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버스는 '모든 사람을 위한' 운송 수단을 의미하며, 1826년 프랑스에서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 버스는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크기별로는 대형, 준대형, 중형, 소형 등으로, 용도별로는 시내, 시외, 전세, 특정, 자가용 버스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형태별로는 단층, 2층, 굴절, 저상, 트롤리, 전기, 수소 연료전지 버스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11인 이상을 수송하는 승합자동차로 분류되며, 버스 서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규제된다. 버스는 광고, 선거 운동, 공익 캠페인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각국은 지역적 특성, 기후, 승객 요구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버스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통수단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교통수단 - 트럭
    트럭은 화물 운송에 사용되는 자동차로, 다양한 크기와 용도로 분류되며,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운전자 안전을 위한 기술과 법규가 적용되며, 다양한 제조사에서 생산된다.
  •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버스에 관한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에 관한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버스
지도
기본 정보
종류대형 도로 차량
용도사람 수송
역사
1820년대런던에서 승합마차 등장
1830년대증기 구동 승합마차 시도
1895년세계 최초 내연 기관 버스 등장
20세기 초내연 기관 버스 대중화
특징
크기대형
승차 인원다수
관련 용어
승강장버스 정류장
운전수버스 기사
노선버스 노선
요금버스 요금
추가 정보
중국 최장 버스http://news.jongo.com/articles/07/0315/9180/OTE4MAmXAYhbF0.html
위키백과 (영문)https://en.wikipedia.org/wiki/Bus
위키백과 (일본어)https://ja.wikipedia.org/wiki/%E3%83%90%E3%82%B9_(%E4%BA%A4%E9%80%9A%E6%A9%9F%E9%96%A2)
위키백과 (한국어)https://ko.wikipedia.org/wiki/%EB%B2%84%EC%8A%A4

2. 용어

"버스"라는 용어는 라틴어 "omnes omnibus (모든 사람들을 위한 모든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두를 위한 탈 것(교통수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3] 이는 1800년대 초 프랑스 낭트의 한 모자 가게 간판에 적혀 있던 문구에서 유래한 "옴니버스(omnibus)"가 어원이다.[1]

1826년 낭트 교외의 한 방앗간 주인이 목욕탕 사업을 시작하면서, 낭트 도심에서 목욕탕까지 손님을 실어 나르는 "셔틀 버스"를 운행하였다. 이 마차의 첫 정류장이었던 모자 가게 간판에 "omnes omnibus"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고, 사람들은 이 때문에 "목욕탕 셔틀" 마차를 옴니버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19세기 중반의 초기 마차 버스


이후 옴니버스는 "많은 사람을 싣고 다니는 마차나 차량"을 의미하게 되었고, 줄여서 "버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즉, "버스"는 옴니버스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3. 역사

버스의 역사는 1826년 프랑스 낭트에서 시작된 "옴니버스"가 현대 버스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버스(bus)"라는 단어는 라틴어 "omnibus"(모든 사람을 위한)에서 유래했다.[3] 1823년 프랑스 곡물 제분소 소유주인 스타니슬라 보드리는 낭트 교외에서 대중교통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그의 차량은 "Omnes Omnibus"라는 간판이 걸린 가게 앞에 정차했다. 이 가게 이름은 "모든 사람을 위한 옴네" 또는 "모든 사람을 위한 모든 것"을 의미했고, 여기서 "옴니버스"라는 별명이 붙었다.[1][3]

보드리의 운송 사업은 성공했지만, 대부분의 승객은 그의 온천을 방문하지 않았다. 그는 운송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전환하고, 1828년 파리에서 최초의 옴니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1][4] 이와 유사한 서비스는 1824년 맨체스터, 1829년 런던에서도 도입되었다.[5][6]

1831년 영국의 골즈워디 거니는 증기버스를 제작하여 운행했지만, 마차 사업자들의 반발로 중단되었다.[32] 1882년에는 베르너 폰 지멘스가 일렉트로모트를 시험 운행했고, 이후 트롤리버스가 사용되었다. 1895년에는 세계 최초의 내연기관 버스가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자동차를 이용한 버스가 일반화되었고, 버스 제조는 점차 세계화되었다. 21세기에는 하이브리드 버스, 연료전지 버스, 전기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율주행버스의 실용화도 목표로 하고 있다.[33][34]

대한민국에서는 1920년대 대구에서 처음 버스가 운행되었다고 한다.[46]

3. 1. 초기 역사

17세기 프랑스에서 블레즈 파스칼이 고안한 "5솔 마차"는 현대 버스의 초기 형태로 여겨진다. 이 마차는 비교적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었고, 일정한 노선을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등 현대 버스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6][7]

1828년 파리의 버스


1826년 프랑스 낭트에서 스타니슬라스 보드리가 운행한 "옴니버스"는 현대 버스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다. 보드리는 낭트 교외에서 공중목욕탕을 운영했는데, 낭트 시내와 목욕탕을 오가는 마차를 운행했다. 이 마차는 "옴네스 옴니버스(omnes omnibus, 라틴어로 "모두를 위한 모든 것")"라는 문구가 적힌 모자 가게 앞에 정차했는데, 이 때문에 사람들은 이 마차를 "옴니버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보드리는 시민들이 마차를 목욕탕과는 상관없이 이용하는 것을 보고, 마차 사업에 전념하기로 했다.[4]

