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의선은 서울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인 1905년에 용산~신의주 구간이 개통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 분단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2000년대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복원 사업이 추진되었다. 현재는 서울역에서 도라산역까지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KTX가 운행하며, 과거 통근열차와 새마을호, DMZ-train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경의선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경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의선 |
로마자 표기 | Gyeonguiseon |
한자 표기 | 京義線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여객/화물, 광역철도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소유 기관 | 한국철도공단 |
노선 길이 | 56.1km |
궤간 | 1,435mm |
선로 수 | 복선 (서울 - 문산) / 단선 |
전철화 방식 | 교류 25kV/60Hz 가공 전차선 |
노선 번호 | 303 |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실제 개통), 1908년 4월 1일 (여객 영업 개시),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비스) |
기점 | 서울역 |
종점 | 도라산역 |
역 수 | 23 |
운행 정보 | |
운영 회사 | 한국철도공사 |
차량 기지 | 문산, 고양 |
사용 차량 | KTX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예정) |
최고 속도 | 90~120km/h |
역사 | |
실제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
여객 영업 개시일 | 1908년 4월 1일 |
수도권 전철 서비스 개시일 | 2009년 7월 1일 |
노선 정보 | |
전철화 구간 | 서울 ~ 도라산 |
기타 정보 | |
![]() | |
![]() |
2. 역사
경의선은 원래 평양과 신의주까지 이어져 남만주 철도와 연결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철도 시스템이 아시아와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되었다.[1]
19세기 말 대한제국은 경의선을 자체적으로 건설하려 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1] 일본 제국은 부산에서 서울까지 경부선 건설 권리를 얻은 후, 경의선 건설 사업을 북쪽으로 더 연장하는 사업의 지배권을 확보하려 했다. 이들은 경의선을 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인식했다.[1] 러일 전쟁 발발과 함께 일본은 한국의 중립 선언을 무시하고 인천으로 병력을 수송하여 한국 정부로 하여금 군사 작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본군이 철도 사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1] 일본군은 경의선 건설을 시작했고, 철도와 관련하여 병영이 설치되었는데, 그중 가장 큰 것은 서울의 종착역인 용산역 근처에 있었다.[1]
1906년 4월 3일 경의선 전 구간 화물 운송이 시작되었다.[2]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는 38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경의선 역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로 문산역-개성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39] 휴전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역-문산역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의선 복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7년 남북 열차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고,[3][4] 2007년 12월부터 개성공단 전용 화물열차가 대한민국 문산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문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했으나,[5] 2008년 11월 운행이 중단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적극적인 대북 정책을 추진했고,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동해선과 함께 경의선 현대화 사업을 재개하여 남북 철도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
1989년 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 대책의 일환으로 경의선을 개량하여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20] 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DMC) ~ 문산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6]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 연장 구간은 2020년 3월 28일 개통되었다.[11]
2. 1. 일제강점기 (1905년~1945년)
1902년 기공된 경의선은 1896년 프랑스 피브릴(Fives Lile)사가 처음으로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조달이 어려워 부설권을 상실하였다.[1] 1899년 대한철도회사가 다시 특허를 얻었다가 또 다시 실패하자 1900년 정부 기관인 내장원(內藏院)에 서부철도국을 두고 서울 ~ 개성 구간 선로 측량을 시작하였다. 그 뒤 1904년 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은 서울 ~ 신의주 구간 군용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였다. 일본제국은 이를 대륙 침략 노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사를 서둘렀다.[1] 1904년 3월 용산 ~ 개성 구간의 노반공사에 착수, 1905년 평양 - 신의주 구간이 완공되어 용산 ~ 신의주 구간에 직통운전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 청천강·대동강 철교가 준공되면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2]- 1905년 11월 5일: 용산역~신의주역 구간 개통.[22]
- 1906년 4월 3일: 경의선 전구간 개통.
- 1908년 4월 1일: 경의선 각역 영업개시, 특급열차 융희호가 본선에 투입됨.[23]
- 1908년 12월 16일: 금촌역 개업.[23]
- 1911년 4월 15일: 잠성역(岑城驛)을 금교역으로 개명함.[24]
- 1911년 11월 1일: 기존의 신의주역을 신의주하급소역으로 개칭하고 신의주역(신의주청년역)을 현재위치에 새로이 개업함. 이 결과 신의주역과 신의주하급소역 구간(강안선)이 본선과 분리됨. 압록강철교(조중우의교)의 완성으로 신의주역은 안둥역(단둥역)과 연결됨.[25]
- 1914년 10월 1일: 맹중리역 개업.[26]
- 1921년 7월 11일 : 남대문~수색 간 개통, 신촌역 개업.[27]
- 1923년 7월 1일: 능곡역, 봉동역, 여현역, 계동역(정방리역), 석암역 개업.[23]
- 1926년 10월 1일: 대동강역 개업.[23]
- 1926년 12월 1일: 신봉산역(동사리원역) 개업.[23]
- 1929년 11월 16일: 서평양역 개업.[28]
- 1930년 12월 25일: 서소문역, 아현리역 개업.[29]
- 1931년 12월 20일: 평산역(태백산성역) 개업.[30]
- 1934년 2월 11일: 간리역 개업.[31]
- 1934년 11월: 특급열차 히카리호가 본선에 투입되기 시작함.
