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로베니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베니아어는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슬로베니아의 공용어이며 2004년 유럽 연합 가입 이후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프라이징 사본은 슬로베니아어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서로, 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초에 작성되었다. 16세기 후반에 표준 슬로베니아어가 등장했으며, 19세기에는 낭만적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가 도입되기도 했다. 슬로베니아어 알파벳은 가이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며, 21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또는 9모음)을 가지고 있다. 슬로베니아어는 6개의 명사 격을 유지하며, 명사, 형용사, 대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수를 가진다. 방언의 다양성이 매우 커서 7개에서 최대 50개까지 분류되며, 방언 간 상호 이해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슬로베니아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헝가리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헝가리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슬로베니아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슬로베니아어
로마자 표기slovenščina, slovenski jezik
발음slɔˈʋèːnʃtʃina, slɔˈʋèːnski ˈjɛ̀ːzik
사용 국가슬로베니아
이탈리아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오스트리아 (케른텐주 및 슈타이어마르크주)
헝가리 (버시주)
사용 지역동유럽
사용자250만 명 (2010년)
모국어 사용자 수220만 명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파
하위 어군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문자라틴 문자 (슬로베니아어 알파벳), 슬로베니아어 점자
공용 국가슬로베니아
소수 언어 국가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탈리아
표준 기관슬로베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방언
방언프레크무르예
레지아
약 48개의 비표준화 방언
언어 코드
ISO 639-1sl
ISO 639-2slv
ISO 639-3slv
글롯토로그slov1268
링구이스트53-AAA-f (51개 변종)
기타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

2. 역사

표준 슬로베니아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류블랴나와 그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던 상카르니올라 방언군과 하카르니올라 방언군을 기반으로 한다.[9] 16세기에 프리모츠 트루바르는 20년 이상 류블랴나에 거주하면서 저술에 하카르니올라 방언과 함께 류블랴나에서 사용되는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다.[10][11] 그의 언어 선택은 다른 프로테스탄트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표준어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 초 언어 부흥기에는 프랑스 프레셰렌을 포함한 대부분의 작가들이 상카르니올라 방언을 사용했으며, 류블랴나의 언어는 점차 상카르니올라 방언군에 더 가까워졌다.[10]

오스트리아의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인이나 이탈리아의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과 같이 슬로베니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의무 교육이 이루어진 지역에서는 비표준 방언이 더 잘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우디네주의 레지아 방언과 토레 계곡 방언(Ter)은 다른 슬로베니아 방언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함께 분류된다. 차카브어 및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깝지만, 슈토카브어 방언과는 계통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는 흐르바츠코 자고르예와 메짐우르예의 전이적인 카이카브어 방언과 높은 상호 이해도를 보인다.[12] 또한 슬로베니아어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톨락어 방언을 포함한 모든 남슬라브어와 특정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여러 방언과의 상호 이해도는 어휘, 문법, 발음의 차이로 인해 제한된다.[13] 카이카브어와의 상호 이해도가 가장 높다. 슬로베니아어는 다른 남슬라브어에는 없는 서슬라브어파 언어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4][15]

19세기 낭만적 민족주의 시대에 일리리즘과 범슬라브주의 운동은 독일어 차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체코어 단어를 표준 슬로베니아어에 도입했다. 일부는 사라졌지만, 19세기 후반 프란 레브스틱과 요시프 유르치치 등 많은 민족주의 작가들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를 많이 사용했다. 세기말 시대에 이반 찬카르를 비롯한 제1세대 모더니스트 슬로베니아 작가들은 과도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차용 없이 더 "순수"하고 단순한 언어를 사용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영향력이 다시 커졌다. 젊은 세대의 슬로베니아 작가와 지식인들은 이에 반대했으며, 좌파 잡지 ''소도브노스트'' 관련 지식인들과 일부 젊은 가톨릭교 활동가 및 작가들이 주도했다. 1945년 이후, 이전 수십 년 동안 사용되었던 수많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들이 사라졌다. 그 결과 1910년대 슬로베니아어 텍스트가 1920년대와 1930년대 텍스트보다 현대 슬로베니아어에 더 가깝다.