옴니버스는 파리(1828년), 런던(1829년) 등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 1828년 파리에서는 조지 쉴리비어가 설계한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고, 1829년에는 런던에서도 쉴리비어가 설계한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쉴리비어의 최초 런던 버스 (1829)


1831년 영국의 골즈워디 거니는 증기기관을 탑재한 증기버스(Steam bus)를 제작하여 운행했지만, 마차 사업자들의 반발로 곧 중단되었다.[32] 같은 해, 월터 핸콕은 런던 시내에서 증기버스를 운행했다. 1882년에는 베르너 폰 지멘스가 가공선에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일렉트로모트를 시험 운행했고, 이후 여러 나라에서 트롤리버스가 사용되었다. 1895년에는 세계 최초의 내연기관 버스가 사용되었다.

1882년, 독일의 일렉트로모트

3. 2. 마차 버스

19세기 초, 프랑스 낭트를 시작으로 파리, 런던, 뉴욕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마차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1826년 낭트에서 운행을 시작한 마차는 "버스"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낭트 교외에서 공중목욕탕을 경영하던 퇴역 군인 스타니슬라스 보드리(Stanislas Baudry)는 시 중심부와 목욕탕 사이를 오가는 마차를 운행했는데, 시민들이 이 마차를 목욕탕과는 상관없이 이동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보고 마차 사업에 전념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통 수단은 옴니버스(omnibus)라는 이름으로 파리(1828년), 런던(1829년), 뉴욕(같은 해)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1824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존 그린우드(John Greenwood)가 설립한 버스 서비스는 최초의 근대 버스 서비스로 여겨진다. 그는 맨체스터리버풀을 잇는 턴파이크의 펜들턴에 있는 통행료 징수소 관리인이었다. 그는 말과 여러 좌석이 있는 마차를 구입하여 두 도시 사이에 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스테이지코치와 달리 사전 예약이 필요 없고, 운전자가 요청에 따라 어디든 승객을 태우거나 내려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8]

3. 3. 증기 버스

1830년대 영국에서 골드워시 거니와 월터 핸콕은 증기 버스를 개발하여 도시 간 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32] 이 버스는 말이 끄는 마차로는 다니기 힘든 도로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되었다.

최초의 기계식 자동차는 1833년 4월 22일 런던 거리에 등장했다.[15] 증기 버스는 전복될 가능성이 적었고, 말이 끄는 마차보다 속도가 빨랐으며, 운영 비용이 저렴하고 도로 손상도 적었다.[16]

그러나 턴파이크 트러스트가 부과한 무거운 도로 통행료와 1861년 기관차법 때문에 증기 버스는 억제되었다. 1861년 기관차법은 "도로 기관차"에 대해 도시에서는 5mph, 시골에서는 10mph의 속도 제한을 두었다.[17]

3. 4. 트롤리 버스

세계 최초의 트롤리버스, 1882년 베를린


트롤리 버스는 버스의 발전과 병행하여 개발된 전기 버스로, 보통 가공 전차선에 의해 트롤리 폴을 통해 움직인다. 잉글랜드의 윌리엄 지멘스와 독일의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가 트롤리버스 개념을 발전시키는 일에 협업했다.[18]

최초의 트롤리버스 차량인 일렉트로모트는 에른스트 베르너 폰 지멘스에 의해 개발되었고, 1882년 독일 할렌제에서 공개되었다.[19] 이 실험용 차량은 일반적인 트롤리버스의 모든 기술적 기준을 충족했지만, 시연 후 같은 해에 해체되었다.[20]

1901년 막스 쉬만(Max Schiemann)은 독일 드레스덴 근교에 여객용 트롤리버스를 개통했다. 이 시스템은 1904년까지 운영되었지만, 쉬만은 현재 표준 트롤리버스 전류 집전 시스템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몇 가지 다른 전류 집전 방식이 사용되었다. 리즈와 브래드포드는 1911년 6월 20일 영국에서 트롤리버스를 처음으로 운행한 도시가 되었다.

트롤리버스는 도로 상공에 설치된 가선에서 전기를 끌어들여 운행한다. 자동차 보급으로 인해 쇠퇴했지만, 노면전차지하철보다 건설비가 저렴하고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므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3. 5. 전동 버스 (내연기관 버스)

1895년 독일에서 벤츠 빅토리아를 기반으로 개발된 6인용 자동차를 이용한 버스가 잠시 운행되었으나 수익성이 낮았다. 1898년에는 독일의 다임러 모토렌 게젤샤프트가 최초의 자동차 버스 모델 중 하나를 생산하여 런던에서 운행되었다.[21] 이 버스는 최고 속도가 18kph였으며, 최대 2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21] 이 버스의 성공으로 다임러는 런던, 스톡홀름, 슈파이어 등지에 버스를 판매했다.[21]

1910년에는 런던 제너럴 오토버스 컴퍼니가 운영한 LGOC B형 2층 버스가 대량 생산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이 버스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2]

미국에서는 1923년 존 D. 허츠가 설립한 옐로우 코치 매뉴팩처링 컴퍼니가 버스 제조업체로 빠르게 성장했다. 제너럴 모터스는 1925년에 이 회사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하고, 1943년에는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여 GMC 트럭 및 코치 부서를 설립했다.

