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철도역으로, 196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구선, 동해선, 경전선, 경북선, 충북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며,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신관이 증축되었고, 2016년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개장했다. 이 역은 KTX-산천과 SRT 복합열차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2024년 대경선 구미~경산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철도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역 - 고모역
1925년 개업한 고모역은 한국전쟁으로 소실 후 재건되었으나 여객 취급 중단 및 간이역으로 격하, 2018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단장되었으며 "비 내리는 고모령" 노래의 배경인 고모령 인근에 위치한 현재는 출입이 통제된 역이다. - 대경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경선의 역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안심역
안심역은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3년 화재 참사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14년 부역명 적용, 2016년 스크린도어 설치를 거쳐 2024년 하양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고, 신라 시대 왕건이 안심했다는 데서 유래된 역명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반야월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1998년 개통되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역명은 공산 전투에서 유래한 '반야월' 지명에서 비롯되었다.
동대구역 | |
---|---|
기본 정보 | |
역명 | 동대구역 |
모국어 표기 | 동대구 |
로마자 표기 | Dongdaegu |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
한국어 표기 | 동대구역/동대구역역 |
한자 표기 | 東大邱驛/東大邱驛驛 |
일본어 표기 | ひがしたいきゅうえき/ひがしたいきゅうえきえき |
카타카나 표기 | トンデグヨク/トンデグヨンニョク |
영어 표기 | Dongdaegu Station |
중국어 표기 | 东大邱站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동대구관리역 |
개업일 (경부선) | 1969년 6월 10일 |
개업일 (대경선) | 2024년 12월 14일 |
역 번호 | K117 |
등급 | 1급 |
승강장 | 7면 14선 |
단말기 | 15 |
노선 정보 (한국철도공사) | |
노선 1 | 경부고속선 |
영업 거리 1 | 금천구청 기점 267.5km |
이전 역 1 | 김천(구미) |
이전 역 거리 1 | 53.1 |
다음 역 1 | 경주 |
다음 역 거리 1 | 49.0 |
노선 2 | 건천연결선 |
다음 역 2 | 모량** |
다음 역 거리 2 | 41.1 |
노선 3 | 경부선 (KR6) |
영업 거리 3 | 서울 기점 326.3 km |
이전 역 3 | 대구 |
이전 역 거리 3 | 3.2 |
다음 역 3 | 고모 |
다음 역 거리 3 | 5.5 |
비고 | ** 정확히는 경부고속본선과 건천연결선을 경유하는 거리 |
지하철 정보 (대구교통공사) | |
역명 (지하철) | 동대구역 |
위치 (지하철)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530 (신천4동) |
좌표 | 35.87801, 128.627844 |
관할 (지하철) | 대구교통공사 |
개업일 (지하철) | 1998년 5월 2일 |
승강장 (지하철) | 2면 2선(상대식) |
영업 거리 (지하철) | 설화명곡 기점 17.4 km |
이전 역 (지하철) | 134 신천 |
이전 역 거리 (지하철) | 0.9 |
다음 역 (지하철) | 136 동구청 |
다음 역 거리 (지하철) | 0.9 |
이미지 | |
![]() | |
![]() | |
![]() | |
![]() |
2. 연혁
1966년 7월 16일 : 역사 신축 착공[7]
1969년 6월 10일 : 역사 준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7][1]
1971년 3월 1일 : 화물 취급 및 구내업무 개시
1971년 12월 29일 : 선상역사 준공
1977년 6월 15일 : 대구역 소화물업무병합
1977년 7월 19일 : 동대구역 출발 특급열차 운행 개시
1977년 7월 21일 : 귀빈실 증축
1978년 12월 25일 : 역광장육교 가설
1979년 12월 31일 : 본선 3~4호선 승강장 이설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8]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9]
1998년 5월 2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1]
2000년 1월 1일 : 동대구지역관리역으로 직제 변경[1]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전 노선 운행 중단. 다음날인 2월 19일 운행은 재개되었으나, 8개월 동안 임시 종착역 기능을 대행했다.
