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된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17세기에는 세 개의 주요 방언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크로아티아어"로 불렀고,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라틴 알파벳과 표준 철자법이 만들어졌다. 크로아티아어는 '이예카프스키' 발음, 라틴 알파벳 사용, 세르비아어와 구분되는 어휘적 차이로 특징지어진다. 현재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세르비아 등에서 사용되며,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크로아티아어 -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
    부르겐란트크로아티아어는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지역의 차카비아 방언 기반 언어로, 크로아티아인 이주민들이 형성하여 오스트리아의 법적 보호 아래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 표준을 가진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슬라브어의 표준화된 방언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발칸 반도를 중심으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세르비아 등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가진 언어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약 1,817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서 주로 사용되며, 19세기 중반 표준화 이후 유고슬라비아 해체로 각 국가에서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며 언어 분리 논쟁이 있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대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주로 쓰인다.
  • 슬로베니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크로아티아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크로아티아어
고유 이름hrvat
사용 민족크로아트족
사용 국가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헝가리 (바치카)
몬테네그로 (코토르 만)
루마니아 (카라슈세베린 주)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코소보 (얀예보)
사용 지역동남유럽
모어 화자512만 1810명 (크로아트족이 사용하는 모든 방언 포함) (2021년)
제2언어 화자130만 4100명 (2012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문자라틴 문자 (가이의 라틴 문자)
유고슬라비아 점자
글라골 문자 (역사적)
보스니아 키릴 문자 (역사적)
공용 국가
(공동 공용어)
(공동 공용어)
(보이보디나)
(부르겐란트주)
소수 언어

(버러녀 주)
언어 관리 기관크로아티아 언어 및 언어학 연구소
ISO 639-1hr
ISO 639-2hrv
ISO 639-3hrv
Glottologcroa1245
Glottolog 명칭크로아티아 표준어
방언슈토카비아 방언
신슈토카비아 방언
동헤르체고비나 방언
크로아트족
주요 거주 지역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코소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몬테네그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헝가리
체코
유럽 거주 지역벨기에
독일
마케도니아
스웨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북아메리카 거주 지역미국
캐나다
멕시코
남아메리카 거주 지역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페루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거주 지역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하위 민족부녜브치
쇼크치
부르겐란트 크로아트인
얀예브치
몰리세 크로아트인
크라쇼바니
문화문학
음악
미술
영화
요리
의상
스포츠
역사크로아티아의 역사
기원
통치자
언어크로아티아어
차카비아 방언
슈토카비아 방언
카이카비아 방언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몰리세
관련 민족남슬라브족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표준어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방언|슬라보니아 |두브로브니크|동헤르체고비나 |제타-라슈카|코소보-레사바 (스메데레보-브르샤츠)|슈마디야-보이보디나|프리츠렌-티모크 (프리츠렌-남모라바 |스브를리그-자플라니에|티모크-루즈니차)}})}}
}}
카이카비아 방언
|스브를리그-자플라니에|티모크-루즈니차)}}}}
악센트에카비아
이예카비아
이카비아
비교
기타 관련 언어슬로베니아어
}}
남슬라브어군
고대 교회 슬라브어교회 슬라브어 (고대)
현대불가리아어
방언
바나트

마케도니아어
}}
구어 마케도니아어
표준 마케도니아어
관련 언어
세르비아-불가리아-마케도니아어과도기 불가리아어 방언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어카이카비아 방언
불가리아-마케도니아어그리스의 슬라브 방언
문자
현대 문자
불가리아 키릴 문자
마케도니아 키릴 문자
몬테네그로 문자
슬로베니아 문자
역사적 문자

기타바나트 불가리아어 알파벳 포함.