20세기에 들어 자동차를 이용한 버스가 전 세계적으로 일반화되면서, 버스 제조는 점차 세계화되었다.

3. 6. 대한민국 버스

대한민국에서는 1920년대 대구에서 처음 버스가 운행되었다고 한다.[46]

4. 종류

버스는 크기, 용도,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차량 형태는 단층버스, 2층 버스(일반적으로 강성 차대를 사용함), 굴절버스(또는 '벤디버스'라고도 함) 등이 있으며, 국가마다 보급률이 다르다. 대용량 이중 굴절버스와 승객 수송용 트레일러도 제작되고 있다. 승객 수송용 트레일러는 강성 버스 뒤에 견인되는 버스 트레일러(버스 트레일러)이거나 트럭이 견인하는 트레일러 버스(트레일러 버스)이다. 미디버스는 수용력이 낮으며, 오픈탑 버스는 주로 레저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에서는 접근성 향상을 위해 저상버스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고속버스는 장거리 여행을 위해 설계되어, 개별 고급 등받이 리클라이닝 시트, 안전벨트, 화장실, 시청각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더 높은 속도로 운행하고 수하물 수납 공간이 넓다. 고속버스는 단층, 이층, 굴절형이 될 수 있으며, 승객석 바닥 아래에 별도의 수하물칸이 있는 경우가 많다. 유도 버스는 지정된 유도로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기술이 장착되어, 정류장에서의 정렬을 제어하고 기존 도로나 버스 전용 차로보다 유도 차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버스 제조는 단일 회사(일체형 제조업체)에서 수행하거나, 한 제조업체가 다른 제조업체가 생산한 차대에 버스 차체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의 굴절버스 내부

4. 1. 크기별 분류


  • 대형 버스: 주로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지만,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 준대형 버스: 주로 시내버스로 사용된다.
  • 중형 버스: 주로 마을버스로 사용되지만,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 준중형 버스: 미니버스와 마이크로버스라고도 부른다.
  • 소형 버스: 대한민국에서는 승합차라고도 불리는 버스이며, 화물 적재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밴'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봉고차'와 '봉고'[49]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는 현대 스타렉스가 생산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현대 그레이스, 기아 프레지오, 쌍용 이스타나 등이 생산된 적이 있었다.
  • 경형 버스: 대한민국에서는 단순히 승합차로 불리는 차량보다 작은 차량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생산되지 않는다.

4. 2. 용도별 분류


  • '''노선 버스''': 정해진 노선과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이다.
  • '''시내버스''': 주로 저상버스 설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무릎 꿇기' 에어 서스펜션 기능과 휠체어 사용자 및 유모차 이용객을 위한 경사로를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휠체어 사용자는 전문 장애인 이동 지원 버스를 이용해야만 했으나, 현재는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한 차량에는 더 넓은 출입구와 내부 통로, 그리고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행선 안내 표시기는 시각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49]
  •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 '''농어촌버스'''
  • '''마을버스''': 주로 중형 버스가 사용된다.[49]
  • '''전세 버스''': 특정 단체나 개인에게 대여하는 버스이다.
  • '''특정 버스''': 특정 조직의 구성원 수송을 담당하는 버스이다. 학교버스나 셔틀버스, 복지 수송 버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세버스를 이용하여 수송 버스를 운행하는 것도 가능하다.[49]
  • '''자가용 버스''': 개인이나 단체가 소유하여 사용하는 버스이다. 공항 내 승객 및 직원 수송에 램프 버스와 같은 전용 버스가 사용된다. 숙박 시설, 오락 시설, 교육 기관, 공항, 공장과 같은 각종 시설에서는 직원이나 이용객의 수송을 위해 자가용 버스를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버스 애호가나 레저 목적 등으로 개인이 버스를 구입하여 소유하는 경우도 있다.[42]
  • '''특수 버스''':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버스이다.
  • 헌혈차: 대한적십자사에서 운영하는 헌혈 버스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경찰 버스: 경찰이나 군대는 승무원 호송이 필요한 경우 장갑차를 사용한다.

경비차량

  • 공항 버스

4. 3. 형태별 분류

일반적인 버스는 단층버스이며, 더 큰 수송 인원을 위해 2층 버스굴절버스가 사용된다. 더 작은 수송 인원을 위한 중형 버스 및 마이크로버스도 있다. 장거리 서비스에는 고속버스가 사용된다.[49]

