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06년 경의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현재 역사는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된 건물이며, 5개의 승강장과 3면 6선의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평양역은 평남선, 평의선, 평부선, 평라선, 평덕선 등 여러 노선이 지나는 북한 철도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한다. 남북통일 이후에는 한반도 북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의 철도역 - 대동강역
    대동강역은 1911년 개통된 평부선과 평덕선의 분기역으로, 평양역에서 분기하여 력포역과 동평양역 방향으로 이어지며, 한국 전쟁 중에는 대한민국 육군 군용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 평양시의 철도역 - 보통강역
    보통강역은 평남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평양역과 칠골역 사이에 있으며, 평양 지하철 및 궤도전차로 환승이 가능하고, 역 이름은 주변의 보통강에서 유래되었다.
  • 중구역 - 만수대의사당
    만수대의사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가 열리는 평양에 있는 건물이며, 2,000석 규모의 회의장과 동시통역 설비를 갖추고 북한의 주요 정치적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징적인 건물이다.
  • 중구역 - 인민극장
    인민극장은 김일성 탄생 100돌을 기념하여 개관한 북한의 극장으로, 1,500석의 원형 생음극장과 500석의 지하극장을 갖춘 대규모 시설이다.
  • 평양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평양시의 교통 - 대동강철교
    대동강철교는 1905년 경의선 건설 당시 대동강에 놓여 대동강역과 평양역을 연결하고 양각도를 지나는 철교로, 러일 전쟁 물자 수송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잦은 수해로 철교로 대체, 복선화되었고 한국 전쟁 때 파괴 후 복구되어 현재에 이른다.
평양역
기본 정보
기차역의 거리 정면
역 이름평양역
모국어 이름평양역
모국어 표기 언어ko
한자 표기평양역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P'yŏngyang-yŏk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Pyeongyang-yeok
위치평양시 중구역 역전동
국가북한
개업일1906년
재건축1958년
전철화 여부
소유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이전 소유주조선총독부 철도국
승강장 수3개 (2개 섬식 승강장)
선로 수6개
연결 노선평양 지하철 천리마선 (영광역)
평양 궤도전차 1호선
평양 무궤도전차 1, 2, 10번 노선
구글 지도 검색어평양역
노선 정보
소속 노선평남선
평의선 (경의선)
평부선 (경의선)
평라선 (평원선)
평덕선
평남선 이전 역없음
평남선 다음 역보통강역
평의선 이전 역없음
평의선 다음 역서평양역
평부선 이전 역없음
평부선 다음 역대동강역
평라선 이전 역없음
평라선 다음 역서평양역
평덕선 이전 역없음
평덕선 다음 역대동강역
기타 정보
전보 약호없음
역 구조지상역
홈 구조3면 5선
승객 수정보 없음
환승평양 지하철 천리마선 영광역
평양 궤도전차 1호선 평양역 정류장

2. 역 구조

평양역은 지상역으로 1958년에 스탈린 양식으로 재건되었다.[6] 승강장은 5번까지 있으며, 1번 승강장이 가장 넓다.

2. 1. 건물 구조

평양역은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이다. 지하 1층에는 당 간부 및 내각 관료를 위한 특별 매표소가 있고, 1층에는 대합실, 화장실, 매표소, 검표소가 있다. 2층에는 당 지도국과 철도성 사무실이, 3층에는 역무실과 식당이 있다.[6]

평양역은 지상역으로, 높이 47m[8]의 팔각형 시계탑이 지붕 위에 있는 스탈린 양식 건물이다. 시계탑 앞에는 김일성김정일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시계탑 바로 아래는 개방된 현관 홀로 되어 있으며, 1층 벽에는 열차 운행 상황을 보여주는 흑백 TV가 설치되어 있다.[8] TV 위에는 열차 출발 및 도착 시간표가 게시되어 있지만, 국제 열차 정보는 없다.[8] 홀 내부에는 안내소와 우편 취급소도 있다.[8]

개찰구는 현관 홀 북쪽 통로 끝과 지하에 두 곳이 있으며, 두 곳 모두 대합실이 있다.[8] 지하는 전력 부족으로 조명이 꺼져 있는 경우도 있다.[8]

매표소는 역사 안에 없고, 역사 남쪽의 별도 건물 2층에 있다.[8]

승강장은 5번 선까지 있다. 1번 승강장은 단체 여행객용 버스나 전용차가 직접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으며,[8] 외국인 관광객이 이용하는 열차는 주로 1번 승강장에 도착한다. 다만, 중국인 단체 관광객 전용 열차는 다른 승강장을 이용하기도 한다.[8]

2. 2. 승강장

평양역은 3면 6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2개는 섬식 승강장이다.[8] 5번 승강장까지 있으며, 특히 1번 승강장은 폭이 넓어 단체 여행객용 버스나 전용차가 직접 들어올 수 있다.[8] 외국인 관광객이 이용하는 열차는 주로 1번 승강장에 도착하며, 중국인 단체 관광객 전용 열차는 1번 승강장 외 다른 승강장에도 도착한다.[8]

2. 3. 특이사항

매일 오전 6시, 역의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어디 계세요, 친애하는 장군님?이 연주된다. 어떤 사람들은 이 노래가 지역 주민들을 위한 아침 알람으로 의도된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7]

1층 벽에는 열차 운행 상황을 보여주는 흑백 TV가 설치되어 있다.[8] TV 위에는 열차 출발 및 도착 시간표가 게시되어 있지만, 국제 열차에 대한 정보는 없다.[8] 매표소는 역사 안에 없고, 역사에서 남쪽으로 떨어진 건물 2층에 있다.[8]

3. 역 주변

평양역은 평양시가지 남서쪽 끝에 위치하며, 대동강과 가깝고 양각교를 통해 양각도로 연결된다. 영광거리는 평양역에서 시작해 중심지를 관통하는 승리거리로 이어진다. 역 주변에는 상점, 사업소, 아파트 등이 있다.