2003년 10월 21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복구 완료와 함께 전 구간 운행 재개 및 중간역으로 변경
2004년 4월 1일 : KTX 개통(1일 88회 운행) 및 신관 증축 완공[1]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1]
2006년 7월 1일 : 지역관리역제 폐지로 보통역으로 조정, 대구지사관할역[1]
2007년 6월 1일 : 시각표 개정으로 김천, 구미 경유 KTX 운행 시작[1]
2008년 1월 1일 : 동대구-포항 간 통근열차 운행 중단 및 김천, 구미 경유 KTX 증편[1]
2008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10]
2009년 5월 10일 : KTX 2단계 역사 증축공사 착공[2]
2009년 5월 29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역 스크린도어 설치[1]
2009년 9월 14일 : 본부체제 개편 및 관리역 체제 운영(3개역)
2010년 11월 1일 : 2단계 역사 증축 공사 진행 중(공정율 50%) 및 김천·구미 경유 KTX 설정 폐지.[1]
2010년 12월 15일 : 서울-동대구 간 무궁화호 운행 개시.[1]
2011년 5월 1일 : 다이아 개정으로 고속선 경유 동대구행 KTX 운행 종료.[1]
2012년 7월 17일 : 역사 증축공사 임시사용 승인
2012년 7월 25일 :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구간 공사로 진해선 방면 새마을호 열차의 기점이 됨.[1]
2012년 8월 1일 : 다이아 개정으로 무궁화호 하행 2편에 동대구발 경산행 열차 설정.[1]
2012년 11월 1일 : 다이아 개정으로 고속선 경유 동대구행 KTX 운행 재개, 부전/진해 방면 새마을호 운행 종료.[1]
2016년 12월 9일 : SRT 운행 개시[1]
2016년 12월 12일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개장[1]
2022년 10월: 부역명 신세계백화점 삭제
2022년 11월 5일 : 누리로 운행 재개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2024년 12월 14일 : 대경선 구미 ~ 경산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3]
2. 1. 한국철도공사
2. 2. 대구교통공사
3. 역 구조
4번 홈은 결번이다.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설로 인하여 2009년 5월 15일부터 역 증축 공사를 시행하여, 7면 14선으로 확장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
섬식 승강장 6면 12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고가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9년 5월 15일부터 역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7면 14선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 승강장 ====
↑ 하양(대구선)/경산(경부선), 대경선 광역전철/↑경주(경부고속선)/↑포항(동해선)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
1 | 대구선 · 중앙선 · 영동선 | 무궁화호 | 동해 · 영주[11]· 안동 · 의성 방면 |
2~3 | 대구선 · 동해선 | 무궁화호 · ITX-마음 · 누리로 | 영천 · 포항 · 경주 · 태화강 · 부전 방면 |
5~6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KTX[12] · SRT[12]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 부산 · 신해운대 · 밀양 · 진영 · 마산 · 진주 · 경산 방면 |
7~8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 KTX · SRT | 경주 · 울산 · 부산 · 마산 · 진주 · 포항 방면 |
9~10 | 경부고속선 | KTX | 동대구발 서울 · 대전 방면[13] |
11~12 | 경부고속선 | KTX · SRT | 대전 · 수원 · 서울 · 행신 · 수서 방면 |
13~14 | 경부선 · 경북선 · 충북선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김천 · 대전 · 서울 · 충주 · 영주[14] · 동해 · 구미 방면 |
↓ 대구(경부선), 대경선 광역전철/김천(구미)(경부고속선)/서대구(경부선)
==== 배선도 ====
동대구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대구역↑ (서울 방면)
가천역↓ (부산 방면)
=== 대구교통공사 ===
대구교통공사 소속 1호선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 530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1998년 5월 2일에 개업하였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승강장 ====
신천 ↑
동구청 ↓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한국철도공사
섬식 승강장 6면 12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고가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9년 5월 15일부터 역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7면 14선으로 확장될 예정이다.3. 1. 1. 승강장
wikitext↑ 하양(대구선)/경산(경부선), 대경선 광역전철/↑경주(경부고속선)/↑포항(동해선)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
1 | 대구선 · 중앙선 · 영동선 | 무궁화호 | 동해 · 영주[11]· 안동 · 의성 방면 |
2~3 | 대구선 · 동해선 | 무궁화호 · ITX-마음 · 누리로 | 영천 · 포항 · 경주 · 태화강 · 부전 방면 |