1920년부터 194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공식 언어는 "세르보-크로아토-슬로베네어"였지만, 실제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 가까웠다. 슬로베니아에서는 교육 및 행정에서 슬로베니아어가 계속 사용되었지만, 많은 국가 기관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만 사용했고, 슬로베니아의 많은 공공 영역에서 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이중언어 사용이 적용되었다. 우체국, 철도, 행정 사무소에서는 슬로베니아어와 함께 세르보-크로아티아어가 사용되었지만, 공무원들은 슬로베니아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했다.

같은 기간 서슬로베니아(슬로베니아 리토랄과 내부 크라인 서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으며 파시스트 이탈리아화 정책을 겪었다. 베네토 슬로베니아, 고리치아, 트리에스테의 슬로베니아어 사용자들에게도 같은 정책이 적용되었다. 1923년부터 1943년까지 이 지역에서 슬로베니아어의 모든 공공 사용은 금지되었고, 슬로베니아어 활동가들은 박해받았다.

1920년 카린티아 주민투표 이후, 오스트리아 지배하의 남부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에서는 독일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1938년 안슐루스 이후, 카린티아에서도 슬로베니아어 사용이 금지되어 언어 변화 과정이 가속화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린티아 주민의 약 21%가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지만, 1951년에는 10% 미만, 2001년에는 2.8%에 불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슬로베니아는 파시스트 이탈리아, 나치 독일, 헝가리추축국들 사이에 분할되었다. 점령군은 모두 슬로베니아어를 억제하거나 완전히 억압하려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어는 연방의 공용어 중 하나였고, 슬로베니아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공공 생활에서 사용되었다. 예외는 유고슬라비아 군대였는데, 슬로베니아에서도 세르보-크로아티아어만 사용되었다.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슬로베니아어는 모든 공공 생활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2004년 슬로베니아의 유럽 연합 가입으로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가 슬로베니아어에 미친 영향은 구어속어에서 미미하게 계속되었다.[20]

요자 마흐니치는 2008년 2월 슬로베니아어가 가장 정교하고 전문적인 텍스트를 포함하여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언어라고 말했다.[21] 2010년 2월 야네즈 둘라르는 슬로베니아어가 위기에 처한 언어는 아니지만, 특히 과학과 고등 교육에서 그 범위가 축소되고 있다고 언급했다.[22][23]

2. 1. 초기 역사

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Brižinski spomeniki)은 슬로베니아어로 된 가장 오래된 문서로 간주된다.


모든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슬로베니아어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낳은 원시 슬라브어에서 기원한다. 슬로베니아어와 관련된 독립적인 기록된 방언의 가장 초기에 알려진 예는 슬로베니아어로 Brižinski spomenikisl로 알려진 프라이징 사본(Brižinski spomeniki)이다. 이 사본의 기원은 972년에서 1039년 사이(아마도 1000년 이전)로 추정된다. 이 종교적 글들은 어떤 슬라브어로도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있는 사본 중 하나이다.[16]

프라이징 사본은 현대 슬로베니아어보다 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원시 슬로베니아어를 기록한 것이다. 이 지역에는 오늘날 오스트리아의 카린티아와 슈타이어마르크 주 대부분, 동티롤, 남티롤의 푸스터 계곡, 그리고 상부와 하부 오스트리아의 일부 지역이 포함되었다.[16]

