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마티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마티아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었던 로망스어의 일종으로, 현재는 사멸했다. 두브로브니크 지역의 라구사어와 크르크섬의 베글리오테가 대표적이며, 달마토-로마어라고도 불린다. 라구사어는 15세기 말까지 공문서에 사용되었으나, 크로아티아어 및 베네치아어의 영향으로 점차 사라졌다. 베글리오테는 19세기 말 마지막 화자인 투오네 우다이나의 연구를 통해 기록되었으며, 다른 로망스어와는 다른 독특한 음운 변화를 보였다. 달마티아어는 크로아티아어 등 주변 언어에 어휘와 지명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크로아티아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달마티아어
개요
언어 이름달마티아어
원어 이름Dalmatian
다른 이름dalmatico (이탈리아어), dalmatinski (크로아티아어)
사용 지역아드리아해 연안의 달마티아 지역
소멸 시기1898년 6월 10일 (마지막 화자 투오네 우다이나 사망)
언어 유형소멸
언어학적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라틴-팔리스크어군
어계라틴어
분기로망스어군
언어 코드
ISO 639-3dlm
Glottologdalm1243
Linglistdlm
Lingua51-AAA-t
지도 정보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2. 언어 명칭

달마티아어(Dalmatian)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라구사어(Ragusan)와 베글리오테(Vegliote)이다. 라구사어는 두브로브니크(이탈리아어: Ragusa) 지역에서 사용된 방언을 지칭하며,[3] 베글리오테는 크르크섬(이탈리아어: Veglia)에서 사용된 방언을 지칭한다.[6] 달마토-로마어(Dalmato-Roman)라고도 불린다.

라구사어의 경우, 라틴어와 베네치아어 문서에서 '빵'을 뜻하는 pen|펜dlm, '아버지'를 뜻하는 teta|테타dlm, '집'을 뜻하는 chesa|케사dlm, '하다'를 뜻하는 fachir|파키르dlm 등의 단어가 기록되어 있다.[3] 라구사 공화국에서는 15세기 말까지 라구사어로 공식적인 업무가 진행되었다.[5]

베글리오테는 19세기에 언어학자 마테오 바르톨리와 그의 정보 제공자 투오네 우다이나의 노력 덕분에 상당 부분 기록되었다.

투오네 우다이나

3. 종류

달마티아어는 크게 라구사어와 베글리오테 방언으로 나뉜다.


  • 라구사어: 두브로브니크(이탈리아어: 라구사)에서 사용되었으며, 15세기 말까지 라구사 공화국에서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다. 라틴어와 베네치아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빵'을 뜻하는 pendlm, '아버지'를 뜻하는 tetadlm 등의 단어가 기록으로 남아있다.[3]
  • 베글리오테: 크르크섬(이탈리아어: 베글리아)에서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말 마지막 화자인 투오네 우다이나가 사망하면서 소멸했다. 마테오 바르톨리가 우다이나와의 인터뷰를 통해 베글리오테어를 기록했다.[6]


이 외에도 크레스섬, 라브섬, 자다르 등 아드리아 해안의 여러 도시에서 달마티아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3. 1. 라구사어 (Ragusan)

두브로브니크(Dubrovnik, Ragusa|라구사it)에서 사용되었다. 라틴어와 베네치아어의 현지 문서에서 다양한 라구사인 단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 문서에는 '빵'을 뜻하는 pendlm, '아버지'를 뜻하는 tetadlm, '집'을 뜻하는 chesadlm, '하다'를 뜻하는 fachirdlm가 기록되어 있다.[3] 14세기 라구사인 텍스트도 있지만, 이는 크로아티아어와 베네치아어의 광범위한 영향을 보여주며, 그 특징 중 진정으로 달마티아어인지 구별하기 어렵다.[1]

라구사인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라틴어 와 가 전설 모음 앞에서 보존(구개음화 없이)되었다는 점인데, 이는 colchitradlm < 라틴어 와 같은 형태에서 볼 수 있다.[4]

