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툭은 7세기 슈리비자야 제국 비문에서 유래된 칭호로, 지역 수장이나 족장을 의미하며,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연방 정부 또는 주 정부에서 수여하는 훈장과 관련된 칭호로 사용되며, 브루나이에서도 훈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말레이계 인도네시아인과 미낭카바우족 사이에서 공동체 지도자에게 주어지는 존칭으로 사용되며, 특히 미낭카바우족에서는 모계 사회에 따라 칭호가 상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어 - 높임말
    높임말은 상대를 존중하는 언어적 표현으로, 존경어, 겸양어, 정중어, 미화어 등으로 나뉘며, 언어 유형론적으로는 대상, 상대, 방관자 높임말로 분류된다.
  • 경어 - Ms.
    Ms.는 여성의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호칭으로, 17세기에 처음 사용된 후 20세기 페미니즘 운동과 함께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 영어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호칭이다.
다툭

2. 유래

"다툭"이라는 칭호는 7세기 스리위자야 제국의 비문에서 처음 나타나며,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텔라가 바투 비문 등에서 부왕이나 속국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 고대 말레이어에서는 지역 지도자 또는 촌장을 의미하는 ''dātu''로 불렸으며,[2] 이는 족장의 일종으로, 캄풍(마을) 집합체인 케다투안을 통치했다. 스리위자야 제국은 정착지, 마을, 항구로 구성된 만다라[3] 네트워크로 묘사되었으며, 각 지역은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에게 충성을 맹세한(''persumpahan'') 다투가 통치했다. 라자마하라자와 같은 인도화된 칭호와 달리, "다툭"은 필리핀에서도 다투로 발견되어, 이는 공통적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을 시사한다. ''카다트완'' 또는 ''케다톤''은 다툭의 거주지를 지칭하며, 크라톤과 이스타나와 동일하다. 후기 마타람 자바 문화에서 케다톤은 크라톤의 내부 사적 구역, 즉 왕과 왕족의 거주 단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 1. 어원

다툭 칭호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슈리비자야 제국의 비문에서 소왕이나 속국의 왕들에 대해 언급하는 내용이다. 그들은 고대 말레이어로 ''다투''(dātu)라 불렸으며, 이는 지역의 수장을 의미하는 말이었다.[7]

"다툭"이라는 칭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스리위자야 제국의 비문으로,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텔라가 바투 비문 등에서 부왕이나 속국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말레이어에서는 지역 지도자 또는 촌장을 의미하는 ''dātu''로 불렸으며,[2] 이는 족장의 일종으로, 캄풍(마을) 집합체인 케다투안을 통치했다. 스리위자야 제국은 정착지, 마을, 항구로 구성된 만다라[3] 네트워크로 묘사되었으며, 각 지역은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에게 충성을 맹세한(''persumpahan'') 다투가 통치했다. 라자마하라자와 같은 인도화된 칭호와 달리, "다툭"이라는 용어는 필리핀에서도 다투로 발견되어, 이는 공통적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을 시사한다. ''카다트완'' 또는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다툭의 거주지를 지칭하며, 크라톤과 이스타나와 동일하다. 후기 마타람 자바 문화에서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크라톤의 내부 사적 구역, 즉 왕과 왕족의 거주 단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 2. 용어 변화

고대 문헌에서 "다툭"이라는 칭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스리위자야 제국의 비문으로,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텔라가 바투 비문 등에서 부왕이나 속국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 고대 말레이어에서는 지역 지도자 또는 촌장을 의미하는 ''dātu''로 불렸으며,[2] 이는 족장의 일종으로, 캄풍(마을) 집합체인 케다투안을 통치했다. 스리위자야 제국은 정착지, 마을, 항구로 구성된 만다라[3] 네트워크로 묘사되었으며, 각 지역은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의 중앙 행정부에 충성을 맹세한(''persumpahan'') 다투에 의해 통치되었다. 라자마하라자와 같은 인도화된 칭호와 달리, "다툭"이라는 용어는 필리핀에서도 다투로 발견되어, 이는 공통적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을 시사한다. ''카다트완'' 또는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다툭의 거주지를 지칭하며, 크라톤과 이스타나와 동일하다. 후기 마타람 자바 문화에서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크라톤의 내부 사적 구역, 즉 왕과 왕족의 거주 단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3.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서 다툭 칭호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비격식적으로는 할아버지나 남자 어른을 부를 때 사용되며, 격식적으로는 전통 사회 또는 국가에서 부여하는 칭호를 의미한다.

