]

혼돈의 신 아포피스(Apophis) (''이스페트''는 거대한 뱀)은 매일 밤 태양 배를 삼키거나 최면적인 시선으로 멈춰 세우는 방식으로 태양 배의 여정을 막으려 했다. 저녁 동안, 이집트인들은 라가 아툼(Atum) 또는 숫양의 형태로 저문다고 믿었다. 밤의 배는 그를 저승으로 데려가 부활을 준비하기 위해 동쪽으로 돌려보냈다. 이러한 신화는 하늘의 여신 누트(Nut)에 의해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태양의 부활로 묘사했고, 부활과 갱신의 개념을 라에게 귀속시키고 창조신으로서 그의 역할을 강화했다.[13]

고대 이집트인들은 태양의 운행과 함께 라 자체가 변형된다고 생각했다. 해돋이 때는 누트의 다리 사이에서 나와 쇠똥구리의 모습인 케프리로서 동쪽에 나타나고, 낮에는 의 모습, 혹은 태양의 배를 타고 하늘을 이동한다. 밤에는 수양의 모습으로 밤의 배를 타고 사자의 세계를 여행한다고 여겨진다. 이 때 밤의 배는, 명계의 악마로부터 세트에 의해 지켜진다. 이것은 태양의 움직임을 신격화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3. 3. 호루스 신화와의 관계

이시스태양신 라의 힘을 빌리고자 그의 진실된 이름을 알아내려 했다. 라는 너무 늙어 침을 흘렸는데, 이시스는 라의 침으로 독사를 만들어 태양의 돛단배가 지나가는 길목에 두었다. 독사에 물린 라는 고통스러워했고, 이시스는 진실된 이름을 알려주면 독을 제거해주겠다고 제안했다. 라는 호루스 외에는 누구에게도 발설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자신의 진실된 이름을 알려주었다.[1]

이 신화를 바탕으로, 성년이 된 호루스가 세트에게 복수한 후 라와 합쳐져 라-호라크티라는 신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호루스의 눈은 태양을 의미하게 되었다.[1] 라는 흔히 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1]

다른 신화에서는 아들 호루스에게 권력을 주고 싶어 한 이시스의 계략으로 그녀가 라가 흘린 타액을 포함한 진흙을 반죽하여 만든 독사에 물려 독의 고통을 견디다 못해 독을 해제하는 것과 교환하여 자신을 지배할 수 있는 자신의 진짜 이름을 가르쳐주었다.[1]

4. 다른 신과의 관계

라는 종종 다른 신들과 결합되어 신들 간의 상호 연결을 형성했다.

; 아문과 아문-라

람세스 4세의 무덤에 있는 라와 아문


아문오그도아드의 일원이었으며, 아마우넷과 함께 창조 에너지를 나타냈다. 아마우넷은 테베의 매우 초창기 후원자였다. 그는 호흡을 통해 창조한다고 믿어졌으며, 따라서 태양보다는 바람과 동일시되었다. 아문과 라의 숭배가 각각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으면서, 그들은 태양 창조신인 아문-라를 만들기 위해 결합되었다. 이 결합이 정확히 언제 일어났는지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아문-라에 대한 언급은 제5왕조 초기에 피라미드 텍스트에 나타났다. 가장 일반적인 믿음은 아문-라가 신왕국의 테베 통치자들에 의해 아문의 숭배자들을 라의 오래된 숭배와 통합하기 위해 새로운 국가 신으로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아문-라는 숭배자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신들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이미지는 태양 원반을 두른 사자 머리를 가진 붉은 눈의 남자로 결합된 신을 보여준다.

; 아툼과 아툼-라

아툼-라(또는 라-아툼)는 두 개의 완전히 분리된 신들로부터 형성된 또 다른 복합 신이었지만, 라는 아툼아문보다 더 많은 유사점을 공유했다. 아툼은 태양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엔네아드의 창조신이기도 했다. 라와 아툼 모두 신들과 파라오의 아버지로 여겨졌으며 널리 숭배받았다. 더 오래된 신화에서 아툼은 테프누트와 슈의 창조주였으며, 그는 눈에서 태어났다.

; 라-호라크티

중앙에 라-호라크티의 이미지가 있는 콘수 피라미디온


후기 이집트 신화에서 '''라-호라크티'''는 복합 신이라기보다는 칭호나 현현이었다. "''라'' (''호루스''를 호루스의 지평선)"로 번역된다. 호라크티[18](호루스의 일출 지향적인 측면)를 라와 연결하려는 의도였다. '''라-호라크티'''는 라로서 지평선에서 지평선으로 태양의 여정을 나타내거나, 라를 희망과 부활의 상징적인 신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고 제안되어 왔다.

