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선은 지형의 한 종류로, 생성 과정, 형태, 구성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사구 능선, 해안 사취, 수지상 능선, 주향 능선, 빙퇴석, 에스커, 해령, 충돌구 산맥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바람, 침식, 빙하 활동, 판 구조 운동, 화산 활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능선은 등산로, 경계, 길, 생태 통로로 활용되며, 한국의 용아장성, 설악산 공룡능선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선 - 용아장성
제공된 정보가 없어 용아장성에 대한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 능선 - 공룡능선
공룡능선은 설악산 중앙 능선으로, 웅장하고 역동적인 화강암 암석 봉우리들로 이루어져 내설악과 외설악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어려운 산행 코스 중 하나로 2013년 명승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 산지생태학 - 고산식물
고산식물은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다년생 초본으로 자라는 특징을 가지며, 빙하기 잔존종이거나 고유종으로 분화된 종들이 존재하고, 다양한 생리적, 형태적 특징을 통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모두 이용하여 번식하지만, 기후변화로 서식지 감소 및 멸종 위협에 직면해 보전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산지생태학 - 만년설
만년설은 일상어와 전문 용어에서 오래된 눈을 의미하며, 지구 온난화에 의해 축소 또는 소실될 수 있고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세계 여러 높은 산과 설원에서 발견되지만, 대한민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 경사지형 - 평야
평야는 고도 변화가 크지 않고 풀로 덮인 평평한 땅으로, 하천, 바람, 빙하 등의 작용으로 형성되며, 농업, 교통, 도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경사지형 - 언덕
언덕은 산보다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으로, 지형학적 현상으로 형성되며, 역사적으로 방어, 정착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포츠 및 레저 활동에도 활용된다.
능선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길고 좁고 높은 지형 |
유형 | 산등성이 해저 능선 고지대 능선 |
특징 | |
형성 원인 | 단층 작용 침식 작용 화산 활동 |
지형학적 중요성 | 분수계 형성 경관 다양성 제공 생태계 구분 |
지질학적 중요성 | |
구성 암석 |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 등 |
지질 구조 | 습곡, 단층 등 다양한 지질 구조와 관련 |
다른 용어 | |
영문 | Ridge |
일본어 | 尾根 |
2. 지형학적 분류
능선은 생성 과정, 형태, 구성 등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지형과 마찬가지로, 능선에 대한 공통적으로 합의된 분류 체계나 유형론은 부족하다.
능선 분류의 한 예로 Schoeneberger와 Wysocki의 분류[4]가 있다. 이는 미국 국립 협력 토양 조사 프로그램에서 능선 및 기타 지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비교적 단순하고 직접적인 체계를 제공한다. 이 체계는 지배적인 지형 형성 과정 또는 환경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지형 그룹을 두 가지 주요 그룹, "지형 환경"과 "기타 그룹"으로 분류하며, 총 16개의 하위 그룹이 있다. 그룹과 하위 그룹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능선을 포함한 지형은 여러 하위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이 분류에서 능선은 풍성, 해안 해양 및 하구, 호소, 빙하, 화산 및 열수, 지질 구조, 사면, 침식 하위 그룹에서 발견된다.[4]
산봉우리에서 시작하여 골짜기로 이어지는 능선을 일본에서는 尾根(오네)라고 부른다. 후지산과 같은 원추형 산에서는 뚜렷한 형태의 尾根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강우와 유수에 의한 침식이 진행되면 골짜기가 생기므로,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의 융기부로서 尾根이 형성된다. 독립봉에서는 尾根이 정상에서 산기슭까지 뻗어 있지만, 많은 산들은 여러 개가 나란히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尾根은 산맥 사이를 연결하여 뻗어 나간다. 어느 정도 직선적으로 尾根이 이어진 산들이 나란히 늘어선 것을 연봉이라고 하며, 이러한 尾根을 따라 산행하는 것을 종주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尾根은 분수령이 되기도 한다.
생성 과정과 형태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생성 과정에 따른 분류
능선은 생성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사구 능선''': 바람에 의해 모래가 쌓여 형성된 능선이다. 사구는 높이와 길이가 다양하며, 거대한 사구는 그 위에 작은 사구들이 겹쳐져 있기도 하다.
- '''해안 사취''' : 파도와 해류의 작용으로 해안선에 쌓인 낮고 연속적인 해변 퇴적물 능선이다. 해안선과 평행하게 여러 개가 나타나기도 한다.
