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동강철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동강철교는 러일 전쟁 당시 전쟁 물자 수송을 위해 경의선 철도 부설과 함께 평양 대동강에 건설된 다리이다. 1905년 목교로 처음 건설되었으며, 이후 철교로 개축되었다. 1942년에는 경부선 및 경의선 복선화 공사로 인해 신설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유엔군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었으며, 1986년에는 인도교인 양각교가 나란히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강의 교량 - 벽라교
    벽라교는 일제강점기 평양의 모란봉과 능라도를 잇던 다리로, 능라도 수원지의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는 수도관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 대동강의 교량 - 충성의 다리
  • 평양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평양시의 교통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평양시의 건축물 - 동평양대극장
    동평양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위치한 극장으로, 혁명가극, 연극 공연과 조선로동당 집회가 열리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평양시의 건축물 - 금수산태양궁전
    평양에 위치한 금수산태양궁전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시신이 안치된 기념궁전으로, 과거 김일성의 관저였던 건물을 개조하여 건설되었으며, 웅장한 건축물과 전시물을 갖추고 김씨 일가 우상화 수단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대동강철교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종류철도 교량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착공1904년
개통1905년
이전 개통1950년 8월
재건축1953년
역사
최초 건설1904년 러일 전쟁 중 일본군에 의해 군용 철도 교량으로 건설됨.
파괴한국 전쟁 중 폭격으로 파괴됨.
재건1953년 재건됨.
전쟁 중 파괴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의 후퇴를 늦추기 위해 미군에 의해 파괴됨.
재개통1950년 8월
1950년 폭파1950년 12월 중공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다시 폭파됨.
특징
중요 지점경의선의 중요한 지점이었음.
현재현재도 철도 교량으로 사용 중임.

2. 역사

대동강철교는 러일 전쟁 당시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경의선을 건설하면서 평양의 대동강 구간에 놓은 철교로, 1905년 3월 24일에 준공되었다.[2][3][4] 처음에는 임시 목교였다가 1907년 철교로 개축하는 공사를 시작하여[7] 1909년 제1, 제2 철교가 준공되어 6월 6일에 낙성식을 가졌다.[8]

1930년대 말 경부선경의선 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낡은 대동강 철교도 새로 짓는 방안이 검토되어,[9] 1938년 4월에 공사를 시작,[10] 1942년에 완공되었다.[3][11]

한국 전쟁 시기에는 중국인민지원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UN군 측이 다리를 파괴했다.[3][12] 이때 수많은 피난민들이 끊어진 다리에 매달려 있는 사진은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널리 알려졌다.[13][14] 파괴된 철교는 전쟁 후에 복구되었다.

1986년에는 대동강철교와 같은 위치에 인도교인 양각교(羊角橋)가 나란히 건설되어 옆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두 다리가 잘 구분되지 않는다.

참고로, 사람과 차량 통행을 위한 최초의 대동강 인도교인 대동교는 1923년 11월 30일에 준공되었다.

2. 1. 건설 배경

러일 전쟁 당시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경의선을 건설하면서 평양의 대동강 구간에 철교를 놓게 되었고, 1905년 3월 24일에 준공되었다.[2][3][4] 대동강철교는 남쪽의 대동강역과 북쪽의 평양역을 연결하는 다리로 대동강 속의 섬 양각도(羊角島)를 지난다.

처음에는 철교가 아닌 임시목교(臨時木橋)였기 때문에 철교로 다시 건설하기 위해 양각도 주민 40여 호 중 절반인 20여 호를 이주시키려 하자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5] 목교는 수해로 끊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에[6] 1907년에 철교로 바꾸는 공사를 시작하여[7] 1909년 제1, 제2 철교가 준공되었고, 6월 6일에 낙성식을 가졌다.[8]

2. 2. 초기 건설 (1905년)

러일 전쟁 당시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경의선을 건설하면서 평양의 대동강 구간에 놓은 철교로, 1905년 3월 24일에 준공되었다.[2][3][4] 대동강역평양역을 연결하며 대동강 속의 섬 양각도(羊角島)를 지난다.

