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개는 산이나 구릉을 넘어가는 좁은 길목을 의미하며,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각기 다른 어원과 표현으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지형적 특성상 교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관령, 문경새재 등이 대표적이다.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고개들이 존재하며, 카이베르 고개, 그레이트 생 베르나르 고개, 창 라 등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개 - 철문 (중앙아시아)
철문은 고대 돌궐 제국의 서쪽 국경을 상징하는 지리적 요충지로, "테미르 카피그" 또는 "철문"이라는 이름으로 비문에 기록되어 돌궐 제국의 영토 확장과 군사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단서가 된다. - 경사지형 - 평야
평야는 고도 변화가 크지 않고 풀로 덮인 평평한 땅으로, 하천, 바람, 빙하 등의 작용으로 형성되며, 농업, 교통, 도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경사지형 - 언덕
언덕은 산보다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으로, 지형학적 현상으로 형성되며, 역사적으로 방어, 정착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포츠 및 레저 활동에도 활용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고개 |
---|
2. 어원
한국어 '고개'는 순우리말이며, 높은 곳을 넘어가는 길목을 의미한다.[6] 한자어로는 '재', '령(嶺)', '치(峙)' 등이 사용된다. 특히 '치(峙)'는 한국 한자음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읽히는 경우가 있어, 대치와 같이 지명에 따라 다르게 발음된다.[6]
세계에는 수많은 고개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잘 알려져 있다. 실크로드의 카이베르 고개 (현재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근처), 알프스의 그레이트 생 베르나르 고개 (해발 2473m), 창 라 (5360m), 인도 라다크의 카르둥 라(5359m), 인도 케랄라 팔라카드의 팔라카드 갭(140m)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인도 국경 부근의 마나 고개(5610m)와 마르시미크 라(5582m)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동차 통행 가능 고개로 알려져 있으며, 파키스탄과 중국 사이의 쿤제랍 고개(4693m) 또한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높은 고개이다. 자동차 통행이 불가능하지만 유명한 산 고개로는 네팔 안나푸르나 보호 구역의 토롱 라(5416m)가 있다.
일본어 '고개(峠, 토우게)'는 무로마치 시대에 일본에서 만들어진 국자(일본식 한자)이며, '타무케(手向け)'라는 여행자의 안전 기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6]
중국어에서는 '령(嶺)'(간체자: 岭)이라는 글자로 고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산구(山口)'로 표기하기도 한다.[6]
영어권에서는 'pass'가 가장 일반적이며, 지역에 따라 'gap', 'notch', 'saddle', 'col' 등의 단어도 사용된다.[2]
3. 한국의 고개
고개는 오랫동안 도로와 철도가 통과하는 경로로 건설되었다. 일부 높고 험한 고개에는 인근 산비탈 아래에 터널이 뚫려 있어, 연중 더 빠른 교통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로키 산맥의 러브랜드 패스를 우회하는 아이젠하워 터널이 그 예시이다.
고개의 정상은 종종 그 지역의 유일한 평지이며 높은 전망 지점이 될 수 있어 건물 부지로 선호되기도 한다. 국가 경계가 산맥의 능선을 따라가는 경우, 산을 넘는 고개는 일반적으로 경계에 위치하며, 국경 통제 또는 세관, 군사 기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와 칠레는 안데스 산맥을 따라 남북으로 이어지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국제 국경을 공유하며, 42개의 고개를 포함한다.
고개를 지나는 도로에는 고개의 이름과 해발 고도를 나타내는 작은 길가 표지판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개는 계곡 사이의 비교적 쉬운 이동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최소한의 하강으로 두 개의 산 정상 사이의 경로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트랙이 고개에서 만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정상과 계곡 바닥 사이를 이동할 때에도 편리한 경로가 된다. 고개는 전통적으로 무역로, 통신, 문화 교류, 군사 원정 등을 위한 장소였다. 전형적인 예는 알프스 산맥의 브레너 고개이다.
수목 한계선 위의 일부 고개는 겨울철에 눈보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도로를 지면 위 몇 미터 높이로 건설하여 눈이 도로에서 날아가게 함으로써 완화할 수 있다.
4. 아시아의 고개
한반도에서는 아리랑 고개처럼 '고개'라는 말 외에 '재'(재한국어)를 사용한 지명도 많다. '고개'는 단독으로도 쓰이지만, '재'는 주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접미사처럼 쓰인다. 한자어인 '치'(峙)(치한국어)와 '령'(嶺)(령한국어)도 사용되는데, 특히 '치'는 한국어 한자음에서 드물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읽혀 대치역 등에서는 다르게 발음된다.
중국에서는 '령(嶺)'(간체자로 )이라는 글자로 고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만리장성이 있는 바다링, 영화 『아아 노무기 고개』의 중국 개봉 제목 등이 그 예이다. '산구(山口)'로 표기하기도 한다.
4. 1. 일본의 고개
일본에는 주요 도로에 고갯길이 많이 있으며, 하코네 고개와 같이 관광지로 유명한 곳도 있다.[2] 일본의 고갯길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투어링 코스로 인기가 높으며, 'Tōge'라는 단어는 해외에서도 사용된다.[2]
스포츠 드라이빙이나 라이딩에는 "고갯길 공략"이라는 말이 있다. 도로 폭이 좁고 급커브와 급경사가 많은 고갯길은 밤이 되면 "로링족"이나 "고개족"이라고 불리는 폭주족(불법 경주형 폭주족)이 출몰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이들 레이서의 활동이 전성기였고, 그들에 대한 대책이 불충분했던 쇼와 말기부터 헤이세이 중기에 걸친 시대는 소음이나 폭주 행위가 지역의 사회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았다.[2]
4. 2. 중국의 고개
전 세계에는 수천 개의 명명된 고개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잘 알려져 있다. 중국-인도 국경 부근에 있는 마나 고개(5610m)와 마르시미크 라(5582m)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동차 통행 가능 고개로 보인다. 파키스탄과 중국 사이의 쿤제랍 고개(4693m) 또한 높은 고도의 자동차 통행 가능한 산 고개이다.