2. 역사

후기 중세 시대부터 17세기까지 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은 프랑코판과 즈린스키 두 가문의 족장(바노비, banovi)에 의해 반자치적인 상태로 지배되었으며, 두 가문은 혼인 관계로 맺어져 있었다.[20] 17세기 무렵, 두 가문은 문화적, 언어적으로 크로아티아를 통합하려고 시도하였고, 세 가지 주요 방언(차카브어, 카이카브어, 슈토카브어)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를 "크로아티아어", "달마티아어" 또는 "슬라보니아어"라고 불렀다.[21] 역사적으로 달마티아어와 슬라보니아어 외에도 크로아티아어의 동의어로 일리리아어와 슬라브어 등이 사용되었다.[22] 이는 현재도 여러 차카브어 방언과 에카브어, 이예카브어, 이카브어 등어선이 혼합된 여러 형태가 공존하는 이스트리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23]

가장 표준화된 형태(카이카브어-이카브어)는 이스트리아 반도를 따라 크로아티아 해안, 중앙 크로아티아를 거쳐 드라바 강과 무라 강 북부 계곡까지 행정 및 지식인들의 교양 언어가 되었다. 17세기 이 방언의 문화적 정점은 페타르 즈린스키의 "''Adrianskoga mora sirena''"("아드리아 해의 인어")와 카타리나 즈린스카의 "''Putni tovaruš''"("여행 동반자") 판본에서 볼 수 있다.[24][25]

그러나 크로아티아의 이러한 최초의 언어 부흥은 167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에 의한 페타르 즈린스키와 프란 크르스토 프랑코판의 정치적 처형으로 중단되었다.[26] 그 후 18세기 크로아티아 엘리트는 점차 이러한 크로아티아어 표준을 버렸다.[27]

일리리아 운동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

크로아티아어는 기술적으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때로는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는 상호 이해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전히 언어학적인 언어 분류와는 상반된다. 베일린은 "표준 크로아티아어와 표준 세르비아어의 거의 100%에 달하는 상호 이해도는 모든 집단이 서로의 영화, TV 및 스포츠 방송, 신문, 록 가사 등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명백하다"라고 썼다.[30]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다양한 표준 형태 간의 차이점은 종종 정치적인 이유로 과장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크로아티아어 언어학자들은 크로아티아어를 국가 정체성에 중요한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즉, '크로아티아어'라는 용어에는 가장 초기부터 현재까지, 크로아티아인이 사는 모든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든 언어 형태가 포함되며, 크로아티아 방언, 도시 언어와 은어, 그리고 크로아티아 표준어에서 구현된다.[34][35] 19세기 유럽의 역사에서 비롯된, 별개의 언어가 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는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에서는 이 문제가 민감하다. 크로아티아 작가와 언어학자들이 크로아티아어의 더 큰 자치권을 요구한 1967년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의 지위와 명칭에 관한 선언은 크로아티아에서는 언어 정책의 이정표이자 국가 정치의 일반적인 이정표로 여겨진다.

2017년 초, 선언 50주년을 기념하여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이틀간의 회의가 열렸고, 그곳에서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의 공통 언어 선언 초안이 작성되었다.[36] 새로운 선언은 만 명이 넘는 서명을 받았다. 이 선언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서 다중 중심 표준어가 사용되며,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의 기존 변종과 유사한 여러 표준 변이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명시한다.[37] 새로운 선언의 목표는 민족주의적 짐 없이 언어에 대한 논의를 자극하고 민족주의적 분열에 맞서 싸우는 것이다.[39]

"세르보크로아티아어"라는 용어는 화자 자신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외국 학자들은 이러한 모든 형태를 포괄하는 용어로 여전히 사용한다. 전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이 용어가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와 같은 민족 정치적 용어로 대체되었다.[40]

언어에 대한 "크로아티아어"라는 명칭의 사용은 역사적으로 증명되어 왔지만, 항상 명확하게 구분된 것은 아니다. 최초의 인쇄된 크로아티아어 문학 작품은 1501년 마르코 마룰리치가 쓴 방언 차카비아어 시로, "크로아티아어로 지은 거룩한 과부 유딧의 역사"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41][42] 크로아티아-헝가리 협정은 크로아티아어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했다.[43] 크로아티아어는 2013년 7월 1일 크로아티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EU 언어가 되었다.[44][45] 2013년 EU는 공식 관보의 크로아티아어판 발행을 시작했다.[46]