라구사 공화국에서는 15세기 말까지 라구사인으로 공식적인 업무가 진행되었다. 1472년, 상원은 법적 분쟁을 수행하는 데 "슬라브어" 또는 "라구사인이나 이탈리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의 사용을 허가 없이 금지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엘리오 람프리디오 체르바(1463–1520)는 "어릴 적에, 노인들이 라구사인이라고 불리는 로망스어로 법적 업무를 수행했던 것을 기억한다"고 언급했다.[5]

3. 2. 베글리오테 (Vegliote)

크르크섬(이탈리아어: Veglia, 달마티아어: Vikla)[6]에서 사용된 방언이다. 19세기 말, 언어학자 마테오 바르톨리는 마지막 화자인 투오네 우다이나를 연구하여 기록을 남겼다.[6] 우다이나는 20년 동안 달마티아어를 사용하지 않아 베네치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상태였으나,[7] 인터뷰를 통해 점차 젊은 시절의 달마티아어를 기억해냈다.[1]

라구사어와 마찬가지로, 전설 모음 앞에서 와 의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예: 달마티아어 "찬" vs 이탈리아어 < 라틴어 ) 소리 앞에서 가 로 변화하는 독자적인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났다. (예: "엉덩이" < * < * < )[8]

우다이나에게서 발췌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강세 표시는 생략).[10]

  • kuo̯nd ke fero i vetruni viv koli vapto ju koŋ totʃi ku̯int ju favlua iŋ veklisuŋ perku ju se jai̯ inparut kuo̯nd ke ju fero pelo ke avas tra jai̯n ke ju dat el prinsip da favlur kosai̯k iŋ veklisuŋ perke me ju inparuo̯t la maja non el mi tuo̯ta e la maja ni̯ena favlua kosai̯k iŋ veklisuŋ jali favlua ke jali kredua ke ju noŋ kapaja ma ju totʃ kapua koste parau̯le ke jali favlua iŋ veklisuŋ la maja noŋ me dekaja spi̯ata un pau̯k ke venaro el tuo̯ta e ju ɡe dekaro kel te dua per el tʃolroa|그 여덟 명의 노인들이 살아있을 때, 저는 베글리오테어를 모두와 함께 사용했습니다. 왜냐하면 어렸을 때 그것을 배웠기 때문입니다. 제가 베글리오테어로 말하기 시작했을 때는 세 살이었습니다. 왜냐하면 할머니가 저에게 가르쳐 주셨고, 엄마와 아빠도 베글리오테어로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제가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베글리오테어로] 말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들이 베글리오테어로 말하는 모든 단어를 이해했습니다. 할머니는 저에게 '아빠가 집에 올 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그러면 아빠에게 너를 때리라고 말할 거야'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3. 3. 기타 방언

크레스, 라브, 자다르, 트로기르, 스플리트, 코토르를 포함한 아드리아 해안의 주요 섬과 도시에서도 달마티아어가 사용되었을 것이다.[1]

4. 크로아티아어 등에 남긴 영향

달마티아어는 소멸했지만, 현대 크로아티아어 및 인근 지역 언어에 일부 어휘와 지명을 남겼다.

달마티아어가 남긴 영향
종류예시어원
지명차브타트civitate|치비타테dlm
지명크레스c(h)erso|체르소/케르소dlm
지명크르크curicum|쿠리쿰dlm
지명마카르스카muccurum|무쿠룸dlm
지명스플리트spaletum|스팔레툼dlm
지명라빈albona|알보나dlm
지명솔린salona|살로나dlm
지명로브란laurana|라우라나dlm
지명수페타르sanctu petru|상투 페트루dlm
지명수토모레SANCTA MARIA|상타 마리아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kȁpulahr (양파)cepulla|체풀라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kèlomnahr (기둥)columna|콜룸나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kȑklohr (가장자리)circulus|치르쿨루스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lìksijahr (잿물)lixivum|릭시붐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lùk(i)jernahr (등잔)lucerna|루체르나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otijemnahr (뗏목)ANTEMNA|안템나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òvratahr (도미)aurata|아우라타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pìkathr (간)ficatum|피카툼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prȉgatihr (굽다)frigere|프리게레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rèkesahr (썰물)recessa|레체사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trȁktahr (끌그물)tracta|트락타dlm
두브로브니크 방언 어휘úkljatahr (참돔)oculata|오쿨라타dlm
표준 크로아티아어 어휘jarbolhr (돛대)ARBOR|아르보르dlm
표준 크로아티아어 어휘kònobahr (선술집)canaba|카나바dlm
표준 크로아티아어 어휘òliganjhr~lïganjhr~lìgnjahr (오징어)lolliginem|롤리기넴dlm


