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일 전쟁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만주와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벌어졌다. 일본은 전쟁에서 승리하여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만주에서의 이권을 획득했지만, 전쟁 비용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겪었다. 반면 러시아는 극동에서의 영향력을 잃고 혁명 운동을 촉발했으며, 일본의 승리는 아시아 국가들의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은 근대에 아시아 국가가 유럽 국가를 상대로 거둔 최초의 주요 군사적 승리였으며, 신무기의 등장과 함께 전쟁의 양상을 변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대외 관계 - 헤이그 특사 사건
헤이그 특사 사건은 1907년 고종이 을사늑약 무효를 알리고자 파견한 특사들이 일본의 방해로 만국 평화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고 이준의 사망, 고종의 퇴위로 이어진 사건이다.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은 1896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러시아 외상 로바노프가 체결한 협정으로, 조선의 독립 보장과 재정 개혁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의 거부로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우위는 변하지 않고 니시-로젠 협정으로 대체되었다.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고무라-베베르 협정
고무라-베베르 협정은 1896년 일본과 러시아가 조선에서 각자의 영향력을 인정하고 군대 주둔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체결되었으나, 이후 러일 관계 악화의 원인이 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전쟁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 러시아 제국의 전쟁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모피 무역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통해 야사크를 징수하고 원주민을 수탈하며 시베리아를 통치했다.
러일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 러일 전쟁 |
날짜 | 1904년 2월 8일 – 1905년 9월 5일 |
장소 | 만주, 한반도, 황해, 일본해 |
결과 | 일본 제국의 승리, 포츠머스 조약 체결, 조선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제거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러시아 제국 |
교전국 2 | 일본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니콜라이 2세 알렉세이 쿠로팟킨 로만 콘드라텐코 아나톨리 스테셀 오스카르 그리펜베르크 미하일 자술리치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스테판 마카로프 빌헬름 비트게프트 로베르트 비렌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
지휘관 2 | 메이지 천황 가쓰라 다로 오야마 이와오 고다마 겐타로 노기 마레스케 구로키 다메모토 오쿠 야스카타 데라우치 마사타케 도고 헤이하치로 이토 스케유키 가미무라 히코노조 |
병력 | |
병력 1 | 총 1,365,000명, 최대 900,000명 |
병력 2 | 총 1,200,000명, 최대 650,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총 43,300–71,453명 사망, 146,032명 부상, 74,369명 포로 |
사망자 1 | 34,000–52,623명 사망 또는 전상 사망, 9,300–18,830명 질병 사망 |
사상자 2 | 총 80,378–86,100명 사망, 153,673–173,400명 부상 |
사망자 2 | 47,152–47,400명 사망, 11,424–11,500명 전상 사망, 21,802–27,200명 질병 사망 |
포로 2 | 1,783명 |
물적 손실 | |
물적 손실 1 | 전함 8척 침몰, 전함 2척 나포 |
물적 손실 2 | 전함 2척 침몰 |
영토 변화 | |
영토 변화 | 러시아, 랴오둥 반도의 뤼순과 다롄, 남부 사할린 섬, 남만주 철도의 통제권을 일본에 양도 관둥주와 남부 사할린 섬은 각각 관둥 조차지와 가라후토 현이 됨 |
주요 전투 | |
해전 | 여순항 해전 제물포 해전 히타치마루 사건 황해 해전 울산 해전 코르사코프 해전 도거뱅크 사건 쓰시마 해전 |
육전 | 압록강 전투 난산 전투 텔리쓰 전투 모티엔 고개 전투 타쉬차오 전투 여순 공방전 심무성 전투 랴오양 전투 사허 전투 산데푸 전투 봉천 전투 사할린 침공 |
관련 정보 | |
기타 | 러일 전쟁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조 중 하나로 간주됨 |
일본어 명칭 | 니치로센소 |
러시아어 명칭 | 루스코야폰스카야 보이나 |
이미지 | |
![]() |
2. 배경
러시아는 1890년대에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흡수하며 아프가니스탄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서쪽으로는 폴란드에서 동쪽으로는 캄차카반도까지 뻗어 있었으며, 블라디보스토크에 이르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건설하여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했다.[7] 갑신정변 이후 러시아는 청나라의 중재 없이 조선과 독자적으로 수교하였다. 그러나 부동항 확보를 위한 러시아의 남하는 영국과 충돌을 야기했고, 발칸반도 및 근동에서는 크림 전쟁으로, 중앙아시아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충돌로 이어졌다. 극동 방면에서는 조선과 러시아의 수교를 러시아의 남하로 간주한 영국이 거문도를 2년간 점령하기도 했다.
한편,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의 사상과 기술을 받아들여 근대화된 산업 국가로 변모했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조선에서 청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얻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독일, 프랑스와 함께 삼국 간섭을 통해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하게 하면서, 일본은 러시아와의 대립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일본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을 막고 조선과 만주에서의 이권을 확보하여 자국의 안보와 이익을 지키고자 했다. 나아가 만주, 사할린, 연해주 등에서 세력을 확장하거나 러시아로부터 이권을 탈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32][133]
러시아는 만주 및 관동주의 임차권, 철도 부설권 등 이권 확보, 만주 반환 조약 불이행 유지, 조선에서의 이권 확장 및 지배, 일본의 저항 배제를 목적으로 했다.
러일전쟁은 근대 총력전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국주의 국가들의 외교 관계가 얽힌 국제적인 규모의 분쟁이었다.
일본측 | 러시아측 | |
---|---|---|
참전국·세력 | 일본 제국 | 러시아 제국 -- 몬테네그로 공국(단, 선전포고는 했으나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음) |
지지 세력 | -- 대한제국(고종을 비롯한 지배 계급과 친러파) | |
동맹국·지원국 | 영국(일영동맹) -- 대한제국(대한의정서) -- 청나라(엄정 중립을 선언했으나, 러시아의 사실상 식민지가 된 동삼성을 회복하기 위해 은밀히 협력했다는 설이 있음[137][138]) | 프랑스(러불동맹) -- 청나라(러청밀약, 개전 후 파기) |
독일 제국은 황화론을 주장하며 러시아에 호의적이었으나, 프랑스와의 동맹 관계 때문에 구체적인 행동을 하지는 않았다.
유럽과 남미 여러 나라에서 많은 관전무관이 파견되었다. 일본 측에는 13개국에서 총 70명 이상이 방문했으며, 영국, 미국, 독일 등이었다.
대한제국은 청일 전쟁 이후 일본에 의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벗어났지만, 러시아가 남하 정책을 추진하며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러시아는 고종을 통해 광산 채굴권, 삼림 벌채권, 관세권 등을 확보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일본은 러시아의 남하에 위기감을 느끼고 이를 저지하려 했다.
일본은 외교적 노력을 통해 충돌을 회피하려 했지만, 러시아는 군사력을 배경으로 압력을 가했다. 1904년 2월 23일, 일본은 일한의정서를 체결하여 대한제국에서의 군사 행동을 가능하게 했다.
러시아 제국은 부동항 확보를 위해 남하 정책을 채택하고, 발칸 반도에서 큰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나 독일 제국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주최한 베를린 회의에서 산스테파노 조약이 파기되고 베를린 조약이 체결되면서, 러시아는 발칸 반도에서의 남하 정책을 포기하고 극동 지역으로 진출 방향을 돌렸다.
일본에서는 조선을 자국의 영향력 아래에 두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하고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했지만, 삼국 간섭으로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해야 했다. 러시아는 러청밀약을 맺고 동청 철도를 부설했으며, 뤼순・다롄을 할양받아 뤼순에 러시아 태평양 함대 기지를 건설하는 등 만주 진출을 추진했다.
1900년, 러시아는 의화단 운동 진압을 명분으로 만주를 점령했다. 영국, 미국, 일본의 항의에 철병을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않았다. 영국은 보어 전쟁으로 인해 국력이 저하된 상황에서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1902년 영일 동맹을 체결했다.
1903년 8월부터 시작된 일러 협상에서 일본은 만한 교환론을 제안했지만, 러시아는 조선에서의 이권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1904년 2월 6일, 일본은 러시아와의 국교 단절을 통고했다.