그는 호렘헤브의 무덤에서 신들의 왕으로 선포된다. 파라오 투트모세 3세는 헬리오폴리스의 기둥을 호라크티에게 헌정했다.[19]

라-호라크티는 제3중간기의 사자의 서에서 매우 많이 나타난다. 그는 네지메트[20], 파디콘스[21], 네스타네베티세루[22], 제드콘시우상크[23], 타메니우[24]의 사자의 서와 네시타세트[25]를 위해 새겨진 암두아트 파피루스에서 그의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케프리와 크눔

케프리는 아침에 태양을 굴리는 풍뎅이였으며 때때로 라의 아침 현현으로 여겨졌다. 마찬가지로 머리를 한 신 크눔도 라의 저녁 현현으로 여겨졌다. 하루 중 다른 시간에 다른 신들(또는 라의 다른 측면)이 통치한다는 생각은 꽤 일반적이었지만 가변적이었다. 케프리와 크눔이 일출과 일몰보다 우선시되면서, 라는 종종 정오에 태양이 정점에 도달할 때 한낮의 표현이었다. 때로는 라의 측면 대신 호루스의 다른 측면이 사용되었다.

; 몬투와 몬투-라

신 몬투-라(매 머리)와 여신 하토르와 손을 잡고 서 있는 투트모세 3세의 조각상(현재는 머리가 없음)


매우 오래된 신인 몬투는 원래 라의 작열 효과의 현현이었으며, 따라서 몬투-라라는 칭호로 자주 나타났다. 몬투-라와 아툼-라는 각각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두 왕권을 상징했을 가능성이 있다. 몬투는 여러 배우자를 두었는데, 여기에는 라의 여성적 측면인 라에트-타위도 포함되었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몬투는 라와의 개념적 연결 때문에 태양 원반으로 장식된 머리로 묘사되었다.

; 라에트-타위

'''라에트''' 또는 라에트-타위는 라의 여성적 측면이었다. 그녀는 그와 별개로 큰 중요성을 갖지 않았다. 일부 신화에서 그녀는 라의 아내 또는 딸이자 몬투의 아내로 여겨졌다.

라는 거의 모든 다른 이집트 신들을 창조했다고 여겨졌다.[27]

; 바스테트

바스테트(Bastet)(바스트(Bast)라고도 함)는 때때로 "라의 고양이"로 알려져 있다.[28] 그녀는 또한 이시스(Isis)의 딸이며, 라의 복수 도구인 태양신의 눈과 관련이 있다.[28] 바스테트는 라를 보호하기 위해 뱀 아포피스(Apep)(라의 숙적이며 혼돈의 "신")의 머리를 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한 신화에서, 라는 바스테트를 암사자 모습으로 누비아로 보냈다.[28]

; 세크메트

세크메트(Sekhmet)는 라의 또 다른 딸이다.[29] 세크메트는 암사자 또는 큰 고양이로 묘사되었으며, "라의 눈" 또는 태양신의 복수의 도구였다.[29] 한 신화에서, 세크메트는 너무 분노하여 라가 그녀가 불필요한 해를 끼치지 않도록 소로 변하게 해야 했다.[29] 또 다른 신화에서, 라가 인류가 자신을 거스르려 한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하토르(Hathor)(라의 또 다른 딸)를 보내 인류를 벌한다. 그녀는 인간을 학살하면서 세크메트의 모습으로 변한다. 라가 그녀가 모든 인류를 죽이는 것을 막기 위해, 맥주를 붉게 물들여 땅에 붓도록 명령한다. 맥주를 피로 착각한 세크메트는 그것을 마시고, 취하자 그녀는 온순한 모습인 하토르로 돌아온다.[30]

; 하토르

하토르(Hathor)는 라의 또 다른 딸이다.[31] 라가 인류가 자신을 거스르려 한다는 것을 두려워했을 때, 그는 하토르를 "라의 눈"으로 보냈다.[29] 한 신화에서, 하토르는 라의 울적함을 치료하기 위해 그 앞에서 벌거벗고 춤을 췄다.[31] 라가 하토르 없이 지낼 때 그는 깊은 우울증에 빠졌다. 신왕국 시대에 라(Ra)는 아문(Amun)과 함께 "카무테프"(Kamutef, '어머니의 황소')라는 별칭과 관련되었다. 카무테프로서, 그는 하토르의 아들이자 남편으로 여겨졌으며, 자신의 어머니를 임신시켜 스스로를 낳았다.[32]

