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며, 하와이어, 마오리어 등과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이다. 니우에어와 함께 통가어군을 형성하며, 폴리네시아어 중 "결정적 악센트"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로마자를 차용하여 표기하며,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기 위해 ʻ (파카우아)를 사용한다. 통가어는 일상어, 존칭어, 왕족어 등 세 가지 레지스터를 가지며, 3개의 관사와 3개의 소유 대명사, 세 개의 문법적 수, 네 개의 인칭을 구별한다. 윌리엄 마리너가 쓴 통가어 문법 및 사전 등 구전 문학이 풍부하며, 현재 통가 왕국에서 사용되는 달력은 13개월로 구성되어 있다.

2. 관련 언어

하와이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등과 함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폴리네시아어 분파에 속하며, 니우에어와 함께 통가어군을 형성한다. 원시 폴리네시아어로부터 나왔다는 가정이 맞다면, 통가어군은 음운 체계의 변화가 가장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통가어는 폴리네시아어 중에서도 "결정적 악센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15세기와 16세기에 통가인들이 ʻ우베아 섬을 식민지화하면서 왈리스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6]

2. 1. 폴리네시아어 음성 대응

통가어는 폴리네시아어에 속하며, 니우에어와 함께 통가어파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통가어는 원시 폴리네시아어의 음운 체계를 따르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원시 폴리네시아어의 *h는 통가어에서 유지되었지만, *s는 로 병합되었다. 현대 통가어의 는 높은 전설 모음 앞의 *t에서 파생되었다.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가 성문 파열음 를 잃었지만, 통가어는 이를 유지했다.

통가어는 하와이어의 변화(*t에서 로, 에서 로)나 *f를 로 이동시키는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중앙 동부 폴리네시아어의 변화(에서 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고유한 모음 변화(예: manumanu|마누마누통가어에서 monumanu|모누마누통가어로)가 있다.

원시 폴리네시아어의 *r과 *l은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에서 병합되었지만, 통가어는 *l을 유지하고 *r을 잃었다.

다음은 폴리네시아어 음성 대응표이다.[6]

폴리네시아어 음성 대응
음소원시 폴리네시아어통가어니우에어사모아어라파 누이어타히티어마오리어쿡 아일랜드 마오리어하와이어영어
*taŋatatangata|탕아타통가어tagata|타아타niutagata|타아타사모아어tangata|탕아타raptatangata|탕아타mitangata|탕아타rarkanaka|카나카haw사람
*sinahina|히나통가어hina|히나niusina|시나사모아어hina|히나raphinahina|히나히나tyhina|히나mihina|히나haw회색 머리카락
*kanahekanahe|카나헤통가어kanahe|카나헤niukanae|카나에mikanae|카나에rar숭어 (물고기)
*tialesiale|시알레통가어tiale|티알레niutiale|티알레사모아어tiare|티아레raptiare|티아레tytīare|티아레mitiare|티아레rarkiele|키엘레haw치자나무
*wakavaka|바카통가어vaka|바카niuvavaka|바카rapvawaka|와카mivaka|바카rarwa카누
*fafinefefine|페피네통가어fifine|피피네niufafine|파피네사모아어vahine|바히네rapvahine|바히네tywahine|와히네mivawahine|와히네haw여자
*matuqamatumatua|마투아niumatua|마투아사모아어matumetua|메투아tymatua|마투아mimetua, matua|메투아, 마투아rarmakua|마쿠아haw부모
*ruaua|우아통가어ua|우아niulua|루아사모아어rua|루아raprua|루아tyrua|루아mirua|루아rar
*tolutolu|톨루통가어tolu|톨루niutolu|톨루사모아어toru|토루raptoru|토루tytoru|토루mitoru|토루rar


3. 문자 및 표기

통가어는 본래 문자가 없었으며, 로마자를 차용하여 표기한다. 다만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기 위해 ʻ (파카우아, 하와이어의 오키나와 같은 기호)를 사용한다.[4]

3. 1. 역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빌렘 스하우턴과 야코프 르 메르가 1616년 처음 통가에 도착했을 때 통가어의 초기 기록이 시도되었다. 이들은 제한된 수의 명사와 동사를 음성 네덜란드어 철자를 사용하여 기록했으며, 이는 폴리네시아어 어휘 목록에 추가되었다. 1643년 1월 20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아벨 타스만이 통가타푸에 도착했을 때 이 목록의 어휘를 사용하여 토착 통가인들과 대화를 시도했지만, 서로 잘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는 아마도 다른 폴리네시아어에서 추가된 단어들을 사용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7]

