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레테는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모든 존재의 고유한 탁월성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인간의 경우 정의, 자제 등의 덕목을 포함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서 영웅들의 힘, 용기 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5~4세기에는 도덕 철학의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하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아레테는 때때로 여신으로 의인화되기도 했으며, 기독교 사상과 현대 문학 작품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파이데이아에서 육체, 정신, 영적 훈련을 통해 아레테를 추구했으며, 현대 소설에서도 아레테는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양고전학 - 로마 제국 쇠망사
《로마 제국 쇠망사》는 에드워드 기번이 저술한 로마 제국 역사서로, 기독교의 발흥이 로마 제국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을 담고 있으며,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어조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덕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 윤리학 개념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윤리학 개념 - 필요악
필요악은 더 큰 선을 이루거나 더 큰 해악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악을 의미하며, 불편함이나 성가심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일부 사상가들은 그 개념 자체를 거부하고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시각차를 보인다.
아레테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레테 |
유형 | 그리스 철학적 개념 |
멤버 | 프락시디케 |
신 | 탁월함과 덕의 여신 |
![]() | |
부모 | 프락시디케와 소테르 |
자매 | 호모노이아 |
성별 | 여성 |
로마 | 미덕 |
상세 정보 | |
아레테 (로마자 표기) | arete |
그리스어 | ἀρετή |
2. 역사
고대 그리스에서 '아레테'(ἀρετή|아레테grc)는 굴뚝이나 번식용 황소와 같이 어떤 대상의 탁월함을 나타내는 용어였다.[4] 이 단어의 의미는 대상에 따라 달랐으며, 인간의 '아레테'는 말의 그것과 구별되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서 나타나며, 귀족 계급은 '아레테'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아레테'는 최상급 능력과 우월성을 뜻하는 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복수형으로 귀족을 지칭했다.[5]
기원전 5세기와 4세기를 거치며 인간에게 적용되는 '아레테'는 (정의) 및 (자제)와 같은 덕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플라톤은 도덕 철학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중용의 교리를 통해 '아레테' 개념을 발전시켰다.[6]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용적인 기술, '아레테', 이론 등 다양한 교육 목표를 고려했다.[7][8] '아레테'를 위한 교육은 유용한 것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했지만, '아레테'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합의가 없어 훈련 방법에 대한 의견은 분분했다.
2.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레테'(ἀρετή|아레테grc)라는 용어를 모든 것에 적용했다. 예를 들어 굴뚝, 번식용 황소, 그리고 인간의 우수성이 그것이다. 모든 것은 고유한 탁월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 단어의 의미는 무엇을 묘사하는지에 따라 달라졌다. 인간의 '아레테'는 말의 '아레테'와는 달랐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플라톤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동굴의 비유에서 볼 수 있다.[4] 특히, 귀족 계급은 본질적으로 '아레테'의 모범이라고 여겨졌다. '아레테'의 어원은 최상급 능력과 우월성을 나타내는 단어인 와 같으며, 는 끊임없이 복수형으로 사용되어 귀족을 지칭했다.[5]기원전 5세기와 4세기 무렵, 인간에게 적용되는 '아레테'는 (정의) 및 (자제)와 같은 더 조용한 덕목을 포함하도록 발전했다. 플라톤은 이러한 새로운 용법을 통합하는 도덕 철학을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아레테'의 교리가 가장 훌륭하게 꽃을 피운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교리는 그의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이다.[6]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용적인 기술, '아레테', 그리고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목표에 대해 숙고했다.[7][8] '아레테'를 향한 교육은 소년들이 인생에 유용한 것들을 배우도록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레테'가 무엇으로 구성되는지에 대한 합의가 없으므로, 학생들을 '아레테'를 위해 훈련시키는 방법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이어진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서 는 주로 영웅과 귀족, 그리고 그들의 민첩함을 묘사하며, 특히 힘과 용기를 언급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1] 예를 들어, 신들의 탁월함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힘을 포함했지만, 『오디세이아』(13.42)에서 오디세우스는 신들에게 파이아케스인들에게 를 내려달라고 요청했는데, 여기서 는 일반적으로 번영으로 번역된다.[9] 페넬로페의 는 협동과 관련이 있으며, 그녀는 아가멤논에게 칭찬을 받는다. "남성적인" 자질과 관련이 있지만,[1] 호메로스의 용어 사용은 반드시 성별에 국한되지 않았으며, 호메로스는 이 용어를 그리스와 트로이 영웅뿐만 아니라 주요 여성 인물에게도 적용했다.
『오디세이아』는 "멀리 울리는 제우스가 노예의 날이 그를 사로잡을 때, 인간의 아레테의 절반을 빼앗아간다."[10]라고 말한다.