종류설명
단층버스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버스이다.
2층 버스더 많은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굴절버스두 대 이상의 버스를 연결한 형태로,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벤디버스라고도 불린다.
저상 버스휠체어 사용자나 유모차 이용객 등 교통 약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차체 바닥이 낮은 버스이다. 최근에는 저상버스 설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무릎 꿇기 에어 서스펜션 기능과 경사로를 갖추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접근을 위해 전동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차체 하부의 접이식 경사로가 설치되기도 한다.[49]
트롤리 버스도로 상공에 설치된 가공선에서 전기를 끌어들여 운행하는 버스이다. 자동차 보급으로 인해 쇠퇴했지만, 노면전차지하철보다 건설비가 저렴하고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49]
전기 버스축전지를 탑재한 버스로, 리튬이온전지 성능 향상으로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다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49]
연료전지 버스전기식 하이브리드 버스 또는 전기 버스의 한 종류로, 발전을 위해 연료전지를 갖추고 있다. 수소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버스를 말한다.[49]
하이브리드 버스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종으로 연비 향상과 배기가스 유해 물질 배출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현재는 전기식만 보급된다.[49]
자이로버스플라이휠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버스이다.[49]
가이드웨이 버스일반 버스의 특징에 더하여, 전용궤도를 안내 장치의 유도로 주행할 수 있는 버스이다(핸들 조작이 불필요).[49]
IMTS노면에 매립된 자석을 가이드로 주행하는 버스이다. 무인으로 대열 주행하며, 수동 조작으로 일반 도로에도 진입 가능하다.[49]
듀얼 모드 비클도로와 철도의 철궤도 양쪽 모두를 주행하는 기능을 갖춘 차량이다.[49]
트럭 버스트럭을 개조하여, 적재함 대신 객실을 설치한 것이다.[49]
포스트버스우편 배달도 하는 버스이다. 주로 유럽에서 사용된다.[49]
여객용 설상차눈길을 주행하는 버스이다.(대형 특수 자동차제2종 운전면허 필요)[49]



포틀랜드(Oregon), 트라이메트(TriMet) 고상버스의 접이식 경사로가 펼쳐진 모습 (2010)

4. 4. 기타 분류


  • 버럭: 트럭을 버스로 개조한 차량이며, 주로 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사업용으로도 쓰인다.[49]
  • 가이드웨이 버스: 지정된 가이드웨이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기술이 장착되어 있어 정류장에서 제어된 정렬이 가능하다. 가이드 방식은 기계식, 광학식 또는 전자기식일 수 있다.
  • 듀얼 모드 비클: 도로와 철도 모두 주행 가능한 버스 (주어진 소스에 정보 없음 - 추가 정보 필요)
  • 트럭 버스: 트럭을 개조하여 객실을 설치한 버스 (주로 스쿨버스) (주어진 소스에 정보 없음 - 추가 정보 필요)

5. 법률상 구분

대한민국에서 버스는 법률상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로 불리며,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 따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 등으로 구별된다. 이 중에서 승합자동차는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를 말한다. 다만, 다음의 자동차는 승차인원에 관계없이 승합자동차로 규정한다.


  • 내부의 특수한 설비로 인하여 승차인원이 10인 이하로 된 자동차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형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0인 이하인 전방조종자동차
  • 캠핑용 자동차 또는 캠핑용 트레일러


승합자동차는 엔진 배기량, 길이와 승차정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차종분류 기준
경형승합자동차배기량 1,000cc 미만으로서 길이 3.6m·너비 1.6m·높이 2.0m 이하인 것
소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서 길이 4.7m·너비 1.7m·높이 2.0m 이하인 것
중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16인 이상 35인 이하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미만인 것
대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36인 이상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이상인 것



소형승합자동차는 본래 11인승 이상이었으나, 1997년 12월 IMF 사건으로 인해 세제 혜택 범위를 확대하면서 7인승 이상으로 바뀌었다. 2001년 IMF 관리 체제가 종료되면서 소형 승합차 분류는 11인승 이상으로 환원되었다.

승합자동차는 유형별로 일반형과 특수형으로 나뉜다. 일반형은 주 목적이 여객 운송용이고, 특수형은 장의·헌혈·구급·보도·캠핑 등 특정한 용도에 사용된다.

과거 대부분의 시내버스는 고상버스였지만, 현재는 저상버스 설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무릎 꿇기' 에어 서스펜션 기능과 휠체어, 유모차 이용객을 위한 경사로를 갖추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접근을 위해 전동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차체 하부의 접이식 경사로가 설치되기도 한다.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한 차량에는 더 넓은 출입구와 내부 통로,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 설비와 행선 안내 표시기는 시각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고속버스의 경우 저상 설계 대신 휠체어 리프트를 사용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장애인 차별 금지 법률에 따라 차량에 이러한 기능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버스는 법률상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로 불리며,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 따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 등으로 구별된다. 이 중에서 승합자동차는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 규정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자동차도 승차인원에 관계없이 승합자동차로 규정하고 있다.

  • 내부의 특수한 설비로 인하여 승차인원이 10인 이하로 된 자동차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형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0인 이하인 전방조종자동차
  • 캠핑용 자동차 또는 캠핑용 트레일러


승합자동차는 엔진 배기량, 길이와 승차정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차종분류 기준
경형승합자동차배기량 1,000cc 미만으로서 길이 3.6m·너비 1.6m·높이 2.0m 이하인 것
소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서 길이 4.7m·너비 1.7m·높이 2.0m 이하인 것
중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16인 이상 35인 이하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미만인 것
대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이 36인 이상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여 길이가 9m 이상인 것



소형승합자동차는 본래 11인승 이상으로 분류되었으나, 1997년 12월 IMF 사건으로 인해 세제 혜택의 범위를 확대하면서 7인승 이상으로 바뀌었다. IMF 관리 체제가 종료된 2001년부터는 소형 승합차 분류가 11인승 이상으로 환원되었다.