평양역 주변 도로는 영광거리, 역전거리, 서문거리 등이 있다. 역전거리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고, 평양역전백화점이 있다. 창광거리에는 고려호텔과 조선우표전시관이 있다. 영광거리는 2009년 12월 현대적으로 재개발되었으며,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의학대학이 인근에 있다.

역 앞에는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 영광역, 노면전차 정류장, 트롤리버스 정류장이 있고, 택시도 상주한다.[1]

3. 1. 주요 시설

평양역 동쪽(역사 쪽)에는 평양역전백화점이 있고, 도보 10분 거리에 고려호텔이 있다. 창광거리에는 조선우표전시관이 있어 북한에서 생산된 우표달력을 판매한다. 영광거리에는 김책공업종합대학평양의학대학이 있다. 평양역 주변은 북한 당 중앙위원회 고위 간부나 내각 관료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고층 아파트, 일반 주택, 종합 편의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의 영광역이 근처에 있다.

주요 시설
고려호텔
평양역전백화점
평양의과대학병원
평양제1백화점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의과대학
평양인쇄대학
평양국제문화회관
전승영화관
조선대외문화련락회관
평양대극장


3. 2. 주변 지역 특징

평양역 주변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고위 간부나 내각에서 정책을 연구하거나 실시하는 관료들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서 인정받아 활동하는 내각 관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고층 아파트와 일반 주택, 종합 편의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평양에서 만수대 다음가는 핵심 지역이다.[1]

4. 연혁

1906년 4월 3일 경의선(서울-신의주 간)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8] 1908년 4월 1일 일반 여객 영업을 개시하였다. 초대 역사는 목조의 간소한 역사였으나, 일제강점기에 2층짜리 서양식 건축 양식의 2대 역사로 개축되었다.[8] -- 1920년대 당시 한국을 점령하고 있던 일본 제국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건축 양식은 같은 시기에 건설된 서울역과 유사했다.[5]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공습으로 역사가 파괴된 후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현재의 3대 역사로 재건되었다.[6][9][8]

5. 노선

평양역은 평부선, 평의선의 시발역이며, 평남선평덕선도 이 역을 이용한다. 평양역은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 신의주, 남포, 사리원, 개성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2][3][4] 서울과의 정기 열차 운행은 남북 분단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역에서는 평양 지하철 영광역(천리마선)과 평양 트램 1호선, 평양 트롤리버스 1, 2, 10번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5. 1. 연결 노선

노선방면
평남선남포 방면
평의선신의주 방면
평부선개성 방면 (이론상 서울 경유 부산까지 연결)
평라선라진 방면 (간리역까지 평의선과 선로 공유)
평덕선덕천 방면 (대동강역까지 평부선과 선로 공유)



평양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역으로서, 평남선, 평의선, 평부선, 평라선, 평덕선 등 5개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8] 평라선은 간리역까지 평의선과, 평덕선은 대동강역까지 평부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5. 2. 국제 열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역인 평양역에서는 국제 열차가 주 4회(24시간) 운행하며 베이징(베이징역)과 연결된다.[2] 압록강 건너편에 있는 단둥시와도 연결된다.[3] 모스크바(야로슬라프스키역)까지 가는 초장거리 열차(약 일주일 소요)도 운행된다.[4]

6. 남북통일 이후 전망

남북통일 이후 평양역은 경의선의 주요 역이자 평원선, 평라선의 출발역으로서 한반도 북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러시아와의 국제 열차 운행 확대 가능성이 높다.[2][3][4] 동대구역 규모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으며, 구 평양역 역사 보존 및 신 역사 건설, 또는 대전역이나 대구역처럼 현대적 시설로 재건축될 가능성도 있다. 평양시는 통일 후에도 평안도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위키 Information :ja:平壌駅#.E5.B0.86.E8[...]
[2] 웹사이트 K27 and K28 Beijing to Pyongyang train TrainReview https://web.archive.[...] 2020-10-31
[3] 웹사이트 Train 51 and 52 Dandong to Pyongyang train TrainReview https://web.archive.[...] 2020-10-31
[4] 웹사이트 Train 651Ж and 652Ж Tumangang (DPRK) Moscow train TrainReview https://web.archive.[...] 2020-10-31
[5] 웹사이트 Pyongyang Railway Station https://www.visitthe[...] 2019-05-23
[6] 웹사이트 Pyongyang train station to be refurbished – Railroad Ministry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www.nknews.or[...] 2014-02-04
[7] 웹사이트 Morning Chorus, Pyongyang's 6AM Wake Up Call https://www.nknews.o[...] 2017-07-28
[8] 위키 평남선은, 당역 방면의 노선의 다른, [[보통강역]]에서 평의선・[[서평양역]]에 단락하는 선로([[연락선|단락선]])가 있다.
[9] 서적 今日の朝鮮 外国文出版社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