개전 전 대한제국에서는 일본파와 러시아파 간의 정쟁이 계속되었다. 전쟁 후 러시아의 위협이 사라지면서 일본의 영향력이 커졌고, 대한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간의 병합 조약 체결로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병합되었다.
2. 1. 일본의 근대화와 대외 팽창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서구 열강의 기술과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근대화에 박차를 가했다.[4] 특히 군사력 강화에 집중하여 청일 전쟁에서 승리하는 등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 1895년 청나라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에서 청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얻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이를 견제해 독일, 프랑스와 함께 일본이 소유하던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다시 돌려줬고(삼국 간섭), 이로 인해 일본은 러시아와의 대립을 피할 수 없었다.[5]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은 조선과 만주 지역으로의 진출을 꾀하게 되었고, 이는 러시아와의 충돌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일본 내에서는 '정한론'이 대두되며 조선 침략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2. 2. 러시아의 남하 정책과 동아시아 진출
러시아는 부동항 확보와 극동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남하 정책을 추진했다.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건설하여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과 존재감을 강화하려 했다.[7] 갑신정변 이후 러시아는 청나라의 중재 없이 조선과 독자적으로 수교하였다. 그러나 부동항 확보를 위한 러시아의 남하는 영국과 충돌을 야기했고, 발칸반도 및 근동에서는 크림 전쟁으로, 중앙아시아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충돌로 이어졌다. 극동 방면에서는 조선과 러시아의 수교를 러시아의 남하로 간주한 영국이 거문도를 2년간 점령하기도 했다.1895년 청일 전쟁의 승리 이후,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와 함께 일본이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하도록 압력을 가했다(삼국 간섭).[7]
1897년 러시아는 랴오둥 반도를 점령하고 뤼순 요새를 건설했으며, 러시아 태평양 함대를 배치했다. 러시아의 뤼순 획득은 영국이 위하이웨이를 점령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지만, 일본은 이를 반일 행위로 간주했다. 1897년부터 1903년까지 러시아는 만주에 중동 철도(CER)를 건설했다.[10] 중동 철도는 러시아와 중국 정부가 공동 소유했지만, 회사 경영은 전적으로 러시아가 담당했고, 선로는 러시아 게이지로 건설되었으며, 러시아군은 만주에 주둔하여 중동 철도의 열차 운행을 보호했다. 중동 철도 회사 본부는 하얼빈에 위치했다. 1897년부터 만주는 명목상으로는 청나라의 일부였지만, 점차 러시아의 속주와 같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명분으로 러시아는 만주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영국, 미국, 일본의 항의에 철병을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않고 주둔군을 증강했다.
2. 3. 대한제국을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

청일 전쟁 이후 대한제국은 자주적인 근대화를 추진하려 했으나, 열강들의 압력과 국내 정치 세력 간의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895년 10월 8일, 친중 반일파 지도자였던 명성황후가 경복궁 안에서 일본 특무들에 의해 시해되는 사건(을미사변)이 발생하면서 여론은 일본에 부정적으로 바뀌었다.[9] 1896년 초, 고종은 일본 특무에게 목숨이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서울의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파천)했고, 이를 계기로 대한제국 내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다.[9] 국왕 탈출 이후 친일 정부를 전복하는 민중 봉기가 일어났고, 여러 각료들이 거리에서 살해당했다.
러시아는 아관파천을 통해 대한제국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고, 일본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 영국과의 동맹(영일동맹)을 통해 러시아를 견제하고자 했다.
3. 전쟁의 원인
1897년 12월, 러시아 제국의 함대가 여순항에 처음 나타났다. 3개월 후, 청과 러시아 제국 간의 협정(러청밀약)으로 여순항과 대련만을 조차하여 주변 물길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는 부동항 확보가 중요했고, 1년 후 동청철도[205]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대련과 여순역이 소실되자 의화단에게서 철도를 보호한다는 구실로 만주를 점령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아관파천 이후 정치적 우위를 확보하였다.
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으로부터 경부철도 부설권을 획득하여 한반도의 교통망을 장악하고, 도쿄의정서를 체결하여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우위를 확보하였다.
이토 히로부미는 러시아와 협상을 시작했다. 그는 일본이 러시아군을 몰아내기엔 약하다고 생각하여, 러시아의 만주에 대한 권한을 인정하는 대신 일본의 한반도에 대한 권한을 인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만주에 대한 독점권과 한반도의 북위 39도 이북을 중립지대로 설정하고, 한반도를 군사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주장하였다. 한편, 일본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영국과 영일 동맹(1902년)을 맺었다. 이 조약은 “러시아가 일본과 전쟁을 벌이는 동안 러시아와 동맹을 맺는 나라가 있으면, 영국이 일본 편으로 참전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는 독일이나 프랑스의 도움을 얻으려면 영국의 위협을 감수해야 했다.
이후 러시아 제국과 일본의 교섭이 진행되었으나, 1904년 2월 4일 일본은 협상 중지를 선언했다. 일본은 2월 초 마산포와 원산 등지에 일본군을 상륙시키는 등 전쟁 준비를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은 로스차일드 가문의 미국 대리인인 제이컵 시프로부터 전비의 40%에 달하는 공식 지원과 상당한 비공식 금융 지원을 받았다.
3. 1. 만주와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 갈등
일본은 대한제국에 대한 '우월적 권리'를 주장하며, 러시아의 만주 지배를 인정하는 대신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을 인정받으려 했다. 이를 만한교환론이라 한다. 반면 러시아는 만주에서의 독점적 지배권을 주장하고, 대한제국에 대해서는 북위 39도선 이북을 중립지대로 설정하여 군사적 이용을 금지할 것을 요구했다.[205] 이는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1903년 8월부터 시작된 러일 협상에서 일본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타협안을 제시했지만, 러시아 해군과 관동주 총독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등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니콜라이 2세와 알렉세이 쿠로파트킨도 주전론에 동조했다. 러시아 고위 관료 중 세르게이 비테는 전쟁 회피론을 주장했지만, 실권이 없는 상태였다. 결국 러시아는 일본 측에 북위 39도선 이북 중립 지대 설정을 제안했다.[205]
일본은 이 제안이 조선반도를 사실상 러시아의 지배하에 두는 것이라 판단했다. 또한 시베리아 철도가 완전 개통되면 러시아군의 극동 파병이 쉬워지므로, 그 이전에 러시아와 전쟁을 시작해야 한다는 여론이 강해졌다. 1904년 2월 6일, 일본 외무대신 고무라 주타로는 러시아 공사 로만 로젠에게 국교 단절을 통고했다. 같은 날 주러시아 공사 구리노 신이치로도 러시아 외무대신에게 국교 단절을 통보했다.[205]
3. 2. 외교적 협상의 실패
1897년 12월, 러시아 제국의 함대가 여순항에 처음 나타났다. 3개월 후, 청과 러시아 제국 간의 협정(러청밀약)으로 러시아 제국은 여순항과 대련만을 조차하여 주변 물길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부동항 확보가 중요했고, 1년 후 동청철도[205]를 건설하기 시작했다.이 시기 일본은 대한제국으로부터 경부철도 부설권을 획득하여 한반도의 교통망을 장악하고, 도쿄의정서를 체결하여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우위를 확보하였다.
이토 히로부미는 러시아와의 협상을 시작했다. 일본이 러시아군을 몰아내기엔 약하다고 생각하여, 러시아의 만주에 대한 권한을 인정하는 대신 일본의 한반도에 대한 권한을 인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러시아는 만주에 대한 독점권과 한반도의 북위 39도 이북에 대한 중립 지역 설정, 한반도의 군사적 이용 불가를 주장하였다. 그동안 일본은 러시아를 견제하던 영국과 영일 동맹을 맺었는데, 이는 “러시아가 일본과 전쟁을 벌이는 동안 러시아와 동맹을 맺는 나라가 있으면, 영국이 일본 편으로 참전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었다.
