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심역은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14년 부역명에 '혁신도시·첨복단지'가 적용되었다. 2016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 2024년 하양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신라 시대 왕건이 이곳에서 안심했다는 데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반야월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1998년 개통되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역명은 공산 전투에서 유래한 '반야월' 지명에서 비롯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안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스타일 | 대구 도시철도 |
역 스타일 2 | 1 |
주소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 지하455 (괴전동 536-1) |
좌표 | 35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수 | 1 |
선로 수 | 2 |
개업일 | 1998년 5월 2일 |
역 번호 | 146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인접역 | 각산역 |
인접역 (방향) | system: DTRO line: 1 left: 각산 right: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안심역 |
한자 | 安心驛 |
로마자 표기 | Ansimnyeok |
역 위치 | |
노선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번호 | 146 |
영업 거리 | 설화명곡 기점 28.4 km |
이전 역 | 각산역 |
이전 역 거리 | 0.9 km |
다음 역 | 대구한의대병원역 |
다음 역 거리 | 1.3 km |
부역명 | |
부역명 | 혁신도시·첨복단지 (혁신도시 및 첨복단지 DRT) |
기타 정보 | |
개업일 | 2002년 5월 10일 |
2. 역사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으로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다음 날인 2월 19일에 영업을 재개하였다. 2024년 12월 21일 하양역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될 예정이다.[2]
2. 1. 연혁
- 1998년 5월 2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으로 영업 중단
- 2003년 2월 19일 : 영업 재개
- 2014년 2월 28일 : 부역명에 '''혁신도시·첨복단지''' 적용
- 2016년 8월 10일 : 스크린도어 설치
- 2019년 5월 17일 : 5단계 안심 ~ 하양 연장 구간 착공
- 2024년 12월 21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2]
3. 역명의 유래
신라 말기, 후백제의 견훤과 맞붙었던 공산 전투에서 패하여 신숭겸 등의 부하들을 잃고 도망쳤던 고려 왕건이 이곳에 다다라서야 안심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3] 왕건이 견훤과의 전투에서 패전한 곳은 대구 시내버스 업체 광남자동차 차고지가 있는 봉무동의 파군재삼거리다.[4] 안심은 원래 대구가 아닌 경산군 안심읍이었다가 대구시 안심동으로 편입된 지역이다. 안심역이 있는 송정삼거리에서 반야월 구길과 신길이 나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반야월 신길로 운행한다. 2014년 2월 28일 부역명에 '''혁신도시·첨복단지'''가 적용되었다.[5] 첨복단지는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약칭이다.
4. 특징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안심역은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전까지는 대구 도시철도 전체에서 유일한 섬식 승강장 역이었다. 승강장이 약간 굽어 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단차가 있다.
4. 1. 구조적 특징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한 섬식 승강장 구조의 역으로, 2호선 개통 전까지 대구 도시철도의 유일한 섬식 승강장 역이었다. 열차에서 내릴 때는 왼쪽 문으로 내려야 한다.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 단차가 있다.5. 역 구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32개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역은 약간 굽은 구조로 되어 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 단차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