3. 2. 통가어 알파벳

통가어는 현재 라틴 문자의 일부분을 사용하여 표기된다. 예전의 "선교사" 알파벳에서는 문자의 순서가 수정되어, 모음이 먼저 오고 그 뒤에 자음이 오는 순서였다. a, e, i, o, u의 순서였으며, ā와 같은 모음의 변형이 있었다. 1943년 통가어 표기법에 관한 추밀원의 결정에서도 여전히 이 순서를 따랐다. 그러나 C. M. 처치워드의 문법과 사전은 표준 유럽 알파벳 순서를 선호했고, 그의 시대 이후로 이 순서가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가어 알파벳
문자a, āefhiklmnngopstuv (fakaua)
발음[1][2][3][4]



참고:

# 1943년 이전에는 ''g''로 표기되었지만, 여전히 로 발음되었다(사모아어와 같음).[1]

# 무기음; 1943년 이전에는 ''b''로 표기되었다.[2]

# 1943년 이전에는 때때로 ''j''로 표기되었다(아래 참조).[3]

# 성문 파열음. 변형 문자 쉼표(유니코드 0x02BB)로 표기해야 하며, 홑 따옴표 열기나 열기 및 닫기 홑 따옴표 혼합으로 표기해서는 안 된다. 오키나도 참조.[4]

위의 순서는 정확한 사전에서 엄격하게 지켜진다. 따라서, ''ngatu''는 ''nusi'' 다음에 오고, ''a''는 ''vunga'' 다음에 오며, 외래어가 사용될 경우 ''z'' 다음에도 온다. 장모음이 있는 단어는 단모음이 있는 단어 바로 다음에 온다.

에 사용되던 원래의 ''j''는 20세기 초에 사라져 와 합쳐졌다. 1943년까지 ''j''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통가어에서 ''s''로 표기된 많은 단어는 다른 폴리네시아어에서 ''t''로 표기된 단어와 동족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통가어의 ''Masisi''(별 이름)는 토켈라우어의 ''Matiti''와 동족 관계에 있으며, 통가어의 ''siale''(치자나무)는 타히티어의 ''tiare''와 동족 관계에 있다.

4. 음운

통가어의 음운은 다음과 같다.



모음은 /a, e, i, o, u/가 있다.

4. 1. 자음

/l/은 치경 탄음 으로도 들릴 수 있다.


4. 2. 모음

통가어는 일본어 및 많은 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a, e, i, o, u/ 5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4. 3. 음절 구조

각 음절은 정확히 하나의 모음을 갖는다. 단어의 음절 수는 단어가 가진 모음의 수와 정확히 같다.

각 음절은 최대 하나의 자음만 가질 수 있다.

자음 조합은 허용되지 않는다. ''ng''는 단일 소리 를 나타내므로 자음 조합이 아니다.

각 음절은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파카우아(fakauʻa)''는 자음이다. 모음 뒤에 (단어의 시작 부분을 제외하고) 와야 한다.

4. 4. 강세

마크롱으로 표시된 긴 모음은 하나로 간주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짧은 모음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둘 다 표기한다.

강세는 일반적으로 2음절 이상인 단어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예: móhe통가어 (잠), mohénga통가어 (침대). 그러나 마지막 모음이 길면 강세를 받는다. 예: kumā통가어 (생쥐) (긴 ā에 강세). 다음 단어가 구두점인 경우에도 강세가 마지막 모음으로 이동한다. 예: fále통가어 (집), falé ni통가어 (이 집). 마지막으로 강세는 한정된 강세의 경우 구두점을 포함한 마지막 음절로 이동할 수 있다. 예: mohengá통가어 ((그) 특정 침대), fale ní통가어 (이 특정 집). 또한 긴 모음을 두 개의 짧은 모음으로 나눌 수도 있다. 예: pō (밤), poó ni (이 밤), pō ní (이 특정 밤). 또는 그 반대: maáma통가어 (빛), māmá ni통가어 (이 빛), maama ní통가어 (이 특정 빛).

