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지흥은 대리국의 왕으로, 1172년부터 1200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불교 사찰 복구 및 방어 시설 건설과 같은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 김용의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과 《신조협려》에는 가상의 인물로 등장하며, 대리국의 통치자이자 천하오절 중 한 명인 '남제'로 묘사된다. 소설 속에서 그는 일등대사라는 법명을 가진 불교 승려로 등장하여 주인공들을 돕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00년 사망 - 주희
 주희는 송나라의 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동아시아 철학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기론, 심성론, 거경궁리론 등을 정립하고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제시했다.
- 1200년 사망 - 미우라 요시즈미
 미우라 요시즈미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가마쿠라 막부 창건에 공헌하고 요리토모 사후에는 십삼인의 합의제의 일원이 되었다.
- 대리 황제 - 단정순
 단정순은 김용의 무협 소설 《천룡팔부》에 등장하는 인물로, 대리국의 진남왕이자 일양지를 사용하는 무술의 달인이며, 많은 여성들과 관계를 맺고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 대리 황제 - 단사평
 단의녕의 통해절도사였던 단사평은 양간정의 모함으로 거병하여 대의녕을 멸망시키고 937년 대리국을 건국한 초대 황제로, 봉건제 시행을 통해 사회 생산력 발전에 기여했으며 사후 성신문무황제로 추존되었다.
- 김용의 소설 등장인물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김용의 소설 등장인물 - 숭정제
 숭정제는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내우외환 속에서 명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으며, 그의 죽음은 명나라 멸망을 상징하고 청나라의 중국 지배의 계기가 되었다.
| 단지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왕조 | |
| 왕조 | 대리 | 
| 인물 정보 | |
| 이름 | 단지흥(段智興) | 
| 전체 이름 | 성: 단(段) 이름: 지흥(智興) | 
| 사망일 | 1200년 | 
| 묘호 | 선종(宣宗) | 
| 시호 | 공극황제(功極皇帝) | 
| 부친 | 단정흥 | 
| 자녀 | 단지렴 | 
| 연호 | 이정 (1172년–1175년) 성덕 (1176년–1180년) 가회 (1181년–1184년) 원형 (1185년–1195년) 안정 (1195년–1200년) | 
| 통치 정보 | |
| 직위 | 대리 황제 | 
| 재위 기간 | 1172년–1200년 | 
| 이전 | 단정흥 | 
| 이후 | 단지렴 | 
| 섭정 | 고수창 (高壽昌) (1172년–1174년) 고정명 (高貞明) (1174년) 고수창 (高壽昌) (1174년–1176년) 고관음묘 (高觀音妙) (1176년–1189년) 고관음정 (高觀音政) (1189년–1200년) | 
2. 재위 기간
1174년, 고관음륭(高觀音隆)은 중국공(中國公) 고수창(高壽昌)을 폐위시키고 그의 조카인 고정명(高貞明)을 왕위에 앉혔다. 같은 해 11월, 아기(阿機, 고명청의 손자)가 반란을 일으켜 고정명을 몰아내고 고수창을 다시 대리국 상서 자리에 복위시켰다. 이후 고정명은 허칭(鶴慶) 지역을 점령하고 스스로 명국공(明國公)이라 칭했다. (1190년 고정명이 사망하자 의지위천총명인제(義地威天聰明仁帝)라는 시호로 추존되었다.)
2년 뒤인 1176년, 고관음륭의 아들 고관음묘(高觀音妙)가 백애(白崖)에서 반란을 일으켜 고수창을 다시 폐위시키고 스스로 대리국 상서가 되었다. 그러나 고관음묘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상서 자리는 그의 동생인 고관음정(高觀音政)에게 넘어갔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단지흥은 대리국 내에서 여러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 그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이전 왕들처럼 1190년에 16곳의 불교 사찰을 복구하는 등 불교 진흥에 힘썼다. 또한 1195년에는 대리국으로 들어오는 주요 길목에 방어 시설을 건설하도록 명령하여 국방을 강화하고자 했다.