2. 1. 일리리아 운동

일리리아 운동은 19세기 크로아티아에서 일어난 남슬라브계 정치 및 문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크로아티아 지역의 다양하고 철자법이 일치하지 않는 문어를 표준화하고, 최종적으로 공통 남슬라브 문어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특히 크로아티아 영토에서는 세 가지 주요 방언 그룹이 사용되었고, 4세기에 걸쳐 여러 문어가 존재했다.[28]

류데비트 가이는 일리리아 운동의 지도자로, 1830년에서 1850년 사이에 라틴 알파벳을 표준화하고 표준 철자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카이카브어를 사용하는 자그레브를 기반으로 했지만, 19세기부터 크로아티아어와 세르비아어 문어의 주요 방언적 기반이 된 신슈토카비아어(슈토카비아어의 한 형태)의 사용을 지지했다.[28][29] 여러 남슬라브 지지자들의 지지를 받은 신슈토카비아어는 1850년 오스트리아의 주도로 열린 비엔나 문학 협정에서 채택되었고,[27] 통일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문어의 기초를 마련했다. 통일된 신슈토카비아어는 그 후 크로아티아 엘리트 계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27]

1860년대에는 자그레브 언어학 학교가 일리리아 운동 회원들이 주장한 언어적, 이념적 개념을 바탕으로 크로아티아 문화 생활을 지배했다. 리예카 언어학 학교와 자다르 언어학 학교보다 우세했지만, 19세기 말 크로아티아 부코비안의 부상과 함께 그 영향력은 약해졌다.

3. 특징

크로아티아어는 기술적으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때로는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7] 이는 상호 이해도를 기반으로 하는 순전히 언어학적인 언어 분류(''아브슈탄트 언어와 아우스바우 언어'')와는 상반된다. 상호 이해 가능한 변종들을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베일린은 "표준 크로아티아어와 표준 세르비아어의 거의 100%에 달하는 상호 이해도는 모든 집단이 서로의 영화, TV 및 스포츠 방송, 신문, 록 가사 등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명백하다"라고 썼다.[30]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다양한 표준 형태 간의 차이점은 종종 정치적인 이유로 과장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크로아티아어 언어학자들은 크로아티아어를 국가 정체성에 중요한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33] '크로아티아어'라는 용어에는 가장 초기부터 현재까지, 크로아티아인이 사는 모든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든 언어 형태(크로아티아 방언, 도시 언어와 은어, 크로아티아 표준어)가 포함된다.[34][35] 19세기 유럽의 역사에서 비롯된, 별개의 언어가 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는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에서는 이 문제가 민감하다. 1967년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의 지위와 명칭에 관한 선언은 크로아티아에서 언어 정책과 국가 정치의 이정표로 여겨진다.

2017년, 선언 50주년을 기념하여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회의가 열렸고, 공통 언어 선언 초안이 작성되었다.[36] 이 선언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서 다중 중심 표준어가 사용되며,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의 기존 변종과 유사한 여러 표준 변이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명시한다.[37]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크로아토-세르비아어"라는 용어는 화자 자신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외국 학자들은 이러한 모든 형태를 포괄하는 용어로 여전히 사용한다. 전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이 용어가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와 같은 민족 정치적 용어로 대체되었다.[40]

"크로아티아어"라는 명칭의 사용은 역사적으로 증명되어 왔지만, 항상 명확하게 구분된 것은 아니다. 최초의 인쇄된 크로아티아어 문학 작품은 1501년 마르코 마룰리치가 쓴 차카비아어 시 "크로아티아어로 지은 거룩한 과부 유딧의 역사"이다.[41][42] 크로아티아-헝가리 협정은 크로아티아어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했다.[43] 크로아티아어는 2013년 7월 1일 크로아티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EU 언어가 되었다.[44][45]

3. 1. 세르비아어와의 차이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비아어 지역과의 약간의 발음 차이가 반영되어 표기와 발음에서 차이가 나는 단어들이 있다. 크로아티아어는 일반적으로 '이예카프스키' 발음(야트 반사음에 대한 설명 참조), 라틴 알파벳의 배타적 사용, 그리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구분되는 여러 어휘적 차이점으로 특징지어진다.[30] 어떤 차이점들은 절대적이며, 어떤 차이점들은 주로 사용 빈도에서 나타난다.[30] 그러나 존 F. 베일린 교수는 "언어의 모든 주요 '수준'을 조사해 보면 BCS는 명백하게 단일 문법 체계를 가진 단일 언어이다."라고 말했다.[30]

4. 문자

크로아티아어 문자는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한다.