1903년 8월부터 시작된 러일 협상에서 일본 측은 “조선반도는 일본, 만주는 러시아의 지배하에 둔다”는 만한교환론을 러시아 측에 제안했다. 그러나 러시아 해군과 관동주 총독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등은 조선반도에서 증가하던 러시아의 이권을 저해할 수 있는 타협안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니콜라이 2세도 주전론에 동조했다. 러시아 고위 관료 중 세르게이 비테는 전쟁에서 패배하지 않더라도 러시아가 쇠퇴할 것을 우려하여 전쟁 회피론을 전개했지만, 당시 실권이 없었다. 러시아는 일본 측에 대한 답변으로 조선반도 북위 39도 이북을 중립지대로 하여 군사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제안을 했다.
일본 측은 이 제안으로 일본해에 돌출된 조선반도가 사실상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가 일본의 독립도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시베리아 철도가 전선 개통되면 유럽에 배치된 러시아군의 극동 파병이 용이해지므로, 그 이전에 러시아와의 개전으로 여론이 기울었다. 1904년 2월 6일, 일본 외무대신 소무라 주타로는 당시 러시아의 로젠 공사를 외무성으로 불러 국교 단절을 통고했다. 같은 날 주러시아 공사 구리노 신이치로는 람스돌프 외무대신에게 국교 단절을 통보했다.
4. 전쟁의 경과
1904년 2월 10일 일본 제국은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지만, 그보다 앞서 2월 8일 여순항의 러시아 극동 함대와 2월 9일 제물포항의 러시아 전함 두 척을 기습 공격했다.[206] 일본의 공격 소식에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크게 놀랐지만, 일본이 선전포고 없이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고, 장관들 역시 일본이 전쟁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러시아 제국은 일본과의 전투 8일 후 전쟁을 선포했다.[206]
대한제국은 1904년 1월 23일 중립을 선언했지만, 일본은 2월 23일 한일의정서를 강요하고, 5월에는 대한시설강령을 내세워 대한제국의 중립을 무력화시켰다.
일본 제국 해군은 1904년 2월 6일 사세보항을 출항하여 인천, 여순, 다롄으로 향했다. 2월 8일, 일본 제국 육군 선발대가 인천에 상륙했고, 같은 날 밤 여순항의 러시아 함대에 대한 기습 공격(여순항 공격)이 이루어졌다. 2월 9일에는 인천 앞바다 해전에서 일본 해군이 승리했다.
일본은 2월 10일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하고, 2월 11일 대본영을 설치했다. 2월 23일에는 대한제국과 일한 협정을 체결하여 일본군 보급선 확보를 위한 준비를 갖추었다.
러시아는 일본의 선전포고 이전 공격에 대해 항의했지만, 당시에는 공격 개시 전에 선전포고를 해야 한다는 국제법적 규정은 없었다. 그러나 헤이그 육전 협약의 ‘무력 행사 이전에 제3국에 의한 중재를 요청하는 노력’ 규정[166]에는 위반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3월 6일, 일본 해군은 블라디보스토크 항을 포격했다. 연합 함대는 여순항 폐쇄 작전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4월 13일에는 기뢰로 러시아 함대 사령관 마카로프 중장을 전사시키는 전과를 올렸지만, 5월 15일에는 일본 해군의 전함 2척(하쓰세, 야시마)이 격침되기도 했다.
한편, 블라디보스토크에 배치되었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순양함대는 통상 파괴전을 전개하여 4월 25일 일본군 수송함 금주환을 격침시켰다.
4. 1. 개전과 초기 전투
1904년 2월 8일 저녁, 도고 헤이하치로가 지휘하는 일본 제국 함대가 여순항의 러시아 제국 군함에 어뢰를 이용하여 기습 공격하며 개전하였다.[207] 이 공격으로 전함 두 척이 크게 파손되었고, 다음 날 아침 ‘여순항 해전’으로 이어졌다. 여러 차례의 해상 전투가 이어졌으나, 도고 헤이하치로는 항구의 해안 포대에서 보호받는 러시아 제국의 함대를 공격할 수 없었다. 1904년 4월 13일 제독 스테판 마카로프가 전사하면서 러시아 해군은 항구를 떠나야 했다.이 전투는 일본군 약 3천 명의 인천 상륙을 은폐해 주었다. 2월 9일, 일본 제국은 러시아 제국이 만주를 병합할 위험이 있으며, 그 결과 대한제국의 영토 보전이 위태롭다는 명분으로 황성(서울)에 군대를 진주시켜 대한제국 황성을 점령한다.[208][209] 이어서 대한제국의 나머지 부분을 점령하였다. 당시 제물포 앞바다에는 각국 여러 전함이 정박하고 있었고 일본 제국 해군에 항의하였으나 오히려 위협받고 피신하였으며, 같은날 오후까지 14대 2로 벌어진 일본 제국 해군과 러시아 제국의 해군 간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 해군의 정예함인 바략함과 코리에츠함은 자침하거나 자폭하였다.

같은 날 일본 제국은 인천항에 병력 5만을 상륙시켰다.[210]
1904년 2월 12일, 러시아 제국 공사가 철수하자 대한제국과 러시아 제국은 국교가 단절되었다.[211] 대한제국은 1904년 1월 23일 대외로 중립을 선포하였으나, 한성부를 점령한 일본의 강요로 2월 23일 한일의정서를 체결하였고, 5월에는 일본이 대한시설강령을 내세워서 중립을 유지할 수 없었다.
4. 2. 주요 전투
월 | 분류 | 사건 |
---|---|---|
1904년 2월 8일 | 러일 전쟁 | 뤼순 항 전투: 해전, 결정적이지 않음 |
1904년 2월 9일 | 러일 전쟁 | 인천 앞바다 해전: 해전, 일본군 승리 |
1904년 4월 30일 ~ 5월 1일 | 러일 전쟁 | 압록강 전투, 일본군 승리[206] |
1904년 5월 25일 ~ 26일 | 러일 전쟁 | 남산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6월 14일 ~ 15일 | 러일 전쟁 | 터리쓰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7월 17일 | 러일 전쟁 | 모티엔 고개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7월 24일 | 러일 전쟁 | 타시치아오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7월 31일 | 러일 전쟁 | 시무청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8월 10일 | 러일 전쟁 | 황해 해전: 해전, 일본군 승리 |
1904년 8월 14일 | 러일 전쟁 | 울산 앞바다 해전: 해전, 일본군 승리 |
1904년 8월 20일 | 러일 전쟁 | 코르사코프 전투: 해전, 일본군 승리 |
1904년 8월 19일 ~ 1905년 1월 2일 | 러일 전쟁 | 뤼순 포위전, 일본군 승리 |
1904년 8월 25일 ~ 9월 3일 | 러일 전쟁 | 랴오양 전투: 일본군 승리 |
1904년 10월 5일 ~ 17일 | 러일 전쟁 | 사하 전투: 결정적이지 않음 |
1905년 1월 26일 ~ 27일 | 러일 전쟁 | 산데푸 전투: 결정적이지 않음 |
1905년 2월 21일 ~ 3월 10일 | 러일 전쟁 | 봉천 전투: 일본군 승리 |
1905년 5월 27일 ~ 28일 | 러일 전쟁 | 쓰시마 해전: 해전, 일본군의 결정적 승리 |
1905년 7월 7일 ~ 31일 | 러일 전쟁 | 사할린 섬 침공: 일본군 승리 |
4. 3. 외교적 노력과 종전
1905년 9월 5일, 미국의 주선으로 포츠머스에서 강화조약이 체결되었다.[50]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이 일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쓰시마 해전 이후, 미 대통령 테오도르 루스벨트는 외무대신 고무라 주타로(제1차 가쓰라 내각)의 요청을 받아 1905년 6월 6일 일본과 러시아 양국 정부에 대해 강화 권고를 하였고, 러시아 측은 12일에 공식적으로 이를 수락했다.
