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우아포오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우아포오우어는 통가어, 서우베아어와 유사한 음소 목록을 가지는 언어이다. 자음은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된다. 강세 없는 모음은 중설중모음화되며, /i/와 /u/는 무성음화되기도 한다. 음절 구조는 (C)V이며, 강세는 단어의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고, 한정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의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가의 언어 - 통가어
통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며 니우에어와 함께 통가어군을 이루고, 폴리네시아 조어의 음운 체계를 잘 보존하며 결정적 악센트를 가지고, '터부'의 유래 언어이자 왈리스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자를 차용하여 표기하는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통가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니우아포오우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니우아포오우어 |
현지 이름 | Ko te lea faka Niuafoʻou |
사용 국가 | 통가 |
사용자 수 | 500명 (2015년)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대양주제어 |
어족 | 폴리네시아어파 |
분파 | 통가어군? |
ISO 639-3 | num |
Glottolog | niua1240 |
Glottolog 참조 | Niuafo'ou |
언어 상태 | |
2. 음운론
니우아포오우어의 음소 목록은 이웃 언어인 통가어나 서우베아어와 같다.
니우아포오우어의 음운론은 통가어와 유사하며, 12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강세 없는 모음은 중설중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와 는 특정 환경에서 무성음화된다. 는 설첨 치경 탄음 로 소리나기도 한다. 는 어두에서만 로 소리나고, 어중에서는 또는 로 소리난다. 음절구조는 (C)V이나, 다른 언어의 영향 및 모음 무성음화로 인해 자음군을 허용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
니우아포오우어 표기법은 통가어와 비슷하다. 은 ‹ng›로 적고 는 ‹ʻ›로 적는다(오키나 참고). 한정 강세를 받는 모음은 양음 부호(á é í ó ú)로 표시한다.
2. 1. 자음
니우아포오우어는 12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3]
때때로 음소 는 설단 치경 탄음 ()으로 실현된다. 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만 로 실현된다. 단어의 중간에서는 또는 로 실현된다.[3]
2. 2. 모음
니우아포오우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3] 강세 없는 모음은 중설중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와 는 특정 환경에서 무성음화된다.[3]
2. 3. 음절 구조
니우아포오우어의 음절 구조는 (C)V이다. 그러나 다른 언어의 영향 및 모음 무성음화로 인해 자음군을 허용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3]2. 4. 강세
강세는 단어의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단음절어는 혼자서 음운론적 단어를 이루지 못하며, 이웃한 단어에 붙어 음운론적 단어를 이룬다. 통가어와 같이, 한정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의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 이를 한정 강세(definitive stress|디피니티브 스트레스영어)라 부른다.[1]- fale|집num; falé|(그) 집num
- tangata lahi|큰 사람num; tangata lahí|(그) 큰 사람num
3. 표기법
니우아포오우어 표기법은 통가어와 비슷하다. 은 'ng'로 적고 는 'ʻ'로 적는다(오키나 참고). 한정 강세를 받는 모음은 양음 부호(á é í ó ú)로 표시한다.
참조
[1]
서적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00
[2]
웹사이트
Calls for Tongan Prime Minister to allow teaching of Niuafo'ouan language in schools
https://www.kanivato[...]
Kaniva Tonga
2022-09-05
[3]
학위논문
The language of Niuafoʻou Island
https://openresearch[...]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8
[4]
웹사이트
https://www.ethnolog[...]
[5]
서적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00
[6]
웹사이트
https://openresearch[...]
[7]
서적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