A aB bC cČ čĆ ćD dĐ đ
Dž džE eF fG gH hI iJ j
K kL lLj ljM mN nNj njO o
P pR rS sŠ šT tU uV v
Z zŽ ž(Ie ie)(Ŕ ŕ)


5. 문법

크로아티아어는 일반적으로 ‘이예카프스키’ 발음(야트 반사음에 대한 설명 참조), 라틴 알파벳의 배타적 사용, 그리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구분되는 일반적인 단어에서의 여러 가지 어휘적 차이점으로 특징지어진다.[30] 어떤 차이점들은 절대적이며, 어떤 차이점들은 주로 사용 빈도에서 나타난다.[30] 그러나 존 F. 베일린 교수가 말했듯이, "언어의 모든 주요 '수준'을 조사해 보면 BCS는 명백하게 단일 문법 체계를 가진 단일 언어이다."[30]

6. 현황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7] 크로아티아어와 표준 세르비아어는 거의 100% 상호 이해가 가능하여 서로의 영화, TV, 스포츠 방송, 신문, 록 가사 등을 즐길 수 있다.[30]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은 정치적인 이유로 과장되기도 한다.[32]

1967년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의 지위와 명칭에 관한 선언은 크로아티아어의 자치권을 요구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2017년에는 이 선언 50주년을 기념하여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전문가들이 공통 언어 선언을 작성했다.[36] 이 선언은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처럼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가 다중 중심 언어이며 여러 표준 변이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명시한다.[37]

크로아티아어는 2013년 크로아티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EU 언어가 되었다.[44][45] 크로아티아어 표준어는 크로아티아의 공식 언어이며,[4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 가지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1] 또한 부르겐란트(오스트리아),[48] 몰리세(이탈리아),[49] 보이보디나(세르비아)[50] 지역에서도 공식 언어이다. 루마니아의 카라쇼바[51]루파크[52][53]시에서는 루마니아어와 함께 공동 공식 언어이다.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스타르 대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가르쳐진다. 또한,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북마케도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크로아티아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3년 1월, 크로아티아 의회는 크로아티아어의 공식 사용을 규정하고, 크로아티아어 위원회 설립을 규정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63]

크로아티아 표준어를 설명하는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


  • 크로아티아어 및 언어학 연구소의 ''Hrvatski pravopis'' ([https://pravopis.hr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대학 컴퓨팅 센터(Srce)와 Znanje의 ''Hrvatski jezični portal'' ([https://hjp.znanje.hr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아니치의 ''Rječnik hrvatskoga jezika''
  • 유레 쇼네 등의 ''Rječnik hrvatskoga jezika''
  • 여러 저자의 ''Hrvatski enciklopedijski rječnik''
  • 에우게니야 바리치 등의 ''Hrvatska gramatika''


마티차 크르바츠카,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어휘학 연구소, 크로아티아 과학 아카데미의 권고도 중요하다.

2021년, 크로아티아는 번예바츠 방언을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보호받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했다.[66][67]

6. 1. 한국에서의 크로아티아어 교육

제시된 원문은 일본 내 크로아티아어 교육에 대한 내용만 담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크로아티아어 교육' 섹션에 포함될 내용은 없다. 따라서 주어진 원문과 지침에 따라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7. 상용 표현


  • bog (bok), dobar dan|보그(복), 도바르 단hr : 아침인사
  • doviđenja|도비제냐hr : 안녕히 가세요
  • molim|몰림hr : 제발요
  • hvala|흐발라hr : 감사합니다
  • to, taj|토, 타이hr : 그것
  • koliko?|콜리코?hr : 얼마에요?
  • da|다hr : 네
  • ne|네hr : 아니요
  • Ne razumijem|네 라주미옘hr : 잘 모르겠습니다.
  • Gdje je zahod? (Gdje je zahot?)|그뎨 예 자호드? (그뎨 예 자호트?)hr : 화장실은 어디에 있나요?