일본군은 평화 협상이 진행되는 와중에 7월에 사할린 공략 작전을 실시하여 전 지역을 점령했다. 이 점령은 후일 강화 조약에서 남사할린의 일본 할양으로 이어지게 된다.[175]
러시아에서는 1905년 러시아 혁명이 발생하여 국내가 혼란에 빠졌고, 전쟁을 계속하는 것이 어려워졌다.[176]
일본도 강화 제안을 받아들였다. 국민에 대한 증세, 동원 병력 109만 명, 사상자 27만 명 등 국력 소모가 심각하여 전쟁을 계속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미국의 중재로 강화 협상 테이블에 앉은 양국은 8월 10일부터 미국 뉴햄프셔주 포츠머스 근교에서 종전 협상을 진행하여 1905년 9월 5일에 포츠머스 조약을 체결하고 강화하였다.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에 따라 랴오둥반도(관동주)의 조차권, 동청철도의 장춘~대련 지선, 조선 반도의 감독권을 얻었다.[177]
5. 전쟁의 결과 및 영향
러일 전쟁은 1905년 일본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다. 일본군과 러시아군 모두 수만 명의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도 많았다. 양측의 총 사망자 수는 대략 13만 명에서 17만 명 사이로 추산된다.[57]
이 전쟁은 근대에 아시아 국가가 유럽 국가를 상대로 거둔 최초의 주요 군사적 승리였다. 일본은 국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졌지만, 러시아는 태평양 함대와 발트 함대를 거의 모두 잃고 국제적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64]
러일 전쟁은 20세기 초의 근대 총력전의 요소를 보였으며, 제국주의 국가들 간의 외교 관계가 얽힌 국제적인 분쟁이었다.
일본측 | 러시아측 | |
---|---|---|
참전국·세력 | valign=top | | valign=top | |
지지 세력 | valign=top | | valign=top | |
동맹국·지원국 | valign="top" | | valign=top" | |
전쟁 결과,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고, 랴오둥 반도 조차권과 남만주 철도 부설권 등 만주에서의 이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일본 국내에서는 배상금 획득 실패와 과도한 전쟁 비용 부담으로 인해 히비야 방화 사건 등 사회 불안이 일어났다.
러시아에서는 전쟁 패배와 경제난으로 인해 1905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여 국내가 혼란에 빠졌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은 속사포, 기관총과 같이 산업혁명이 가져온 혁신들과 더 정확해진 소총들이 처음으로 대규모로 실험된 전쟁이다. 해상과 육상 모두에서의 군사 작전은 1870~71년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현대전이 상당한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주었다.[66]
동아시아에서는 30년 만에 두 현대 군대가 참여한 최초의 충돌이었다. 첨단 무기는 막대한 사상자를 초래했다. 일본과 러시아 모두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전쟁에서 발생할 사망자 수에 대비하지 못했고, 그러한 손실을 보상할 자원도 없었다. 이는 전쟁 후 비정부기구인 적십자사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의 등장과 함께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 제국은 러시아 제국의 남하정책에 따른 세력권 확장을 막고, 조선반도와 만주에서의 이권을 지킴으로써 일본 제국의 안보[131] 및 이익을 확보하고, 나아가 만주, 사할린, 연해주 등에서 일본의 세력 확장 또는 러시아측으로부터의 이권 탈취를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132][133] 또한, 강화 회담 당시 일본측 대표의 협상 자세[134] 및 일본 국민의 반응[135]으로 미루어볼 때, 승전한 이상 배상금 획득을 기대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러시아 제국은 만주 및 관동주의 임차권, 철도 부설권 등의 이권 확보, 만주 반환 조약 불이행 유지(만주에 군대 주둔), 조선반도에서의 이권 확장 및 반도 지배와 일본의 저항 배제, 그리고 직접적으로는 일본측의 공격과 선전포고를 전쟁의 이유로 삼았다.
5. 1. 일본의 승리와 국제적 위상 강화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일본은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고, 랴오둥 반도 조차권과 남만주 철도 부설권 등 만주에서의 이권을 획득했다.[177] 비(非) 백인 국가인 일본이 유럽의 강대국인 러시아 제국을 상대로 승리한 것은 세계를 놀라게 했으며,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크게 높였다.[64]
이 전쟁은 근대에 아시아 강국이 유럽 국가를 상대로 거둔 최초의 주요 군사적 승리였다.[64] 이로써 일본은 현대 국가로 인식되면서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반면 러시아는 태평양 함대와 발트 함대를 거의 전부 잃었고 국제적 위신도 크게 떨어졌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는 러시아의 위신 추락이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획하고 세르비아와의 전쟁을 지원하는 데 용기를 주었다.
일본은 떠오르는 아시아 강국으로서 유럽 열강과의 전쟁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군사력을 증명했다. 대부분의 서구 열강은 일본이 단순히 승리한 것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킨 것에 경악했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은 아시아 문제에 더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지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민족주의로 이어졌다.[64]
그러나 일본 국내에서는 배상금 획득 실패와 과도한 전쟁 비용 부담으로 인해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는 사회 불안으로 이어졌다. 히비야 방화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55]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론은 전쟁 종결 시 협상된 매우 제한적인 평화 조건에 충격을 받았다.[64] 조약 조건 발표 후 국민들 사이에 광범위한 불만이 확산되어 히비야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64] 이 사건 이후 도쿄의 미국 공사관 앞 시위를 포함하여 일본 주요 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막대한 승리 후에 예상되었던 영토 확보와 금전적 배상 요구가 부족했고, 평화 협정에서 일본이 사할린섬 전체를 유지하려 했지만 루스벨트 대통령이 니콜라이 2세의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 거부 입장을 지지하면서 미국의 압력으로 절반만을 차지하게 되면서 불신감이 커졌다. 일본은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한 정부의 과중한 세금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가족들을 위한 배상금을 원했다. 미국이 중재한 포츠머스 평화 협상의 결과는 9월 5일과 6일 주요 신문들이 서명된 조약 내용을 장문의 사설로 보도하면서 일반 일본 국민들에게 불신으로 받아들여졌다.
결과적으로 일본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1,681일) 집권한 제1차 가쓰라 내각은 9월 6일(포츠머스 조약 서명 하루 후)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 2,000명 이상이 체포된 후 11월 29일에 계엄령이 해제되었지만, 10월 10일에 조약을 비준한 내각은 12월 22일에 사퇴했다.[65]
서구 열강들에게 일본의 승리는 새로운 아시아 지역 강국의 등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러시아의 패배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이 전쟁이 일본을 지역 강국일 뿐만 아니라 주요 아시아 강국으로 부상시키면서 세계 질서의 변화를 촉진했다고 주장한다.[70][71]
5. 2. 대한제국의 식민지화 가속화
포츠머스 조약으로 러일 전쟁이 종결된 후, 대한제국은 사실상 일본 제국의 보호국으로 전락했다. 1905년 을사늑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은 박탈되었고, 통감부가 설치되어 내정에 간섭받게 되었다.[52]일본은 1904년 2월 23일 일한의정서를 체결하여 대한제국에서의 군사 행동을 가능하게 했고, 8월에는 제1차 일한협약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재정 및 외교에 고문을 두고 조약 체결 시 일본 정부와 협의하도록 강제했다.[177]
고종과 양반 등 구 지배층은 일본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러시아에 밀사를 보내는 등 외교적 노력을 펼쳤으나, 일본 군함에 의해 발각되어 실패했다.
1907년, 일본은 열강의 승인 하에 일로협약(제2차 일로협상)을 체결, 남만주를 세력권으로 확보하고 대한제국 지배를 인정받았다.[177][180] 결국 1910년, 대한제국 병합을 통해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여 식민지로 삼았다.[52]
5. 3. 러시아의 혁명 운동 촉발
러시아는 1905년 러시아 혁명으로 국내가 혼란스러워 전쟁을 계속하기 어려웠다.[176]전쟁 중 국민 생활이 궁핍해지면서 피의 일요일 사건, 전함 포템킨의 반란 등으로 1차 러시아 혁명이 일어났다.
일본에 패배한 충격은 많은 러시아인에게 로마노프 정부의 결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다.[59] 이러한 불만은 1905년 러시아 혁명의 불씨를 키웠다. 니콜라이 2세는 10월 선언을 발표해 봉기를 진압하려 했으나, 선언에는 두마와 같은 제한적인 개혁만 포함되어 당시 러시아의 사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12년 후, 이 불만은 1917년 2월 혁명으로 폭발했다.