15세기까지 북부 지역의 대부분은 점진적으로 독일화되었다.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의 북쪽 경계는 카린티아의 클라겐푸르트 북쪽에서 빌라흐 남쪽과 헤르마고르 동쪽으로 이어지는 선에 안정되었고, 슈타이어마르크에서는 현재의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 국경과 거의 일치했다. 이 언어적 경계는 19세기 후반, 주로 카린티아에서 두 번째 독일화 과정이 일어날 때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원시 슬로베니아어는 북부 이스트리아와 트리에스테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중세 대부분의 기간 동안 슬로베니아어는 농민들의 방언이었지만, 독일어 또는 이탈리아어와 함께 슬로베니아 영토의 대부분의 도시에서도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귀족들의 언어로 독일어가 등장했지만, 슬로베니아어는 카린티아, 크라인, 슈타이어마르크 귀족들의 궁정 생활에서도 어느 정도 역할을 했다. 이는 슬로베니아어로 된 특정 의식 구절(예: 카린티아 공작의 의식적인 즉위)이 남아 있다는 사실로 증명된다. 1227년(또는 1238년)에 비너스의 모습으로 유럽을 여행하던 시인 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이 카린티아에 도착했을 때 베른하르트 폰 슈판하임이 그를 환영하면서 사용한 Buge waz primi, gralva Venus!sl('신이 당신과 함께하시기를, 비너스 여왕이시여!')라는 말은 이 지역의 고귀한 계층 사이에서 어느 정도 슬로베니아어에 대한 지식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이다.[17][18]

슬로베니아어로 인쇄된 최초의 단어인 stara pravdasl('옛 정의' 또는 '옛 법률'이라는 뜻)는 1515년 에서 슬로베니아 농민 반란을 진압한 독일 용병들의 시에 등장했다. 이 용어는 농민들의 표어이자 전투 구호로 제시되었다.[19] 표준 슬로베니아어는 종교 개혁 기간 동안 활동했던 슬로베니아 루터교 작가들의 작품 덕분에 16세기 후반에 등장했다. 이 시대의 가장 저명한 작가로는 슬로베니아어로 최초의 책을 쓴 프리모시 트루바르, 최초의 슬로베니아어 문법의 저자인 아담 보호리치, 그리고 성경 전체를 슬로베니아어로 번역한 유리 달마틴이 있다.

고중세부터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까지, 오늘날 슬로베니아 영토에서 독일어는 엘리트 계층의 언어였고 슬로베니아어는 일반 대중의 언어였다. 이 기간 동안 독일어는 슬로베니아어에 강한 영향을 미쳤고, 많은 독일어적 요소가 현대 구어 슬로베니아어에 남아 있다. 1920년대 이전의 많은 슬로베니아 과학자들도 당시 중앙 유럽 전역에서 과학의 lingua franca였던 독일어를 포함한 외국어로 글을 썼다.

2. 2. 근대 역사

표준 슬로베니아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형성된 국어로, 상카르니올라 방언군과 하카르니올라 방언군, 더 구체적으로는 류블랴나와 인근 지역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9] 16세기 프리모츠 트루바르는 류블랴나에서 20년 이상 거주하며 저술에 하카르니올라 방언과 류블랴나에서 사용되는 슬로베니아어를 함께 사용했다.[10][11] 트루바르가 선택한 언어는 다른 프로테스탄트 작가들에게도 채택되어 표준어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 18~19세기 초 언어 부흥기에 상카르니올라 방언은 대부분의 작가들이 사용했으며, 프랑스 프레셰렌도 류블랴나에서 생활하며 이 언어를 사용했다. 류블랴나의 언어는 점차 상카르니올라 방언군에 더 가까워졌다.[10]

오스트리아의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인과 이탈리아의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처럼 슬로베니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의무 교육이 이루어졌던 지역에서는 비표준 방언이 더 잘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우디네주의 레지아 방언과 토레 계곡 방언(Ter)은 다른 슬로베니아 방언과 큰 차이를 보인다.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의 서부 아파에 속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함께 분류된다. 차카브어,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깝지만, 슈토카브어 방언(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표준어의 기반)과는 계통적으로 멀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는 흐르바츠코 자고르예와 메짐우르예의 전이적인 카이카브어 방언과 높은 상호 이해도를 공유한다.[12] 슬로베니아어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톨락어 방언 등 동부 아파 언어를 포함한 모든 남슬라브어와 특정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방언과의 상호 이해도는 어휘, 문법, 발음 차이로 인해 방해받는다.[13] 카이카브어가 가장 상호 이해도가 높다. 슬로베니아어는 다른 남슬라브어에는 없는 서슬라브어파 언어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4][15]

