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백은 당나라 시대의 시인으로, 중앙아시아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는 정규 교육을 받지 않고 촉나라에서 도교를 수양하며 방랑 생활을 했다. 현종의 부름을 받아 한림공봉이 되었으나, 관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력사와 다툰 후 사직했다. 이후 두보와 교류하며 강남을 여행하고 영왕의 군대에 참여했으나, 반란군으로 지목되어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다. 말년에는 당도현의 현령이었던 친척 이양빙의 집에서 사망했다. 이백은 고시와 절구에 능했으며, 그의 시는 스케일이 크고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주요 작품으로는 "정야사", "조발백제성", "추포가" 등이 있으며, 그의 시는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서 이씨 - 이여송
이여송은 조선 출신 이주민 후손으로 명나라 장군이 되어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을 이끌고 평양성을 탈환하는 공을 세웠으나 소극적인 태도와 횡포에 대한 비판도 있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701년 출생 - 쇼무 천황
쇼무 천황은 몬무 천황의 아들로 겐메이 천황와 겐쇼 천황의 뒤를 이어 즉위한 일본의 45대 천황으로, 불교 장려, 도다이지와 고쿠분지 건립, 간전영년사재법 제정 등의 업적을 남기고 고켄 천황에게 양위한 뒤 최초의 태상천황이자 승려가 되었다. - 핑량시 출신 - 자오지핑
자오지핑은 시안 음악원과 중앙 음악학원을 졸업한 중국의 작곡가이자 영화 음악가로, 영화 《황토지》, 《붉은 수수밭》, 《패왕별희》, 드라마 《삼국》 등의 음악을 담당했고 중국 음악가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교향곡 1번, 비파 협주곡 '축복' 등 관현악 작품을 남겼다. - 핑량시 출신 - 장괴
장괴는 당나라 말기 탐욕스럽고 포악한 통치로 민심을 잃어 곽우의 반란과 진종권의 공격으로 살해당한 형남절도사이다.
이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이백 |
자 | 태백 |
호 | 청련거사 |
출생 | 701년 |
출생지 | 강유, 쓰촨성, 당나라 또는 수야브, 당나라 (현재의 키르기스스탄 추이 주) |
사망 | 762년 |
사망지 | 당투, 당나라 (현재의 안후이성 마안산) |
국적 | 당나라 |
직업 | 시인 |
활동 시기 | 당나라 |
장르 | 시 |
문학 사조 | 당시 |
종교 | 도교 |
영향 | 도연명 등 |
영향 받음 | 소동파 등 |
한자 정보 | |
간체자 | 李白 |
번체자 | 李白 |
병음 | Lǐ Bái |
광둥어 | Lei5 Baak6 |
월병 | Léih Baahk |
민난어 | Lí Pe̍k |
하카어 | Lij Baq |
중고음 | Ljɨ Bɐk, or Lǐ Bhæk |
일본어 (간지) | 李白 |
일본어 (히라가나) | りはく |
일본어 (로마자) | Ri Haku |
한자 (한국) | 李白 |
한글 (한국) | 이백 |
한국어 (로마자) | Yi Baek |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I P'aek |
베트남어 | Lý Bạch |
기타 정보 | |
주요 작품 | 이태백문집 |
배우자 | 허씨, 유씨, 동로의 모씨, 종씨 |
2. 생애
이백은 당나라 쇄엽(碎葉) 출신으로, 중앙아시아인이라는 설이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122] 아버지가 무역상이었기 때문에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25세 무렵까지 고향인 촉나라에서 사천의 산들을 오르며 도교를 수양했다. 그 후 고향을 떠나 강남을 여행하며 아버지의 유산을 소비하며 몰락한 귀족 자제들과 어울렸다.
744년 43세에 현종(玄宗)의 칙령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이 되어 장안에 머물렀으나, 관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44세에 현종의 측근인 고역사와 다투고 사직했다. 사직 후에는 낙양에서 산둥까지 두보와 함께 여행했다. 54세에 다시 강남으로 돌아와 56세에 현종의 열여섯 번째 아들인 영왕 인의 군대에 참여했으나, 영왕의 군대가 당 숙종에 의해 반란군으로 지목되어 귀주에 유배되었다. 삼협(三峽) 부근에서 은사를 받아 강남으로 돌아왔다.
만년에는 강남의 각지를 유람했고, 61세에 안휘성 당도(當塗)의 현령(縣令)이었던 종숙 이양빙(李陽冰)의 집에서 사망했다. 장강(長江)에 비치는 달 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이백은 고시와 절구를 특기로 했으며, 그의 시재는 '천재'라고 불렸다. 그의 시는 스케일이 크고 박진감이 있으며 환상적이다. 술을 매우 좋아하여 술에 취한 채로 현종의 부름을 받고 궁궐에 들어가 시를 읊었다고 한다.
이백에 대한 주요 참고 자료는 "구당서"와 "신당서" 두 권의 "당서"이다.[8]
이백은 네 번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27년 후베이성 안루에서 전직 정부 관리의 손녀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 744년에는 허난성 량위안 구에서 종 씨 성을 가진 시인과 두 번째 결혼을 했다.[18] 그녀는 측천무후 시대의 중요한 정부 관료였던 종초객의 손녀였다.
2. 1. 출생과 가계
이백은 701년 수야프(碎葉, 현재의 키르기스스탄)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이백의 가족은 변방에서 상업으로 번성했다.[10] 이백이 다섯 살 무렵, 아버지 이객(李客)의 지휘 아래 가족은 현대의 청두 근처 강유(江油, 사천)로 이주했다. 가족의 이주 상황에 대해서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는데, 변방 지역에서 이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필요했던 법적 허가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특히 가족이 그곳에 배치되거나 추방된 경우 더욱 그러했다.[122]이백의 친족인 이양빙과 범전정의 기록에 따르면, 이백의 가문은 원래 현재의 간쑤성 경녕현 남서부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백의 조상은 서량 건국의 귀족인 이가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11] 이는 이백이 당나라의 이씨 왕족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당나라 황제 또한 서량의 이씨 통치자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으며, 이 가문은 롱시 이씨 가문(隴西李氏)으로 알려졌다. 수나라 시대에 이백의 조상들은 어떤 이유로 평민으로 분류되어 원래의 고향(현재의 간쑤)에서 서쪽 지역으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12] 이씨 가문은 실크로드 도시인 수야브(Suyab, 현재 키르기스스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살았으며, 아프가니스탄 가즈니 근처의 티아오즈(條枝)(條枝|Tiáozhī중국어)에서도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3] 이 지역은 실크로드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씨 가문은 상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4] 그들의 사업은 매우 번창했다.[15]
이백의 출생 및 출신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구당서』 본전의 기술에서는 동로 출신이라고 하지만, 청의 왕기 등을 비롯하여 통설은 이를 오류로 보고 있다.
