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영웅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조영웅전》은 13세기 초 남송 시대를 배경으로, 곽정과 황용을 중심으로 한 영웅들의 성장과 사랑, 그리고 민족의 갈등을 그린 김용의 무협 소설이다. 북송 멸망 이후 남송과 금나라, 몽골 제국이 대립하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배경으로, 곽정은 칭기즈 칸의 부마가 될 기회를 버리고 남송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소설은 역사적 배경과 허구를 결합하여 곽정, 황용, 양강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민족의식과 영웅주의를 강조하며, 구음진경, 화산논검 등 독특한 설정으로 독자들에게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으며, 중국 문화 입문서로도 활용될 만큼 높은 평가를 받지만, 초판본의 오류가 지적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조영웅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射鵰英雄傳 |
로마자 표기 | She Diāo Yīng Xióng Zhuàn |
다른 이름 | Story of the Eagle Shooting Hero (독수리 사격 영웅 이야기) |
출판 정보 | |
저자 | 김용 |
국가 | 홍콩 |
언어 | 중국어 |
장르 | 무협 소설 |
출판사 | 홍콩상업일보 |
출판일 | 1957년 1월 1일 ~ 1959년 5월 19일 |
시리즈 | 사조삼부곡 |
이전 작품 | 벽혈검 |
다음 작품 | 신조협려 |
관련 작품 | |
드라마 | 사조영웅전 (1983년 드라마) 사조영웅전 (1994년 드라마) 사조영웅전 (2003년 드라마) 사조영웅전 (2008년 드라마) 사조영웅전 (2017년 드라마) |
2. 역사적 배경
정강지변 이후 남송이 세워지고 주전파(主戰派) 악비가 화평파(和平派) 진회의 모략에 살해당한 후 몇 세대가 지난 남송과 금국의 남북 정립, 몽골의 성립과 송국의 멸망에 이르기까지가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이다. 지리적인 배경은 당시 남송의 수도였던 임안(臨安) 근처의 소흥(紹興)의 우가촌(牛家村)에서부터 시작된다.
정강지변 이후 남송과 금나라의 대립, 그리고 몽골 제국의 성립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 의형제인 양철심과 곽소천은 금나라의 공격으로 인해 가족과 헤어지게 되고, 그들의 아들인 양강과 곽정은 각각 금나라 왕자와 몽골 유목민으로 성장한다.[1]
김용의 소설 《사조영웅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야기는 13세기 초, 정강의 변을 거쳐 남송과 금나라가 대치하고, 북방에서 몽골이 부상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12세기 전반, 정강의 변으로 송은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게 회수 이북의 영토를 빼앗기고 강남의 임안으로 도읍을 옮기게 되었으며, 이후 남송이라 불리게 된다.
3. 줄거리
곽정은 정직하고 의로운 성품으로 성장하여 강남칠괴와 전진교의 마옥, 제베에게 무술을 배우고, 몽골의 영웅 칭기즈 칸의 신임을 얻는다.[1] 반면 양강은 금나라 왕자 완안홍렬의 양자로 자라며 부귀영화에 눈이 멀어 조국을 배신하고 악행을 저지른다.[1]
곽정은 황용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함께 강호를 여행하며 여러 고수들을 만나 무술을 연마하고 성장한다.[1] 곽정은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알게 되고, 몽골의 침략에 맞서 남송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영웅으로 거듭난다.[1] 양강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배신과 악행을 일삼다가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1]
이야기는 전쟁 중 여진족이 이끄는 금나라와 주로 한족인 송나라 간의 제국 시대 중국을 배경으로 한다.[1] 의형제인 양철심과 곽소천은 뱃속의 아이가 같은 성별이면 의형제가 되고, 다른 성별이면 부부가 될 것을 맹세한다.[1] 어느 날, 양철심의 아내 포석약은 부상당한 여진족 전사를 구해주는데, 그는 금나라 육왕자 완안홍렬이었다.[1] 포석약의 미모에 반한 완안홍렬은 나중에 자신의 군대를 보내 양철심과 곽소천의 마을을 공격한다.[1] 곽소천은 죽고 양철심은 실종된다.[1]