19세기 낭만적 민족주의의 부상 과정에서 일리리즘과 범슬라브주의 문화 운동은 독일어 차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방언에서 유래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체코어 단어를 표준 슬로베니아어에 도입했다. 일부는 사라졌지만, 19세기 후반 많은 민족주의 작가들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를 풍부하게 사용했다. 프란 레브스틱과 요시프 유르치치가 그 예시이다. 세기말 시대에 제1세대 모더니스트 슬로베니아 작가들(특히 이반 찬카르)은 과도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차용 없이 더 "순수"하고 단순한 언어를 사용하며 이러한 경향을 역전시켰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영향력이 다시 증가했다. 젊은 세대의 슬로베니아 작가와 지식인들은 이에 반대했으며, 좌파 잡지 ''소도브노스트'' 관련 지식인들과 일부 젊은 가톨릭교 활동가 및 작가들이 가장 강력하게 반대했다. 1945년 이후, 이전 수십 년 동안 사용되었던 수많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들이 사라졌다. 그 결과 1910년대 슬로베니아어 텍스트는 1920년대와 1930년대 텍스트보다 현대 슬로베니아어에 더 가깝다.

1920년부터 194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공용어는 "세르보-크로아토-슬로베네어"였지만, 실제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 불과했다. 슬로베니아에서는 교육 및 행정에서 슬로베니아어가 계속 사용되었고, 많은 국가 기관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만 사용했으며, 슬로베니아의 많은 공공 생활 영역에서 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이중언어 사용이 적용되었다. 우체국, 철도, 행정 사무소에서는 슬로베니아어와 함께 세르보-크로아티아가 사용되었지만, 공무원들은 슬로베니아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했다.

같은 기간 서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리토랄과 내부 크라인 서부)는 이탈리아 행정부의 지배를 받으며 격렬한 파시스트 이탈리아화 정책을 겪었다. 베네토 슬로베니아, 고리치아, 트리에스테의 슬로베니아어 사용자들에게도 같은 정책이 적용되었다. 1923년부터 1943년까지 이 지역에서 슬로베니아어의 모든 공공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슬로베니아어 활동가들은 박해받았다.

1920년 카린티아 주민투표 이후, 오스트리아 행정부 지배하의 남부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에서는 덜 심각한 독일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1938년 안슐루스 이후, 카린티아에서도 슬로베니아어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어 언어 변화 과정이 가속화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린티아 주민의 약 21%가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지만, 1951년에는 10% 미만, 2001년에는 2.8%에 불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슬로베니아는 파시스트 이탈리아, 나치 독일, 헝가리추축국들 사이에 분할되었다. 점령군은 슬로베니아어를 억제하거나 완전히 억압하려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어는 연방의 공용어 중 하나였고, 슬로베니아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공공 생활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예외는 유고슬라비아 군대였는데, 슬로베니아에서도 세르보-크로아티아어만 사용되었다.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슬로베니아어는 모든 공공 생활 영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2004년 슬로베니아의 유럽 연합 가입으로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슬로베니아어에 대한 분열 이후의 영향은 구어속어에서 미미하게 계속되었다.[20]

요자 마흐니치는 2008년 2월 슬로베니아어가 가장 정교하고 전문적인 텍스트를 포함하여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언어라고 말했다.[21] 2010년 2월 야네즈 둘라르는 슬로베니아어가 위기에 처한 언어는 아니지만, 특히 과학과 고등 교육에서 그 범위가 축소되고 있다고 언급했다.[22][23]

3. 문자

슬로베니아어 알파벳은 25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A aB bC cČ čD dE eF f
G gH hI iJ jK kL l
M mN nO oP pR rS sŠ š
T tU uV vZ zŽ ž


4. 음운론

슬로베니아어는 21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체계를 갖추고 있다.[41] 방언이 매우 다양한 슬라브어 중 하나로, 방언 간 상호 이해도는 차이가 있다.[30] [31] [32] 방언의 수는 7개[33] [34] [35]에서 최대 50개[36]까지 기록되기도 한다. "마을마다 저마다의 목소리가 있다"(Vsaka vas ima svoj glassl)라는 슬로베니아 속담은 이러한 방언 차이를 잘 보여준다.