이양빙의 「초당집서」 및 범전정의 「당좌습유한림학사 이공신묘비」, 북송의 구양수 『신당서』 등의 기술에서는, 이백은 농서군 성기현(현재의 간쑤성 톈수이시 친안현) 출신으로, 서량의 태조 무소왕 이고의 9세손이라고 한다. 이백의 선조는 수 말 시대에 어떤 사정으로 서역의 동투르키스탄 부근으로 추방되어 성을 바꾸고 그곳에서 살았지만, 중종의 신룡 연간에 서역에서 촉(현재의 쓰촨성)으로 이주하여 이백의 탄생과 함께 이씨 성을 회복했다고 한다.[69]
이백의 선조가 살았던 서역에 대해 「초당집서」에는 「중엽에 죄가 아닌데, 조지에 적거했다」, 『신당서』에서는 「죄로 서역으로 옮겨졌다」고 적혀 있다. 「조지」는 이 경우 당대에 설치된 조지 도독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현대 지명으로는 아프가니스탄의 가즈니 주변에 해당한다. 또한 「당좌습유한림학사 이공신묘비」에서는 수엽 (현·키르기스스탄의 토크마크)이라고 한다.[70]
현재 중국의 통설에서는, 이백은 서역으로 이주한 한인의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부유한 상인이었던 아버지와 함께 서역에서 촉의 면주 창륭현 청련향(현재의 쓰촨성 몐양시 장유시 청롄진)으로 이주했다고 추측한다. 늦어도 5세 무렵에는 촉 땅에 정착했다고 여겨진다.
2. 2. 어린 시절과 교육
당나라 쇄엽(碎葉) 출신이라는 것이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122] 이백의 아버지는 무역상이었기 때문에, 이백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다. 5세 무렵부터 20년 정도의 청소년기에는 촉(蜀)의 청련향(青蓮郷)을 중심으로 활동했다.705년, 이백이 네 살 때 그의 아버지는 가족을 비밀리에 쓰촨성 청두 인근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16] 현재, 쓰촨성 장유시 중바진에는 이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어린 이백은 성장기의 대부분을 중국 쓰촨성 창밍현의 칭롄(青莲; "푸른[녹색, 청색 또는 자연색으로 번역됨] 연꽃")에서 보냈다. 현재 이는 쓰촨성 장유시 현급시의 칭롄진(青蓮鎮)에 해당한다.
어린 이백은 시경과 서경과 같은 유교 경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점성술 및 형이상학적 자료도 광범위하게 읽었지만, 문맹 시험을 보는 것은 경멸했다. "백 명의 작가"를 읽는 것은 가족의 문학 전통의 일부였으며, 열 살이 되기 전에 시를 짓기도 했다.
어린 이백은 길들여지지 않은 새를 길들이고 검술을 하는 것과 같은 다른 활동에도 참여했다. 그의 다른 활동에는 승마, 사냥, 여행, 돈과 무기를 사용하여 가난하거나 억압받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 포함되었다. 결국, 어린 이백은 검술에 상당한 실력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이며, 이백 자신이 쓴 자서전적 인용문은 이를 증언하는 동시에 그가 젊은 시절 쓰촨에서 보낸 거친 삶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세가 되기 전에 이백은 기사도 전통 (''협객'')에 따라 여러 명과 싸워 죽였다.
720년, 그는 수팅 주지사와 면접을 봤는데, 수팅 주지사는 그를 천재로 여겼다. 그는 관리가 되기를 원했지만, 중국 과거 시험을 한 번도 보지 않았다.
25세나 26세까지 고향인 촉나라에서 살면서 동암자라는 선인과 사천(四川)의 산들을 오르며 도교를 수양하였다.
전기와 자작 문장 등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독서에 힘쓰는 동시에 검술을 좋아했으며, 협객들과 교류했다. 이때의 일화로 익주(益州) 장사(長史)였던 소정(蘇頲)에게 문재를 인정받은 것, 동암자(東巌子)라는 은자와 함께 민산(岷山)에 은거하며 촉의 새를 기르고 함께 생활하면서 도사의 수행을 했고, 산속의 새들도 이백을 두려워하지 않고 손에서 먹이를 쪼아 먹었다는 것, 아미산 등 촉의 명승지를 두루 유람했다는 것 등이 전해진다.[76]
「초당집 서(草堂集序)」「신묘비(新墓碑)」, 『신당서(新唐書)』 등에 따르면, 이백의 생모는 태백(금성)을 꿈꾸고 이백을 잉태했다고 전해지며, 이름과 자는 그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75]
2. 3. 방랑 생활
725년 (개원 13년), 25세 때 이백은 촉 땅을 떠나 장강을 따라 강남으로 향했다. 이후 10여 년 동안 장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 각지를 방랑했다. 이 시기에 자연 시인 맹호연과 교류했으며, 명작 「황학루에서 맹호연의 광릉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를 지었다[77]。그 후 안륙 (현재의 후베이성 안루시)에 거점을 정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각지로 방랑을 계속했다. 732년 32세 때, 안륙의 명문가이자 고종의 재상이었던 허어사의 손녀와 결혼한 것으로 여겨진다. 허씨와의 사이에는 장녀 이평양과 장남 이백금이라는 두 자녀가 태어났다[78]。결혼 후에도 안륙을 거점으로 각지를 방랑했으며, 730년 또는 737년 무렵에는 장안에 체류하며 벼슬을 구했다. 이 무렵 낙양도 방문했으며, 735년부터 736년에 걸쳐서는 태원에서 안문관을 주유했다[79]。740년에는 안륙에서 동로(산동성 남부)로 이주했다. 여기서는 공소부 등 5명의 도사와 추래산(현재의 산동성 태안시)에 모여, "죽계육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80]。725년경, 20대 중반의 이백은 장강을 따라 동정호를 거쳐 난징으로 내려오면서 쓰촨을 떠나 방랑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강을 거슬러 올라가 지금의 후베이에 있는 윈멍으로 갔는데, 그곳에서 퇴임한 재상 쉬 위시의 손녀와 결혼했으나, 이는 짧은 일시적인 사건이었던 것으로 보인다.[19] 여행 첫 해에 그는 유명인들을 만나고 어려운 친구들에게 재산의 많은 부분을 나눠주었다.
730년, 이백은 수도 장안(시안) 근처의 중남산에 머물면서 관직을 얻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황하를 따라 내려가 뤄양에 들렀고, 타이위안을 방문한 후 고향으로 돌아갔다. 735년, 이백은 산시에 있었는데, 나중에 당나라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이 된 궈쯔이에 대한 군사 재판에 개입했고, 이는 안사의 난 동안 보답을 받게 된다.[20] 740년까지 그는 산둥으로 이주했다. 이 시기에 그는 문학과 술에 헌신하는 비공식 모임인 "죽계 육일현"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저장과 장쑤 지역을 돌아다녔고, 결국 유명한 도사 우윤과 친구가 되었다.