《세계인권선언》 제1조의 2009년 크로아티아 정부 공식 번역본:

: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68]

《세계인권선언》 제1조 영어본:

: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69]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s://wipolex.wipo[...] WIPO 2007-10-19
[3] 웹사이트 Zákon 184/1999 Z. z. o používaní jazykov národnostných menšín https://www.slov-lex[...] Zbierka zákonov 2016-12-03
[4] 웹사이트 Národnostní menšiny v České republice a jejich jazyky https://www.vlada.cz[...] Government of Czech Republic
[5] 웹사이트 2011. évi CLXXIX. törvény a nemzetiségek jogairól https://net.jogtar.h[...] Government of Hungary
[6] 웹사이트 Legge 15 Dicembre 1999, n. 482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pubblicata nella Gazzetta Ufficiale n. 297 del 20 dicembre 1999 https://www.camera.i[...] Italian Parliament 2014-12-02
[7] 서적 Linguasphere Linguasphere Observatory 1999
[8]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2010
[9] 서적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s://www.phil.mun[...] 2021-10-26
[10] 서적 Lexical layers of identity: words, meaning, and culture in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학술지 Pluricentricity in the classroom: the Serbo-Croatian language issue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De Gruyter
[12]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2024-01-23
[13]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006
[14] 학술지
[15] 학술지
[16] 웹사이트 Croatia: Themes, Authors, Books https://www.library.[...] 2010-10-27
[17] 웹사이트 Serbian, Croatian, Bosnian, Or Montenegrin? Or Just 'Our Language'? –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https://www.rferl.or[...] Rferl.org 2021-10-26
[18] 웹사이트 Bosnian-Croatian-Montenegrin-Serbian language (BCMS) https://www.britanni[...] 2024-01-26
[19] 웹사이트 Mjesec hrvatskog jezika http://ihjj.hr/stran[...] Institute of Croatian language 2024-02-22
[20] 서적 A History of Croatia Philosophical library
[21] 서적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 서적 Grammars and Dictionaries of the Slavic Languages from the Middle Ages Up to 1850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1-10-26
[23] 학술지 The Čakavian dialect of Orbanići near Žminj in Istria
[24] 웹사이트 Dva brata i jedna Sirena https://www.matica.h[...] 2012-03-09
[25] 웹사이트 Matica Hrvatska – Putni tovaruš – izvornik (I.) http://www.matica.hr[...] 2021-10-26
[26] 서적 Croatia: a Nation Forged in War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7] 서적 Razvoj hrvatskog književnog jezika https://books.google[...] Školska knjiga
[28]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Croatian nation: an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Edwin Mellen Press
[29] 웹사이트 Bosnisch/Bosniakisch, Kroatisch und Serbisch (B/K/S). https://www-gewi.uni[...] 2023-04-13
[30] 학술지 To what degree are Croatian and Serbian the same language? Evidence from a Translation Study https://linguistics.[...] 2019-10-09
[31] Dissertation Die kroatische Standardsprache auf dem Weg zur Ausbausprache https://www.zora.uzh[...] University of Zurich, Faculty of Arts, Institute of Slavonic Studies
[32]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2010
[33] 학술지 "Jezično" pristupanje Hrvatske Europskoj Uniji: prevođenje pravne stečevine i europsko nazivlje https://hrcak.srce.h[...]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Zagreb 2012-02-27
[34] 웹사이트 Hrvatski standardni jezik https://jezik.hr/sta[...] 2024-01-26