180x180px
; 프타

프타(Ptah)는 고왕국 시대 피라미드의 문헌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34] 일부에서는 헬리오폴리스(Heliopolis)의 라 숭배자들이 이러한 비문의 주요 저자였기 때문이라고 본다.[34]

; 이시스

한 신화에서, 이시스(Isis)는 라(Ra)를 독살하기 위해 뱀을 만들었고, 라(Ra)가 그녀에게 자신의 진정한 이름을 밝히자 해독제를 주었다. 이시스는 이 이름을 호루스에게 넘겨주어 그의 왕권을 강화했다.

; 아페프

아페프(Apep)는 아포피스(Apophis)라고도 불리며, 혼돈의 신이자 라(Ra)의 숙적이었다. 그는 지평선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라(Ra)가 저승을 여행할 때 라(Ra)를 삼키려 했다고 전해진다.

; 아텐

아텐(Aten)은 아크나톤(Akhenaten) 파라오가 고대 이집트에서 세운 종교 체계인 아텐주의(Atenism)의 중심이었다. 아텐은 태양 원반이었으며 원래 라(Ra)의 한 측면이었다.

5. 숭배

태양은 생명을 주는 존재로, 인간이 경작하는 작물의 성숙을 조절한다. 태양의 생명을 주는 특성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태양을 신으로 숭배했다. 우주의 창조자이자 생명의 수여자인 태양 또는 라(Ra)는 생명, 따뜻함, 성장을 나타냈다. 사람들은 라를 주요 신, 우주의 창조자, 생명의 근원으로 여겼기 때문에 그는 그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그는 모든 이집트 신들 중에서 가장 숭배받는 신 중 하나가 되었으며 심지어 신들의 왕으로 여겨졌다.

이집트 역사 초기에 그의 영향력은 전국으로 퍼져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표현되었다. 가장 흔한 형태의 조합은 아툼(그의 인간 형태), 케프리(풍뎅이) 및 호루스(매)이다. 그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는 매의 머리를 가진 사람의 모습인데, 이는 또 다른 하늘의 신인 호루스와의 결합 때문이다. 그의 머리 위에는 코브라가 있는 태양 원반이 있는데, 많은 신화에서 이는 라의 눈을 나타낸다.

라의 주요 숭배 중심지는 '이우누' "기둥의 장소"였으며,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서는 헬리오폴리스(, "태양 도시")[15]로 알려졌으며, 오늘날에는 아인 샴스 카이로 교외에 위치하고 있다. 그는 지역 태양신 아툼과 동일시되었다. 아툼 또는 아툼-라로서 그는 최초의 존재이자 엔네아드의 창시자로 여겨졌으며, 여기에는 슈와 테프누트, 게브와 누트, 오시리스, 세트, 이시스네프티스가 포함되었다.

그림 널빤지에는 팔을 든 여인이 매의 머리와 태양 원반 왕관을 쓴 남자를 향하고 있다. 꽃 모양의 체인이 원반에서 여자의 얼굴을 향해 뻗어 나온다.


라의 지역 숭배는 대략 이집트 제2왕조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여 그를 태양신으로 확립했다. 이집트 제4왕조에 이르러 파라오는 라의 현현으로 간주되어 "라의 아들"이라고 불렸다. 라는 이집트의 첫 번째 왕으로 불렸으며, 따라서 파라오는 그의 후손이자 계승자로 여겨졌다. 그의 숭배는 이집트 제5왕조에 이르러 급증했는데, 이때 라가 국교가 되었고 파라오는 그를 기리기 위해 특별히 정렬된 피라미드, 오벨리스크, 태양 신전을 지었다. 제5왕조의 통치자들은 추종자들에게 자신이 라 자신의 아들이며 헬리오폴리스의 대사제의 아내라고 말했다.[8] 이 파라오들은 이집트의 많은 돈을 태양 신전에 썼다.[8] 최초의 피라미드 텍스트가 등장하기 시작하여 파라오가 두아트 (저승)를 여행하는 데 라의 중요성을 더했다.[8]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라는 다른 주요 신, 특히 아문 및 오시리스와 점점 더 제휴하고 결합되었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라에 대한 숭배는 더욱 복잡하고 웅장해졌다. 무덤의 벽은 라가 저승을 여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매우 상세한 텍스트로 헌정되었다. 라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기도와 축복을 태양 배에 탄 죽은 자들의 영혼과 함께 운반한다고 했다. 라가 태양과 함께 늙어간다는 생각은 신왕국의 부상과 함께 더욱 인기를 얻었다.