프레크무르예 방언은 한때 자체적인 문어 규범을 가지고 있었고,[39] 레지아 방언은 지역 국가 기관에서 사용하는 독립적인 문어 규범을 가지고 있다.[40] 이 두 방언은 다른 슬로베니아어 방언 화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 표준 슬로베니아어로 코드 전환을 해야 할 정도이다.

4. 1. 모음

슬로베니아어는 8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a/, /e/, /ɛ/, /ə/, /i/, /o/, /ɔ/, /u/가 있다.

4. 2. 자음

슬로베니아어는 21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집합을 가지고 있다.[41]

슬로베니아어 자음[57]
 양순음순치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colspan=2| colspan=2|  ()
파열음   
파찰음  ()  
마찰음 colspan="2" | ()
유음 colspan="2|colspan=2| colspan=2| 
전동음  colspan="2" |   


5. 문법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남슬라브어파의 서부 아파에 속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함께 분류된다.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차카브어 방언, 특히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깝지만, 슈토카브어 방언(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표준어의 기반)과는 계통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일반적인 슬로베니아어, 특히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는 흐르바츠코 자고르예와 메짐우르예의 전이적인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장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도를 공유한다.[12] 또한, 슬로베니아어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톨락어 방언 등 동부 아파에 속하는 언어들을 포함한 모든 남슬라브어와 특정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여러 방언과의 상호 이해도는 어휘, 문법 및 발음의 차이로 인해 방해를 받는다.[13] 카이카브어가 가장 상호 이해도가 높다. 슬로베니아어는 다른 남슬라브어에는 없는 서슬라브어파 언어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4][15]

슬로베니아어는 21개의 독립적인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슬로베니아어 자음 음소[42]
colspan=2|순음치음/
치경음
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
파열음무성음
유성음
파찰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유음
설측음



모든 유성 파찰음은 단어 끝에서 다음 단어가 모음이나 유성 자음으로 시작하지 않는 한 무성화된다. 자음군에서는 유성/무성의 대립이 중화되고 모든 자음은 자음군에서 가장 오른쪽에 있는 음절(즉, 자음군의 마지막 자음)의 유성을 따른다. 이러한 맥락에서 , , 는 각각 , , 의 유성 동소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예: vŕh drevésasl ).[43]

는 문맥에 따라 여러 동소변이음을 갖는다.


  • 모음 앞에서는, 발음은 순치음 [44] (로도 설명됨)[45]이다.
  • 모음 뒤에서는, 발음은 양순음 이며 이중모음을 형성한다.[44][45]
  • 음절의 처음에, 자음 앞에 올 때 (예: vsisl "모두"), 발음은 화자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많은 화자들은 이 위치에서 를 완전한 모음 로 바꾼다.[44][45] 자음 발음을 유지하는 화자들에게는 유성 자음 앞에서는 로, 무성 자음 앞에서는 로 발음된다.[44][45] 따라서 vsisl는 이중절 또는 단일절 로 발음될 수 있다.


, , 순서는 모음 앞에만 나타난다.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서는 각각 , , 로 축약된다. 이것은 의 경우 철자에 반영되지만 와 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어떤(다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음절 끝의 가 가 되어 그 위치의 의 동소변이음과 합쳐질 수 있다.

다른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SVO 어순을 취하며, 명사를 포함하여 풍부한 격변화를 가진다. 다른 남슬라브어에 존재하는 호격이 소실되어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처격, 도구격의 여섯 가지 격을 갖는다.