5. 문법

통가어는 소유 대명사가 세 단계의 정해짐을 구분하는 것처럼, 세 가지 관사를 갖는다.[1]


  • 부정, 비특정: ''ha''. 예시: ''ko ha fale'' ('어떤 집')[1]
  • 부정, 특정: ''(h)e''. 예시: ''ko e fale'' ('어떤 (특정) 집')[1]
  • 정해짐, 특정: ''(h)e''에 강조. 예시: ''ko e falé'' ('그 집')[1]


통가어에는 화자 간의 관계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말투인 레지스터가 세 가지 있다.

  • 일상어 (일반적인 언어)
  • 존칭어 (족장을 위한 언어)
  • 왕족어 (왕을 위한 언어)


또한, 더 격식 있는 상황에서 쓰이는 공손어와 비격식적이거나 겸손을 나타낼 때 쓰이는 경멸어도 구분된다.

예를 들어 "와서 먹어!"는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 일상어: ''hao kai|하우 오 카이}}'' (친구, 가족끼리)
  • 존칭어: ''meilo|메아 마이 페아 일로}}'' (족장, 귀족, 상사 등)
  • 왕족어: ''hā'' (왕 또는 신)


통가어는 문법적 수에서 단수, 쌍수, 복수, 세 가지를, 인칭에서 1인칭 배타, 1인칭 포괄, 2인칭, 3인칭, 네 가지를 구별한다.

소유 대명사는 양도 가능한 e-소유와 양도 불가능한 ho-소유로 나뉜다.[8]

  • E-소유: 주체가 소유/사용하는 상품, 돈, 도구, 소유물, 동물, 음식, 짐, 하인 등
  • Ho-소유: 신체 부위, 이름, 친척, 친구, 동반자, 상속, 마을 등 주체의 일부/주체에게 귀속/주체를 둘러싼 것


(단, 예외가 많아 문법적 성 구분처럼 임의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통가어는 0부터 9까지 고유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0123456789
noatahauatolunimaonofituvaluhiva



10단위 이상의 숫자는 "전화 스타일"(숫자를 하나씩 읽는 방식)과 "전체 스타일"을 혼용한다.[9][10] 10-90의 '십' 단위 숫자는 '전체 스타일'과 '전화 스타일'이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다른 두 자리 숫자의 경우 '전화 스타일' 숫자가 거의 대부분 사용된다.

10-90 '십'
#'전체 스타일''전화 스타일'
10hongofulutaha-noa
20ungofulu/uofuluua-noa
30tolungofulutolu-noa
...



11-99
#'전체 스타일''전화 스타일'
11hongofulu ma tahataha-taha
24ungofulu ma fāua-fā
...



예외
#통가어
22uo-ua
55nime-nima
99hive-hiva



100 이상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00-999 '단순'
#통가어
100teau
101teau taha
110teau hongofulu
120teau-ua-noa
200uongeau
300tolungeau
...



100-999 '복합'
#통가어
111taha-taha-taha
222uo-uo-ua
482fā-valu-ua
...



1000-
#통가어
1000taha-afe
2000ua-afe
...
10000mano
100000kilu
1000000miliona
...



ʻOku fiha ia? (얼마입니까?) Paʻanga ʻe ua-nima-noa (2.5통가 팡가)

물고기, 코코넛, 참마 등을 위한 특별하고 전통적인 계산 시스템이 있다.[11] (참조 분류사)

5. 1. 관사

통가어는 세 가지 관사를 가지며, 소유 대명사 또한 세 단계의 정해짐을 구분한다.[1]

  • 부정, 비특정: ''ha''. 예시: ''ko ha fale'' ('어떤 집', '어떤 집' - 화자는 특정한 집을 염두에 두지 않고, 어떤 집이라도 이 설명에 부합한다. 예를 들어, '나는 ''어떤 집''을 사고 싶다')[1]
  • 부정, 특정: ''(h)e''. 예시: ''ko e fale'' ('어떤 (특정) 집' - 화자는 특정한 집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청자는 어떤 집인지 알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나는 ''어떤 집''을 샀다')[1]
  • 정해짐, 특정: ''(h)e''에 강조를 둔다. 예시: ''ko e falé'' ('그 집' - 화자는 특정한 집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청자는 문맥을 통해 어떤 집인지 알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나는 내가 너에게 말했던 ''그 집''을 샀다')[1]

5. 2. 레지스터 (사회언어학)

통가어에는 세 가지 레지스터가 있다.