처음에는 철교가 아닌 임시 목교였기 때문에 철교로 재건설하는 과정에서 양각도 주민 40여 호 중 절반인 20여 호를 이주시키려 하자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5] 또한 목교는 수해로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6]

2. 3. 철교 개축 (1909년)

러일 전쟁 당시 경의선 건설과 함께 평양 대동강 구간에 놓인 임시 목교(木橋)는 수해 등으로 자주 끊어졌다.[6] 1907년 철교 개축 공사가 시작되어[7] 1909년 제1, 제2 철교가 준공되었고, 6월 6일에 낙성식이 열렸다.[8] 철교 건설을 위해 양각도 주민 40여 호 중 절반인 20여 호를 이주시키려 하자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5]

2. 4. 복선화 및 신설 (1942년)

1930년대경부선경의선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면서 노후화된 대동강 철교도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되었고[9], 1938년 4월에 공사를 시작하여[10] 1942년에 완공되었다.[3][11]

2. 5. 한국 전쟁과 폭파 (1950년)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북한군소련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을 침략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유엔군을 파병했다.[3] 그러나 중국인민지원군이 개입하면서 전세는 역전되었고, 유엔군은 남하하는 중국인민지원군을 저지하기 위해 대동강철교를 파괴하기로 결정했다.[3][12]

1950년 12월 4일, 미군중국인민지원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대동강철교를 폭파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피난민들이 끊어진 다리에 매달려 대동강을 건너는 비극적인 상황이 연출되었다.[13][14] 이 장면은 종군기자 맥스 데스포의 사진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으며,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2. 6. 전후 복구 및 현재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UN군이 대동강철교를 파괴했다.[3][12] 이후 파괴된 철교는 복구되었다.

1986년, 대동강철교와 같은 위치에 인도교인 양각교(羊角橋)가 나란히 건설되어 옆에서 보면 두 다리가 잘 구분되지 않는다.

3. 사진 자료

대동강철교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초기 목교'''

  • '''철교 개축 후'''

  • '''한국 전쟁 당시'''

3. 1. 초기 목교

1905년 최초 건설 당시 대동강철교는 임시 목교 형태였다.

3. 2. 철교 개축 후

3. 3. 한국 전쟁 당시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의 개입으로 UN군이 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수많은 피난민들이 남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대동강철교로 몰려들었다. 1950년 12월 3일, 이미 폭파되어 끊어진 철교를 필사적으로 건너는 피난민들의 모습은 전쟁의 참혹함과 절박함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특히, 얼어붙기 직전의 강물 위로 얼음 조각이 떠다니는 대동강을 건너는 피난민들의 모습은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짐작하게 한다.

3. 4.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구글 지도 대동강철교 위치 보기 https://www.google.c[...]
[2] 웹사이트 대동강철교 http://encykorea.aks[...]
[3] 뉴스 (책갈피 속의 오늘) 1905년 대동강철교 완교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5-03-23
[4] 간행물 경평철도 https://www.bigkinds[...] 대한매일신보 1905-02-10
[5] 간행물 雜報 / ●島民可矜 https://www.bigkinds[...] 皇城新聞 1905-10-03
[6] 간행물 雜報 /大同增漲 https://www.bigkinds[...] 皇城新聞 1908-08-02
[7] 간행물 雜報 / 大同鉄橋 https://www.bigkinds[...] 大韓每日申報 1907-05-08
[8] 간행물 雜報 / 鉄橋落成 https://www.bigkinds[...] 大韓每日申報 1909-05-30
[9] 뉴스 大同江鐵橋新設後 舊橋는 炭坑專用 鐵道當局意嚮決定 每日申報 1937-05-17
[10] 간행물 大同江鐵橋 起工期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38-04-08
[11] 간행물 力浦大同江間 複線運轉開始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40-12-03
[12] 뉴스 유엔군 철수 직후의 평양 전경 http://db.history.go[...] 조선일보 1950-12-13
[13] 웹사이트 “대동강철교 이읍시다…내 제안에 선우휘가 나섰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7-08-10
[14] 뉴스 한국전쟁 참상 세계에 알린 '대동강철교 사진' 기억하세요? 워싱턴 중앙일보 2009-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