얼지 않는 항구를 확보하려는 전통적인 남하 정책이 전쟁의 동기 중 하나였던 러시아 제국은 이 패배로 극동 남하 정책을 포기했다. 남하 방향은 다시 발칸 반도로 향했고, 러시아는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웠다. 이는 범게르만주의를 내세운 독일, 발칸 진출을 요구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대립을 초래해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5. 4. 국제 정세의 변화
영일동맹으로 인해 영국과 일본 정보 당국은 러시아에 대항하여 협력했다.[47] 전쟁 중 인도 육군의 말레이와 중국 주둔지가 전쟁 관련 무선 및 전신 케이블 교신을 가로채고 해독하여 일본과 공유했다.[47] 일본은 그 대가로 러시아에 대한 정보를 영국과 공유했으며, 한 영국 관리가 일본 정보의 "완벽한 질"에 대해 서술하기도 했다. 특히 영국과 일본 정보 당국은 독일이 유럽의 세력 균형을 교란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러시아를 지원하고 있다는 많은 증거를 수집했는데, 이는 영국 관리들이 독일을 국제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다.[47]육군과 해군의 패배는 러시아의 자신감을 흔들었다. 1905년 내내 러시아 제국 정부는 혁명으로 흔들렸다. 국민들은 전쟁 확대에 반대했다. 제국은 분명 더 많은 병력을 파병할 수 있었지만, 경제의 열악한 상태, 일본에 의한 러시아 육군과 해군의 치욕적인 패배, 그리고 분쟁 지역의 러시아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 부족으로 인해 전쟁의 결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전쟁은 매우 인기가 없었다.[47]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중재 제안을 양측 모두 수락했다.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에서 회의가 열렸고, 세르게이 비테가 러시아 대표단을, 고무라 주타로 남작이 일본 대표단을 이끌었다. 포츠머스 조약은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해군 조선소에서 체결되었다.[50]
일본과의 교섭 후 루스벨트는 차르가 배상금 지불을 거부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도쿄의 정책 입안자들이 미국이 아시아 문제에 일시적인 관심 이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러시아는 한국을 일본의 영향권으로 인정[51]하고 만주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일본은 1910년 한국을 병합했고(1910년 한일 병합 조약), 다른 열강들의 반대는 거의 없었다.[52]
조지 E. 모리는 루즈벨트가 중재를 잘 처리했고, "성장하는 미국의 위협이 되는 어느 한쪽의 최고 지위를 고려하여 동양에서 러시아와 일본의 힘의 균형을 잘 맞추었다"고 결론지었다.[54] 일본이 육상과 해상에서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고, 일본 국민들은 전쟁의 비용이 그들의 국가를 파산 직전으로 몰아넣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본 국민들은 포츠머스 조약에 분노했는데, 많은 일본인들은 러시아가 러시아 극동을 일본에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전쟁이 끝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55] 미국은 포츠머스 조약에 대해 루즈벨트가 평화 회의에서 일본의 정당한 주장을 "빼앗았다"고 주장하면서 일본에서 널리 비난을 받았다. 1905년 9월 5일, 반미 폭동이 완곡하게 표현된 히비야 방화 사건이 도쿄에서 발생하여 3일 동안 지속되었고,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해야 했다.[55]
포츠머스 조약은 일본에 대한 전쟁 참여를 간과했으며, 2006년 일본 총리가 외무차관(야마나카 아키코)를 파견하여 일본과 몬테네그로 간의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는 친서를 전달할 때까지 두 나라는 기술적으로 여전히 교전 상태에 있었다.[56]
이 전쟁은 근대에 아시아 강국이 유럽 국가를 상대로 거둔 최초의 주요 군사적 승리였다. 러시아의 패배는 서구와 극동 전역에 충격을 안겨주었다. 일본은 현대 국가로 인식되면서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동시에 러시아는 태평양 함대와 발트 함대를 거의 전부 잃었고 국제적 위신도 크게 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눈에는 특히 그러했다. 러시아는 프랑스와 세르비아의 동맹국이었는데, 러시아의 위신 추락은 독일이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획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르비아와의 전쟁을 지원하는 데 용기를 주었다.
일본은 떠오르는 아시아 강국이 되었고, 유럽 열강과의 전쟁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대부분의 서구 열강은 일본이 단순히 승리한 것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킨 것에 경악했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은 아시아 문제에 더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지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민족주의로 이어졌다.[64]
전쟁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론은 전쟁 종결 시 협상된 매우 제한적인 평화 조건에 충격을 받았다.[64] 조약 조건 발표 후 국민들 사이에 광범위한 불만이 확산되어 히비야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 이후 도쿄의 미국 공사관 앞 시위를 포함하여 일본 주요 도시에서 폭동이 발생했다. 그러한 막대한 승리 후에 예상되었던 두 가지 특정 요구 사항, 즉 영토 확보와 일본에 대한 금전적 배상이 특히 부족했다. 평화 협정은 일본이 사할린섬 전체를 유지하려고 했지만 루즈벨트 대통령이 니콜라스 2세의 영토 할양 거부 및 배상금 지불 거부 입장을 지지하면서 미국의 압력으로 절반만을 차지하게 되면서 불신감을 야기했다. 일본은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한 정부의 과중한 세금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아버지와 아들들의 가족들이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상금을 원했다.[64] 미국이 중재한 포츠머스 평화 협상의 결과는 9월 5일과 6일 모든 주요 신문이 서명된 조약 내용을 장문의 사설로 보도하면서 일반 일본 국민들에게 불신으로 받아들여졌다.
결과적으로 일본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1,681일) 집권한 제1차 가쓰라 내각은 9월 6일(포츠머스 조약 서명 하루 후)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 2,000명 이상이 체포된 후 11월 29일에 계엄령이 해제되었지만, 10월 10일에 조약을 비준한 내각은 마치 패전의 책임을 지는 것처럼 12월 22일에 사퇴했다.[65]
이 전쟁은 전투에 대한 병력의 대규모 동원과 장비, 무기 및 보급품에 대한 광범위한 공급이 필요하여 국내 지원과 외국 원조가 모두 필요했다는 점에서 "총력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66]
서구 열강들에게 일본의 승리는 새로운 아시아 지역 강국의 등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러시아의 패배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이 전쟁이 일본을 지역 강국일 뿐만 아니라 주요 아시아 강국으로 부상시키면서 세계 질서의 변화를 촉진했다고 주장한다.[67] 미국과 호주의 반응은 전쟁으로 인한 역학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와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겨갈 수 있는 황색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 혼재되어 있었다.[67] W. E. B. 뒤부아와 로스롭 스토더드와 같은 미국 인물들은 이 승리를 서구의 패권에 대한 도전으로 보았다.[68]
일본의 성공은 식민지 아시아 국가들(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의 반식민지 민족주의자들과 서구 열강에 의해 흡수될 위기에 처한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와 같은 쇠퇴하는 국가들의 사람들에게 자존감을 높였다.[70][71] 10년 전 일본과 전쟁을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구인들을 더 큰 위협으로 여기던 중국인들에게도 이는 고무적인 일이었다. 쑨원이 말했듯이, "우리는 일본에 의한 러시아의 패배를 동양에 의한 서양의 패배로 간주했다. 우리는 일본의 승리를 우리 자신의 승리로 여겼다".[72] 심지어 먼 티베트에서도 1907년 2월 스벤 헤딘이 판첸라마를 방문했을 때 전쟁은 화제가 되었다.[73] 당시 영국령 인도의 야심 찬 정치가였던 자와할랄 네루에게는 "일본의 승리는 우리 대부분이 겪었던 열등감을 줄였다. 강력한 유럽 열강이 패배했으므로 아시아는 과거에도 그랬듯이 유럽을 여전히 물리칠 수 있었다."[74] 오스만 제국에서도 청년 투르크당은 일본을 롤 모델로 받아들였다.[74]
5. 5. 한국의 관점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러일전쟁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서막이었다. 일본은 러일전쟁 승리를 발판으로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고 식민 통치를 시작했다. 러일전쟁은 한국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와 고통을 안겨준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개전 전 대한제국에서는 일본파와 러시아파 간의 정쟁이 계속되었다. 이후 일본의 전황이 유리해지자 동학 계열에서 일진회가 1904년에 설립되어 대중층에서의 친일적인 독립운동에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합방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초기 일진회의 당서는 한국의 자주독립이었다.
전쟁 후 러시아에 의한 위협이 사라진 조선에서는 일본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커졌고, 이후 대한제국은 일본에 여러 가지 권리를 양도하게 되었으며, 나아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다. 1910년의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간의 병합 조약 체결에 의해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병합되었다.