『일리아스』에서 호메로스가 아킬레우스를 묘사하는 방식은 의 한 예이다. 는 전사의 훌륭함과 용맹함과 관련이 있다. 데브라 하위는 아테네적 기량의 규범과 관행이 "명성의 정치 안에서 작용하며, 그 규범적 양극단은 명예와 수치심이다"라고 지적한다.[11] 전투에서 죽거나 올림픽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는 것은 ( "좋은")로 여겨졌으며, 따라서 ("명예")를 받을 만했다. 따라서 아킬레우스는 용감하고 훌륭한 전사일 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트로이 전투에서 최고의 영광을 안고 죽을 운명이었으며, 이는 를 보장하는 것이었다.[11]
버나드 녹스의 주석에 따르면, ""는 "기도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와도 관련이 있다.[12]
2. 2. 의인화

아레테는 때때로 여신으로 의인화되었으며, 호모노이아(화합, 만장일치, 마음의 일체성의 여신)의 자매이자 프락시디케(정의의 여신)의 딸이었다. 아레테와 호모노이아는 공동으로 Praxidikai|프락시디카이grc(정의의 집행자)로 알려졌다. 많은 소규모 그리스 신들과 마찬가지로 아레테에 대한 실제 신화적 배경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기껏해야 덕의 의인화로 사용된다.
아레테와 관련된 유일하게 남아있는 이야기는 소피스트 프로디쿠스가 전한 헤라클레스는 길가에 서다이다. 이 이야기는 영웅 헤라클레스의 초기 생애에 관한 것이다. 교차로에서 아레테는 젊은 처녀로 헤라클레스에게 나타나 그에게 영광과 악에 맞서 싸우는 삶을 제시했다. 그녀의 상대인 카키아(κακία|카키아|lit=badnessel)는 그에게 부와 쾌락을 제공했다. 헤라클레스는 아레테의 길을 따르기로 선택했다.[13]
이 이야기는 나중에 기독교 작가인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 순교자 유스티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 등에 의해 사용되었다.
3. 의미와 적용
아레테는 고대 그리스어 ἀρετήgrc에서 유래한 말로, "탁월함", "덕", "훌륭함" 등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고대 그리스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레테를 단순히 개인의 능력이나 기술뿐만 아니라, 도덕적, 정신적, 육체적 완성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했다. 핀다로스의 송시에 나오는 로도스의 디아고라스 관련 구절[8]을 통해 당시 아레테의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3. 1.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2권 6장에서는 아레테를 "선택의 습관 또는 훈련된 능력이며, 그 특징은 이성, 즉 신중한 사람이 결정하는 이성에 의해 결정되는 관련자들에 대한 중용 또는 준수의 경계에 놓여 있다"[14]라고 정의한다. 즉, 아레테는 이성에 의해 결정되는 중용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3. 2. 종교
사도 바울은 빌립보서에서 참되고, 존귀하고, 의롭고, 정결한 것 등 칭찬받을 만한 모든 것을 생각하라고 권고하며 아레테를 언급한다.[14]3. 3. 문학
로버트 피르시그는 그의 저서 ''선과 오토바이 정비술''에서 aretegrc를 "품질"의 동의어로 사용하며, 이 책은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와 변증법과 수사학 사이의 역사적 대조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를 포함한다.[15] 피르시그의 구절은 "그리고 무엇이 잘되고 무엇이 잘못되었는가—우리는 리시아스나, 정치적이든 다른 것이든, 미터로든 미터가 아니든, 시인이든 산문 작가이든, 쓴 적이 있거나 쓸 사람이든, 이들을 가르치도록 요청해야 하는가?"[16]라는 플라톤의 대화록 ''파이드로스''의 한 구절에서 시작된다.3. 4. 현대적 적용
조 월턴의 ''테살리 삼부작'' 중 두 번째 책인 ''철학자 왕들''에서 아레테는 핵심 등장인물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8] 이 소설에서 시간 여행을 하는 여신 아테나가 모은 사람들은 플라톤의 ''국가''에 묘사된 이상적인 사회를 건설하고자 노력한다. 아레테는 후속편에도 등장하는 조숙한 십 대 소녀이며, 이름과 그 의미("탁월함")는 책의 작지만 중요한 줄거리이자 시리즈 전체의 주제이다.3. 5. 운동
플라톤은 운동 훈련을 통해 정신, 육체, 영혼을 모두 발전시켜 아레테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운동은 아레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운동이 삶 전체를 차지할 필요는 없지만, 정신과 영혼이 다른 방법으로 단련되는 것처럼 육체를 아레테에 적합한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8]4. 파이데이아와 아레테
파이데이아grc는 고대 그리스에서 소년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아레테grc는 이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아레테grc 훈련에는 그리스인들이 김나시온grc을 개발한 육체 훈련과 웅변, 수사학, 기초 과학을 포함한 정신 훈련, 그리고 음악과 덕이라고 불리는 영적 훈련이 포함되었다.[1]
참조
[1]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1940
[2]
웹사이트
Arete: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23-07-05
[3]
서적
Nicomachean Ethics
[4]
웹사이트
Plato, Republic, Book 6
https://www.perseus.[...]
2021-11-30
[5]
서적
Paideia; the Ideals of Greek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Bekker page 1094a
http://www.perseus.t[...]
2021-11-30
[7]
서적
Politics
[8]
서적
Ancient Greek Athletic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9]
웹사이트
Homer, Odyssey
https://www.perseus.[...]
2021-11-30
[10]
서적
The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11]
간행물
Agonism and Aret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Odyssey
Penguin Classics Deluxe Ed
1996
[13]
문서
The Memorabilia Recollections of Socrates
https://www.gutenber[...]
Macmillan and Co.
2021-06-11
[14]
서적
Nicomachean Ethics
1906
[15]
서적
Zen and the Art of Motorcycle Maintenance
[16]
서적
Phaedrus
[17]
문서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19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