744년, 장안을 떠난 이백은 낙양에서 두보를 만나 의기투합하여 1년 반 동안 고적을 포함하여 산동·하남 일대를 여행하며 친하게 교유했다[86]。노군에서 두보와 헤어진 후 잠시 동로에 머물렀지만 746년에는 남방으로 향하여 750년까지 4년에 걸쳐 강남을 주유했다. 751년에는 동로로 돌아온 후 북방의 유주를 방문하고 이듬해 752년 다시 동로로 돌아온 뒤, 선주나 당도 등 현재 안휘성 남부를 중심으로 강남을 주유했다[87]。753년에는 전년에 아베노 나카마로가 일본으로 귀국하던 도중 조난하여 사망했다는 소식(오보)을 듣고, 「조경형을 곡함」을 읊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88]。
2. 4. 조정 출사와 좌절
742년 (천보 원년) 가을, 친구 원단구의 노력과 현종의 여동생이자 여도사가 된 옥진공주 (지영법사)의 추천으로 이백은 장안으로 상경했다. 현종과 알현하기 위해 자극궁 (노자)에 머물던 중, 당시 시단의 원로였던 하지장을 만나 "'''적선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82]이처럼 궁정에서 유력한 영향력을 가진 두 사람의 추천으로, 같은 해 겨울 이백은 궁궐의 한림원에 들어가 현종을 섬기게 되었다. 이후 3년 동안 조정에서 시를 지었으며, 조칙 기초에 참여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83]
이 시기에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모란에 비유한 "청평조사" 세 편 등의 작품을 남겨 궁정 문인으로서 크게 활약했다. 또한 하지장 등 많은 문인과 교류했으며, 아베노 나카마로 (조형)와 알게 된 것도 이 무렵으로 추측된다.[84]
그러나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면서도, 두보가 "이백은 한 말의 술에 시 백 편을 짓고, 장안 시상의 술집에서 잠든다. 천자가 불러도 배에 오르지 않고, 스스로 신은 술 속의 신선이라 칭한다" (「음중팔선가」)라고 읊은 것처럼, 예법을 무시한 방탕한 언행으로 궁정 사람들과 마찰을 일으켜 744년 궁정을 떠나 장안을 떠났다.[85]
2. 5. 두보와의 만남
744년 가을, 이백과 두보는 처음 만나 함께 한 방을 쓰고 여행, 사냥, 술, 시 등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가깝고 지속적인 우정을 쌓았다.[25] 이듬해 다시 만났지만, 이후에는 시를 통해서만 관계를 유지했다. 두보는 이백에게 보내거나 이백에 관한 시를 10여 편 남겼고, 이백은 두보에게 보낸 시를 한 편 남겼다.744년, 장안을 떠난 이백은 낙양에서 두보를 만나 의기투합하여 1년 반 동안 고적을 포함하여 산둥·하남 일대를 함께 여행하며 친분을 쌓았다.[86]
이백과 두보는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받으며, 이백은 두보보다 11살 연상임에도 거의 동시대 인물이다. 744년 낙양에서 만난 두 사람은 산둥(山東)과 허난(河南)을 중심으로 1년 반 정도 함께 주유하며 깊은 교분을 맺었다. 745년 노군에서 헤어진 후 다시 만나지는 못했지만, 두보는 훗날에도 이백을 그리워하며 그에 관한 시를 20수 가까이 남겼다. 반면 이백이 두보에 관해 읊은 시는 4수이며, 두 사람의 이별 시기에 집중되어 있다.
이백은 생전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두보는 이백을 포함한 일부 시인에게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생전에는 일반적인 평가는 높지 않았다. 그러나 중당 이후 백거이와 원진 등에 의해 두보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이후 두 사람은 대시인으로 나란히 칭송받게 되었다. 이후의 평가에서는 두보에게 우위를 두는 견해와, 두 사람 모두 훌륭한 개성을 가진 대시인으로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견해가 병립하고 있다. 양자에게 우열을 두지 않고 대등하게 보는 경우, "이절두율(李絶杜律)"이라 하여 이백은 절구를, 두보는 율시를 잘 썼으며, 이백은 표표하고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반면, 두보는 침울하고 구성력이 높다고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2. 6. 안사의 난과 유배
755년 안록산이 일으킨 안사의 난이 전국으로 번져 황제가 촉으로 도망가고 퇴위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혼란 속에서 황태자는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였다. 안사의 난은 안록산이 죽은 뒤에도 사사명 등에 의해 계속되었다. 이백은 황제의 아들 영왕의 참모가 되었는데, 영왕은 황위 계승 순위가 높지 않았지만, 756년 현종이 퇴위한 후 제국 권력을 나누는 장군으로 임명되었다.[122]그러나 영왕의 군대는 새로운 황제인 그의 형제에게 757년에 패배했고, 이백은 도망쳤지만 붙잡혀 구강에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때 이백은 수십 년 전 군법회의에서 구해준 적이 있던 곽자의 장군 등의 개입으로 구명되었다. 곽자의가 자신의 관직을 이백의 생명과 교환하겠다고 제안하자, 이백의 사형은 야랑으로의 유배로 감형되었다. 야랑(현재 귀주성)은 제국의 극서남부 지역으로, 중국 문명과 문화의 주된 영역 밖으로 여겨졌다. 이백은 야랑으로 향하던 중, 오랫동안 사회적인 방문을 하고 길을 따라 시를 쓰면서 그의 여정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남겼다. 이백이 야랑 근처에 도착하기도 전에 황제의 사면 소식이 전해졌다. 그는 무협까지밖에 가지 못했는데, 시 "삼협을 오르며"에 기록된 것처럼 유배를 향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동안 그의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할 정도로 여행이 오래 걸렸다. 그리고 759년, 그의 사면 소식이 그를 따라잡았다.[27]
안사의 난 발발 후 756년 (지덕 원년), 이백은 여산에 은거하고 있었으나, 현종의 16번째 아들인 영왕 이린의 막료로 초빙되었다.[89] 그러나 영왕은 이복 형인 숙종이 현종의 허락 없이 황제에 즉위한 것을 인정하지 않고, 숙종의 명령을 무시하고 군을 움직였기 때문에 반란군으로 간주되어, 장군 황보선과 고적에게 추토되어 참수되었다. 이백도 체포되어, 심양(현재의 장시성주장시)에서 수개월 옥에 갇혔다. 그 후, 최환, 송약사(송지문의 조카이자, 이백의 옛 친구인 송지제의 아들)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송약사의 막료가 되었으나, 결국 숙종의 조정 측으로부터 야랑 (현재의 구이저우성 북부)으로 유배되었다.[90] 유배 도중인 759년 (건원 2년), 백제성 부근에서 죄를 사면받고, 원래 왔던 길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의 시가 『조발백제성』이다.[91]
2. 7. 만년과 죽음
이백은 방랑 생활을 멈추지 않았지만, 이후 그의 여행은 대체로 남경과 안휘의 선성 및 역양 (현대 조현) 두 도시로 제한되었다. 이 시기의 그의 시에는 자연을 읊은 시와 사회·정치적 항의 시가 포함되어 있다. 762년, 이백의 친척 이양빙이 당도현의 현령이 되자 이백은 그곳에서 그와 함께 머물렀다. 그동안 숙종과 현종이 짧은 기간 안에 잇달아 사망하고 중국은 새로운 황제를 맞이했다. 또한 중국은 안사의 난에서 비롯된 군사적 혼란을 진압하기 위해 새로운 노력을 기울였고, 이백은 중국 사령관 이광필의 참모로 자원했다. 그러나 61세의 이백은 위독한 병에 걸렸고, 건강이 좋지 않아 이 계획을 수행할 수 없었다.[28]새로 즉위한 대종 황제는 764년 1월 이백을 궁정 고문으로 임명했지만, 조서가 안후이성 당도현에 도착했을 때, 이백은 이미 1년 넘게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지방 당국은 그가 762년 어느 시점에 사망했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망 날짜와 원인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9]
후대 작가들은 이백의 죽음에 대해 추측했다. 9세기 당나라 시인 피일휴는 시에서 이백이 만성 흉부 농양(고름이 흉강으로 들어감)으로 사망했다고 시사했다.[29] 또 다른 출처에 따르면, 이백은 술에 취해 장강에 비친 달의 그림자를 붙잡으려다 배에서 떨어져 익사했다고 한다.