대한제국은 청의 책봉체제가 청일전쟁 이후 일본에 의해 해체되었지만, 만주를 세력권 아래에 둔 러시아가 조선반도에 대한 이권을 발판 삼아 남하정책을 취하고 있었다. 러시아는 고종을 통해 매각된 종성·경원의 광산 채굴권과 조선 북부의 삼림 벌채권, 관세권 등의 재정 기반을 확보하여 조선반도에서의 영향력을 증대시키며 착실히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위기감(1861년 (문쿠 원년)에 러시아 군함 대마도 점령 사건이 있었기 때문)을 느낀 일본은 이를 대한제국의 대신 매입하여 회복시켰다.
초기, 일본은 외교적 노력으로 충돌을 회피하려 노력했지만, 러시아는 강대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일본에 대한 압력을 증대시켜 나갔다. 1904년(메이지 37년) 2월 23일, 개전 전에 "국외중립선언"을 한 대한제국에서의 군사 행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한의정서를 체결하고, 개전 후 8월에는 제1차 일한협약을 체결했다. 대한제국의 재정, 외교에 고문을 두고 조약 체결에 일본 정부와 협의하도록 했다. 대한제국 내에서도 이씨조선에 의한 구체제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국가의 근대화·독자적 개혁이 어렵다고 주장하는 진보회는 일한합방을 목표로 하여 철도 부설 공사 등에 5만 명이라는 대량의 인원을 파견하는 등, 러일전쟁에서 일본에 대한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고종과 양반 등 구 이조 지배층은 근대화라는 명목으로 그들의 이권을 없애고 자국 이권과 지배력 강화를 꾀하는 일본의 영향력을 어떻게든 배제하려 시도하며, 러일전쟁 중에도 러시아에 밀서를 보내는 등의 외교를 전개했다. 전쟁 중 밀사가 일본 군함에 의해 해상에서 발견되어 대한제국은 조약 위반을 저지르는 실패로 끝맺었다.
1904년 4월 16일, 러시아 기병이 흥남에 진주하여 일본인 가옥(일본인은 이미 철수한 상태)에 불을 지른 후 다음 날 철수하는 과정에서 러시아군과 한국군이 접촉하였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일본군에 패배하여 퇴각하던 러시아 기병이 5월 19일 함흥에서 한국군과 교전하였고, 1시간 후에 철수하였다. 이때 한국군 1명이 전사하고 러시아군 1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러한 교전은 모두 우발적인 것이었다.
6. 결론
러일 전쟁은 20세기 초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를 뒤흔들고, 특히 대한제국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건이었다. 일본은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크게 높였지만,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하였다.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일본은 랴오둥반도(관동주)의 조차권, 동청철도의 장춘~대련 지선, 그리고 대한제국에 대한 감독권을 획득하였다.[177] 이러한 결과는 대한제국이 일본에 여러 권리를 양도하게 하고, 보호국이 되는 과정으로 이어졌다. 결국 1910년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간의 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강제 병합되었다.[177]
러일전쟁은 제국주의 침략의 위험성과 그로 인한 국가적 비극을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을 남겼다. 특히,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약소국이 겪는 어려움과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준다.
참조
[1]
서적
Casualties and Medical Statistics of the Great War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
서적
Losses of Life Caused By War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3]
웹사이트
Mid-Range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 Russo-Japanese War
http://necrometrics.[...]
2013-10-17
[4]
이미지
Serio-comic war map for the year 1877
[5]
harvnb
[6]
harvnb
[7]
지도
The Growth of European and Japanese Dominions in Asia since 1801
http://www.lib.utexa[...]
2007-09-25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2-06-05
[12]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Origins of the Pacific W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13]
harvnb
[14]
harvnb
[15]
서적
Wilhelm II: Into the Abyss of War and Exile, 1900–194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16
[16]
서적
Baron Komura to Mr. Kurino
https://archive.org/[...]
1903-08-03
[17]
서적
Baron Komura to Mr. Kurino
https://archive.org/[...]
1903-10-05
[18]
harvnb
[19]
harvnb
[20]
학술지
The Russo-Japanese War: Primary Causes of Japanese Success
https://www.questia.[...]
2005-03-01
[21]
harvnb
[22]
서적
The Russian Rockfellers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20-09-20
[23]
서적
Baron Komura to Mr. Kurino
https://archive.org/[...]
1903
[24]
서적
Rising sun and tumbling bear : Russia's war with Japan
https://www.worldcat[...]
Cassell
2004
[25]
서적
Rising sun and tumbling bear : Russia's war with Japan
https://www.worldcat[...]
Cassell
2004
[26]
서적
Russo-Japanese naval war, 1905
https://www.worldcat[...]
Mushroom Model
2007
[27]
서적
Rising sun and tumbling bear : Russia's war with Japan
https://www.worldcat[...]
Cassell
2004
[28]
서적
Russo-Japanese naval war, 1905
https://www.worldcat[...]
Mushroom Model
2007
[29]
서적
The Russo-Japanese War (Illustrated Edition) Complete History of the Conflict: Causes of the War, Korean Campaign, Naval Operations, Battle of the Yalu, Battle for Port Arthur, Battle of the Japan Sea, Peace Treaty Tyler, Sydney. The Russo-Japanese War (Illustrated Edition): Complete History of the Conflict: Causes of the War, Korean Campaign, Naval Operations, Battle of the Yalu, ... Battle of the Japan Sea, Peace Treaty (p. 1). Madison & Adams Press. Kindle Edition.
Madison and Adams Press
[30]
서적
Russo-Japanese naval war, 1905
https://www.worldcat[...]
Mushroom Model
2007
[31]
서적
Rising sun and tumbling bear : Russia's war with Japan
https://www.worldcat[...]
Cassell
2004
[32]
웹사이트
The Korean-Japanese Dispute over Dokdo/Takeshima
http://www.dtic.mil/[...]
2007-12-01
[33]
뉴스
Russo-Japanese War
https://www.history.[...]
History.com
2018-08-21
[34]
서적
The Letters and Friendships of Sir Cecil Spring Rice: A Record
https://babel.hathit[...]
Houghton Mifflin
2021-10-28
[35]
웹사이트
Laws of War: Opening of Hostilities (Hague III) 18 October 1907
http://avalon.law.ya[...]
2021-10-28
[36]
웹사이트
Hague Conventions of 1899 and 1907
https://www.britanni[...]
2019-06-08
[37]
서적
The Hague Conventions and Declarations of 1899 and 1907
Oxford University Press
1918
[38]
웹사이트
4 facts about the war in which Russia didn't win a single battle
https://www.rbth.com[...]
2023-11-05
[39]
논문
The Progress of the World – Japan's Swift Action
https://books.google[...]
1904-03-01
[40]
서적
The Great Siege: The Investment and Fall of Port Arthur
https://archive.org/[...]
Methuen Publishing
[41]
서적
Human bullets, a soldier's story of Port Arthur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42]
문서
Jukes 2002
[43]
서적
Korean National Identi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Yi Gwangsu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https://www.routledg[...]
Routledge
[44]
문서
Jukes 2002
[45]
뉴스
The Forlorn Hope of the Armada. April 1.
http://eresources.nl[...]
1905-04-06
[46]
서적
Japan at War –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47]
논문
"'Clouds Gathering on the Horizon': The Russian Army and the Preparation of the Imperial Population for War, 1906–1914"
2019-12-01
[48]
서적
The Imperial Russian Army in Peace, War, and Revolution, 1856-1917
University Press of Kansas
[49]
서적
The End of the Russian Imperial Army: The Old Army and the Soldiers' Revolt (March-April 1917)
[50]
뉴스
Text of Treaty; Signed by the Emperor of Japan and Czar of Russia
https://query.nytime[...]
1905-10-17
[51]
서적
Socialist Korea: A Case Study in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52]
문서
Steinberg, Menning, Schimmelpenninck van der Oye, Wolff 2005
[53]
서적
The Treaty of Portsmouth: An Adventure in American Diploma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54]
논문
The First Roosevelt
1946-11-01
[55]
웹사이트
Social Protest in Imperial Japan: The Hibiya Riot of 1905 帝国日本における社会的抗議行動 1905年の日比谷焼打事件
https://apjjf.org/20[...]