  • 일상어 (일반적인 언어)
  • 존칭어 (족장을 위한 언어)
  • 왕족어 (왕을 위한 언어)


또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구분이 있다.

  • 공손어 (더 격식 있는 상황에서 사용됨)
  • 경멸어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거나 겸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예를 들어, "와서 먹어!"라는 구절은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 일상어: ''hao kai|하우 오 카이}}'' (와서 먹어!). 친구, 가족 등은 저녁 식사에 초대받았을 때 서로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다.
  • 존칭어: ''meilo|메아 마이 페아 일로}}'' (와서 먹어!). 족장, 특히 귀족에게 적절하게 사용되지만, 직원이 상사에게, 또는 다른 유사한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족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실제로 그들이 부재중일 때도 항상 사용되며, 다른 상황에서는 공식적인 경우에만 사용된다. 통가어를 처음 배우는 학생에게 어려운 점은 이러한 단어가 일상어에서도 매우 자주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me'' (것) 및 '''' (알다, 찾다).
  • 왕족어: ''hā'' (와서 먹어!). 왕 또는 신에게 사용된다. 존칭어와 동일한 고려 사항이 적용된다. ''Hā''은 다른 폴리네시아 언어에서 일반적인 단어가 된 왕족어 중 하나이다.


왕의 말, 귀족(Houʻeiki)의 말, 민중의 말, 3가지 변종이 있다.

5. 3. 대명사

통가어는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문법적 수를 구별한다. 또한 1인칭 배타, 1인칭 포괄, 2인칭, 3인칭의 네 가지 인칭을 구별한다.

소유 대명사는 양도 가능한 e-소유와 양도 불가능한 ho-소유로 나뉜다.[8]

  • E-소유는 주체가 소유하거나 사용하는 상품, 돈, 도구, 소유물, 동물, 음식, 짐, 하인 등에 사용된다.
  • Ho-소유는 신체 부위, 이름, 친척, 친구, 동반자, 상속, 마을 등 주체의 일부이거나 주체에게 귀속되는 것, 주체를 둘러싼 것에 사용된다.


하지만 예외도 많아서, 양도 가능과 양도 불가능의 구분은 문법적 성 구분처럼 임의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5. 4. 수사

통가어는 0부터 9까지 고유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0123456789
noatahauatolunimaonofituvaluhiva



10단위 이상의 숫자는 "전화 스타일"(숫자를 하나씩 읽는 방식)과 "전체 스타일"을 혼용한다.[9][10] 10-90의 '십' 단위 숫자는 '전체 스타일'과 '전화 스타일'이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다른 두 자리 숫자의 경우 '전화 스타일' 숫자가 거의 대부분 사용된다.

10-90 '십'
#'전체 스타일''전화 스타일'
10hongofulutaha-noa
20ungofulu/uofuluua-noa
30tolungofulutolu-noa
...



11-99
#'전체 스타일''전화 스타일'
11hongofulu ma tahataha-taha
24ungofulu ma fāua-fā
...



예외
#통가어
22uo-ua
55nime-nima
99hive-hiva



100 이상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00-999 '단순'
#통가어
100teau
101teau taha
110teau hongofulu
120teau-ua-noa
200uongeau
300tolungeau
...



100-999 '복합'
#통가어
111taha-taha-taha
222uo-uo-ua
482fā-valu-ua
...



1000-
#통가어
1000taha-afe
2000ua-afe
...
10000mano
100000kilu
1000000miliona
...



ʻOku fiha ia? (얼마입니까?) Paʻanga ʻe ua-nima-noa (2.5통가 팡가)

물고기, 코코넛, 참마 등을 위한 특별하고 전통적인 계산 시스템이 있다.[11] (참조 분류사.)

6. 어휘

‘터부’는 통가어 ‘tapu’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의 ‘taboo’를 거쳐 한국어에 들어왔다.[1]

7. 통가어 자료

통가어는 구전 문학이 풍부하며, 주로 문자 언어보다는 구어(말)로 사용된다.

통가어 텍스트로 처음 출판된 것 중 하나는 윌리엄 마리너가 쓴 통가어 문법 및 사전이다. 이는 1817년 존 마틴이 편집하여 마리너의 『남태평양 통가 섬 원주민의 기록』 2권의 일부로 출판되었다.[12]

성경몰몬경이 통가어로 번역되었으며, 다른 몇 권의 책들도 통가어로 쓰였다.[13]

통가어로 된 주간지와 월간지가 여러 개 있지만, 일간 신문은 없다.