5. 참고 문헌


  • 바르톨리, 마테오 줄리오|Bartoli, Matteo Giulioit, ''Das Dalmatische: altromanische Sprachreste von Veglia bis Ragusa und ihre Stellung in der Apennino-balkanischen Romania'' (달마티아어: 베글리아에서 라구사까지의 고대 로망스 언어 잔재와 아펜니노-발칸 로마니아에서의 지위), I, II 권. 비엔나: Holder, 1906년.
  • 바르톨리, 마테오 줄리오|Bartoli, Matteo Giulioit, ''Il Dalmatico: Resti di un’antica lingua romanza parlata da Veglia a Ragusa e sua collocazione nella Romània appennino-balcanica'' (달마티아어: 베글리아에서 라구사까지 사용되었던 고대 로망스 언어의 잔재와 아펜니노-발칸 로마니아에서의 위치). 로마: Treccani, 2000년.
  • 샹봉, 장-피에르|Chambon, Jean-Pierre프랑스어, "달마티아어의 두 번째 소멸을 향하여? 비판적 노트 (비교 문법의 관점에서) '로망스 언어학의 신화'에 대해", ''로망스 언어학 저널'', 78권, 309–310호, 6–9쪽, 2014년.
  • 하들리, 로저 L.|Hadlich, Roger L.영어, ''베글리오트의 음운론적 역사''. 채플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1965년.
  • 이베, 안토니오|Ive, Antonioit, "베글리아의 고대 방언", ''이탈리아어 음성학 기록'', 9권, 115–187쪽, 1886년.
  • 메이든, 마틴|Maiden, Martin영어, "달마티아어(베글리오트)", ''옥스퍼드 언어학 연구 백과사전''. 옥스퍼드 대학교, 2020년 6월 30일. https://oxfordre.com/linguistics/view/10.1093/acrefore/9780199384655.001.0001/acrefore-9780199384655-e-726. 2024년 3월 2일 확인.
  • 물자치치, 자르코|Muljačić, Žarkode, "일리리아-로망스 언어 그룹", 귄터 홀투스, 요하네스 크라머, 볼프강 슈바이크아르트 엮음, ''이탈리아어와 로망스어: 막스 프피스터의 65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논문집 III'', 59–72쪽. 튀빙겐: 니에마이어, 1997년.
  • 물자치치, 자르코|Muljačić, Žarkohr, "마룰리치의 작품에 나타난 달마토로망스어", ''콜로키아 마룰리아나'', 12권, 131–142쪽, 2003년.
  • 트루머, 만프레트|Trummer, Manfredde, "남동 유럽 언어와 로망스어", 귄터 홀투스, 미하엘 메첼틴, 크리스티안 슈미트 엮음, ''로망스 언어학 사전'', 7권: 접촉, 이주 및 인공 언어. 대조성, 분류 및 유형학, 134–184쪽. 튀빙겐: 니에마이어, 1998년.
  • 블레티치, 니콜라|Biletić, Nikolahr, "달마티아어: 로망스 언어학의 신화에 대한 아이디어의 파노라마", ''역사 인식 언어'', 35권, 45–64쪽, 2013년.

참조

[1] harvcolnb
[2] harvcolnb
[2] harvcolnb
[3] harvcolnb
[4] harvcolnb
[4] harvcolnb
[5] harvcolnb
[6] harvcolnb
[7] harvcolnb
[8] harvcolnb
[9] harvcolnb
[10] harvcolnb
[11] harvcol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