2014-07-20
[56]
웹사이트
Montenegro, Japan end 100 years' war {{!}} History News Network
https://hnn.us/round[...]
2006-06-16
[57]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necrometrics.[...]
[58]
웹사이트
4 facts about the war in which Russia didn't win a single battle
https://www.rbth.com[...]
2023-11-06
[59]
문서
Schimmelpenninck van der Oye 2005
[60]
서적
The Revolution of 1905: Russia in Disarra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1]
뉴스
TERRIBLE SCENES IN POLAND.; Men Ordered to the War Kill Their Children -- Wives Commit Suicide.
https://www.nytimes.[...]
1904-12-18
[62]
서적
The Japanese and Europe: Images and Perceptions
https://books.google[...]
Japan Library
[63]
논문
A Polish Chapter of the Russo-Japanese War
1959-11-01
[64]
뉴스
Japan's Present Crisis and Her Constitution
https://query.nytime[...]
1905-09-03
[65]
웹사이트
Privy Council minutes on ratification of the Russo-Japanese Peace Treaty
https://www.jacar.go[...]
[66]
문서
Steinberg 2008
[67]
논문
The "Yellow Peril" Mystique: Origins and Vicissitudes of a Racist Discourse
Springer Publishing
2000-06-01
[68]
논문
Anatomy of a Scare: Yellow Peril Politics in America, 1980–199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4-01
[69]
논문
Sex, Masculinity, and the 'Yellow Peril': Christian von Ehrenfels' Program for a Revision of the European Sexual Order, 1902–1910
2002-05-01
[70]
서적
Iran and Russian Imperialism: The Ideal Anarchists, 1800–1914
Routledge
[71]
서적
The Modernization of Iran, 1921–1941
Stanford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Sun Yat-sen's speech on Pan-Asianism
https://en.wikisourc[...]
[73]
서적
Trans-Himalay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74]
서적
Ottomans Imagining Japan
https://books.google[...]
Palgrave
2020-09-20
[75]
서적
Race War!: White Supremacy and the Japanese Attack on the British Empire
New York University
[76]
서적
A Companion to James Joyce
Blackwell
2020-11-20
[77]
학술지
Seeing Japan, Imagining Poland: Polish art and the Russo-Japanese war
http://faktografia.c[...]
2008-01
[78]
웹사이트
Dans La Tempête
https://www.retronew[...]
1904-05-01
[79]
학술지
The Russian Armada 1904–5
http://www.mrbuddhis[...]
1953-02
[80]
서적
Naval Warfare, 1815–1914
https://archive.org/[...]
Routledge
[81]
논문
The Russo-Japanese War, Lessons Not Learned
https://web.archiv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21-07-18
[82]
학술지
British Naval Estimation of Japan and Russia, 1894–1905
http://sticerd.lse.a[...]
The Suntory Centre – Suntory and Toyota International Centres for Economics and Related Disciplines –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08-09-12
[83]
학술지
German-Jewish Bankers in World Politics, The Financing of the Russo-Japanese War
1983-01
[84]
서적
Great Powers and Little Wars: The Limits of Power
Praeger
2018-01-11
[85]
학술지
British Assistance to the Japanese Nav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5
1980-04
[86]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87]
웹사이트
Asia Rising
http://ocw.mit.edu/a[...]
2015-06-17
[88]
웹사이트
Yellow Promise / Yellow Peril
https://web.archive.[...]
2015-06-17
[89]
웹사이트
State Historical Museum Opens 'The Year 1812 in the Paintings by Vasily Vereshchagin'
http://www.artdaily.[...]
2015-06-17
[90]
뉴스
War Lasted 18 Months; Biggest Battle Known... Russian Miscalculation
https://www.nytimes.[...]
2018-06-11
[91]
웹사이트
http://www.wikiart.o[...]
[92]
이미지
Chuliengcheng. In a glorious death eternal life
https://commons.wiki[...]
[93]
Youtube
Amur's Waves
https://www.youtube.[...]
[94]
웹사이트
Ilya Shatrov: On the Hills of Manchuria, Waltz
https://web.archive.[...]
2015-06-04
[95]
웹사이트
Rudolf Greins. 'Auf Deck, Kameraden, All Auf Deck!'
https://rucont.ru/ef[...]
2018-01-17
[96]
웹사이트
https://mudcat.org/t[...]
[97]
웹사이트
General Maresuke Nogi (1849–1912)
http://www.warpoets.[...]
[98]
웹사이트
http://intersections[...]
2000-09-04
[99]
웹사이트
Thou Shalt Not Die: Yosano Akiko and the Russo-Japanese War
https://web.archive.[...]
2015-06-02
[100]
서적
Splendid Monarchy: Power and Pageantry in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11-20
[101]
서적
A Russo-Japanese War Poem
https://archive.org/[...]
The Standard Press
[102]
서적
Selected Writings of Blaise Cendrars
New Directions
[103]
학술지
Dialect with Army and Navy
http://www.lrb.co.uk[...]
2015-06-02
[104]
서적
The International Spy – Being the secret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http://www.gutenberg[...]
M.A. Donohue & Co
2018-01-16
[105]
서적
Science Fiction: The Early Years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106]
서적
Alter Ego: a Tale
http://www.gutenberg[...]
William Briggs
2018-01-16
[107]
웹사이트
The Russo-Japanese War and Boys Own Adventure Stories
https://web.archive.[...]
2018-01-16
[108]
서적
Kobo
http://www.gutenberg[...]
G.P. Putnam's Sons
2018-01-16
[109]
서적
Brown of Moukden
http://www.gutenberg[...]
G.P. Putnam's Sons
2018-01-16
[110]
서적
Under the Mikado's Flag, or Young Soldiers of Fortune
https://babel.hathit[...]
Lothrop, Lee & Shepard Co
2018-01-16
[111]
서적
At the Fall of Port Arthur, or a young American in the Japanese navy
http://www.gutenberg[...]
Lothrop, Lee & Shepard Co
2018-01-16
[112]
서적
The North Pacific – A 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http://www.gutenberg[...]
E.P. Dutton & Co
2018-01-16
[113]
서적
For the Mikado or a Japanese Middy in Action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14]
서적
Under the Ensign of the Rising Sun – A 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http://www.gutenberg[...]
Silver Scroll
2018-01-16
[115]
논문
Invasion-Literature, 1871–1914
http://www.theriddle[...]
2018-01-20
[116]
웹사이트
The New Dominion: A Tale of To-morrow's Wars / Arthur W. Kipling
https://archive.org/[...]
Francis Griffiths
1908-04-29
[117]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Banzai!, by Parabellum.
http://www.gutenberg[...]
2018-01-19
[118]
웹사이트
The Australian Crisis [novel by C. H. Kirmess, 1909]
http://www.australia[...]
2012-08-03
[119]
서적
Losses of Life Caused By War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020-09-20
[120]
뉴스
Multiple perspectives in novel on the Russo-Japanese War
http://www.japantime[...]
2013-07-27
[121]
영화
[122]
웹사이트
The Prisoner of Sakura
https://jfdb.jp/en/t[...]
2020-11-06
[123]
서적
「日露激突」奉天大会戦
[124]
서적
Casualties and Medical Statistics of the Great War
HMSO
[125]
웹사이트
帝国書院|統計資料 歴史統計 戦争別死傷者数
http://www.teikokush[...]
帝国書院
2018-10-14
[126]
웹사이트
テーマで見る日露戦争 VI 統計
http://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18-10-14
[127]
뉴스
時事ドットコム:日露戦争のロシア将兵捕虜
http://www.jiji.com/[...]
2012-11-26
[128]
서적
Losses of Life Caused By War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29]
웹사이트
日露戦争(にちろせんそう)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8-27
[130]
서적
渡辺錠太郎伝
株式会社小学館
2020-02-04
[131]
웹사이트
NHK高校日本史・日清戦争 〜中国観の変化〜
https://www.nhk.or.j[...]
[132]
웹사이트
日露戦争|日本大百科全書・世界大百科事典・国史大辞典|ジャパンナレッジ
https://japanknowled[...]
