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겐 H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겐 H는 1967년 9월 3일 스웨덴에서 좌측 통행에서 우측 통행으로 도로 교통 체계를 변경한 날을 의미한다. 스웨덴은 주변 국가들이 우측 통행을 시행하고, 자국 차량의 운전대가 왼쪽에 있어 사고 위험이 높다는 점, 그리고 차량 증가에 따른 사고 증가를 배경으로 우측 통행 전환을 결정했다. 4년간의 교육 프로그램과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을 거쳐, 다겐 H 당일 일시적인 교통 통제와 함께 전환이 이루어졌다. 전환 초기에는 사고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 사고율은 다시 증가했다. 스웨덴의 철도와 스톡홀름 지하철은 좌측 통행을 유지했으며, 노면 전차는 도시별로 상이한 방식으로 대응했다.

2. 배경

스웨덴이 통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 데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었다. 우선, 노르웨이, 핀란드 등 스웨덴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대부분의 나라들은 우측 통행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스웨덴 내수용 차량의 대부분은 운전대가 왼쪽에 설치되어 있어, 2차선 도로에서 추월 시 정면충돌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변화에 반대했다. 1955년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는 83%에 달하는 유권자들이 좌측 통행 유지를 선택했다. 그러나 1963년 스웨덴 의회는 타게 에를란데르 총리의 제안에 따라 1967년부터 우측 통행을 시작하도록 하는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자동차 수가 급증함에 따른 교통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주변국과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치였다. 의회는 국가 우측 통행 위원회(Statens Högertrafikkommission|스타텐스 회게르트라피크코미시온sv)를 설립하여 변경 과정을 감독하도록 했다.

이 위원회는 심리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4년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21] 또한, 대국민 홍보 캠페인의 일환으로 다겐 H 로고를 남녀 속옷, 우유팩, 기념품 등 다양한 곳에 삽입하였다.[21][22] SVT에서는 우측 통행을 홍보하는 노래 컨테스트를 열었고, Rock-Boris의 노래 〈Håll dig till höger, Svensson〉 ('스벤손 씨, 오른쪽으로 가세요')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다겐 H가 다가오면서 모든 교차로에는 새로운 신호등이 설치되었고, 검은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다겐 H 아침에 플라스틱이 모두 제거되었다. 차선을 구분하는 흰색 선이 새로 칠해졌고 검은 테이프로 숨겨 놓았다. 다겐 H 이전에는 차선을 구분하는 데 노란색 선을 사용하였다. 일방 통행로는 새로운 문제가 되었다. 버스 정류장은 길 반대편으로 옮겨졌다. 원활한 합류를 위하여 교차로의 모양을 바꿔야 했다.

2. 1. 인접 국가와의 교통 통일

스웨덴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노르웨이, 핀란드 등 대부분의 인접 국가들이 이미 우측 통행을 시행하고 있었다.[5] 특히, 덴마크를 포함한 이들 국가와의 자동차 왕래가 빈번해짐에 따라, 통행 방식을 통일하는 것이 국경 간 트럭 수송 등 물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었다.

2. 2. 좌측 운전대 차량으로 인한 사고 위험 증가

스웨덴 내수용 차량은 대부분 왼쪽에 운전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는 좁은 2차선 도로에서 추월할 때 정면충돌 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었다.[1] 예외적으로 시내버스는 우측 운전대(RHD)를 채택하여 일반적인 반대 방향 운전대 규칙을 따랐다.[6]

2. 3. 국민투표와 의회의 결정

1955년 스웨덴에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는 83%의 유권자가 좌측 통행 유지를 선택했다.[21] 그러나 1963년 스웨덴 의회는 우측 통행으로 변경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도로 위 자동차 수가 50만 대에서 150만 대로 3배 증가했고, 1975년까지 28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7] 타게 에를란데르 총리의 제안에 따라 1967년부터 우측 통행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국가 우측 통행 위원회'(Statens Högertrafikkommissionsv|한국어 발음: 스타텐스 회게르트라피크코미시온, 약칭 HTK)를 설립하여 변화를 감독하도록 했다.[8]

3. 다겐 H 준비 과정

스웨덴은 1967년 9월 3일부터 자동차 통행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변경했는데, 이를 '다겐 H'라고 부른다. 이러한 변화는 주변 국가들과의 교통 흐름을 통일하고, 좌측 운전석 차량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1955년 국민 투표에서는 83%가 통행 방식 변경에 반대했지만, 스웨덴 정부는 통행 방식 변경의 이점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1963년 의회에서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국가 우측 통행 위원회(HTK)를 설립하여 변경을 감독하고, 심리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4년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했다.[21]

