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릅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릅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아무르강 유역, 러시아, 중국 북동부, 한반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개회화나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지며, 학명은 'amurensis'이다. 수피는 마름모꼴로 갈라지고, 잎은 홀수 깃꼴 겹잎이며, 7-8월에 황백색의 꽃을 피운다. 목재는 고급 가구, 소품, 묘비 등으로 사용되며, 조경수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삼족 -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관상수, 약재, 목재 등으로 사용되고 길상목으로 여겨진다.
  • 고삼족 - 개느삼
    개느삼은 대한민국 중부 및 북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50~150cm의 반관목으로, 3개의 잎으로 된 겹잎과 붉은 자색 꽃이 피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절개지 사면 녹화에 활용되고 조선자괴, 염주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 1856년 기재된 식물 - 산겨릅나무
  • 1856년 기재된 식물 - 노루발
    노루발은 노루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5~7월에 흰색 꽃이 피고 잎은 둥근 심장 모양을 가지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고 과거 피임이나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 러시아의 나무 -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정자나무, 가로수 등으로 이용되고 한국에서는 마을을 지키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나무이다.
  • 러시아의 나무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다릅나무
개요
모턴 수목원의 이느엔주
학명마아키아 아무렌시스 Maackia amurensis
이명마아키아 플로리분다 Maackia floribunda
마아키아 부에르게리 Maackia buergeri
한국어 이름이느엔주 (犬槐)
분류
식물계 Plantae
피자식물문 Magnoliophyta
쌍자엽식물강 Magnoliopsida
아강장미아강 Rosidae
콩목 Fabales
콩과 Fabaceae
이느엔주속 Maackia
이느엔주 M. amurensis

2. 명칭

다릅나무의 일본 이름은 중국에서 귀하게 여겨지던 회화나무와 비슷하지만, 격이 낮다는 의미로 '개'를 붙인 것이다. 중국 식물명은 '조선괴(朝鮮槐)'[4]로, 역시 회화나무와는 다른 종류로 인식되었다. 다만 '회화나무'의 어원·고칭으로 여겨지는 '에니스'는 재래종인 다릅나무를 가리켰을 가능성이 있다.

학명 ''amurensis''는 본 종이 발견된 지역인 아무르강 유역에서 유래했다.

별명으로는 카라이누엔주[4], 토우이누엔주[4], 하네미노이누엔주[4], 하네미이누엔주[4], 케하네미이누엔주[4] 등이 있다.

3. 특징

낙엽 활엽수이다. 수형은 곧게 수직으로 뻗지 않고, 줄기 전체가 흔들리는 듯한 모양을 한다. 수피는 피목이 마름모꼴로 갈라지고, 점차 길게 갈라진다[12]。어린 나무의 수피는 녹색을 띤 갈색이며, 성목이 될수록 피목 부분부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12]。1년생 가지는 어두운 회갈색이며, 털이 있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12]

회화나무와의 큰 차이점은 성목의 수피로, 회화나무는 세로로 가늘게 갈라지지만, 다릅나무는 마름모꼴이나 그것이 여러 개 이어진 물결 모양으로 거칠게 갈라진다.

3. 1. 잎

새싹이 트는 시기의 잎은 은백색으로, 눈에 잘 띈다[12]은 길이 20cm~30cm의 홀수 깃꼴 겹잎이며, 좌우 대칭으로 달리는 소엽은 3~6쌍이다. 소엽은 길이 4cm~7cm의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에는 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3. 2. 꽃

꽃 피는 시기는 7 - 8월경이다.[12] 황백색의 총상 화서 꽃을 피운다. 공원 등에 식재되는 경우도 많다. 베어낸 생나무에는 독특한 냄새가 난다.

3. 3. 겨울눈

겨울눈은 둥근 삼각형으로 밤색을 띠며, 털이 있고 3 - 5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다. 바깥쪽 아린 1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12] 가지 끝에 가짜 정아를 달고, 곁눈은 가지에 어긋나게 붙는다.[12] 잎자국은 반원형이나 초승달 모양이며, 관속 흔적은 3개가 있다.[12]

4. 분포

다릅나무는 아무르강 유역, 러시아, 중국 북동부, 한반도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주부 지방 이북)에 분포하며[12], 산지나 강가 등에 자생한다.