단지흥은 120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인 단지렴이 왕위를 계승했다.
2. 1. 연호
단지흥은 28년의 재위 기간 동안 다음 다섯 개의 연호를 사용했다.| 연호 | 한자 | 사용 기간 | 
|---|---|---|
| 리즈 | 利貞 | 1172년 ~ 1175년 | 
| 성덕 | 盛德 | 1176년 ~ 1180년 | 
| 가회 | 嘉會 | 1181년 ~ 1184년 | 
| 원형 | 元亨 | 1185년 ~ 1196년? | 
| 안정 | 安定 | 1197년 ~ 1200년 | 
단씨는 대리국에서 여러 건설 사업을 시작했다. 전임자들처럼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그는 1190년에 16개의 불교 사찰을 복구했다. 1195년에는 대리국으로 들어오는 주요 관문에 방어 시설 건설을 명령했다. 
단지흥은 김용의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과 《신조협려》에 등장하는 가상 인물이다. 소설 속에서 그는 대리국의 황제였으며, 강호(무림)에서 가장 뛰어난 무예를 지닌 다섯 고수, 이른바 천하오절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다른 네 명의 고수는 왕중양, 황약사, 구양봉, 홍칠공이다. 그의 별호는 '남제'(南帝|난디중국어)이며, 손가락으로 기를 쏘아 공격하는 일양지(一陽指|이양즈중국어)가 그의 주특기이다. 또한 왕중양에게 일양지를 가르쳐주는 대가로 내공 무예인 선천공(先天功|셴톈궁중국어)을 전수받았다. 그는 《천룡팔부》의 주인공 단예의 후손으로 설정되어 있다.
3. 업적
4. 소설 속 등장
《사조영웅전》 시점에서는 이미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 '일등대사'(一燈大師|이덩다스중국어)라는 법명으로 출가한 상태이다. 이후 《신조협려》에서는 몽골 제국의 침략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활동하며, 소설 말미에는 그의 별호가 승려 신분을 반영하여 '남승'(南僧|난썽중국어)으로 바뀐다. 각 작품에서의 구체적인 행적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사조영웅전
단지흥은 김용의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과 《신조협려》에 등장하는 가상 인물이다. 소설 속에서 단지흥은 대리국의 황제였으며, 당시 강호(무림)에서 가장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진 다섯 고수, 즉 천하오절 중 한 명으로 꼽혔다. 다른 네 명은 왕중양, 황약사, 구양봉, 홍칠공이다. 그의 별호는 '남제'(南帝|난디중국어)이며, 주특기는 손가락으로 강력한 기를 쏘아 공격하는 일양지(一陽指|이양지중국어)이다. 그는 왕중양에게 일양지를 전수하는 대가로 왕중양의 내공 무예인 선천공(先天功|셴톈궁중국어)을 익혔다. 그는 《천룡팔부》의 주인공인 단예의 후손이다.
《사조영웅전》의 이야기가 시작될 무렵, 단지흥은 이미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법명은 '일등대사'(一燈大師|이덩다스중국어)이다. 작품 속에서 그는 주인공 곽정과 그의 연인 황용이 심각한 부상을 입은 후 도움을 청하기 위해 찾아왔을 때 처음 등장하며, 그는 자신의 무공으로 황용의 내상을 치료한다. 소설 후반부에는 곽정과 황용이 악당 구천인과 대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시 나타나며, 그를 죽음에서 구하고 제자로 받아들인다.
4. 2. 신조협려
일등대사는 《신조협려》에 잠깐 등장한다. 이 시기 대리국은 몽골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몽골 제국은 송나라와 전쟁 중이었다. 일등대사는 무정곡에 나타나 주인공 양과와 소용녀가 악당 공손지와 추천치를 상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양양 전투에서 몽골군에 맞서 잠시 참여하기도 한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는 여전히 강호의 오대 고수 중 한 명으로 남아 있지만, 그의 별명은 출가한 신분을 반영하여 "남승"(南僧)으로 변경된다.
참조
[1] 
웹사이트
 
Duan Zhixing would have been the 19th emperor
 
http://wiki.zupulu.c[...] 
[2] 
문서
 
정식 황제로 광범위한 승인을 받지는 못한다.
 
[3] 
문서
 
단정순 때부터 고씨가 대대로 상국이 되었고, 황제의 시호를 받은 자들이 있었다.
 
[4] 
문서
 
원나라에 멸망당한 후 대리로가 설치되어 단씨가 대대로 총관이 되었다가 명나라에게 병탄당해 사라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