- '''수지상 능선''' : 하천 배수 계곡 사이에 남아있는 능선으로, 해부된 고원 지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침식에 강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불규칙한 방향과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 '''주향 능선''' : 경사진 암석층 사이에서 차별 침식으로 생성된 비대칭 능선이다. 완만한 경사면과 가파른 절벽 경사면을 가진다.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길고 평행한 형태로 나타난다. 쿠에스타, 플래티론, 단사면 능선, 호그백으로 세분된다.
- '''암초''' : 육로 여행이나 해상 여행에 장벽 역할을 하는 바위 능선을 의미한다. 캐피톨 리프 국립공원과 산 라파엘 암초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빙퇴석과 에스커''' : 빙하 활동으로 생성되는 능선이다. 아레테는 빙하 침식으로 형성된 얇은 암석 능선이다.
- '''해빙 압력 능선''' : 호수나 바다의 해빙이 충돌하여 가장자리가 압축될 때 형성되는 얼음 능선이다. 평균 높이는 5m에서 30m이다.[8]
- '''해양 확장 열곡''' : 판구조론적 확장대에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는 산맥이다. 대서양 중앙 해령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확장대에서 멀어질수록 고도가 낮아진다.
- '''충돌구 산맥''' : 큰 소행성 충돌로 생성되는 원형 산맥이다.
- '''셔터 산맥''' : 단층선을 따라 이동하여 배수를 차단하거나 우회시키는 산맥이다.
- '''압력 능선(용암)''' : 용암류, 특히 굳은 지각 아래에서 느리게 움직이는 용암이 솟아오를 때 발생하는 능선이다. ''튜멀러스(tumulus)''라고도 불리며, 중앙 균열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 '''화산 분화구/칼데라 능선''' : 대규모 화산에서 볼 수 있는 중앙 분화구 또는 칼데라 테두리의 원형 능선이다.
- '''빙하성 화산 능선''' : 빙하성 화산 분출로 생성되는 ''틴다르''라고 불리는 화산 능선이다. 높이는 수십 미터에서 최대 250m까지 다양하다.
2. 2. 형태에 따른 분류
양쪽 사면이 급경사인 능선은 등산 용어로 '''험준한 능선''' 또는 '''날카로운 능선'''이라고 한다. 이는 '''칼날 능선''', 말의 등, 칼날(剣の刃渡り), 금냉이(金冷やし) 등으로 불린다. 프랑스어로는 '''아레트'''(arête|아레트프랑스어), 독일어로는 '''그라트'''(grat|그라트de), 영어로는 리지(ridge|리지영어) 등으로도 불린다.[12][13] 빙하의 작용(빙식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험준한 능선은 일본에서 특히 아레트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빙식에 의한 아레트는 빙하가 흘러내려가면서 봉우리 양쪽에서 카르가 확대되어 생긴다. 험준한 능선 중에서도 특히 급경사인 곳을 '''나이프 에지'''(knife edge|나이프 에지영어)라고도 한다.[12][13]"험준한 능선"의 반대로 양쪽 사면이 완만한 능선은 등산 용어로 '''넓은 능선'''이라고 한다. 험준한 능선은 절벽에 가까운 지점이 위험하므로, 완만한 능선이 안전하지만, 반면 완만한 능선은 능선이 명확하지 않아 따라가기 어렵고 길을 잃을 위험이 크다. 하치만타산에서 설중행군이 조난당한 것도 완만한 정상부 때문에 능선을 통해 방향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이 큰 이유였다.
3. 능선의 기능
능선은 명확한 경계로 인식하기 쉬우며, 물이 흐르는 수계를 나누는 분수령이기도 하여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능선을 경계로 하는 경우가 많다. 행정 구역도 흔히 능선을 따라 형성된다. 높은 산의 정상이 두 개 이상의 행정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12][13]
하지만 능선은 일반적으로 물을 얻기 어려워 생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을은 산 중턱의 계곡에 만들어진다. 산을 넘을 때 긴 능선이 있다면 가장 낮은 곳을 넘는데, 이러한 지점을 고개라고 한다.