승합자동차는 유형별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일반형: 주 목적이 여객 운송용인 것
  • 특수형: 특정한 용도(장의·헌혈·구급·보도·캠핑 등)에 사용되는 것


과거에는 대부분의 시내버스가 고상버스였지만, 현재는 저상버스 설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무릎 꿇기' 에어 서스펜션 기능과 휠체어 사용자 및 유모차 이용객을 위한 경사로를 갖추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접근을 위해 전동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차체 하부의 접이식 경사로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전에는 휠체어 사용자는 전문 장애인 이동 지원 버스를 이용해야만 했다.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한 차량에는 더 넓은 출입구와 내부 통로, 그리고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부 설비와 행선 안내 표시기는 시각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고속버스의 경우에는 저상 설계 대신 일반적으로 휠체어 리프트를 사용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장애인 차별 금지 법률에 따라 차량에 이러한 기능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6. 버스 서비스

버스 서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규정되며, 영업용 차량 번호판을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한다. 영업용 버스는 버스운전자격증을 취득해야 운전할 수 있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규정된 버스 면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6. 1. 대한민국

현대의 시내버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시내 버스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대한민국의 버스 서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규정되며, 영업용 차량은 버스운전자격증을 취득해야 운전할 수 있다.[50] 영업용 버스는 차량 번호판을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중고 버스는 몽골, 미얀마, 러시아 등 세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50]

6. 1. 1. 종류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버스 서비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0]

  • 시외버스
  • * 고속형 시외버스 (고속버스)
  • * 직행형 시외버스 (직행버스)
  • * 일반형 시외버스 (완행버스)
  • 농어촌버스
  • * 직행좌석형
  • * 좌석형
  • * 일반형
  • 시내버스
  • * 광역급행형
  • * 직행좌석형
  • * 좌석형
  • * 일반형
  • 마을버스
  • 전세버스


일본에서는 버스를 정기 고속버스, 전세버스, 특정버스, 자가용버스의 네 가지 종류로 크게 나눈다.

6. 1. 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 금지

서울시의 '서울시 시내버스 재정지원 및 안전운행기준 조례' 개정에 따라, 2018년 1월 4일부터 서울 시내버스 내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었다.[51] 이는 버스 기사가 음식물이 담긴 포장 컵 또는 불결·악취 물품의 운송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이다.

이 규정은 커피, 아이스크림, 떡볶이, 햄버거 등 포장 구매한 음식물을 가지고 버스에 탑승하는 것을 제한한다. 음료나 커피를 흘리거나 쏟아 차량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 예방과 쾌적한 대중교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51]

시행 초기에는 이 규칙이 잘 알려지지 않아 승객과 버스 기사 간의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으나, 2018년 4월부터 안내문 부착 및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점차 정착되고 있다.[51]

인천광역시의 일부 노선(성산여객 517번 버스)에서도 유사한 조례를 제정하여, 음료수, 커피 등을 가지고 버스에 탑승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포장된 음식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51]

6. 1. 3. 해외 수출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중고 버스 차량은 몽골, 미얀마, 러시아 등 세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50]

6. 2. 일본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이 버스 노선의 종류가 제정되어 운행되고 있다.

  • 공영버스
  • 시영버스
  • 커뮤니티 버스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시내버스
  • 공항버스


대체적으로 보면 일본도 한국과 유사하게 운행되는 유형을 가진 버스 노선이 많이 있다.[50]

니시테쓰 버스 소속 저상버스 차량. 이 차량은 UD트럭의 전신인 닛산 디젤에서 제작한 버스 차량이며 현재 닛산 디젤에서는 버스 생산을 중국이나 동남아 등 외수용으로만 생산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향후 한국에서도 UD트럭 계열 버스를 운행할 가능성이 있다.


니시테쓰 버스에서 운행하고 있는 바이모달 트램 형태의 버스. 한국 인천의 GRT버스와 흡사하다.

6. 3. 미국

미국은 지역, 주마다 버스 노선을 체계적으로 다르게 가지고 있으며, 영국형 2층 버스가 아닌 중국과 비슷하게 침대형 버스를 주력 장거리 교통 수단으로 삼고 있다. 장거리 버스에는 차내에 화장실이 1곳만 설치되어 있다. 도시형 버스는 도시, 지역, 교외 등 다양한 장소에서 운행되지만 대표적인 업체는 하와이주에 있는 더 버스(TheBus)와 로스앤젤레스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버스웨이가 대표적이다.

6. 4. 중국

중국은 버스를 공공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지자체에서 운영하며, 특정 회사가 주도하는 형태는 아니다.[50]

7. 차량

2005년 스웨덴 칼스크로나(Karlskrona)의 1965년형 메르세데스-벤츠 LPO 322 브룩


인구 밀도가 낮은 일부 지역에서는 승객과 화물을 동시에 수송하기 위해 화물칸이 있는 브룩(Bruck)이라는 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버스는 특히 북유럽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7. 1. 동력원

1920년대 이후 현대 버스의 주된 동력원은 디젤 엔진이었다.[35] 그러나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천연가스(CNG, LNG)나 에탄올 등의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를 천장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새로운 재료의 사용과 천연가스·에탄올 공급 시설(스탠드)의 증가로 점차 해결되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증기버스도 사용되었지만, 출력중량비가 뛰어난 내연기관의 성능과 신뢰성이 향상됨에 따라 20세기 초에 사라졌다.[32]

일본에서는 석유 연료가 통제되었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및 전후 혼란기에 목탄을 이용한 목탄버스(장작버스)나 축전지를 동력원으로 한 전기버스가 사용되었지만, 석유 연료 공급이 안정되면서 사라졌다.[35]

1882년에는 베르너 폰 지멘스가 가공선에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일렉트로모트를 시험 운행했다. 그 후 여러 나라에서 전기 트롤리버스가 사용되었다.

