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듬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듬이는 옷감의 구김을 펴고 윤기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로 구성된다. 17~18세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삼희성(三喜聲) 중 하나로 여겨질 만큼 한국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듬잇돌은 화강암, 납석, 나무 등으로 만들어지며, 다듬이질은 풀을 먹인 세탁물을 두들겨 옷감의 형태를 잡는 과정이다. 늦가을과 겨울철에 솜옷이나 침구류를 다듬이질하는 풍습이 있었으며, 다듬이질 소리는 한국 풍속의 일면을 이루었다. 다듬이질은 백의민족에게 새로운 정신을 가다듬는 의미를 가지기도 했으며, 다듬이 놀이와 같은 문화적 요소와 예술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2. 역사

18세기 책인 규합총서에는 옷감에 따른 다듬이질 방법과 손질법이 자세히 나와 있다.[28][29] 이를 통해 17~18세기부터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26] 예로부터 한국에서는 삼희성(三喜聲)이라 하여 아이 우는 소리, 글 읽는 소리, 다듬이질 소리, 이 세 가지를 듣기 좋은 소리로 꼽았다. 다듬이질할 때 울리는 경쾌한 소리가 건강한 생명력이나 일상생활의 근면성과 안정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28][29][30]

3.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다듬잇돌은 주로 화강암, 납석, 대리석 등으로 만들어지며, 박달나무느티나무 같은 단단한 나무로 만들기도 한다.[31] 충청도함경도 지역에서는 박달나무로 만든 다듬잇대를 사용하기도 했다. 다듬잇돌의 모양은 두꺼운 직사각형이며, 옷감과 닿는 윗면은 옷감이 상하지 않도록 밑면보다 약간 넓고 매끄럽게 만든다. 밑면의 네 모서리에는 짧은 다리가 있고,[28][29] 양쪽에는 손을 넣어 옮길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다.[26] 다듬잇돌은 침석(砧石)이라고도 부른다.[31]

다듬잇방망이는 두 개가 한 쌍이며 나무로 만든다.[32]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

4. 다듬이질 방법

먼저, 푸새(옷에 풀을 먹이는 일)를 한 세탁물을 완전히 말린다. 그 다음 손에 물을 묻혀 조금씩 뿌리거나 입으로 뿜어 옷에 물을 적신다. 물에 적신 빨래는 대강 접어 빨랫보에 싸놓은 뒤, 물기가 골고루 퍼질 때까지 기다린다. 이후 솔기를 맞추어가며 다시 접는다. 그 후, 보자기에 싼 빨래를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다듬잇방망이로 두들겨 다듬이질한다. 혼자 할 때는 양손에 방망이를 잡고 두들기고, 두 명이 할 때는 가운데에 다듬잇돌을 두고 마주 앉아 두들긴다. 어느 정도 두들긴 후, 펼쳤다 접기를 반복하면 빨래의 구김이 펴지고 윤기가 난다.[26] 올이 고운 명주와 같은 옷감은 다듬잇돌에서 초벌로 다듬은 후, 홍두깨에 감아서 다듬잇방망이로 돌려가며 두들겨 손질한다.[28][31]

다듬이 방망이 만들기

5. 사회, 문화적 의의

다듬이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늦가을과 겨울철, 솜옷이나 침구류를 다듬이질하는 소리는 한국 풍속의 한 단면이었다.[26] 밤늦게까지 두 사람이 네 개의 방망이로 음률에 맞추어 옷감을 다듬는 모습은 단순한 가사 노동을 넘어, 백의민족에게는 새로운 정신을 가다듬는 의미를 지녔다.[33] 힘든 마음의 고통을 다듬이질로 참는다는 뜻의 '인고침(忍苦砧)'이라는 표현은 다듬이가 지닌 정서적 의미를 잘 보여준다.

20세기 초 다듬이질을 하는 한국 여성들


18세기 책 규합총서에는 다듬이질과 옷감 관리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5][6] 예로부터 한국에서는 아기 울음소리, 책 읽는 소리, 다듬이 소리를 '삼희성(三喜声)'이라 하여 좋은 소리로 여겼다. 이는 다듬이질의 경쾌한 소리가 건강한 생명력, 일상생활의 부지런함, 안정감을 연상시켰기 때문이다.[5][6][7] 다듬잇돌은 지역마다 좋아하는 소리가 있어 독특한 음색을 내도록 조각되었으며, 화려한 그림이나 색, 죽은 사람의 인적 사항이 새겨진 다듬잇돌도 있어 당시의 취향과 문화를 반영한다.[30] 또한 다듬이질은 한복을 만들 때 옷감을 방풍용으로 만들고, 세탁을 용이하게 하는 실용적인 기능도 했다.[30]