곽소천의 임신한 아내 이평은 몽골로 흘러 들어가 그곳에서 아들 곽정을 낳아 칭기즈 칸의 보살핌을 받으며 몽골에서 성장한다.[1] 그는 "강남칠괴"와 전진교의 마옥, 그리고 제베로부터 궁술을 배운다.[1] 소설의 중국어 제목은 곽정이 어릴 적 화살 하나로 독수리 두 마리를 맞춘 사건에서 유래되었다.[1]
한편, 완안홍렬에게 붙잡힌 임신한 포석약은 남편이 죽었다고 믿고 완안홍렬과 결혼하는 데 동의한다.[1] 그녀는 아들 양강을 낳아 여진 귀족으로 키운다.[1] 그는 전진교의 구처기에게 지도를 받지만, 비밀리에 사악한 "구음백골조" 기술을 매초풍에게서 배운다.[1]
곽정은 정직하고 충성스럽고 의로운 인물이지만 겉으로는 어리석다.[1] 반면 양강은 영리하지만 음흉하고 배신적이다.[1] 그들은 결국 서로와 각자의 연인 황용, 목념자를 만난다.[1] 주요 줄거리는 곽정과 황용의 모험과 "오절", 즉 무림(무술가들의 공동체)에서 가장 강력한 다섯 명의 무술가들과의 만남을 따라간다.[1] 모험을 하는 동안 곽정과 황용 모두 그 당시 무림에서 가장 강력한 무술가들로부터 다양한 무술 기술을 배운다.[1] 곽정은 또한 아버지의 죽음 뒤에 누가 있었는지 발견한다.[1]
한편, 양강은 여진족과 함께 자신의 조상 땅을 정복할 음모를 꾸민다.[1] 양강은 자신의 한족 혈통을 인정하지 않고 부, 명성, 영광, 강력한 기술을 얻는 데 강하게 집착한다.[1] 그의 배신은 곽정과 황용과의 갈등 속에서 소설 전체에 걸쳐 서서히 드러난다.[1]
곽정의 도움으로 몽골군은 금나라를 정복하고 이후 송나라로 눈을 돌린다.[1] 곽정은 자신의 조상 땅을 공격하는 데 몽골을 돕고 싶어하지 않아 그들을 떠나 송나라로 돌아와 동족 한족이 닥쳐올 몽골 침략에 대항하도록 돕는다.[1] 반면에 양강은 손바닥 공격으로 황약사를 죽이려다 독이 묻은 연갑을 우연히 맞고 중독되어 죽는다.[1] 그는 목념자와 그들의 뱃속 아들(곽정은 양과라고 이름 붙인다)을 남긴다.[1] 한편, 칭기즈 칸이 죽자 몽골의 송나라 침공은 일시적으로 중단된다.[1]
4. 주요 등장인물
인물 설명 곽정 곽소천의 아들로, 몽골에서 자랐다. 강남칠괴와 홍칠공에게 무술을 배우고, 황용과 사랑에 빠진다. 우직하고 성실하며 정의로운 성품으로, 남송을 위해 몽골에 맞서 싸운다.[1] 황용 동사 황약사의 딸로,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재치가 넘친다. 곽정을 도와 여러 위기를 극복하며, 후에 개방의 방주가 된다.[2] 양강 양철심과 포석약의 아들로, 금나라 왕자 완안홍렬의 양자로 자랐다. 부귀영화에 눈이 멀어 조국을 배신하고 악행을 일삼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구처기 전진교의 도사로, 양강과 곽정의 스승이 된다. 강남칠괴와 오해로 다투기도 하지만, 의협심이 강하다. 강남칠괴 가진악, 주총, 한보구, 남희인, 장아생, 전금발, 한소영의 7인으로, 곽정의 초기 스승들이다. 왕중양 전진교 창시자로, 첫 번째 화산논검에서 천하제일로 인정받아 구음진경을 얻었다. 선천공 무공은 독보적이었다. 황약사 황용의 아버지로, 도화도의 주인이다. 기이한 성격으로 무공뿐만 아니라 금기서화 등 다방면에 능통하며, 옥소검법과 탄지신통 등의 무공을 사용한다. 구양봉 서역 백타산의 주인으로, 독을 사용하는 무공의 달인이다. 구음진경을 얻기 위해 악행을 서슴지 않으며, 합마공이 주특기이다. 단지흥 대리국의 황제였으나 출가하여 일등대사가 된다. 일양지의 대가이며, 황용을 치료해주는 등 의로운 모습을 보인다. 홍칠공 제18대 개방 방주로, 항룡십팔장과 타구봉법 등의 무공을 사용한다. 곽정과 황용에게 무술을 전수하며, 의협심이 강하고 음식을 밝힌다. 주백통 왕중양의 사제로, 천진난만한 성격으로 곽정과 의형제를 맺고 구음진경과 좌우호박 기술을 전수한다. 징기스칸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 곽정을 금도부마로 삼고 아꼈으나, 곽정이 남송을 돕자 적대하게 된다. 진현풍 황약사의 대제자로, 매초풍과 함께 구음진경을 훔쳐 달아난다. 곽정의 비수에 찔려 죽는다. 매초풍 황약사의 둘째 제자로, 남편 진현풍과 함께 흑풍쌍살로 불린다. 구음백골조를 익혔으며, 양강의 사부가 되기도 한다. 곡령풍 황약사의 셋째 제자. 경공이 뛰어나며, 딸을 황약사에게 맡기고 죽는다. 육승풍 황약사의 넷째 제자로, 육관영의 아버지이다. 오행기문에 능하다. 영고 주백통과 정을 통해 아이를 낳았으나, 단지흥에게 원한을 품고 은거한다. 구양극 구양봉의 조카이자 친아들. 여자를 밝히며, 황용에게 빠지지만 결국 양강에게 죽는다. 구천인 철장방주로, 철장공을 익혔다. 주백통과 영고 사이의 아이를 죽였다. 구천리 구천인의 형으로, 형을 사칭하며 속임수를 쓰다가 황용에게 죽는다.