트롤리버스는 도로 상공에 설치된 가선에서 전기를 끌어들여 운행하는 버스이다. 자동차 보급으로 인해 쇠퇴했지만, 노면전차지하철보다 건설비가 저렴하고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의 법령에서는 트롤리버스를 무궤도전차(無軌道電車)라고 하며, 노면전차와 마찬가지로 철도로 취급된다.

축전지를 탑재한 전기버스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료 부족 시기나 오일쇼크 이후 한때 사용되었으나, 성능이 낮아 이후 쇠퇴하였다. 그러나 최근 리튬이온전지 성능 향상으로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다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버스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종으로 연비 향상과 배기가스 유해 물질 배출 감소를 목적으로 1990년대에 개발되었다.

연료전지를 갖춘 연료전지버스도 개발되고 있다.

자이로버스는 플라이휠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버스이다.

2010년경부터 자율주행차의 주행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2030년까지는 자율주행버스와 자율주행 셔틀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33][34]

7. 2. 엔진 배치

캡오버 버스는 엔진룸 옆에 운전석을 배치하고 그 뒤쪽 공간 전체를 객실로 활용하여 탑승 정원을 늘린 버스이다. 이를 통해 공간 효율성을 높여 이전보다 더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엔진이 객실 내부에 위치하여 소음이 크고 엔진 열이 객실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38]

센터언더플로어엔진 버스는 차체 중앙 하부에 수평으로 엔진을 탑재한 버스이다. (이러한 배치를 미드십 레이아웃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버스 전면의 돌출부가 없어 버스 크기 대부분을 객실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차체 중앙에 엔진이 위치하여 정비가 어렵고, 섀시 강도가 약하며, 중앙에 문을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었다.[38]

리어엔진 버스는 엔진을 버스 후면에 배치한 형태이다. 엔진 배치 방식 중 가장 늦은 195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리어엔진 리어드라이브(RR)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프레임리스 구조의 보급과 함께 널리 확산되었다.[38]

1960년대 이후에는 노선버스용으로 수평형 엔진을 탑재한 리어언더플로어엔진 버스가 등장하였다. 이 방식은 엔진 바로 위 공간까지 좌석을 설치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후 주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저상 버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엔진을 차체 하부에 설치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엔진 설치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8]

7. 3. 차체

초기 버스 차체는 트럭 차대에 버스 차체를 단순히 장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레이랜드 내셔널(Leyland National)과 같이 차체와 차대가 분리될 수 없는 일체형 설계도 등장했다. 현대에는 전문 제작업체들이 특수 용도의 버스를 제작하거나 표준 버스를 개조하기도 한다.

1930년대까지는 프레임 위에 차체를 조립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버스가 대형화되면서 프레임을 없애고 차량 외판과 골격을 리벳으로 고정하여 외판에도 강도를 부담시키는 모노코크 구조가 주류가 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항공기 기술을 버스 제조에 응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기 개발 및 생산이 금지되면서, 항공기 기술을 도입한 버스 제조 기술이 더욱 발전했다.[39]

1970년대 후반부터는 차체 골격과 외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골격에만 강도를 부담시키는 스켈레톤 구조(별명 버드케이지)가 채택되었다. 스켈레톤 구조는 모노코크 구조에 비해 경량화, 소음 및 진동 감소, 디자인 자유도 증가 등의 장점이 있다. 즉, 차체 외측에 수하물칸, 승무원 휴게실 등 큰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고, 리벳이 없어 세련된 스타일의 차체를 제작할 수 있다.[39]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2008년 현재는 스켈레톤 구조가 버스 차체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39]

7. 4. 특수 차량

버스는 넓은 실내 공간 덕분에 이동 헌혈차, 이동 도서관 등 특수 목적 차량으로 개조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종종 트럭을 기반으로 개조되기도 한다.

7. 5. 좌석 배치

일반적으로 버스의 좌석은 중앙 통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1인석 또는 2인석이 앞을 향해 배치된다. 차량 구조에 따라 창문을 등지고 앉는 옆 좌석이나, 진행 방향과 반대로 뒤쪽을 향한 좌석이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거주성을 높이기 위해 통로를 2열로 배치하고 독립된 3열 좌석을 설치한 경우도 있다.[41]

해외에는 2~3단 침대를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한 침대버스가 있으며, 장거리 수송에 사용된다. 일본의 심야 고속버스에서도 풀 리클라이닝 시트나 슬리핑 시트라고 불리는, 수면을 고려하여 설계된 좌석을 채택한 사례가 있지만, 좌석이 완전히 평평해지지는 않는다. 고치에키마에관광이 일본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침대 버스를 시제작하고 있다.[41]