1808년, 현재의 태국 송클라 지역 술탄이었던 타주딘의 수석 고문은 '다툭 마하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 칭호의 초기 사용 사례 중 하나이다.[5]

영국 시민은 영국에서 외국 또는 연방 훈장과 관련된 칭호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툭 또는 다토 칭호를 가진 사람은 "경(Sir)"으로 불릴 수 없으며, 부여받은 칭호로만 불려야 한다.[4]

3. 1. 연방 정부 칭호

다툭은 연방정부가 부여하는 칭호로 1965년부터 사용되었다. 이 칭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은 팡글리마 자사 네가라(Panglima Jasa Negara, PJN) 및 팡글리마 세티아 디라자(Panglima Setia Diraja, PSD) 수상자로 한정되며, 두 상의 수상자는 각각 약 200명의 살아있는 사람으로 제한되어 있다.[4] PJN과 PSD는 연방정부 서훈 순위에서 각각 9위와 10위를 차지한다.

연방정부에 의해 다툭 작위를 부여 받은 남자의 부인은 다틴(Datin) 작위를 받는다.[4]

여성이 남자 수여자의 부인으로서가 아니라 본인의 공로로 직접 작위를 받는 경우 공식적인 명칭은 다틴 파두카(Datin Paduka)이나, 실제로는 남녀 모두 다툭으로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4]

작위 보유자의 수 제한은 말레이시아인에게만 적용되며, 외국인에게는 이러한 제한 없이 작위가 수여된다.[4]

3. 2. 주 정부 칭호

브루나이말레이시아에서 다툭(Datuk) 또는 다토(Dato)는 각 국가의 훈장darjah kebesaran|다르자 케베사란ms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툭 또는 다토는 특정 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 또는 칭호의 접두사이다. 훈장, 즉 칭호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은 브루나이의 술탄, 말레이시아의 연방 훈장의 경우 국왕과 말레이시아 주의 의례적 지도자에게 있다.

"다툭(Datuk)"과 "다토(Dato)"라는 변형 표기의 사용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다툭"은 국왕과 주 의회에서 지명된 말레이시아의 비세습 주 지도자인 주지사에 의해 수여된다. 반면, "다토"는 브루나이와 일부 말레이시아 주의 왕족 수장인 술탄, 그리고 말레이시아 느그리슴빌란의 왕족 수장인 얌투안 베사르에 의해 수여된다.

여성이 자신의 권리로 훈장을 수여받는 경우, "다툭" 또는 "다토"라는 단어가 "다틴(Datin)"으로 대체된 칭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남성형 칭호를 받을 수도 있다. 다툭 또는 다토 칭호를 받은 남성의 아내는 "다틴"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그러나 그러한 칭호를 받은 여성의 남편에게는 다툭 관련 칭호가 주어지지 않는다.[4]

4. 브루나이

브루나이에서 다툭(Datuk) 또는 다토(Dato)는 국가의 훈장(darjah kebesaranms)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툭 또는 다토는 특정 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 또는 칭호의 접두사이다. 훈장을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은 브루나이 국왕(술탄)에게 있다.[4]

"다툭(Datuk)"과 "다토(Dato)"라는 변형 표기의 사용에서 "다토"는 브루나이에서 사용된다.[4]

여성이 자신의 권리로 훈장을 수여받는 경우, "다토"라는 단어가 "다틴(Datin)"으로 대체된 칭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남성형 칭호를 받을 수도 있다.[4]

다토 칭호를 받은 남성의 아내는 "다틴"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그러나 그러한 칭호를 받은 여성의 남편에게는 다툭 관련 칭호가 주어지지 않는다.[4]

5. 인도네시아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다툭은 말레이계 인도네시아인 및 미낭카바우족과 같은 전통 사회에서 사용되는 칭호이다. 이 칭호는 각종 전통과 공동체의 일을 주관하는 공동체 지도자에게 붙여진다.

미낭카바우족 전통에서 다툭(Datuak)은 개인에게 수여되는 전통적인 명예 칭호로, 지역 전통 지도자(''Kerapatan Adat Nagari'')에 의해 합의된다. 이 칭호는 큰 존경을 받으며, 특정 부족의 전통 지도자 또는 ''펭훌루''(귀족)가 된 미낭카바우 남성에게만 사용된다. 칭호가 수여될 때는 전통 의식(''Malewa Gala'')과 연회가 열린다. 다른 말레이인 전통과 달리, 미낭카바우의 ''다툭'' 칭호는 모계 사회에 따라 상속된다.