주간 신문 (일부는 주 2회 발행)은 다음과 같다.

신문 이름
Ko e Kalonikali ʻo Tonga
Ko e Keleʻa
Taimi ʻo Tonga
Talaki
Ko e Tauʻatāina
Tonga Maʻa Tonga



월간 또는 격월간 신문 (대부분 교회 간행물)은 다음과 같다.

신문 이름발행처
Taumuʻa lelei로마 가톨릭교회
Tohi fanongonongo자유 웨슬리 교회
Liahona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14]
ʻOfa ki Tonga토카이콜로



통가어는 오랫동안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다. 현재도 성경, 몰몬경 등 번역된 종교 서적과 몇몇 서적 외에는 통가어 서적이 거의 없다. 통가에서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인쇄물은 또 다른 공용어인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

8. 달력

통가 전통 달력은 달의 위상을 기준으로 하며 13개월로 구성되었다. 통가인에게 달력의 주된 목적은 통가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이었던 참마의 파종 및 경작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었다.[15]

전통 달력[15]
전통 월서력 기원
Lihamuʻa|리하무아통가어11월 중순 ~ 12월 초
Lihamui|리하무이통가어12월 중순 ~ 1월 초
Vaimuʻa|바이무아통가어1월 중순 ~ 2월 초
Vaimui|바이무이통가어2월 중순 ~ 3월 초
Fakaafu Moʻui|파카아푸 모우이통가어3월 중순 ~ 4월 초
Fakaaafu Mate|파카아푸 마테통가어4월 중순 ~ 5월 초
Hilingakelekele|힐링아켈레켈레통가어5월 중순 ~ 6월 초
Hilingameaʻa|힐링아메아아통가어6월 중순 ~ 7월 초
ʻAoʻaokimasisiva|아오아오키마시시바통가어7월 중순 ~ 8월 초
Fuʻufuʻunekinanga|푸우푸우네키낭아통가어8월 중순 ~ 9월 초
ʻUluenga|울루엥아통가어9월 중순 ~ 10월 초
Tanumanga|타누망아통가어10월 초 ~ 10월 말
ʻOʻoamofanongo|오오아모파농오통가어10월 말 ~ 11월 초



요일[15]
요일통가어
월요일Mōnite|모니테통가어
화요일Tūsite|투시테통가어
수요일Pulelulu|풀렐룰루통가어
목요일Tuʻapulelulu|투아풀렐룰루통가어
금요일Falaite|팔라이테통가어
토요일Tokonaki|토코나키통가어
일요일Sāpate|사파테통가어



[15]
음역
1월Sānuali|사누알리통가어
2월Fēpueli|페푸엘리통가어
3월Maʻasi|마아시통가어
4월ʻEpeleli|에펠렐리통가어
5월Mē|메통가어
6월Sune|수네통가어
7월Siulai|시울라이통가어
8월ʻAokosi|아오코시통가어
9월Sēpitema|세피테마통가어
10월ʻOkatopa|오카토파통가어
11월Nōvema|노베마통가어
12월Tisema|티세마통가어


참조

[1] 기타 ton
[2] OED Tongan 2022-02-10
[3] 웹사이트 Tongan https://web.archive.[...] 2022-02-10
[4] Merriam-Webster Tongan 2022-02-10
[5] 뉴스 Tongan https://www.ethnolog[...] 2017-12-13
[6] 서적 Forschungen über die Sprachen der Inseln zwischen Tonga und Saamo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7] 서적 Sea People: In Search of the Ancient Navigators of the Pacific William Collins 2020-03-05
[8] 서적 Tongan Grammar Vava'u Press Limited 1999
[9] 서적 Tongan grammar Vava'u Press
[10] 웹사이트 UniLang • Tongan for Beginners https://unilang.org/[...] 2020-04-08
[11] 서적 Tongan Grammar Vava'u Press Limited 1999
[12] 웹사이트 An account of the natives of the Tonga Islands, in the South Pacific Ocean. With an original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ir language https://archive.org/[...]
[13] 문서 Sea hear http://www.adb.onlin[...]
[14] 웹사이트 Online Tongan edition of Liahona, churchofjesuschrist.org https://www.churchof[...]
[15] 웹사이트 Koe Ta'u Faka-Tonga http://freepages.g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