7. 6. 바닥 구조

원래 지면으로부터 바닥 높이는 약 900mm가 표준이었고, 도어 스텝은 2~3단인 것이 많았다. 그러나 승합 용도에서는 승하차를 개선하기 위해 더욱 바닥 높이를 낮추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우선 서스펜션 높이를 낮추고 저 편평률 타이어를 채용함으로써 2단 스텝으로 저상화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1단 스텝, 바닥 높이 약 500mm의 원스텝 버스로 개량되었다. 더욱이 엔진 및 동력 전달 기구의 개량으로 스텝 없이 바닥 높이 약 300mm의 노스텝 버스가 실현되었다. 일본에서는 2000년에 교통 배리어프리법이 시행되어 노스텝 버스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1]

한편, 전세용 또는 장거리 노선용 차량은 승하차성을 신경 쓸 필요성이 적다. 따라서 오히려 객석 바닥을 높임으로써 시야를 좋게 한 하이데커 차량이 다수 제조되었다. 하이데커보다 더욱 바닥을 높인 슈퍼 하이데커도 제조되고 있다.[1]

8. 기타

버스는 광고, 선거 운동, 공익 캠페인, 홍보, 판촉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임시로 버스를 전세하거나, 중고 버스를 개조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식, 차양 등을 설치하여 버스를 개조하기도 한다. 내부에는 전시나 정보 제공을 위한 특수 장비나 시청각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홍콩의 버스 광고 (2018)


버스 광고는 내부 및 외부 광고, 전체적인 광고 도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브랜드나 제품 홍보를 위해 버스를 독점적으로 임대하여 대규모 공공 행사에 등장시키거나 번화가를 순회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판촉 직원이 버스에 동승하여 무료 선물을 나눠주기도 한다. 선거 운동 버스는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선거 운동 관계자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시 버스는 채용 캠페인 등의 목적으로 박람회나 축제와 같은 공공 행사에 파견되며, 사기업이나 군대에서 활용하기도 한다. 복잡한 도시 계획 제안은 공공 의견 수렴을 위해 이동식 전시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닐라 버스처럼 홍보 전용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버스를 랩핑 차량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수한 버스로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종류설명특징주요 사용 국가/지역비고
가이드웨이 버스일반 버스 기능에 전용궤도 주행 기능(핸들 조작 불필요)을 더한 것전용 궤도 주행 시 철도차량으로 취급독일 에센,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일본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가이드웨이 버스 시단미 선(유토리토 라인)
IMTS노면에 매립된 자석을 따라 주행하는 버스무인 대열 주행, 수동 조작으로 일반 도로 진입 가능, 전용 궤도 주행 시 철도 차량으로 취급일본 (애・지구 박람회 회장 내 교통 기관)
듀얼 모드 비클도로와 철도 궤도 모두 주행 가능한 차량일본국유철도에서 앰피비언 버스(Amphibian, 양서류)로 시제작,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에서 실용화 시험 중
트럭 버스트럭을 개조하여 적재함 대신 객실을 설치한 것제조비 저렴동남아시아, 미국 (스쿨버스)일본에서는 보닛 버스 모방, 주일 미군 기지 내 사용
포스트버스우편 배달 겸용 버스주로 유럽
여객용 설상차눈길 주행 버스 (대형 특수 자동차제2종 운전면허 필요)
프랑스 몽생미셸 운행 버스양쪽 끝 2곳에 운전석 설치운전자 이동으로 전환 없이 반대 방향 출발 가능프랑스 몽생미셸[43][44]


9. 세계의 버스

역사적으로 버스의 종류와 특징은 지역적 요구에 따라 발전해 왔다. 버스는 아시아의 에어컨이나 북미 버스의 자전거 거치대와 같이 지역 기후나 승객의 요구에 적합한 기술을 갖추고 제작되었다. 대량 생산이 거의 없던 세계 각지의 버스는 종종 다른 나라에서 중고로 들여왔는데, 몰타 버스와 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버스가 그 예이다. 쿠바와 같은 다른 나라들은 수입 제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필요로 했는데, 특수 제작된 트레일러 버스인 "카멜로스"(낙타 버스)가 그 예이다.

하바나의 트레일러 버스 (2006)


2차 세계 대전 이후 메르세데스-벤츠 버스와 미쓰비시 후소와 같은 유럽과 극동의 제조업체들이 다른 대륙으로 확장하면서 이전에 지역 유형의 버스가 담당하던 버스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전 세계의 버스 사용은 또한 국가 간의 식민지 연관성이나 정치적 동맹의 영향을 받았다. 여러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의 선례를 따라 영국 제조업체의 버스를 공급받아 2층 버스가 널리 보급되었다. 여러 동구권 국가들은 트롤리버스 시스템을 채택했고, 트롤자와 같은 제조업체는 다른 우호국에 트롤리버스를 수출했다.[30] 1930년대 이탈리아는 로마와 티볼리 사이의 번잡한 노선을 위해 88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3층 버스를 설계했다.

전 세계 국가에서 볼 수 있는 버스는 종종 지역 도로망의 질을 반영하며, 버스가 험한 운행 조건에 처하는 여러 저개발 국가에서는 고층의 견고한 트럭 기반 디자인이 널리 사용된다. 인구 밀도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일본과 극동과 같은 고밀도 도시화는 종종 2층 버스인 고용량 장축 다축 버스의 채택으로 이어졌으며, 남아메리카와 중국은 간선급행버스체계 계획을 위해 다수의 관절 버스를 도입하고 있다.