5. 화학 성분

다이제인, 레투신, 제니스테인, 포르모노네틴과 프테로카르판인 마키아인과 메디카르핀이 ''다릅나무'' 세포 배양에서 발견될 수 있다.[2]

퀴놀리지딘 알칼로이드인 테트라히드로레온티딘과 11-에피레온티단이 이 종에서 분리되었다(현재까지 유일한 자연 공급원).[3]

6. 이용

다릅나무는 나뭇결이 아름다우면서도 견고하여 고급 가구, 소품 제작 및 해외 수출에 이용된다. 십자가로 제작될 만큼 견고하고 아름다운 한국 나무이다. 2018년부터는 50년 이상 된 (지름 25cm) 다릅나무들의 벌목이 가능해져 고급 도마로 사용되고 있다.

조경수로 정원수 등으로 사용되며, 햇볕을 좋아하는 성질 때문에 남쪽 또는 서쪽을 향한 정원에 적합하다. 식재 적기는 12월에서 3월 중순이다.

아이누는 이 나무를 "치쿠페니"라고 부르며 묘비로 사용했다. "회화나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목재는 실제로는 이누엔주이다. 붉은색이 짙은 심재와 옅은 색의 변재가 조화를 이루어 미관,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유통량이 제한되어 마루기둥과 같은 장식재로 귀하게 여겨진다.

6. 1. 목재

다릅나무는 나뭇결이 아름다우면서도 견고하여 고급 가구, 소품으로 제작되어 해외로 수출된다. 십자가로 제작될 만큼 견고하고 아름다운 한국 나무이다.

2018년부터는 50년 이상 된 (지름 25cm) 다릅나무들의 벌목이 가능해져 고급 도마로 사용되고 있다.

아이누는 이 나무를 "치쿠페니"라고 부르며 묘비로 사용했다. 붉은색이 짙은 심재와 옅은 색의 변재의 조화가 특징이며, 미관,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유통량이 제한되어 마루기둥과 같은 장식재로 귀하게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바닥재, 가구, 기타 공예품 및 세공품 등에도 사용된다. "회화나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목재는 실제로는 이누엔주이다.

6. 2. 전통적 이용

다릅나무는 조경수로 정원수 등으로 사용된다. 햇볕을 좋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남쪽 또는 서쪽을 향한 정원에 적합하다. 식재 적기는 12월에서 3월 중순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누는 이 나무를 "치쿠페니"라고 부르며 묘비로 사용했다. "회화나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목재는 실제로는 이누엔주이다. 붉은색이 짙은 심재와 옅은 색의 변재의 조화가 특징이며, 미관,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유통량이 제한되어 마루기둥과 같은 장식재로 귀하게 여겨질 뿐만 아니라, 바닥재, 가구, 기타 공예품 및 세공품 등에도 사용된다.

6. 3. 기타

다릅나무는 나뭇결이 아름답고 견고하여 고급 가구나 소품 제작에 사용되며 해외로 수출되기도 한다. 십자가로 제작될 만큼 견고하고 아름다운 한국의 나무이다.

2018년부터는 50년 이상 된 (지름 25cm) 다릅나무들의 벌목이 가능해져 고급 도마로 사용되고 있다. 조경수로는 정원수 등으로 사용된다. 햇볕을 좋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남쪽이나 서쪽을 향한 정원에 적합하다. 식재 적기는 12월에서 3월 중순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누는 이 나무를 "치쿠페니"라고 부르며 묘비로 사용했다. "회화나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목재는 실제로는 이누엔주이다. 붉은색이 짙은 심재와 옅은 색의 변재의 조화가 특징이며, 미관,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유통량이 제한되어 마루기둥과 같은 장식재로 귀하게 여겨진다. 바닥재, 가구, 기타 공예품 및 세공품 등에도 사용된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aackia amurensis''"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2012-04-30
[2] 논문 Isoflavonoid production by callus cultures of Maackia amurensis Fitoterapia 2000-08-01
[3] 웹사이트 ‘Diastereodivergent Synthesis of the Quinolizidine-Indolizidine Alkaloids of the Leontidine/Camoensine Family’ https://chemistry-eu[...] 2021-04-16
[4] 간행물 2025-05-18
[5] 간행물 2024-05-18
[6] 간행물 2024-05-18
[7] 간행물 2024-05-18
[8] 간행물 2024-05-18
[9] 간행물 2024-05-18
[10] 간행물 2024-05-18
[11] 간행물 2024-05-18
[12] 서적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