6. 방언

슬로베니아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표준어는 류블랴나 방언이지만, 북동부의 마리보르 방언이 부상하면서 두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표준 슬로베니아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형성되었으며, 상카르니올라 방언군과 하카르니올라 방언군, 특히 류블랴나와 그 주변 지역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9] 16세기에 프리모츠 트루바르는 저술에 하카르니올라 방언을 사용했으며, 20년 이상 류블랴나에 거주하면서 류블랴나에서 사용되는 슬로베니아어도 함께 사용했다.[10][11] 트루바르는 류블랴나의 언어를 표준 슬로베니아어의 기초로 선택하고, 자신의 고향 방언인 하카르니올라 방언을 일부 추가했다.[10][11] 트루바르의 선택은 다른 프로테스탄트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더 표준적인 언어 형성에 기여했다. 프랑스 프레셰렌을 포함한 대부분의 작가와 시인들은 18세기와 19세기 초 언어 부흥기에 상카르니올라 방언을 사용했으며, 이들은 류블랴나에서 생활하며 활동했다. 류블랴나의 언어는 점차 상카르니올라 방언군에 더 가까워지고 있었다.[10]

오스트리아의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인과 이탈리아의 슬로베니아 소수 민족처럼 슬로베니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의무 교육이 이루어진 지역에서는 비표준 방언이 더 잘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우디네주의 레지아 방언과 토레 계곡 방언(Ter)은 다른 슬로베니아 방언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의 서부 아파에 속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함께 분류된다.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차카브어 방언, 특히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깝지만, 슈토카브어 방언(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표준어의 기반)과는 계통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를 포함한 일반적인 슬로베니아어는 흐르바츠코 자고르예와 메짐우르예의 전이적인 카이카브어 방언과 가장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도를 공유한다.[12] 슬로베니아어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톨락어 방언 등 동부 아파에 속하는 언어를 포함한 모든 남슬라브어와 특정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여러 방언과의 상호 이해도는 어휘, 문법, 발음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13] 카이카브어가 가장 상호 이해도가 높다. 슬로베니아어는 다른 남슬라브어에는 없는 서슬라브어파 언어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4][15]

슬로베니아어 모음 (Šuštaršič, Komar, Petek, 1999, p. 137 참조). /ɐ/는 표시되지 않음.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5모음 체계와 비교하여 8모음[46][47](또는 Peter Jurgec에 따르면 9모음)[48][49] 체계를 가지고 있다.

슬로베니아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고중모음rowspan="2" |
중모음
준개모음
개모음



슬로베니아어는 약 50개 정도의 방언이 있으며, 다음 8개의 방언군으로 나뉜다.

# 코로슈카 방언군

# 프리몰스카 방언군

# 로우탈스카 방언군

# 고렌스카 방언군

# 드렌스카 방언군

# 슈타이어르스카 방언군

# 판노니아 방언군

# 코체우스카 방언군

코체우스카 방언군은 다른 방언군보다 훨씬 늦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언학에서는 독립된 방언군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코체우스카 방언군을 제외하고 노트란스카 방언군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노트란스카 방언군은 프리몰스카 방언군과 드렌스카 방언군의 중간적인 특징을 가지므로 프리몰스카 방언군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방언 분포와 지리적·행정적인 지역 구분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며, 방언군의 명칭과 지역명도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슬로베니아어는 화자 인구에 비해 방언이 많고, 방언 간 차이가 커서 같은 슬로베니아어라도 방언이 다르면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슬로베니아어 사용 지역이 높은 산, 숲, 늪지, 하천 등으로 변화가 풍부한 지형에 분포하여 문화, 정치, 경제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고, 고립된 행정 단위에서 생활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독일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프리울리인, 크로아티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오랫동안 영향을 받은 것도 방언 차이가 커진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56]