5. 1. 한국 문화

한국 사람들은 늦가을과 겨울철에 솜옷이나 침구류를 다듬이질했다. 밤늦게까지 두 사람이 네 개의 방망이로 음률에 맞추어 옷감을 다듬는 소리는 한국 풍속의 일면을 이루었다.[26] 백의민족에게 다듬이는 새로운 정신을 가다듬는 의미기도 했다.[33] 다듬이질을 인고침(忍苦砧)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감당하기 힘든 마음의 고통을 다듬이질로 참는다는 뜻이다. 다듬잇돌은 각각 음색이 다르다. 지방마다 좋아하는 소리가 있어, 타악기를 만들 듯 독특한 소리가 나도록 조각했기 때문이다. 화려한 그림과 색이 칠해진 다듬잇돌도 있고 죽은 사람의 인적 사항이 적힌 다듬잇돌도 있다. 당시의 취향과 문화를 고스란히 반영한 모습이다.[30] 다듬이질은 옷감을 방풍용으로 만들기에도 유용했다. 한복을 만들 때 풀을 먹이고 다듬이질을 하면, 섬유가 확산되고 풀이 묻어 방풍이 잘 되었다. 또한, 풀이 묻은 표면은 매끈해서 때가 덜 탔고, 빨 때는 풀이 같이 떨어져 나가 세탁이 용이했다.[30]

18세기 책인 규합총서에는 다듬이질과 옷감 관리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5][6] 고대부터 한국에서는 아기의 울음소리, 책 읽는 소리, 다듬이 소리를 듣는 것을 좋은 소리로 여겼다. 이 세 가지 소리를 삼희성(三喜声)이라고 불렀다. 다듬이질을 할 때 나는 경쾌한 소리가 건강한 생명력, 일상생활의 부지런함과 안정감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5][6][7] 현대에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범위가 줄었지만, 축제에서 다듬이 공연이 열리기도 한다.[12][13]

5. 2. 예술 작품

양주동의 시 "다듬잇소리"는 다듬이질을 하는 여인들의 삶과 감정을 묘사한다.[7] 양평민요는 다듬이질을 하는 여성을 간결한 언어로 표현한다.[7]

조비의 「야청도의(夜聽擣衣)」, 유신의 「추침조급절(秋砧調急節)」, 고악부의 「고침금하재(藁砧今何在)」 등 옛날부터 한시에 늦가을의 풍물시로 읊어졌다.[19]

백거이의 한시 「문야침(聞夜砧) (밤의 다듬이 소리를 들음)」은 백거이의 시가 일본 문화에 미친 영향의 크기를 보여주는 예로, 헤이안 귀족 문화에서의 "다듬이" 모티브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문야침(聞夜砧) (밤의 다듬이 소리를 들음)
원문해석통석
수가지부추도백(誰家思婦秋擣帛)、수가의 사부(思婦)가 가을에 백(비단)을 다듬질하니,어느 집의 그리워하는 부인이 비단 옷을 다듬질하는 것인가,
월고풍처침저비(月苦風凄砧杵悲)。달이 고(苦)뇌하고 바람이 처량하니 침저(砧杵)가 슬프다.달이 괴롭게 차갑고 바람이 처량한 가운데, 슬픈 다듬이 소리.
팔월구월정장야(八月九月正長夜)、팔월 구월은 정(正)히 긴 밤이요,음력 8월 9월, 바로 가을의 긴 밤에,
천성만성무료시(千聲萬聲無了時)。천성(千聲) 만성(萬聲)이 마칠 때가 없네.수많은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응도천명두진백(應到天明頭盡白)、응당 천명(天明)에 이르러 머리털이 다 희어지리라,날이 밝을 때까지 슬픔에 잠겨 머리카락이 하얗게 세어버릴 것이다.
일성첨득일경사(一聲添得一莖絲)。한 소리에 한 올의 실을 더하네.한 번 다듬을 때마다 흰 머리카락이 한 올씩 늘어나는 것 같은 마음이 든다.



이백의 「자야오가 추(子夜吳歌 秋)」 역시 비슷한 모티브를 읊고 있다.[20]

남송 시대에 용천요에서 만들어진 청자 중 분청색의 솜씨 좋은 것을 砧手(きぬたで, 다듬잇돌 손)라고 부른다. 砧(きぬた, 다듬잇돌)이라는 명칭은 백거이의 『문야점』(聞夜砧, 혹은 그것을 바탕으로 한 헤이안 문학·문화)을 비유하여 명명했다는 설과, 세아미가 만든 노 "키누타(砧)"의 연목 중에서, 이를 연기하는 시테가 손에 든 망치(槌, つち)의 형태와 용천요 청자 꽃병이 닮은 데에서 砧青磁(きぬたせいじ, 다듬잇돌 청자)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24]

『다듬이』는 세아미의 작품으로 알려진 노악 작품이다. 무로마치 시대에 성립되었으며, 남편의 부재 중 집을 지키는 아내의 슬픔을 그리고 있으며, 늦가을의 애상감을 표현하여 예로부터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온 노이다.