도로는 주로 하천을 따라 만들어지지만, 주류에서는 그 옆을 지나고, 계곡에서 분수령을 넘는 경우에는 계곡 바닥에서 산 중턱을 올라가 어느 정도 지점에서 터널을 만들어 통과한다. 그래서 옛길을 여러 곳에서 가로지르는 코스가 된다. 또한 마을보다 훨씬 낮은 곳을 새로운 도로가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
3. 1. 등산로
능선은 산행 시 위치를 파악하고 코스를 알기 쉬워 길로서 자주 이용된다. 길을 잃었을 때도 능선으로 나오는 것이 좋다. 계곡은 조망이 좋지 않아 방향을 잃기 쉽고, 폭포나 절벽으로 인해 통행이 불가능하거나 추락, 미끄러짐의 위험이 높다. 또한, 능선은 분수령이 되는 경우가 있어 내려가는 방향을 잘못 잡으면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갈 수 있다.[12][13]이러한 이유로 예전부터 능선은 산을 넘는 통로로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구마노고도의 산간부는 대부분 능선을 따라 있으며, 곳곳에서 계곡 바닥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능선을 오르는 것을 반복한다. 보통 오르내림이 거의 없는 구간은 능선을 따라가고, 작은 봉우리에서는 산 중턱을 지나는 코스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산간 오지에서는 마을이 주요 하천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능선은 일반적으로 물을 얻기 어려워 생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을은 산 중턱의 계곡에 만들어진다. 산을 넘을 때 긴 능선이 있다면 가장 낮은 곳을 넘는데, 이러한 지점을 고개라고 한다.
한국의 산악 지형에서는 능선을 따라 걷는 종주 산행이 인기 있다.
3. 2. 경계
능선은 명확한 경계로 인식하기 쉽다. 또한, 물이 흐르는 수계를 나누는 분수령이기도 하며, 이에 따른 구분은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능선을 경계로 하는 경우가 많다. 행정 구역도 흔히 능선을 따라 형성된다. 높은 산의 정상이 두 개 이상의 행정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3. 3. 길
산행을 할 때 능선은 위치를 파악하고 코스를 알기 쉬워 길로서 자주 이용된다. 길을 잃었을 경우에도 능선으로 가는 것이 좋다. 계곡은 조망이 좋지 않아 방향을 잃기 쉽고, 폭포나 절벽으로 인해 통행이 불가능하거나 추락 위험이 높다. 또한, 능선은 분수령이 되는 경우가 있어 내려가는 방향을 잘못 잡으면 완전히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다.이러한 이유로 예전부터 능선은 산을 넘는 통로로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구마노고도의 산간부는 대부분 능선을 따라 있으며, 곳곳에서 계곡 바닥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능선을 오르는 것을 반복한다. 보통 오르내림이 거의 없는 구간은 능선을 따라가고, 작은 봉우리에서는 산 중턱을 지난다. 이 때문에 산간 오지에서는 마을이 주요 하천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도로는 주로 하천을 따라 만들어지지만, 주류에서는 그 옆을 지나고, 계곡에서 분수령을 넘는 경우에는 계곡 바닥에서 산 중턱을 올라가 어느 정도 지점에서 터널을 만들어 통과한다. 그래서 옛길을 여러 곳에서 가로지르는 코스가 된다. 또한 마을보다 훨씬 낮은 곳을 새로운 도로가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
4. 한국의 주요 능선
한국에는 설악산 설악산 공룡능선, 용아장성과 같이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능선이 많으며, 이들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4. 1. 문화재
이름 | 설명 |
---|---|
용아장성 | 대한민국의 명승 제102호 |
설악산 공룡능선 | 대한민국의 명승 제103호 |
참조
[1]
논문
Rules and recommendations for naming geological units in Norway, Norsk Geologisk Tidsskrift 69, supplement 2
[2]
서적
Fundamentals of geomorphology
Routledge
[3]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4]
웹사이트
Geomorphic Description System, version 5.0
https://www.nrcs.usd[...]
USD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17
[5]
서적
Sand and Sand Dunes
Springer-Verlag
2008
[6]
웹사이트
Capitol Reef National Park – Geology
http://www.nps.gov/c[...]
U.S. National Park Service
2009-01-17
[7]
서적
Utah place names :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origins of geographic names : a compil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Utah Press
2022-06-02
[8]
논문
An analysis of the shapes of sea ice ridges
[9]
서적
Traces of Catastrophe: A Handbook of Shock-Metamorphic Effects in Terrestrial Meteorite Impact Structures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10]
서적
Volcanism
Springer
2003
[11]
서적
Encyclopedia of Quaternary Science
Elsevier
[12]
웹사이트
山用語 区分(3713:地形・尾根)
http://yamadon.net/y[...]
[13]
웹사이트
山岳用語集 あ行
http://www.jalps.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