이러한 변화는 도로의 자동차 수가 50만 대에서 150만 대로 3배 증가했고, 1975년까지 28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추진되었다.[7] 또한, 당시 스웨덴 차량 대부분이 저렴한 표준 크기 둥근 헤드램프를 사용했지만, 유럽 대륙에서는 더 비싼 모델별 헤드램프 추세가 시작되었고 세계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어, 좌측 통행에서 우측 통행으로의 전환을 늦추면 차량 소유주의 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했을 것이라는 점도 한 가지 이유였다.

3. 1.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

다겐 H 로고는 남녀 속옷, 우유팩, 기념품 등 다양한 상품에 사용되었다.[21][22] 스웨덴 텔레비전(SVT)에서는 우측 통행을 홍보하는 노래 경연 대회를 개최했고, The Telstars가 연주하고 ''Expressen''의 기자 Peter Himmelstrand가 작사한 Rock-Boris의 노래 〈Håll dig till höger, Svensson〉 ('스벤손 씨, 오른쪽으로 가세요')가 최우수상을 받았다.[2][11] 다겐 H로 이어지는 대국민 홍보 캠페인은 광범위한 광고, 도로 표지, 심지어 장갑과 스티커와 같은 알림 품목 배포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이 이 변화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3. 2. 도로 및 교통 시설 정비

다가오는 다겐 H에 대비하여 모든 교차로에 새로운 신호등과 추가적인 봉이 설치되었고, 검은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었다. 다겐 H 당일 아침에 이 플라스틱 덮개가 제거되었다.[21] 차선을 구분하는 흰색 선이 새로 칠해졌고, 그 위는 검은 테이프로 덮였다. 다겐 H 이전에는 노란색 선이 사용되었다.[21] 일방통행 도로는 새로운 문제가 되었다. 버스 정류장은 길 반대편으로 옮겨져야 했다. 원활한 차량 합류를 위해 교차로의 모양도 변경해야 했다.[21]

4. 다겐 H 당일

다겐 H 당일 스톡홀름 쿵스가탄


1967년 9월 3일 일요일, 다겐 H 당일 오전 1시부터 6시까지 모든 불필요한 차량 통행이 금지되었다. 이 시간 동안 도로를 운행하는 모든 차량은 특별한 규칙을 따라야 했다. 모든 차량은 오전 4시 50분에 완전히 멈춘 다음, 통행 방향을 오른쪽으로 바꾸고 5시에 통행이 허용될 때까지 멈춰 있어야 했다.[13] 스톡홀름말뫼에서는 교차로 재설정 작업을 위해 토요일(9월 2일) 오전 10시부터 일요일(9월 3일) 오후 3시까지 교통이 통제되었다.[13] 일부 지역에서는 토요일 오후 3시부터 일요일 오후 3시까지 교통 통제가 연장되었다.

5. 전환 이후



1967년 9월 3일 일요일, 스웨덴에서 다겐 H가 시행되면서 오전 1시부터 6시까지 불필요한 차량 통행이 금지되었다.[14] 통행하는 차량들은 특별 규칙을 따라야 했는데, 오전 4시 50분에 멈춰서 오른쪽으로 차선을 바꾼 후 5시까지 대기해야 했다.[14] 스톡홀름말뫼에서는 교차로 재설정 작업을 위해 9월 2일 오전 10시부터 9월 3일 오후 3시까지 교통이 차단되기도 했다.[14]

이러한 전환은 상대적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어, 초기에는 사고 건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했다.[14] 다겐 H 당일에는 경미한 사고 157건이 보고되었고, 부상자는 32명뿐이었다.[15] 전문가는 오른쪽 운전으로의 변경이 운전자들의 시야를 넓혀 추월 사고를 감소시켰다고 분석했다. 또한, 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져 운전자들이 더욱 신중하게 운전하게 된 것도 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15]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자동차 보험 청구 건수는 6주 만에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고, 1969년에는 사고율이 전환 이전과 같아졌다.[16][17][18]

다른 북유럽 국가인 아이슬란드도 1968년 5월 26일에 우측 통행으로 변경했다.[14]