안사의 난 발발 후 756년 (지덕 원년), 당시 이백은 여산에 은거하고 있었으나, 현종의 16번째 아들인 영왕 이린의 막료로 초빙되었다.[89] 그러나 영왕은 이복 형인 숙종이 현종의 허락 없이 황제에 즉위한 것을 인정하지 않고, 숙종의 명령을 무시하고 군을 움직였기 때문에 반란군으로 간주되어, 장군 황보선과 고적에게 토벌당해 참수되었다. 이백도 체포되어, 심양(현재의 장시성주장시)에서 수개월 옥에 갇혔다. 그 후, 최환, 송지문의 조카이자 이백의 옛 친구인 송지제의 아들 송약사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송약사의 막료가 되었으나, 결국 숙종의 조정 측으로부터 야랑 (현재의 구이저우성 북부)으로 유배되었다.[90] 유배 도중인 759년 (건원 2년), 백제성 부근에서 죄를 사면받고, 원래 왔던 길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의 시가 『조발백제성』이다.[91] 사면 후 이백은, 장강 하류 유역의 선주 (현재의 안후이성 남부)를 거점으로, 다시 각지를 방랑하며, 762년 (보응 원년) 겨울, 선주 당도현의 현령 이양빙의 저택에서 62세로 병사했다.[92]
이백은 처음에는 사망한 선주 당도현의 용산 동쪽 기슭에 묻혔고, 사후 50년 정도 지난 817년에 범전정에 의해 같은 당도현의 청산 서쪽 기슭으로 개장되었다. 이 이백 묘는 안후이성마안산시당도현의 청산 서쪽 기슭에 현존한다.[92] 또한, 이백이 유년기부터 청년기를 보낸 쓰촨성 장유시에는 이백 기념관이 건설되어 있으며[93], 730년대에 거처를 정한 후베이성 안루시에도 다양한 이백의 고적과 함께 안루 이백 기념관이 존재한다.[94]
3. 작품 세계
이백은 한나라와 위나라 시의 전통을 계승하고 악부와 고풍 시 형식을 사용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6][37] 굴원, 도연명 등 존경하는 시인들을 작품에서 언급하기도 했다.[37]
이백의 시는 한위육조 시가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촉도난(蜀道難)」、「장진주(將進酒)」、「여산폭포를 바라보며(廬山の瀑布を望む)」、「횡강사(横江詞)」 등에서 보이는 역동적이고 웅대한 호방함, 「옥계원(玉階怨)」、「고요한 밤의 생각(静夜思)」의 청징하고 섬세한 세계, 「산중에서 속인에게 답하다(山中にて俗人に答ふ)」、「월하독작(月下獨酌)」、「산중에서 유인과 더불어 술을 마시다(山中与幽人対酌す)」 등에서 보이는 표일하고 초속적인 분위기는 다채로우면서도 변환자재하고 선명한 인상을 준다.[111] 절구와 악부를 즐겨 사용했으며, 특히 칠언절구에 뛰어났다.[111]
비평가들은 이백이 형식적인 시 규칙을 숙달하고, 이를 자연스러운 기교로 결합하여 독창적인 시를 창조했으며, 평민에 대한 연민과 전쟁에 대한 혐오를 시에 담았다고 평가한다.[33]
3. 1. 주요 주제와 특징
이백의 시는 다양한 주제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 전통 계승: 이백은 이전 시대의 중국 시가 전통을 잘 알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 세계를 구축했다. 특히 악부 형식이나 고풍 시를 통해 한나라와 위나라 시의 영향을 보여주었다.[34][36][37] 굴원, 도연명 등 존경하는 시인들을 언급하기도 했다.[37]
- 술 찬미: 이백은 술을 즐겨 마셨고, 술에 관한 많은 시를 남겼다. 두보는 이백을 "술잔의 여덟 신선" 중 한 명으로 칭했다.[40] 그의 시에서 "취함"은 단순한 만취 상태가 아니라, 세속적인 걱정에서 벗어난 정신적 해방을 의미했다.[41] 대표적인 시로는 "봄날 취하여 일어나 뜻을 말하다",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다" 등이 있다.[41]
- 환상과 경이로움: 이백의 시에는 환상적이고 어린아이 같은 경이로움이 가득하며, 이는 도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산을 오르는 묘사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종종 도교 신화 속 신선이나 옥녀의 비전으로 이어진다. 과장법과 의인화를 통해 산과 천체를 묘사하기도 했다.
- 향수: 이백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향수를 시에 담기도 했다. "정야사"는 짧은 시 안에 달빛과 서리 이미지를 사용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대표적인 예이다.[45]
- 다양한 페르소나: 여성의 페르소나를 포함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시를 썼다. ''자야'' 또는 "자야 부인" 스타일의 시나 한나라 민요 스타일의 시가 그 예이다.
- 다채로운 시 세계: 이백의 시는 한위육조 이래의 중국 시가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역동적이고 웅대한 시풍(「촉도난」, 「장진주」,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횡강사」), 청징하고 섬세한 세계(「옥계원」, 「정야사」), 표일하고 초속적인 분위기(「산중문답」, 「월하독작」, 「산중여유인대작」)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111] 절구와 악부를 즐겨 사용했으며, 특히 칠언절구에 뛰어났다.[111]
- 평민 연민과 전쟁 혐오: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전쟁에 대한 혐오 역시 이백 시의 주요 주제 중 하나였다.[33]
3. 2. 시 형식
이백은 시의 전통에 대한 강한 자각을 가지고 있었다. 한 최근의 설명에 따르면, 이백의 "천재성"은 "그 이전의 문학적 전통에 대한 완벽한 지배력과, 그것을 (깨뜨리지 않고) 구부려 독특한 개인적 표현을 발견하는 그의 독창성에 있다."[34] 버튼 왓슨은 두보와 비교하며, 이백의 시는 "본질적으로 뒤를 돌아보는 경향이 있으며, 미래로의 진출보다는 과거의 약속과 영광의 부활과 성취를 더 많이 나타낸다"라고 말한다.[35] 왓슨은 이백에게 귀속된 모든 시 중에서 약 6분의 1이 악부 형식, 즉 전통 민요에서 재작업된 가사라는 점과[36], 이백이 쓴 59편의 시 모음집인 《고풍》, 즉 '옛 방식으로'라는 시집이 존재하며, 이는 부분적으로 한나라와 위나라 시에 대한 헌사라는 점을 증거로 제시한다.[37] 그가 특정 시인에 대해 품었던 존경심은, 예를 들어 굴원이나 도연명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나, 때로는 두보와 같이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백은 그의 《화고》 장르, 즉 과거에 대한 명상 시에서 "중국 시의 영원한 주제 중 하나"를 따라 "시인은 과거의 영광의 폐허를 고찰"하며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감사를 드러낸다.[39] 그는 시의 기술적 기교와 운문의 숙련도로 잘 알려져 있다. 시의 형식 면에서 "비평가들은 이백이 주목할 만한 혁신을 이루지 못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주제와 내용 면에서도, 그의 시는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기보다는 기존의 것을 솜씨 있게 빛낸 것으로 두드러진다."