- 1938년 7월 16일: 대교역, 하단역 개업.[32]
- 1938년 9월 1일: 임진강역의 임시영업이 시작됨. 이 역은 경성역 기점 51.9 km 지점에 있었고 영업시한은 1941년 3월 31일까지였음.[33]
- 1939년 12월 1일: 문무리역(문무역) 개업.[34]
- 1939년 11월 1일: 화북교통주식회사소속 특급열차 흥아호(興亞號)가 본선에 투입됨.
- 1941년 5월 7일: 임진강역의 영업시한이 같은 해 10월 31일까지 연장됨.[35]
- 1943년 5월 15일: 평양역~신의주역 구간의 복선공사가 완료.[36]
- 1943년 10월 16일: 양시선의 남신의주역이 본선과의 환승역으로 전환됨.[37]
- 1944년 3월 31일: 서소문역, 아현리역 폐지.[38]
2. 2. 남북 분단과 한국전쟁 (1945년~1953년)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는 38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경의선 역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로 문산역-개성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39] 휴전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역-문산역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경의선의 도라산역~신의주 구간을 평부선과 평의선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국 전쟁 이전까지 남측에서는 여객열차가 용산역~토성역 구간에 통행하였다. 이 때 북측에서는 사리원역이 종착역이었다.[39]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문산역~개성역 구간이 폐지되고 본선의 구간은 서울역~문산역으로 단축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구간에 대해서는 평부선, 평의선, 백마선 문서를 참고.
2. 3. 경의선 복원 및 남북 철도 연결 노력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의선 복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2년 대한민국에서 도라산역이 신설되었고, 2007년에는 남북 열차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3][4] 2007년 12월부터 개성공단 전용 화물열차가 대한민국의 문산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판문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했으나,[5]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등으로 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2008년 11월 운행이 중단되었다.문재인 정부는 적극적인 대북 정책을 추진했고,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동해선과 함께 경의선 현대화 사업을 재개하여 남북 철도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
2. 4.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1989년 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 대책의 일환으로 경의선을 개량하여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도록 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20] 그러나 그해 12월 2기 지하철, 일산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의선 전철화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고, 일산 지역 교통 대책으로는 일산선만 건설되었다.[21]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99년 착공되어 200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고, 2005년 지상화로 합의하여 사업이 재개되었다.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 (DMC) ~ 문산 구간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6] 특히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에 대비하여 능곡역 ~ 문산역까지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을 2배로 넓게 설계하였다. 또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강매역이 폐역되었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 연장 구간은 2020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다.[11]
3. 노선 정보
경의선은 1906년 4월 3일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역 신설 및 폐지를 겪었다. 주요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노선 거리: 56.0km
- 궤간: 1435mm(표준궤)
- 역 수: 23개 (기종점역 포함)
- 복복선 구간: 가좌역 - 능곡역 (10.6km)
- 복선 구간: 서울역 - 가좌역, 능곡역 - 문산역 (35.7km)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교류 25kV, 60Hz)
경의선에는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30301 | 효창선 | 용산역 | 효창공원앞역 | 1.8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삭제되어 사실상 폐선 |
30302 | 용산선 | 용산역 | 가좌역 | 7.0 | |
30303 | 교외선 | 능곡역 | 의정부역 | 31.8 | |
30304 | 수색객차출발선 | 수색기지 | 가좌역 | 2.4 | |
30305 | 고양기지선 | 한국항공대역 | 고양기지 | 1.7 | 행신역 운행 KTX 이용 선로 |
30306 | 문산기지선 | 문산역 | 문산기지 | 2.1 | |
30307 | 수색직결선 | (경의선) | (인천국제공항선) | 2.2 | [48] |
경의선에는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가 있다. 이 다리는 대한제국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2004년 2월 6일 등록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38]
3. 1. 역 목록
거리거리
수색기지 입출고선
운
행
교외선
교외선
임진강 방면
운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