5. 1. 차량 변화

스톡홀름의 노면 전차는 폐선되고 버스로 대체되었으며, 기존 버스도 오른쪽에 문이 달린 새 버스로 교체되었다.[5] 8,000여 대의 기존 버스는 양쪽에 문을 설치하는 개조를 받았다.[5] 예테보리의 버스 중 운전대가 오른쪽에 있는 버스는 파키스탄케냐에 수출되었다.[5] 버스 전환 비용은 국가 예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5]

상대편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스웨덴의 모든 차량은 헤드라이트를 교체해야 했다.[5] 당시 스웨덴 차량은 저렴한 공용 헤드라이트를 사용했지만, 시대의 흐름은 차량별 전용 헤드라이트로 바뀌고 있었기 때문에 통행 방식 전환이 늦어지면 차량 소유자에게 부담이 커질 수 있었다.[5]

5. 2. 사고 감소와 이후 증가

다겐 H 다음 날(월요일) 보고된 교통사고는 125건으로, 다겐 H 이전 월요일의 130건에서 198건보다 적었다. 통행 방식 변경으로 인한 사망 사고는 없었다.[15] 전문가들은 이미 왼쪽에 운전대가 달린 차량을 운전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우측 통행이 전방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치명적인 대차 및 대인 사고가 크게 감소하였다. 사고 감소에는 통행 방향 전환 이후 임시적으로 10km/h 낮게 조정된 제한 속도도 영향을 미쳤다.[14]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2년도 지나지 않아 사고 발생률은 통행 방향 전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16][17][18]

5. 3. 철도 시스템

스웨덴의 철도국철, 사철, 지하철 등은 현재도 좌측 통행을 유지하고 있다.[14]

노면 전차에 대해서는 스톡홀름 시와 예테보리 시에서 대응이 나뉘어져 있다. 스톡홀름에서는 다겐 H 실시와 함께 일단 폐지되었다가 24년 후인 1991년에 우측 통행의 노면 전차로 부활했다. 예테보리에서는 도로 교통과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에서 우측 통행으로 전환을 실시했지만, 종단에 루프선을 채택하여 차량의 한쪽에만 문이 있기 때문에, 전환 전후 시기에는 반대쪽에 더미 도어가 설치된 상태의 차량이 운행되었다. 노르셰핑의 노면 전차는 계속 운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idbyte genom kameralinsen https://blogg.tt.se/[...] 2022-09-15
[2] 웹사이트 Så gick det till när Sverige fick högertrafik https://www.expresse[...] 2024-08-14
[3] 웹사이트 Why do some countries drive on the left and others on the right? https://www.worldsta[...] 2024-12-08
[4] 뉴스 Kommer du ihåg när Sverige fick högertrafik 1967? http://www.aretrunt.[...] 2017-09-05
[5] 간행물 Réalités https://books.google[...] Société d'études et publications économiques
[6] 웹사이트 Transport in Stockholm in the 1960s http://www.vintag.es[...]
[7] 웹사이트 News from Sweden, Issues 840-858 https://books.google[...] Swedish Information Service, Swedish Consulate General
[8] 웹사이트 Riksdagens protokoll https://books.google[...] Kungl. Boktr.
[9] 간행물 Switch to the Right http://www.time.com/[...] 2018-09-25
[10] 웹사이트 Dagen H http://hem.bredband.[...] 2014-10-02
[11] Youtube The Telstars – Håll dig till höger, Svensson https://www.youtube.[...] 2024-08-14
[12] 웹사이트 Report of the Fifth Worl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Road Federation https://books.google[...]
[13] 뉴스 Sweden Makes Change-Over to Driving on Right https://news.google.[...] 1967-09-04
[14] Autocar Et tu, Iceland? Another change to right hand driving https://books.google[...] 1968-05-23
[15] 뉴스 Swedish Motorists Move To Right https://news.google.[...] 1967-09-05
[16] 서적 Risk and Freedom: Record of Road Safety Regulation Brefi Press
[17] 뉴스 Dagen H: The day Sweden switched sides of the road https://www.washingt[...] 2014-10-02
[18] 서적 Behavioural Adaptation and Road Safety: Theory, Evidence and Ac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05-24
[19] 웹사이트 Kollektivtrafiken drabbades http://hem.bredband.[...] 1997-02-22
[20] 문서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は、対向車を眩惑しないよう反対車線側への配光を抑える必要があり、そのため左右の通行方式によって配光パターン(レンズカット等)が変わる。
[21] 웹인용 Switch to the Right http://www.time.com/[...] 1967-09-15
[22] 웹인용 Hogertrafikomläggning http://hem.bredb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