버튼 왓슨은 이백의 유명한 시 "술을 가져오라"를 번역하며 "이백의 많은 작품처럼, 그것은 어떤 면에서는 동일한 주제에 대한 이전의 처리보다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우아함과 자연스러운 위엄을 가지고 있다."라고 언급한다.[46] 이백의 악부 시는 명나라 학자이자 작가인 호응린에 의해 역대 최고로 불리었다.[47]
이백은 특히 형식과 내용 면에서 상당한 자유를 허용하는 시의 유형인 고시 또는 "옛 형식" 시에 뛰어났다. 그 예로, 위터 바이너가 "촉도난"으로 번역한 그의 시 "蜀道難"이 있다. 촉은 반군 장군 안록산의 접근하는 군대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현종 황제가 피난처로 고려했던 사천을 가리키는 시적 용어이다. 왓슨은 이 시에 대해 "이 시는 길이가 4자에서 11자에 이르는 구절을 사용하며, 구절의 불규칙성은 시에 묘사된 사천의 울퉁불퉁한 산길과 험준한 봉우리를 연상시킨다."라고 언급한다.
이백은 절구의 대가로도 알려져 있었으며,[48] 명나라 시인 이반룡은 이백이 당나라 최고의 절구 대가라고 생각했다.[49] 그는 당시 가장 형식적으로 까다로운 운율 형식인 율시 또는 "규격 시"의 숙련된 솜씨로도 유명했다. 그러나 왓슨은 그의 시 "친구를 전송하며"가 "두 개의 중간 연이... 언어적 평행성을 준수해야 한다는 규칙을 위반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언급하며, 중국 비평가들은 이백과 같은 천재의 경우 이러한 종류의 위반을 용서했다고 덧붙였다.[50]
이백의 시는 한위육조 이래의 중국 시가의 세계를 집대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촉도난(蜀道難)」、「장진주(將進酒)」、「여산폭포를 바라보며(廬山の瀑布を望む)」、「횡강사(横江詞)」 등에서 보이는 역동적이고 웅대한 호방함, 「옥계원(玉階怨)」、「고요한 밤의 생각(静夜思)」의 청징하고 섬세한 세계, 「산중에서 속인에게 답하다(山中にて俗人に答ふ)」、「월하독작(月下獨酌)」、「산중에서 유인과 더불어 술을 마시다(山中与幽人対酌す)」 등에서 보이는 표일하고 초속적인 분위기 등, 시의 내용은 다채롭고 변화무쌍하지만, 대체로 변환자재하고 선명한 인상을 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즐겨 사용한 시형은 절구와 악부이며, 그중에서도 칠언절구에 뛰어났다.[111]
3. 3. 대표작
이백은 뛰어난 시적 재능으로 수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술과 달을 소재로 한 시가 유명하다. 그의 시는 호방하고 낭만적인 정취를 담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깊은 통찰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한 작품들이 많다.다음은 이백의 대표적인 시 몇 편이다.
- "봄날 취하여 일어나 뜻을 말하다(春日醉起言志)": 봄날의 정취와 술에 취한 흥취, 그리고 인생의 덧없음에 대한 성찰을 담은 시이다.
-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다(月下獨酌)": 달을 벗 삼아 홀로 술을 마시며 느끼는 고독과 자유로움을 노래한 시이다.
- 추포가(秋浦歌) 15수 중 일부:
원문 | 독음 | 풀이 |
---|---|---|
白髮三千丈 (백발삼천장) | 백발 삼천 장 | 내 백발은 추포에서 바라본 양자강처럼 삼천 길이나 되리 |
緣愁似箇長 (연수사개장) | 수심에 연하여 이와 같이 길다 | 근심 때문에 이렇게나 길어졌는가 |
不知明鏡裏 (부지명경리) | 알지 못하겠네 밝은 거울 속 | 밝고 맑은 거울 속 |
何處得秋霜 (하처득추상) | 어느 곳에서 얻었는가 가을 서리를 | 이토록 하얀 가을 서리는 도대체 어디서 왔을까 |
-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
- 정야사(靜夜思):
이 외에도 이백은 "장진주", "촉도난", "망여산폭포" 등 다양한 시를 남겼다. 그의 시는 두보와 함께 중국 시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4. 평가와 영향
이백의 시는 1862년 서유럽에 《당 시대의 시들》(Poésies de l'Époque des Thang)로 처음 번역되었다. 영어권에는 허버트 앨런 길레스가 1901년 중국 문학사를 펴내면서 처음 소개되었다. 에즈라 파운드는 일본어로 번역된 이백의 시를 중역하여 자유롭고 시적인 번역을 선보였다.[56]
이백의 시는 서구권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에즈라 파운드가 그의 시 중 일부를 묶어 번역한 시집 《캐세이》가 대표적이다. 이백의 자연과의 교감, 우정, 술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예리한 관찰은 그의 인기 있는 시들의 바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에즈라 파운드가 "강촌의 아내: 편지"로 번역한 ''장간행''과 같은 시는 일반 사람들의 고난이나 감정을 기록하고 있다.
구스타프 말러는 1908년 자신의 가곡 교향곡 대지의 노래에 수록된 4개의 노래 텍스트로 이백의 시 4편을 독일어로 각색한 버전을 사용했다.[57] 미국의 작곡가 해리 파치는 1930년대 초반 자신의 초기 작품인 "이백의 17개의 서정시"를 작곡했다.[54] 같은 시기(1931년)에 스위스 작곡가 볼크마 안드레아는 8편의 시를 "Li-Tai-Pe: 테너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8개의 중국 노래, 작품 37"로 작곡했다. 브라질에서는 작곡가 베투 푸르킴이 자신의 앨범 "Muito Prazer"에 시 "징예스"를 음악으로 편곡하여 수록했다.[55]
이백의 시는 비트 제너레이션 작가 게리 스나이더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백의 묘사적인 문체는 비트 문체의 다양성에 기여했다.[58][59]
이백의 시는 베이징의 예수회 선교사인 장 조제프 마리 아미오에 의해 유럽에 소개되었으며, 그의 저서 ''중국 명사 초상''은 ''중국의 역사, 과학, 예술, 풍속, 관습 등에 관한 회고록, 베이징 선교사 저'' 시리즈(1776–1797)에 게재되었다. 프랑스어 번역은 마리 장 레옹, 에르베 드 생드니 후작이 1862년에 출판한 ''당나라 시대의 시''에 실렸다.[60]
조셉 에드킨스는 1888년 베이징 동양학회에서 "이태백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은 학회 저널에 게재되었다.[61] 허버트 앨런 자일스는 1898년 출판한 ''영문 중국 시집''과 1901년 그의 저서 ''중국 문학사''에 이백의 번역 시를 포함시켰다.[62] 세 번째 초기 영문 번역가는 L. 크래머-빙(1872–1945)이었다. 그의 저서 ''옥의 비파: 중국 고전 시인 선집''(1909)과 ''등불의 향연''(1916) 모두 이백의 시를 다루었다.