고대 문헌에서 "다툭"이라는 칭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스리위자야 제국의 비문으로,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텔라가 바투 비문 등에서 부왕이나 속국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말레이어에서는 지역 지도자 또는 촌장을 의미하는 ''dātu''로 불렸으며,[2] 이는 족장의 일종으로, 캄풍(마을) 집합체인 케다투안을 통치했다. 스리위자야 제국은 정착지, 마을, 항구로 구성된 만다라[3] 네트워크로 묘사되었으며, 각 지역은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의 중앙 행정부에 충성을 맹세한(''persumpahan'') 다투에 의해 통치되었다. 라자마하라자와 같은 인도화된 칭호와 달리, "다툭"이라는 용어는 필리핀에서도 다투로 발견되어, 이는 공통적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을 시사한다. ''카다트완'' 또는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다툭의 거주지를 지칭하며, 크라톤과 이스타나와 동일하다. 후기 마타람 자바 문화에서 케다톤이라는 용어는 크라톤의 내부 사적 구역, 즉 왕과 왕족의 거주 단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토바 바탁족의 전통에서 다투는 점술과 마법을 가르치는 마법사-사제이며 그의 책 푸스타하를 통해 가르침을 전한다.

5. 1. 미낭카바우족

미낭카바우족 전통에서 다툭(Datuak) 또는 다투악은 다수의 사람들이나 부족의 합의로 한 사람에게 부여하는 미낭카바우어 칭호이다.[8] 다툭 칭호는 지역 전통 지도자의 허락 아래 부여된다. 이 칭호를 받은 사람은 큰 존경을 받으며, 특정 부족의 전통 지도자 또는 펭훌루(penghulu, 귀족)만이 이 칭호를 얻을 수 있다. 칭호가 부여되면 전통 의식인 말레와 갈라(Malewa Gala)와 잔치로 이를 축하한다.

다른 말레이 전통과 달리, 미낭카바우족의 다툭 칭호는 모계로 상속된다. 다툭이 사망하면, 칭호는 모계에서 가장 가까운 형제나 조카 등 친족에게 상속된다. 모계 친족이 없으면 부족 합의로 다른 부족원에게 칭호를 상속할 수 있다.

5. 2. 토바 바탁족

고대 문헌에서 "다툭"이라는 칭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스리위자야 제국의 비문으로,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텔라가 바투 비문 등에서 부왕이나 속국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 고대 말레이어에서는 지역 지도자 또는 촌장을 의미하는 ''dātu''로 불렸으며,[2] 이는 족장의 일종으로, 캄풍(마을) 집합체인 케다투안을 통치했다. 스리위자야 제국은 정착지, 마을, 항구로 구성된 만다라[3] 네트워크로 묘사되었으며, 각 지역은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의 중앙 행정부에 충성을 맹세한(''persumpahan'') 다투에 의해 통치되었다. 라자마하라자와 같은 인도화된 칭호와 달리, "다툭"이라는 용어는 필리핀에서도 다투로 발견되어, 이는 공통적인 원주민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을 시사한다.

참조

[1] 간행물 ASAL USUL DAN MAKNA NAMA GELAR DATUAK DI NAGARI NAN TUJUAH KECAMATAN PALUPUH KABUPATEN AGAM http://wacanaetnik.f[...]
[2] 서적 Prasasti Indonesia II: Selected Inscriptions from the 7th to the 9th Century A.D. Dinas Purbakala Republik Indonesia 1956
[3] 웹사이트 mandal meaning in Hindi {{!}} mandal translation in Hindi https://www.shabdkos[...] 2023-08-24
[4] 웹사이트 Rules governing the acceptance and wearing of foreign and Commonwealth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by citizens of the United Kingdom and her Overseas Territories https://www.gov.uk/g[...] 2023-08-24
[5] 서적 The Battle for Junk Ceylon 1985
[6] 서적 Layar Terkembang Jadi Guru: Adat dan Kebudayaan Minangkabau PT. Grafiti Pers 1984
[7] 서적 Prasasti Indonesia II: Selected Inscriptions from the 7th to the 9th Century A.D. Dinas Purbakala Republik Indonesia 1956
[8] 서적 Layar Terkembang Jadi Guru: Adat dan Kebudayaan Minangkabau PT. Grafiti Pers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