[35] 웹사이트 Hrvatski — zaseban jezik https://jezik.hr/zas[...] 2024-01-26
[36] 웹사이트 Donosi se Deklaracija o zajedničkom jeziku Hrvata, Srba, Bošnjaka i Crnogoraca https://www.vecernji[...] 2017-03-28
[37] 웹사이트 Time to Make Four Into One https://archive.org/[...] The New European 2017-11-30
[38] 뉴스 Is Serbo-Croatian a Language? https://www.economis[...] 2017-04-10
[39] 웹사이트 Post-Yugoslav 'Common Language' Declaration Challenges Nationalism https://balkaninsigh[...] Balkan Insight 2017-03-30
[40] 서적 Language De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1] 웹사이트 Marko Marulić https://www.britanni[...] 2024-01-02
[42] 웹사이트 Croatian literature https://www.britanni[...]
[43] 웹사이트 Hrvatsko-ugarska nagodba 1868. http://www.crohis.co[...]
[44] 웹사이트 Vandoren: EU membership – challenge and chance for Croatia – Daily – tportal.hr https://www.tportal.[...] tportal.hr 2010-09-30
[45] 웹사이트 Applications now open for Croatian linguists http://europa.eu/eps[...] EU careers 2012-06-21
[46] 웹사이트 Službeni list Europske unije https://eur-lex.euro[...] European Union 2013
[47] 웹사이트 Croatia https://www.cia.gov/[...] Cia.gov
[48] 논문 Hrvatski nastavni jezik u Gradišću u školsko-političkome kontekstu https://hrcak.srce.h[...]
[49]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in Europe: report http://www.helsinki.[...] Helsinki.fi
[50] 웹사이트 Official Use of Languages and Scripts in the AP Vojvodina http://www.puma.vojv[...]
[51]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Edrc.ro
[52]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Edrc.ro
[53]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Edrc.ro
[54] 논문 Mlade snage na jezikoslovnome poprištu https://hrcak.srce.h[...]
[55] 웹사이트 Poljska u Hrvatskoj https://www.gov.pl/w[...]
[56] 웹사이트 First Croatian language centre in a German-speaking country opens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3-07-08
[57] 웹사이트 Odsad i u Sydneyu možete dobiti potvrdu o znanju hrvatskog jezika koju priznaju institucije u Hrvatskoj https://www.sbs.com.[...] SBS 2023-02-08
[58] 웹사이트 Hrvatska manjina u Republici Makedoniji http://www.hrvatiizv[...] Central State office for Croats Abroad
[59] 논문 Hrvati u Poljskoj https://bib.irb.hr/d[...] Croatian Heritage Foundation
[60] 웹사이트 Hrvatsko iseljeništvo u Velikoj Britaniji https://hrvatiizvanr[...] Central State office for Croats Abroad
[61] 웹사이트 Organizacija hrvatske nastave po zemljama https://public.mzos.[...] Ministry of Science, Education and Sport of the Republic of Croatia
[62] 웹사이트 Fra Josip Peranić - zadarski franjevac koji 40 godina neumorno služi Hrvatima u Argentini https://hkm.hr/vjera[...] Croatian Catholic Network 2023-04-23
[63] 웹사이트 Izglasan Zakon o hrvatskom jeziku https://www.jutarnji[...] 2024-01-26
[64]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https://registar.kul[...]
[65]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https://registar.kul[...]
[66] 웹사이트 Prijedlog za proglašenje bunjevačkoga govora nematerijalnom kulturnom baštinom http://ihjj.hr/clana[...]
[67] 웹사이트 Bunjevački govori upisani u Registar kulturnih dobara Republike Hrvatske kao nematerijalno kulturno dobro https://min-kulture.[...] 2021-10-08
[68] 웹사이트 Odluka o objavi Opće deklaracije o ljudskim pravima https://narodne-novi[...] 2009-11-12
[6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70] 웹사이트 山岸リリャーナ先生を偲んで http://www.let.osaka[...] 2003-05-26
[71] 서적 クロアチア語ハンドブック 大学書林 1997
[72] 서적 クロアチア語常用6000語 大学書林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