이백의 시는 모더니즘 영시로 번역되어 에즈라 파운드의 ''캐세이''(1915)와 에이미 로웰의 ''석류화 정제''(1921)를 통해 큰 영향을 미쳤다. 위터 바이너는 장강호의 도움을 받아 ''옥산''(1939)에 이백의 시 여러 편을 포함시켰다. 아서 웨일리는 그의 시 몇 편을 ''아시아 리뷰''에 영어로 번역했고, 그의 저서 ''중국어 번역 모음''에 포함시켰다. 시게요시 오바타는 1922년 그의 저서 ''이백의 작품''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세계에 그를 소개할 목적으로 어떤 단일 중국 시인을 전적으로 한 권의 책에서 다룬 최초의 시도"를 했다고 주장했다.[63]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가 번역한 이백의 시 "푸른 이끼"는 중국계 미국인 시인 데이비드 라파엘 왕에게 편지로 보내졌으며, 윌리엄스는 파운드와 비슷한 어조를 보였다고 평가받았다.[64]
이백과 두보는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받으며, 이백은 두보보다 11살 연상임에도 거의 동시대 인물이다. 744년 낙양에서 만나 1년 반 정도 동행하며 깊은 교분을 맺었다. 745년 노군에서 헤어진 후 다시 만나는 일은 없었지만, 두보는 이백을 그리워하며 20수 가까운 시를 남겼다. 이백의 두보에 관한 시는 4수이며, 이별 시기에 집중되어 있다.
이백은 생전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두보는 생전 평가가 반드시 높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중당 이후 백거이와 원진 등에 의해 두보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이후 두 사람은 대시인으로 칭송받게 되었다. 이후 평가에서는 두보 쪽에 우위를 인정하는 논과, 양자 모두 훌륭한 개성을 가진 대시인으로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논이 병립하고 있다. 양자에게 우열을 인정하지 않고 대등하게 보는 경우, "이절두율(李絶杜律)"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이백은 절구를, 두보는 율시를 잘 썼으며, 이백은 표표하고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한편, 두보는 침울하고 구성력이 높다고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 2000년 텔레비전 드라마 ''양귀비전''에서 배우 웡와이량(Wong Wai-leung)이 이백을 연기했다.
- 배우가 에프코트의 중국관에서 중국의 경이와 중국의 반영 영화를 내레이션하며 이백 역을 연기했다.
- 이백의 시 '촉도난'은 게임 토탈 워: 삼국의 유비 트레일러에서 중국 가수 AnAn이 불렀다.
- 그는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 VI에서 "위대한 작가"로 등장한다.
- 그는 2023년 추광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영화 ''장안''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4.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이백의 시는 당대뿐만 아니라 중국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두보와 함께 거론되며, 현대 학자 폴라 바르사노는 "문학적 상상력 속에서 그들은 당나라, 나아가 중국 최고의 시인이었고, 지금도 그렇다"라고 평가했다. 이백의 영향력은 중국 문화권과 일본(리하쿠(Ri Haku)로 알려짐)을 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8]
이백은 생전에 여러 방랑과 장안에서의 궁정 출사를 통해 다양한 시인들과 교류했는데, 두보와의 관계가 대표적이다. 사후에도 그의 영향력은 커져, 송나라 시대 시인 양만리는 이백의 시를 인용해 시를 짓기도 했다.[51] 20세기에는 마오쩌둥의 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그의 시 "침사"는 고향을 떠난 사람들의 향수를 반영하며,[52] 널리 암송된다.[53] 그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불멸의 존재, 베트남 까오다이교에서 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이백은 생전부터 시인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95] 평생 1만 수 정도의 시를 지었으나, 현재는 1000수 정도만 전해진다.[96] "술의 신선"으로 불릴 정도로 술을 좋아했고, 음주를 예찬하는 시를 많이 남겼다.[97] 두보는 이백을 포함한 당대 주호 8인을 음중팔선으로 꼽아 "음중팔선가"를 지었다.[98]
이백은 도교에 심취하여 도사들과 교류하고 정식 도사가 되기도 했다.[80] 이러한 도교와 신선에 대한 동경은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99]
당시 과거 제도가 있었지만, 이백은 응시 흔적이 없다. 이는 상인 자제나 외국인 응시 제한 때문으로 추정된다.[100] 이백은 관료가 되려는 의욕이 강했지만,[101]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
4. 2.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이백의 시는 당대뿐만 아니라 중국 후대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일찍이 두보와 함께 거론되었다. 이백의 영향력은 중국 문화권의 직접적인 지리적 영역에서 나타났으며, 일본에서는 리하쿠(Ri Haku)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시, 그림,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그의 생애 동안, 여러 방랑과 장안에서의 궁정 생활을 통해 이백은 다양한 동시대 시인들과 만나고 헤어졌다. 이러한 만남과 헤어짐은 당대 지식인들의 전통에서 시를 짓는 일반적인 계기였으며, 두보와의 관계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가 죽은 후에도 이백의 영향력은 계속 커졌다. 예를 들어, 약 4세기 후인 송나라 시대에, 시인 양만리는 "달 아래서 술을 홀로 마시며"라고 번역되는 이백의 시를 언급하는 시를 고시(gushi) 또는 옛 형식의 시로 썼다.[51]
20세기에 이백은 마오쩌둥의 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그의 시 "침사"는 집을 떠나 여행하는 사람의 향수를 반영하며,[52] 널리 "학생들이 외우고 어른들이 인용한다".[53]
그는 때때로 중국 민간 신앙에서 불멸의 존재로 숭배되며, 베트남 까오다이교에서도 신으로 여겨진다.
4. 3. 현대의 평가와 연구
이백에 대한 주요 참고 자료는 《구당서》와 《신당서》 두 권의 《당서》이다.[8] 다른 출처로는 이백의 시 또는 이백에 관한 시에 나타난 정황 증거, 그리고 그의 친척이자 문학적 유언 집행자인 이양빙이 쓴 시집 서문 등이 있다.이백과 두보는 당나라의 가장 유명하고 포괄적으로 편집된 시인들이지만,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과 같은 격동기에 당나라 황실 도서관이 파괴되고 많은 사적인 소장품들이 유실되면서 영향을 받았다. 이백의 시는 많이 남아 있지만, 더 많은 작품이 유실되었고, 이본(異本)에 관한 어려움이 있다. 이백의 작품을 편집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는 그의 친척인 이양빙(그가 만년에 머물렀고 그의 원고를 맡긴 당도의 관리)이였다. 그러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텍스트가 반드시 가장 초기 판본에 있는 것은 아니다. 송나라 학자들은 그의 시에 대한 다양한 판본을 냈지만, 청나라에 이르러서야 『전당시』와 같은 전집에서 당시 남아 있던 텍스트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32]
이백의 시는 당대뿐만 아니라 중국의 후대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일찍이 두보와 함께 거론되었다. 최근 학자 폴라 바르사노는 "문학적 상상력 속에서 그들은 당나라, 나아가 중국 최고의 시인이었고, 지금도 그렇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이두 논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그 용어는 이 두 시인에 대한 비평적 담론 속에 깊이 뿌리박혀, 한 시인에 대한 특징 묘사는 다른 시인을 암묵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된다"라고 지적한다. 이백의 영향력은 중국 문화권의 직접적인 지리적 영역에서도 나타났으며, 일본에서는 리하쿠(Ri Haku)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백은 생애 동안 여러 방랑을 하고, 장안에서 궁정에 출사하면서 다양한 동시대 시인들과 만나고 헤어졌다. 이러한 만남과 헤어짐은 당대 지식인들의 전통에서 시를 짓는 일반적인 계기였으며, 두보와의 관계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가 죽은 후에도 이백의 영향력은 계속 커졌다. 예를 들어, 약 4세기 후인 송나라 시대에, 때로는 "달 아래서 술을 홀로 마시며"라고 번역되는 그의 시에서 시인 양만리는 그것(그리고 다른 두 편의 이백의 시)을 언급하는 시를 동일한 고시(gushi) 또는 옛 형식의 시로 썼다.[51]
20세기에 이백은 마오쩌둥의 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그의 시 "침사"는 집을 떠나 여행하는 사람의 향수를 반영하며,[52] 널리 "학생들이 외우고 어른들이 인용한다".[53] 그는 때때로 중국 민간 신앙에서 불멸의 존재로 숭배되며, 베트남 까오다이교에서도 신으로 여겨진다.