많은 숭배 행위에는 라와 태양 배가 아포피스를 극복하도록 돕는 찬송가, 기도 및 주문이 포함되었다.

로마 제국의 기독교의 부상은 라 숭배를 종식시켰다.[16]

6. 상징

라는 주로 황새매 또는 송골매의 머리를 가진 사람으로 묘사되었으며, 태양 원반과 그 주위를 감싸는 코브라가 장식되어 있었다.[8] 하늘의 신 호루스와 특징을 공유했다. 라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다. 다른 일반적인 형태는 딱정벌레의 머리를 가진 사람 (케프리) 또는 숫양의 머리를 가진 사람이었다. 라는 또한 완전한 몸을 가진 숫양, 딱정벌레, 불사조, 왜가리, 뱀, 황소, 고양이, 사자 등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지하 세계에서 숫양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가장 흔하게 등장했다.[8] 이 형태에서 라는 "서쪽의 숫양" 또는 "자신의 하렘을 담당하는 숫양"으로 묘사된다.[8] 일부 문헌에서는 라는 금빛 살갗, 은빛 뼈, 청금석으로 된 머리카락을 가진 늙은 왕으로 묘사된다.[8] 라는 흔히 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저승에 있는 동안, 라(라-크눔)는 숫양의 머리와 태양 원반을 가지고 묘사되었다.


라-호라크티는 호루스처럼 묘사되었지만, 프세헨트 대신 태양 원반을 착용했으며, 현대와 고대에는 라 자체가 종종 이렇게 표현된다.


신 아문-라 (이는 아문과 라의 조합)는 때때로 민과 동일시되어 아문-라-민이라는 신을 형성했으며, 민과 비슷하게 묘사되었지만 머리 장식에 태양 원반을 가지고 있었다.


오벨리스크는 태양 광선을 숭배하는 상징물로써, 태양신 라 혹은 호루스에게 바쳐진 구조물이다. 라는 태양신이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태양의 운행과 함께 라 자체가 변형된다고 생각했다. 해돋이 때는 누트의 다리 사이에서 나와 쇠똥구리의 모습인 케프리로서 동쪽에 나타나고, 낮에는 의 모습, 혹은 태양의 배를 타고 하늘을 이동한다. 밤에는 수양의 모습으로 밤의 배를 타고 사자의 세계를 여행한다고 여겨진다.

눈에서는 강렬한 빛을 뿜어 적을 태워 없앤다. 라를 상징하는 원소와 색은 각각 빨강이다.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2]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Eleventh Edition Merriam-Webster 2007
[3] 서적 Amarna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3
[4] 문서 CIS I 3778
[5]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5
[6] 웹사이트 Ra, the Sun God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2023-05-22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archive.org/d[...]
[8] 서적 (출처 필요) 1986
[9] 학술지 Divine Boats of Ancient Egypt 1955
[10] 서적 The Egyptian Gods Borgo Press
[11]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Creation Myths: From Watery Chaos to Cosmic Egg https://www.glencair[...] 2023-05-21
[12] 웹사이트 Lotus – Sunnataram Forest Monastery https://www.sunnatar[...] 2023-05-21
[13] 서적 The Question of Evil in Ancient Egypt Golden House Publications 2010
[14] 웹사이트 Horus Falcon – NCMALearn https://learn.ncartm[...] 2023-02-25
[15]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16] 서적 The Cult of Ra: Sun-worship in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2001
[17] 서적 (출처 필요) 1986
[18] 웹사이트 Horakhty |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19] 서적 Mishor (Egypt) Aranyaman
[20] 웹사이트 papyru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1] 웹사이트 papyru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2] 웹사이트 papyru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3] 웹사이트 papyru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4] 웹사이트 papyru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5] 웹사이트 Amduat Papyrus Inscribed for Nesitaset | Third Intermediate Period https://www.metmuseu[...]
[26] 서적 Dizionario della civiltà egizia Gremese Editore 1994
[27]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
[28] 서적 (출처 필요) 1986
[29] 서적 (출처 필요) 1986
[30] 서적 Dancing for Hathor: Women in Ancient Egypt Continuum 2004
[31] 서적 (출처 필요) 1986
[32] 서적 Patterns of queenship in ancient Egyptian myth and history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86
[33] 문서 tomb of Inherkha, Deir el-Medina
[34] 서적 (출처 필요)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