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명역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역명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을 따라 조선에 온 두사충이 고국을 그리워하며 붙인 지명 "대명"에서 유래했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인근에는 남대구세무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현충로역
현충로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으로, 1997년 개통되었으며 앞산네거리에 위치해 있고, 역명은 인근 현충로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교대역 (대구)
교대역은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 전철역으로, 인근 대구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1호선 심야 주박역이자 셔틀버스 기점으로 활용된 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대명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한국어) | 대명역 |
역 이름 (한자) | 大明驛 |
역 이름 (로마자 표기) | Daemyeongyeok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
운영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
역 번호 | 124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서부정류장역 |
다음 역 | 안지랑역 |
역간 거리 | 0.8 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설화명곡역 기점 8.5 km |
2. 역명의 유래
이곳은 원래 대구부 상수서면 지역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 이여송을 따라 조선에 온 두사충(杜師忠)이 이곳에 살면서 고국인 명나라를 생각하며 '대명(大明)'이라는 지명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3. 역사
4. 역 구조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벽면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승강장이 곡선 형태이기 때문에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승하차 시 주의해야 한다.[2]
4.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별도의 번호가 없으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역 주변
대명역 사거리에 역이 있으며, 인근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이 있으나 이 역에서 병원 방향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없어 전 역인 안지랑역에서 순환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역명과는 달리 대명동 중심가와는 거리가 있으며, 미군 부대와 인접하여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아 이용객이 적은 편이다. 대명동의 주요 상권은 서부정류장역, 안지랑역, 영대병원역 인근에 발달해 있어 해당 역들의 이용객이 더 많다.
구분 | 시설명 |
---|---|
관공서/공공기관 | |
금융기관 | |
교육기관 | |
주거시설 | |
상업시설 | |
기타 |
6. 승차량 변동
대명동 구간은 이용 빈도가 썩 많지 않은 편이었으나, 최근 승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는 대명역 4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소속 교회당인 신천지예수교회 다대오지성전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일어난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의 진원지 가운데 하나로 알려지면서 이용객 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기도 했다.[3][4][5][6]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2,406 | 2,707 | 2,762 | 미공개 | 2,701 | 2,774 | 1,658 | 2,610 | 2,688 | 3,318 | [7] |
노선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3,168 | 3,169 | 3,094 | 3,029 | 3,412 | 3,612 | 3,840 | 3,909 | 4,024 | 4,379 | [8] |
노선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호선 | 4,660 | 4,916 | 5,211 | 2,458 |
7. 인접한 역
1km
0.8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