5. 3. 민속 놀이

다듬이놀이는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행해지던 놀이이다. 부녀자들이 다듬잇돌을 가운데 두고 마주 보고 앉아 누가 다듬이질을 더 잘하는지 겨뤘다. 마주 보고 앉은 두 사람은 장단과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다듬이 방법에 변화를 준다. 다듬이질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 하던 놀이이다. 현대에 와서 세탁 방법과 옷감의 소재가 변화하면서, 지금은 거의 하지 않게 되었다.[34]

5. 4. 일본 문화

백거이의 시는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헤이안 시대 귀족 문화에서 "다듬이" 모티프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19] 이백의 「자야오가 추(子夜吳歌 秋)」 역시 비슷한 모티브를 읊고 있다.[20]

남송 시대 용천요에서 만들어진 청자 중 분청색의 솜씨 좋은 것을 砧手(きぬたで, 다듬잇돌 손)라고 부른다. 砧(きぬた, 다듬잇돌)이라는 명칭은 『분류초인목』[22]과 『괴기[23]의 기록에서 백거이의 『문야점』(聞夜砧)을 비유하여 명명했다는 설이 있다.

세아미가 만든 노 "키누타(砧)"에서 연기자가 손에 든 망치 형태와 용천요 청자 꽃병이 닮아서 砧青磁(きぬたせいじ, 다듬잇돌 청자)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24]

『'''다듬이'''』는 세아미의 작품으로 알려진 노악 작품이다. 무로마치 시대에 성립되었으며, 남편이 없는 동안 집을 지키는 아내의 슬픔을 그리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ironing sticks, clubs, blocks, Japanese fulling mallets http://www.oldandint[...] 2018-05-14
[2] 뉴스 다듬이돌 https://terms.naver.[...] 2018-05-22
[3] 뉴스 다듬이돌 https://terms.naver.[...] 2018-05-22
[4] 웹사이트 홍두깨 http://www.museum.go[...] 2018-05-28
[5] 서적 민족생활어사전 한길사 (hangilsa)
[6] 서적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Misul Munhwa)
[7] 뉴스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 문화 - 다듬잇돌 https://terms.naver.[...] 2006-02-20
[8] 웹사이트 Dadeumitbangmang-i http://krdic.naver.c[...] 2018-05-28
[9] 서적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Iljisa)
[10] 웹사이트 다듬이놀이 http://namwon.grandc[...] 2018-05-14
[11] 뉴스 <경주문화엑스포> 세계인의 문화제전 13일 개막 http://news.naver.co[...] 2018-05-28
[12] 뉴스 함양 산골마을에 울려 퍼진 '다듬이 소리' http://www.knnews.co[...] 2018-05-14
[13] 뉴스 함양서 '추억의 다듬이 소리' 들어보세 http://www.knnews.co[...] 2018-05-14
[14] 웹사이트 Chinese-tools.com http://www.chinese-t[...]
[15] 문서 み吉野の 山の秋風小夜ふけて ふるさと寒く 衣打つなり
[16] 문서 大槻文彦
[17] 웹사이트 KO字源 https://wagang.econ.[...]
[18] 웹사이트 goo辞書「横槌」 https://dictionary.g[...]
[19] 웹사이트 KO字源 https://wagang.econ.[...]
[20] 문서 子夜呉歌 秋
[21] 웹사이트 茶の湯の楽しみ|茶道用語 http://verdure6.web.[...]
[22] 웹사이트 茶の湯の楽しみ|茶道用語 http://verdure6.web.[...]
[23] 웹사이트 goo辞書「槐記」 https://dictionary.g[...]
[24] 웹사이트 砧青磁 http://www12.ocn.ne.[...] 2020-09-24
[25] 뉴스 다듬이돌 https://terms.naver.[...] 2018-05-12
[26] 뉴스 다듬이돌 https://terms.naver.[...] 2018-05-12
[27] 웹인용 홍두깨 / 주요 소장품 검색 http://www.museum.go[...] 2018-05-12
[28] 서적 민족생활어사전 한길사(hangilsa)
[29] 서적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Misul Munhwa)
[30] 뉴스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 문화 - 다듬잇돌 https://terms.naver.[...] 현암사 2018-05-12
[31] 뉴스 다듬잇돌 https://terms.naver.[...] 2018-05-12
[32] 웹인용 '다듬잇방망이' :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 2018-05-12
[33] 뉴스 <경주문화엑스포> 세계인의 문화제전 13일 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05-12
[34] 웹인용 다듬이놀이 http://namwon.grandc[...] 2018-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