10. 사고

버스 사고는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 및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참조

[1] 백과사전 Omnibus
[2] 뉴스 China's longest bus unveiled in Shanghai http://news.jongo.co[...] Jongo.com 2007-03-15
[3] 사전 Cassell's Latin Dictionary
[4] 웹사이트 La préhistoire des transports urbains https://amtuir.org/0[...] Transportation Museum 2019-02-22
[5] 웹사이트 Omnibus (n.) http://www.etymonlin[...] 2013-03-30
[6] 웹사이트 Histoire générale des transports http://www.amtuir.or[...] French transportations Museum Website 2010-09-16
[7] 웹사이트 Le temps de révolutions http://www.herodote.[...] Herodote.net 2010-09-16
[8]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Public Transport in Greater Manchester http://www.gmts.co.u[...]
[9] 웹사이트 The London Omnibus http://knowledgeoflo[...]
[10] 웹사이트 The Horse Bus: 1662–1932 http://www.petergoul[...]
[11] 웹사이트 Simon Kremser http://www.textagent[...]
[12] 웹사이트 Thomas Tilling Ltd: 1849–1969 http://www.petergoul[...]
[13] 웹사이트 From omnibus to ecobus, 1829–1850 http://www.ltmuseum.[...] London's Transport Museum 2007-07-03
[14] 웹사이트 Riding on a knifeboard http://www.museumofl[...]
[15] 뉴스 Centenarxy of the Omnibus 1933-04-28
[16] 서적 Street Smart: Competition, Entrepreneurship and the Future of Roads
[17] 서적 Pratt's Law of Highways Shaw & Sons 1865
[18] 웹사이트 Trolleybus history – current collector design http://www.trolleybu[...] 2013-10-06
[19] 웹사이트 Elektromote http://www.siemens.c[...] 2011-08-28
[20] 서적 Buses, Trolleys and Trams Paul Hamlyn Ltd
[21] 웹사이트 1898: The world's first bus series launched by Daimler – a milestone for passenger transport – marsMediaSite http://media.daimler[...] 2016-08-29
[22] 서적 The London B-Type Motor Omnibus World of Transport
[23] 웹사이트 AEC Southall Enthusiast page http://www.aecsoutha[...] Aecsouthall.co.uk 2013-04-19
[24] 웹사이트 The Bus We Loved book description http://www.londonboo[...] Londonbooks.co.uk 2013-10-06
[25] 웹사이트 Routemaster.org http://www.routemast[...]
[26] 웹사이트 Further http://www.slate.com[...] The Slate Group 2014-09-05
[27] 웹사이트 Obama's Canadian-American Bus http://www.factcheck[...] 2011-08-25
[28] 웹사이트 Chesapeake Fire Department http://cityofchesape[...] Cityofchesapeake.net 1998-05-01
[29] 웹사이트 Winnipeg Fire Department http://www.winnipeg.[...] Winnipeg.ca 2010-10-12
[30] 잡지 Three Decker Auto Bus Carries 88 Person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2-08
[31] 뉴스 Event preview: Fashion Bus On The Square, London https://www.theguard[...] 2008-08-16
[32] 서적 1000の発明・発見図鑑 丸善株式会社 2003-11-01
[33] 웹사이트 2030年の自動運転(2022年最新版)移動サービスはじめ自家用レベル4も https://jidounten-la[...] 2022-10-03
[34] 웹사이트 日本モビリティ株式会社(2021年度事例) https://www.nichimob[...] 2022-10-03
[35] 서적 (제목 없음)
[36] 웹사이트 水素燃料エンジンバスの公道走行を実現 http://www.tcu.ac.jp[...]
[37] Youtube 東京都市大学水素燃料エンジンバスの開発に成功 http://www.youtube.c[...]
[38] 서적
[39] 서적
[40] 뉴스 China's longest bus unveiled in Shanghai http://news.jongo.co[...] Jongo.com 2007-03-15
[41] 웹사이트 ついに登場…高速バスで横たわれる完全フラットシート「ソメイユ・プロフォン」! 高知駅前観光の新型バス車両がお披露目! https://home.kingsof[...]
[42] 웹사이트 SNSで話題! 路線バスをセカンドカーに!? バスの個人所有は簡単に出来るのか https://kuruma-news.[...] 2020-07-01
[43] 웹사이트 Double End Steering http://caetanobus.pt[...]
[44] 웹사이트 British engineering firm helps to solve french tourist problem http://www.midlandsb[...] 2012-10-10
[45] 뉴스 China's longest bus unveiled in Shanghai http://news.jongo.co[...] Jongo.com 2009-03-25
[46] 뉴스 한국 첫 시내버스는 대구서 운행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09-19
[47] 웹사이트 Elektromote http://www.siemens.c[...]
[48] 서적 World History of the Automobile https://books.google[...] SAE 2013-10-06
[49] 문서 기아자동차의 상표인 봉고에서 유래되었으며,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이다.
[50] 문서 농어촌버스에서 좌석형 노선은 몇 없으며 많이 있지도 않다.
[51] 뉴스 커피 들고 서울시내버스 못탄다…음식물 반입 금지 http://car.chosun.co[...] 2018-04-12
[52] 문서 당시 HA버스와 에어로 버스는 동아자동차의 것이었다. 1988년에 쌍용자동차로 상호변경. 1990년대에 버스 사업을 상하이기차에 넘겼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