4. 1. 곽정(郭靖)과 그 주변 인물
1957년부터 1959년까지 홍콩의 『홍콩상보』에 연재되었다.
이야기는 13세기 초, 정강의 변을 거쳐 남송과 금나라가 대치하고, 북방에서 몽골이 부상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몽골에서 자란 한족 청년 곽정이 강호의 풍파에 휩쓸리면서 인간적으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모든 면에서 그와 대극점에 있는 소년 양강의 파멸과 대비하여 꼼꼼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를 받는 이유로 자주 언급되는 것은, 다종다양한 조연들의 존재이다. "동사", "서독", "북개", "남제", "중신통", "노완동", "철장수상표"로 불리는 무림의 거봉들과, "강남칠괴"라는 이명을 가진 무술가 집단 등, 어느 하나 빠지지 않는 매력적인 조연들의 활약이, 이야기를 크게 고조시킨다. 또한, 순수하고 소박하지만 어리석은 면도 있는 곽정을 지지하며 함께 여행하는 영리하고 활발한 연인 황용의 존재도 빼놓을 수 없다.
덧붙여 제목은, 곽정이 몽골 고원의 초원에서 독수리(검독수리)를 멋지게 쏘아 떨어뜨리는 장면에 유래한다.
'''곽정'''(郭靖)
곽소천과 이평의 아들이다. 우직하고 성실하며 정의로운 성품을 지녔다. 몽골에서 성장하여 강남칠괴, 홍칠공 등에게 무술을 배우고, 황용과 사랑에 빠진다. 남송을 위해 몽골에 맞서 싸우는 영웅이다.[1]
'''황용'''(黃蓉)
동사 황약사의 딸이다.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곽정을 도와 여러 위기를 극복한다. 개방 방주가 되기도 한다.[2]
'''강남칠괴'''
가진악, 주총, 한보구, 남희인, 장아생, 전금발, 한소영의 7인이다. 곽정의 초기 스승들로, 곽정에게 기본적인 무술을 가르친다.
'''칭기즈 칸'''(戊吉思汗)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 곽정을 금도부마로 삼고 아꼈으나, 곽정이 남송을 돕기 위해 떠나자 적대하게 된다.
'''홍칠공'''(洪七公)
북개. 제18대 개방 방주. 곽정과 황용에게 항룡십팔장과 타구봉법을 전수한다.
4. 2. 양강(楊康)과 그 주변 인물
양강은 양철심과 포석약의 아들로, 완안홍렬의 양자로 자랐다. 어머니 포석약은 남편 양철심이 죽은 줄 알고, 양강을 임신한 채로 완안홍렬과 재혼한다. 이로 인해 양강은 금나라 왕자로 자라며 부귀영화에 눈이 멀어 조국인 송나라를 배신하고, 친아버지 양철심을 외면하는 악행을 저지른다.
어릴 적에는 구처기로부터 전진교 무공과 양가창법을 전수받았고, 매초풍으로부터 구음백골조를 익혔으나, 그의 무공은 한계가 있었고 늘 최고의 무공을 배우기를 원했다. 결국 황용을 해치려다 구양봉의 독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 양강의 주변 인물4. 3. 천하오절(天下五絶)
왕중양은 전진교 창시자로, 첫 번째 화산논검에서 천하제일로 인정받았다. 황약사는 동사(東邪)로 불리며 황용의 아버지이다. 기이한 성격으로 무공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능통하다. 구양봉은 서독(西毒)으로 불리며 독을 사용하는 무공의 달인이다. 구음진경을 얻기 위해 악행을 서슴지 않는다. 단지흥은 남제(南帝)로 불리며 대리국의 황제였으나 출가하여 일등대사가 된다. 주백통은 노완동(老頑童)으로 불리며 왕중양의 사제이다. 천진난만한 성격으로 곽정과 의형제를 맺고 구음진경을 전수한다.