이백의 시는 서구권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에즈라 파운드가 그의 시 중 일부를 묶어 번역한 시집 《캐세이》[56](파운드는 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리하쿠"로 음역했다)가 대표적이다. 이백의 자연과의 교감, 우정, 술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예리한 관찰은 그의 더 인기 있는 시의 바탕이 되었다.
구스타프 말러는 이백의 작품 4편을 자신의 교향시 《대지의 노래》에 통합했다. 이는 한스 베트게가 자유롭게 독일어로 번역한 것으로, Die chinesische Flötede(《중국의 피리》)라는 선집에 실렸다.[57] 베트게는 한스 하일만의 《중국 서정시》(Chinesische Lyrik, 1905)를 바탕으로 했다. 하일만은 19세기 선구적인 프랑스어 번역본을 참고했는데, 이 중 3편은 마리 장 레옹, 드 에르베 드 생 드니 후작의 번역이고, 나머지 1편은 주디스 고티에의 번역(중국 원문과는 거리가 있는)이었다. 말러는 베트게의 텍스트를 자유롭게 수정했다.
이백의 시는 비트 제너레이션 작가 게리 스나이더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백의 묘사적인 문체는 비트 문체의 다양성에 기여했다.[58][59]
이백은 "술의 신선"이라고까지 불릴 정도로 술을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음주를 예찬한 시를 수없이 읊었다.[97] 두보는 이백을 비롯하여 가지장, 이진, 이적지, 최종지, 소진, 장욱, 초수라는 당대의 주호 8인을 음중팔선으로 꼽아 "음중팔선가"에서 노래했다.[98]
이백은 도교에 기울어져 방랑 중에도 각지의 도사들과 교우를 돈독히 했으며, 장안에서의 출사도 이 도사들의 인맥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80] 또한 조정에서 물러난 744년에는 부록을 받아 정식으로 도사의 자격을 얻었다.[80] 이러한 도교에 대한 경도와 신선에 대한 동경은 이백의 작품에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99]
5. 전설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채석기(현재의 안후이성 마안산시 위위안 구)에서 배를 타고 가다 술에 취해 수면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 배에서 떨어져 익사했다고 한다. 이 전설은 송대 초기에 이미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당도현에서 병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사실이 아니다[102]。 그러나 이 설은 널리 유포되었고, 채석기가 수신 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는 땅이었기 때문에, 이백은 수신과 연결되었다[103]。 타이베이시의 룽산 사찰에는 많은 신들 중 하나로 수선존왕이라는 수신이 모셔져 있으며, 그 종신 중 한 명으로 이백도 함께 숭배받고 있다[104]。
이백의 궁정 시대에 대해서도 다양한 전설이 남아 있다. 취한 이백이 연회에서 고력사에게 신발을 벗게 하고, 그를 원망한 고력사가 참언을 하여 궁정을 쫓겨났다는 전설도 유명하며, 이미 중당 시기에 그러한 기술이 보이지만, 애초에 그러한 연회는 없었다[105]。 또한, 이백이 궁정을 떠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동료의 참언에 의한 것이라는 문헌도 존재하지만, 그 경우에도 참언자는 고력사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106]。
이백이 무명 시절의 곽자의를 죄에서 구원하고, 이에 은혜를 느낀 곽자의가 영왕의 난에 가담한 이백의 구명을 간청했다는 이야기는 배경에 의한 묘비에 이미 기재되어 있으며, 구당서・신당서에도 기재되었지만, 후세의 고증에 의해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107]。
이백에게는 위의 전설 외에도 다양한 전설이 전해져, 후세의 『삼언』 등의 소설에서 활발하게 각색되었다.
6. 이백과 관련된 말/속담
왕십이에게 보낸 답장에 나오는 구절에서 마이동풍(馬耳東風)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다.[1]
7. 판본
이백의 시는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을 거치며 당나라 황실 도서관이 파괴되고 많은 사적인 소장품들이 유실되면서 많은 작품이 유실되었고, 이본(異本)에 관한 어려움이 있다.[32] 이백의 작품을 편집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는 그의 친척인 이양빙이 한 것이다.[32] 그러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텍스트가 반드시 가장 초기 판본에 있는 것은 아니다. 송나라 학자들이 그의 시에 대한 다양한 판본을 냈지만, 청나라에 이르러서야 『전당시』와 같은 전집에서 당시 남아 있던 텍스트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32]
- 송촉본(宋蜀本) 『이태백문집(李太白文集)』: 30권. 북송(北宋) 시대의 간본을 남송 초기에 복각한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버전이다. 세이카도 문고 소장. 청나라의 묘왈기(繆曰芑)가 교정 중간한 것이 있으며, 이것을 "묘본(繆本)"이라고 부른다.
- 『경송함순본 이한림집(景宋咸淳本李翰林集)』: 30권. 명대에 복각된 남송 함순 5년의 간본을, 청나라 광서 34년에 영인 간행한 것이다. 위의 "송본(宋本)"과는 별개의 텍스트로, 분류·편차가 다를 뿐만 아니라 본문에도 이견이 있다.
- 『분류보주 이태백시(分類補注李太白詩)』: 25권. 별명 『분류보주 이태백집(分類補注李太白集)』. 남송의 양제현(楊齊賢)의 집주본에 원의 소사빈(蕭士贇)이 보주를 더한 것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주석서이다. 시가 소재와 표현의 형식에 따라 다음의 21류로 나뉜다. 고풍(古風), 악부(樂府), 가음(歌吟), 증(贈), 기(寄), 류별(留別), 송(送), 수답(酬答), 유연(遊宴), 등람(登覽), 행역(行役), 회고(懷古), 한적(閑適), 회사(懷思), 감우(感遇), 사회(寫懷), 영물(詠物), 제영(題詠), 잡영(雜詠), 규정(閨情), 애상(哀傷)[112]
- 『이태백문집집주(李太白文集輯註)』: 36권. 별명 『이태백전집(李太白全集)』. 청나라의 왕기(王琦)에 의한 주석서. 위의 『분류보주본(分類補注本)』과 명나라 호진향(胡震亨)의 『이시통(李詩通)』등의 선행하는 주석서·관련 자료를 집대성한 것이다.