ネットアドバンス
2023-12-17
[133]
웹사이트
日露戦争とは何か?発生の目的・その後の影響をわかりやすく解説しました
https://rekishiclub.[...]
勝田健太郎
2023-12-17
[134]
학술지
ポーツマス条約成立秘史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2023-12-27
[135]
웹사이트
知っていましたか? 近代日本のこんな歴史 {{!}} ポーツマス講和会議 ~小村寿太郎と交渉の「舞台裏」~
https://www.jacar.go[...]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3-12-17
[136]
문서
伊藤
[137]
웹사이트
日俄戦争時清政府中立:“聯日拒俄”
http://history.huanq[...]
環球網>歴史頻道>中国史>正文
2015-01-26
[138]
웹사이트
日俄戦争中清廷為何暗助日本
http://epaper.qingda[...]
《老年生活報》電子版>第05版 歴史透視
2011-10-14
[139]
웹사이트
【安保改定の真実】新条約の真の設計者はマッカーサー2世だった… 骨の髄まで反共主義者 「中ソの日本中立化を阻止せね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6-19
[140]
서적
ソ連海軍戦略
原書房
[141]
서적
軍国日本の興亡―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ー
中央公論社
1995-03-25
[142]
서적
公爵山縣有朋傳 下
[143]
서적
公爵山縣有朋傳 下
[144]
서적
東亜関係特種条約彙纂
https://books.google[...]
東亜同文会
1904-05-22
[145]
서적
日露戦争と新聞:「世界の中の日本」をどう論じたか
講談社
2009
[146]
서적
逓信畠の先輩巡礼
https://dl.ndl.go.jp[...]
交通経済社出版部
1935
[147]
뉴스
日露戦争の戦費、英首相の高祖父から助力…首相
https://web.archive.[...]
2013-06-20
[148]
문서
財務省今昔物語7
http://www.mof.go.jp[...]
[149]
서적
ウォーバーグ ユダヤ財閥の興亡(上)
日本経済新聞社
1998
[150]
서적
日本外債小史
日本興業銀行
1948-01
[151]
회의록
第204回国会 財務金融委員会 第3号
https://www.shugiin.[...]
2021-02-16
[152]
웹사이트
帝国書院 | 統計資料 歴史統計 戦争別戦費
https://www.teikokus[...]
帝国書院
2022-06-28
[153]
서적
なぜロシアは敗れたか
[154]
문서
1904-09-03
[155]
서적
日露激突
[156]
문서
[157]
문서
1905-02
[158]
문서
1904-11-02
[159]
서적
ソ連から見た日露戦争
[160]
논문
黄禍論と日露戦争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1982-08
[161]
아카이브
第3編 開戦の際に於る行動/第2章 兵力衝突前に於る船舶拿捕
[162]
서적
日露戦争史
https://dl.ndl.go.jp[...]
1908
[163]
서적
医海時報
https://dl.ndl.go.jp[...]
医海時報社
1904-03
[164]
서적
日露戦争時事画報
https://dl.ndl.go.jp[...]
時事画報社
1904
[165]
아카이브
第3編 開戦の際に於る行動/第3章 我か行動に関する露国の異議
[166]
법률
Hague Convention Title II, Article 2
1989
[167]
아카이브
第2編 国際法関係の法令/第1章 戦時の始期に関する件
[168]
서적
海軍兵学校物語
原書房
[169]
서적
児玉源太郎は天才作戦家ではなかった
並木書房
[170]
서적
The War of the Rising Sun and Tumbling Bear
1988
[171]
서적
日露戦争全史
[172]
웹사이트
Dogger Bank - Voyage of the Damned
http://www.hullwebs.[...]
2020-06-15
[173]
블로그
旅順 旧赤十字病院
https://web.archive.[...]
[174]
서적
日本海海戦:悲劇への航海
NHK出版
2020
[175]
뉴스
サハリンの日本兵慰霊碑再建を 苫小牧の梅木さん訴え
http://www.hokkaido-[...]
2008-10-14
[176]
웹사이트
知っていましたか? 近代日本のこんな歴史 {{!}} ポーツマス講和会議 ~小村寿太郎と交渉の「舞台裏」~
https://www.jacar.go[...]
2022-02-20
[177]
서적
1910-30年代の日本 アジア支配への途
岩波書店
1994-07-28
[178]
서적
新版 日中戦争 [中公新書 1532]
中央公論新社
2000-04-25
[179]
서적
軍国日本の興亡―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ー [中公新書 1232]
中央公論社
1995-03-25
[180]
논문
近代日中関係の担い手に関する研究(中清派遣隊) -漢口駐屯の日本陸軍派遣隊と国際政治-
麗澤大学経済社会総合研究センター
2008
[181]
서적
革命とナショナリズム 1925-1945 シリーズ中国近現代史③ [岩波新書(新赤版)1251]
岩波書店
2010-10-20
[182]
웹사이트
中野文庫 - 勅語(明治39年) 帝国軍人援護会ヘ勅語(明治39年6月7日)
http://www.geocities[...]
NAKANO Makoto
2018-10-14
[183]
서적
ロシア兵捕虜が歩いたマツヤマ
https://www.worldcat[...]
愛媛新聞社
2005
[184]
간행물
島崎:歴史と文化財
熊本市教育委員会
1988-03
[185]
문서
官報
[186]
웹사이트
日露戦争と日本外交
http://www.nids.go.j[...]
NIDS
[187]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s and Japan Confront White Supremacy
http://www.columbia.[...]
コロンビア大学『Souls』
2001
[188]
서적
中国人口史 第5巻
復旦大学出版社
2001-05
[189]
웹사이트
Istorija: Đuro Batrićević
http://montenegrina.[...]
2011-05-12
[190]
웹사이트
〔備考〕外交関係の回復に関する書簡について
http://www.mofa.go.j[...]
外務省
[191]
뉴스
一九五六年の日ソ共同宣言など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www.shugiin.g[...]
2011-03-19
[192]
뉴스
衆議院議員鈴木宗男君提出一九五六年の日ソ共同宣言など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www.shugiin.g[...]
2011-03-19
[193]
웹사이트
モンテネグロの承認及び山中総理特使のモンテネグロ訪問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006-06-16
[194]
뉴스
Montenegro, Japan to declare truce
http://www.upi.com/T[...]
UPI通信社
2006-06-16
[195]
웹사이트
山中外務大臣政務官のモンテネグロ共和国訪問(概要)
https://www.mofa.go.[...]
外務省
2006-06
[196]
서적
父が子に語る世界史
2018-10-14
[19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Rowman & Littlefield
2017
[198]
서적
大日本帝国の真実―西欧列強に挑んだ理想と悲劇
扶桑社
2005-07-01
[199]
서적
大日本帝国の真実―西欧列強に挑んだ理想と悲劇
扶桑社
2005-07-01
[200]
서적
イスラム唯一の希望の国 日本
PHP研究所
2017-03-15
[201]
서적
大日本帝国の真実―西欧列強に挑んだ理想と悲劇
扶桑社
2005-07-01
[202]
서적
イスラム唯一の希望の国 日本
PHP研究所
2017-03-15
[203]
논문
第一次世界大戦期における日露接近の背景--文明論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04]
문서
1904년 2월 8일 일본 제국이 러시아 제국을 선제 공격하였다.
[205]
문서
하얼빈에서 심양을 경유하여 여순항에 이르는 철도
[206]
서적
The War of the Rising Sun and the Tumbling Bear - A Military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5
London
1988
[207]
뉴스
1904년 러일전쟁 서막 연 제물포해전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4-02
[208]
논문
1904~5년 러일전쟁과 국내 정치동향
https://db.history.g[...]
2014
[209]
논문
을사늑약 체결과정과 국제정세
https://sinam.mpva.g[...]
2015
[210]
서적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페이퍼로드
2008
[211]
간행물
1904년 러일전쟁 서막 연 제물포 해전
신동아
2004-02
[212]
문서
'T'를 가로지른다는 것은, 길게 늘어선 여러 전함의 주포 공격 방향[횡방향]이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적 함대의 앞부분을 막는, 해군 전술상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213]
웹사이트
Secondary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necrometr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