5. 주요 용어 및 개념
6. 작품의 의의 및 평가
김용의 《사조영웅전》은 단순한 무협 소설을 넘어 역사 소설, 성장 소설, 로맨스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금나라와 송나라의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절묘하게 결합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몰입감을 제공하며, 중국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영웅들의 이야기는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하며 한국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등장인물 | 설명 |
---|---|
곽정 | 정직하고 충성스러우며 의로운 인물. 어릴 적 화살 하나로 독수리 두 마리를 맞춘 사건에서 소설 제목이 유래했다. |
양강 | 영리하지만 음흉하고 배신적인 인물. 자신의 한족 혈통을 인정하지 않고 부, 명성, 영광을 추구한다. |
황약사 | 곽정의 연인. 영리하고 활발하며, 곽정을 지지하며 함께 여행한다. |
목념자 | 양강의 연인. |
이 외에도 "동사", "서독", "북개", "남제", "중신통" 등 매력적인 조연들이 등장하여 이야기의 재미를 더한다.[2]
7. 다른 매체로의 각색
소설 《사조영웅전》은 그 인기를 바탕으로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연도 | 제작사 | 주요 출연진 | 추가 정보 |
---|---|---|---|
1958 | 어메이 영화사(Emei Film Company) (홍콩) | 조달화, 용소이, 임구, 뇌관련 | 사조영웅전 |
1977 | 쇼 브라더스 스튜디오(Shaw Brothers Studio) (홍콩) | 부성, 전뉴, 이의민, 혜영홍 | 사조영웅전 |
1978 | 부성, 전뉴, 이의민, 혜영홍 | 사조영웅전 2 | |
1981 | 부성, 전뉴, 유태평 | 사조영웅전 3 | |
1993 | 스콜라스 유한공사(Scholars Ltd.) (홍콩) | 장국영, 임청하, 장만옥, 양조위, 장학우 | 동성서취 |
1994 | 장국영, 임청하, 장만옥, 양조위, 양가휘, 장학우 | 동사서독 | |
2021 | 라진, 미디어 아시아 필름, CFM, M&H 픽쳐스 | 경덕경, 임우유, 두덕위, 곽진안, 임자총, 악동봉 | 사조영웅전: 용의 제자 |
2021 | 안개빈, 완거, 왕희, 하창희, 황성진, 임자총 | 사조영웅전: 시체 손톱 | |
TBA | 중국영화그룹공사(China Film Group Corporation) | 샤오잔, 장정의, 완다 마르그라프 | 사조영웅전: 대영웅 |
연도 | 제작사 | 주요 출연진 | 추가 정보 |
---|---|---|---|
1976 | CTV (홍콩) | 백표, 미설, 양소룡, 망주 | 《사조영웅전》(1976년 드라마) |
1983 | TVB (홍콩) | 황일화, 옹미령, 묘교위, 양반반 | 《사조영웅전》(1983년 드라마) |
1988 | 중국 텔레비전 주식회사 (합작)(대만) | 황문호, 진옥련, 반왕번, 구숙의 | 《사조영웅전》(1988년 드라마) |
1992 | TVB (홍콩) | 정이건, 량소빙, 라가량, 관례걸, 주혜민 | 《혈해풍운》 |
1993 | 장지림, 강대위, 량소빙 | 《사조영웅외전》 | |
1994 | 장지림, 주인, 라가량, 관영하 | 《사조영웅전》(1994년 드라마) | |
정이건, 오진우, 황소연, 진문원, 진위이, 려요상 | 《사조영웅지남제》 | ||
2003 | 자문영상 & 텔레비전 제작 유한공사 (중국 본토) | 이아붕, 주신, 주걸, 장흠흠 | 《사조영웅전》(2003년 드라마) |
2008 | 상해중문집단 유한공사 (중국 본토) | 호가, 임의신, 원홍, 유시시 | 《사조영웅전》(2008년 드라마) |
2017 | 동방위성 (중국 본토) | 양욱문, 이일동, 진성욱, 맹자희, 묘교위 | 《사조영웅전》(2017년 드라마) |
2024 | 텐센트 비디오 (중국 본토) | 사사, 포상은, 고위광, 맹자희, 진도령, 한키즈 오마르 | 《영웅전: 열혈》(2024년 드라마) |
1998년 홍콩의 밍허사(明河社)는 이즈칭(李志清)이 그림을 그린 38권짜리 만화를 출판했다. 이 만화는 2000년 인도네시아에서 MNC 코믹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8. 지리적 배경
소설의 주요 사건들은 당시 남송의 수도였던 임안(지금의 항저우시) 근처 소흥(지금의 사오싱시)의 우가촌에서부터 시작하여 중국 대륙의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전진파 도사 구처기는 가흥(지금의 자싱시) 난호 근처 취선루에서 강남칠괴와 오해로 부딪히기도 한다. 곽소천의 부인 이평은 몽골에서 곽정을 낳아 기르게 된다.
참조
[1]
서적
Wuxia Xiaoshuo Xiaoyao Tan
Huizhi Publishing Company (匯智出版有限公司)
2000
[2]
뉴스
Historical fiction round-up: Attack of the flying squad
https://www.thetimes[...]
2018-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