참조

[1] 웹사이트 Slovenski pravopis 2001: slovenščina http://bos.zrc-sazu.[...]
[2] 웹사이트 Slovenski pravopis 2001: slovenski http://bos.zrc-sazu.[...]
[3] 웹사이트 Slovenski pravopis 2001: jezik http://bos.zrc-sazu.[...]
[4] 뉴스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2010 http://www.stat.si/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0-02-19
[5] 웹사이트 Österreichischer Staatsvertrag https://www.ris.bka.[...]
[6] 웹사이트 Hungary: demographic situation, languages and religions https://eurydice.eac[...]
[7] 웹사이트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www.parlament[...]
[8] 뉴스 Tikanje, VIkanje, (na) polVIkanje in ONIkanje https://www.rtvslo.s[...] MMC RTV Slovenia 2017-01-04
[9] 서적 Slovenski Biografski Leksikon
[10] 논문 Osnove Trubarjevega jezika 1965
[11] 논문 Nekdanja ljubljanščina kot osnova Trubarjevega jezika 1965
[12] 서적 A Short Reference Grammar of Slovene LINCOM
[13]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14] 웹사이트 Jezikovni položaj http://www.vlada.si/[...]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lovenia
[15] 웹사이트 Similar languages to Slovenian https://www.ezglot.c[...] EZ Glot
[16] 서적 Karantanija: izbrane razprave in članki Slovenska matica
[17] 논문 Od koroskega gralva 1238 do rezijanskega krajaua 1986 http://www.ff.uni-lj[...] Faculty of Arts, University of Ljubljana
[18] 서적 On Slovene Language European Parliament Information Office for Slovenia, Ministry of Cultur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Government Office for European Affairs of the Republic of Slovenia
[19] 서적 Ilustrirana zgodovina Slovencev Mladinska knjiga
[20] 서적 The Balkans in Focus: Cultural Boundar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02
[21] 뉴스 Družina: Slovenščina se siromaši "v ustih domišljavih bedakov" http://www.druzina.s[...] Družina 2008-08-24
[22] 뉴스 Linguist Says Slovenian Language Not Endangered http://www.sta.si/en[...] Slovenian Press Agency 2010-02-21
[23] 뉴스 Bo slovenščina nekoč le orodje preprostega sporazumevanja? http://www.rtvslo.si[...] MMC RTV Slovenia 2010-02-21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https://www.stat.si/[...]
[25] 뉴스 Tanja Fajon: We seek intensive cooperation with Styria and support for the Slovenian minority https://www.gov.si/e[...] 2024-01-10
[26] 뉴스 Statement by the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on the 69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Austrian State Treaty https://www.gov.si/e[...] 2024-05-15
[27] 뉴스 Steirische Slowenen: immer brav und ruhig https://www.furche.a[...] 2005-05-19
[28] 뉴스 Die vergessenen Steirer https://www.derstand[...] 2011-04-29
[29] 웹사이트 Many Languages, One America http://www.usefounda[...] Usefoundation.org
[30] 뉴스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http://www.stat.si/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09-02-19
[31] 서적 Survival and Development of Language Communities: Prospect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2-11-13
[32] 서적 A Guide to the World's Languages: Classifica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Yugoslavia: A Country Study American University
[34] 서적 Slovene Elsevier
[35]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 Linguistics: Sca-Spe Elsevier
[36]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Zarys dialektologii południowosłowiańskiej PAN
[38] 논문 On 'Drift' in Indo-European Gender Systems.
[39] 서적 Slovensko jezikoslovje danes in jutri https://books.google[...] Zavod Republike Slovenije za Šolstvo
[40] 웹사이트 IDENTITÀ RESIANA FRA "MITO" E IDEOLOGIA: GLI EFFETTI SULLA LINGUA http://www.openstart[...]
[41] 참고자료
[42] 참고자료
[43] 참고자료
[44] 참고자료
[45] 참고자료
[46] 참고자료
[47] 참고자료
[48] 참고자료
[49] 참고자료
[50] 참고자료
[51] 뉴스 Kako uporabljati določne pridevnike http://www2.arnes.si[...] ŠUSS 2005-06-02
[52] 웹사이트 Searching the Dictionary of Standard Slovenian http://bos.zrc-sazu.[...] Fran Ramovš Institute of Slovenian Language, ZRC SAZU 2008-03-10
[53] 웹사이트 European Dictionary Portal: Slovene http://www.dictionar[...] European Network of e-Lexicography
[54] 웹사이트 Official Slovene Translation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 International Treaties, No. 3/18) https://www.ohchr.or[...]
[5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56] 참고자료
[57] 참고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