이백의 서는 단 하나, "상양대첩(上陽台帖)"만이 현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상양대첩은 중화민국 시기의 수집가 장백구(張伯駒)가 입수한 후, 마오쩌둥에게 기증되었고, 1958년에 베이징의 고궁박물원으로 이관되어 현재도 고궁박물원의 소장품이 되고 있다.[113]
참조
[1]
서적
The Old Book of Tang
[2]
서적
The New Book of Tang
[3]
서적
河岳英靈集
[4]
웹사이트
300 Tang Poems
https://bookshop.org[...]
2022-05-26
[5]
웹사이트
李白 蜀道難 Translation: The Difficulty of the Shu Road, by Li Bai {{!}} East Asia Student
https://eastasiastud[...]
2023-09-24
[6]
웹사이트
085 李白 將進酒 Translation: Bring in the Wine, by Li Bai {{!}} East Asia Student
https://eastasiastud[...]
2023-09-24
[7]
서적
The Anchor Book of Chinese Poetry: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The Full 3000-Year Traditi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8]
문서
Obata, Part III
[9]
문서
Beckwith, 127
[10]
문서
Sun, 20
[11]
문서
Obata, 8
[12]
문서
Wu, 57–58
[13]
간행물
On Li Po
Yale University Press
1973
[14]
문서
Eide (1973), 389.
[15]
문서
Sun, 1982, 20 and 21
[16]
문서
Wu, 58
[17]
문서
Wu, 58. Translation by Wu. Note that by [[East Asian age reckoning]], this would be fourteen rather than fifteen years old.
[18]
문서
Sun, 24, 25, and 166
[19]
문서
Wu, 58–59
[20]
문서
Wu, 59
[21]
문서
Obata, 201
[22]
문서
Wu, 60
[23]
문서
Wu, 61
[24]
웹사이트
中国安陆网–乡镇 烟店镇简介
https://web.archive.[...]
中共安陆市委 安陆市人民政府 中共安陆市委宣传部 安陆市互联网信息中心
2018-04-19
[25]
문서
Sun, 24 and 25
[26]
문서
Sun, 26 and 27
[27]
문서
Sun, 26 and 27 and 318
[28]
문서
Sun, 26–28
[29]
뉴스
The Poet with Many Names—and Many Deaths
https://www.theparis[...]
2019-01-23
[30]
웹사이트
Going Up To Sun Terrace by Li Bai: An Explication, Translation & History
https://web.archive.[...]
2011-08-06
[31]
서적
Selected paintings and calligraphy acquired by the Palace Museum in the last fifty years
Arts of Asia
[32]
간행물
Poetry of the T’ang Dynas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33]
문서
Sun, 28–35
[34]
간행물
Poetry of the T’ang Dynas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35]
문서
Watson, 141
[36]
문서
Watson, 141–142
[37]
문서
Watson, 142
[38]
문서
Watson, 145
[39]
문서
Watson, 88
[40]
문서
Wu, 66
[41]
서적
The Art of Chinese Poet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42]
서적
Tu Fu: China's Greatest Poet
Harvard University Press
1952
[43]
문서
Watson, 143
[44]
서적
The Art of Chinese Poet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45]
웹사이트
Top 10 most influential Chinese classical poems
http://www.chinawhis[...]
China whisper
2013-01-13
[46]
문서
Watson, 144
[47]
문서
Shisou(Thickets of Poetic Criticism)
[48]
문서
Watson, 146
[49]
문서
Selections of Tang Poetry
[50]
문서
Watson, 147
[51]
문서
Frankel, 22
[52]
서적
How to read Chinese poetry: a guided antholog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3]
서적
Speaking of Chinese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mpany
[54]
서적
The Works of Li Po, the Chinese Poet
J.M. Dent & Co
1923
[55]
문서
(2008, ISRC BR-OQQ-08-00002)
[56]
서적
Cathay
Elkin Mathews, London
1915
[57]
서적
Die Chinesische Flöte
YinYang Media Verlag, Kelkheim, Germany
2001
[58]
웹사이트
Snyder
http://spiritualecol[...]
[59]
문서
Beat Generation
[60]
서적
Poésies de l'Époque des Thang
Amyot, Paris
1862
[61]
웹사이트
p. v.
https://archive.org/[...]
[62]
문서
Obata, v–vi
[63]
문서
Obata, v
[64]
웹사이트
WCW's voice near the end: Green moss | Jacket2
https://jacket2.org/[...]
[65]
서적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0
[66]
Youtube
Total War: THREE KINGDOMS - Liu Bei Launch Trailer
https://www.youtube.[...]
2022-08-28
[67]
웹사이트
Civilization 6: How to Use Great Writers
https://gamerant.com[...]
2020-06-10
[68]
서적
李白伝記論―客寓の詩想―
研文出版
1994
[6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70]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71]
서적
李太白的国籍问题
1936-03
[72]
서적
李太白通突厥文及其它
1936-08
[73]
간행물
李太白氏族之疑問
https://web.archive.[...]
清華大学出版社
1935
[74]
서적
五胡興華:形塑中國歷史的異族
https://www.google.c[...]
知書房
[75]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76]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77]
문서
통설에서는 「729년의 작」이지만 이설あり
[78]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7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0]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1]
서적
李白叢考
[82]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3]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84]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5]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86]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7]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8]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8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0]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1]
문서
石川忠久のように「725年の初めて蜀の地を離れた時の作」とする説もある
[92]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3]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4]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5]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96]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97]
서적
漢詩をたのしむ
講談社現代新書
1999-02-20
[98]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9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00]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01]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102]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03]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104]
웹사이트
水仙尊王
https://www.lungshan[...]
2023-11-08
[105]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106]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107]
서적
李白 漂泊の詩人 その夢と現実
岩波書店
2012-10-24
[108]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0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10]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11]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12]
서적
中国詩人選集第7巻李白上
https://www.worldcat[...]
岩波書店
1957-11
[113]
뉴스
唯一現存、李白の真筆が「張伯駒記念展」で紹介される理由は?北京・故宮博物院
https://www.afpbb.co[...]
AFPBB
2018-04-14
[114]
문서
白帝城から[[長江]]下流の[[荊州区|江陵]]([[湖北省]][[荊州市]]荊州古城:江陵古城)まで直線距離で250kmある。罪を得て[[夜郎]]に流される李白が、赦免されて江陵に戻る事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嬉しさがあらわれている。
[115]
문서
兩岸猿聲啼不盡(啼いて尽きざるに)との異同があるが、教科書などでは“啼不住”が一般的である。
[116]
문서
宋蜀本『李太白文集』(静嘉堂文庫蔵)や清の王琦『李太白文集輯註』などに従う。なお『唐詩三百首』など中国の通行本の多くは第1句を「明月光」、第3句を「望明月」に作るが、これは明清以降の改変である。[[ノート:李白]]参照。
[117]
문서
宋蜀本『李太白文集』(静嘉堂文庫蔵)や清の王琦『李太白文集輯註』などに従う。なお『唐詩三百首』など中国の通行本の多くは第1句を「明月光」、第3句を「望明月」に作るが、これは明清以降の改変である。[[ノート:李白]]参照。
[118]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19]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20]
서적
李白と杜甫の事典
大修館書店
2019-11-20
[121]
웹사이트
化粧品「レブロン」の中国ブランド名は超一級だった、破産法申請に震撼 | 莫邦富の中国ビジネスおどろき新発見 |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https://diamond.jp/a[...]
[122]
웹인용
실크로드 출신 이태백
http://premium.chosu[...]
2023-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