4. 3. 남아시아의 고개
남아시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경계로 하는 카이베르 고개가 있다. 이 고개는 세계 최대의 고갯길로 알려져 있으며,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이다.[1]
4. 4. 기타 아시아 지역의 고개
타이완에는 일본 통치 시대의 잔재인 '수고개'(壽峠、壽𡶛、壽卡중국어)와 같은 지명이 남아있다.[6] '고개'라는 글자는 국자(일본식 한자)이고 중국어에는 본래 없기 때문에, 중국어에 있고 글자 모양이 비슷한 를 옆에 사용한 또는 변을 생략한 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카"(kǎ)라고 발음된다.[6] 그 외에도 , , 삼각령 고개, 팔번 고개 등의 지명이 있다.
베트남에는 하이반 고개가 있으며, 남북을 가르는 경계 역할을 한다. 이곳을 경계로 기후, 인간의 성격, 음식의 간까지도 바뀐다고 한다. 쯔놈을 사용하던 시절의 베트남에서는 고개를 𡸇vi (산+条)라고 썼다.
5. 오세아니아의 고개
오세아니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고개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알파인 웨이, 매쿼리 패스 등, 퀸즐랜드 주의 커닝햄스 갭, 노던 준주의 헤비트리 갭,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의 호록스 패스, 피치 리치 패스, 빅토리아 주의 타웡가 갭 등이 있다. 뉴질랜드에는 아서스 패스, 버크스 패스, 코플랜드 패스를 비롯한 다양한 고개가 있다.
5. 1. 오스트레일리아의 고개
주(State) | 고개 이름 |
---|---|
뉴사우스웨일스 주 | 알파인 웨이 |
뉴사우스웨일스 주 | 매쿼리 패스 |
뉴사우스웨일스 주 | 킹스 하이웨이 (오스트레일리아) |
퀸즐랜드 주 | 커닝햄스 갭 |
노던 준주 | 헤비트리 갭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 호록스 패스 |
뉴사우스웨일스 주 | 놀랜즈 갭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 피치 리치 패스 |
빅토리아 주 | 타웡가 갭 |
5. 2. 뉴질랜드의 고개
이름 | 섬 | 높이(m) |
---|---|---|
아서스 패스 | 남섬 | 920 |
버크스 패스 | 남섬 | 703 |
코플랜드 패스 | 남섬 | 2,150 |
크라운 새들 | 남섬 | 1,076 (포장된 가장 높은 고개) |
댄시스 패스 | 남섬 | 935 |
대시우드 패스 | 남섬 | 163 |
데저트 로드 | 북섬 | 1,074 |
다이어스 패스 | 남섬 | 약 330 |
에번스 패스 | 남섬 | 약 200 |
게비스 패스 | 남섬 | 150 |
하스트 패스 | 남섬 | 562 |
힐탑 | 남섬 | 555 |
호프 새들 | 남섬 | 634 |
아일랜드 새들 | 남섬 | 1,347 (자갈길 중 가장 높은 고개) |
졸리스 패스 (캔터베리) | 남섬 | 해당 없음 |
졸리스 패스 (사우스랜드) | 남섬 | 해당 없음 |
루이스 패스 | 남섬 | 840 |
린디스 패스 | 남섬 | 971 |
매키넌 패스 | 남섬 | 1,140 |
마마쿠 새들 | 북섬 | 해당 없음 |
마나와투 협곡 | 북섬 | 해당 없음 |
오하쿠쿠라 새들 | 북섬 | 해당 없음 |
포터스 패스 | 남섬 | 946 |
라이 새들 | 남섬 | 247 |
라후 새들 | 남섬 | 680 |
레드우드 패스 | 남섬 | 해당 없음 |
리무타카 새들 | 북섬 | 555 |
타카카 힐 새들 | 남섬 | 791 |
타우페우페 새들 | 북섬 | 해당 없음 |
더 디바이드 | 남섬 | 632 |
와이탕아 새들 | 북섬 | 해당 없음 |
와이투히 새들 | 북섬 | 해당 없음 |
워즈 패스 | 남섬 | 1,145 |
웨카 패스 | 남섬 | 해당 없음 |
웰드 패스 | 남섬 | 196 |
윌모트 패스 | 남섬 | 671 |
6. 세계의 주요 고개
알프스 산맥의 브레너 고개, 그레이트 생 베르나르 고개, 스텔비오 고개 등은 유럽의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한다. 북미에는 테하차피 고개, 테혼 고개, 도너 고개 등이 있다. 남아메리카에는 아르헨티나와 칠레 사이의 아구아 네그라 고개가 있다.
참조
[1]
좌표
[2]
웹사이트
Map showing "saddle" names in Idaho
http://itouchmap.com[...]
[3]
서적
Modern Gaelic: A Basic Grammar
https://books.google[...]
A. Maclaren
2021-01-18
[4]
서적
The Geology of Snowdonia – A Collection of Historical Articles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Peaks of Snowdoni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imited
2021-01-18
[5]
웹사이트
コル(こる)
https://www.yamareco[...]
ヤマレコ
2024-12-17
[6]
서적
図解 日本の文字
三省堂
[7]
뉴스
파키스탄軍, 스와트협곡 일대 장악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