5~6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KTX[12] · SRT[12]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 부산 · 신해운대 · 밀양 · 진영 · 마산 · 진주 · 경산 방면 |
7~8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 KTX · SRT | 경주 · 울산 · 부산 · 마산 · 진주 · 포항 방면 |
9~10 | 경부고속선 | KTX | 동대구발 서울 · 대전 방면[13] |
11~12 | 경부고속선 | KTX · SRT | 대전 · 수원 · 서울 · 행신 · 수서 방면 |
13~14 | 경부선 · 경북선 · 충북선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김천 · 대전 · 서울 · 충주 · 영주[14] · 동해 · 구미 방면 |
↓ 대구(경부선), 대경선 광역전철/김천(구미)(경부고속선)/서대구(경부선)
3. 1. 2. 배선도
wikitext동대구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대구역↑ (서울 방면)
가천역↓ (부산 방면)
3. 2. 대구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소속 1호선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 530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1998년 5월 2일에 개업하였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하며, 상행·하행 승강장에서 계단을 올라간 지하 2층에 각각 개찰구가 있다. 상하행 승강장 간 개찰구 내 이동은 불가능하다. 지하 1층에는 역무실과 화장실이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3번까지 총 3곳이다.[4]
신천 ↑
동구청 ↓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3. 2. 1. 승강장
wikitext신천 ↑
동구청 ↓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열차 결합 및 분리
4. 1. KTX-산천 복합열차
이 역에서는 부산역/마산역, 진주역에서 출발하는 000, 100, 200번대 경부고속선/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과 포항역에서 출발하는 230번대 동해선 KTX-산천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15] 상행 열차의 경우에는 동해선 KTX-산천 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중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에 오는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가 동대구역 구내에 진입하면 동해선 KTX-산천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는 앞차와 2미터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후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점검을 마친 후 무전지시를 한다.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는 시속 2Km/h이내로 진입하면서 동해선 KTX-산천 열차와 하나로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후에 두 열차의 뒷 쪽 집전장치가 올리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승객들을 승하차 시킨 후 정시가 되면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15]반대로 하행 열차의 경우에는 동해선 KTX-산천 열차가 앞에 있고 경부고속선/경전선 KTX-산천 열차는 뒤에 연결되어 동대구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지켜본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동해선 KTX-산천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가 되면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경부고속선/경전선 KTX-산천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KTX-산천은 1~8호차까지 있는데,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8호차까지 있게 된다.[15] 또한 교류 25,000볼트 고전압이 직접 사람에게 닿을 위험성이 있어 두 편성 간에 직접적으로 전력 공급을 하지 않고 4개의 팬터그래프 중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 2개의 팬터그래프가 올라간 채로 운행한다.[15]
4. 2. SRT 복합열차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300번대 경부고속선 SRT과 진주역/포항역에서 출발하는 380, 390번대 경전선/동해선 SRT은 이 역에서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행 열차의 경우 경부고속선 SRT 열차가 먼저 도착하여 승객 승하차 후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하며, 뒤이어 경전선/동해선 SRT 열차가 도착하면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기기 점검 후 무전 지시에 따라 시속 2Km/h 이내로 진입, 경부고속선 SRT 열차와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 후 뒷쪽 집전장치를 올려 출입문을 개방, 승객 승하차 후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16]하행 열차는 경부고속선 SRT 열차가 앞에, 경전선/동해선 SRT 열차가 뒤에 연결되어 동대구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승객 승하차 중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 분리 작업 후, 선행 경부고속선 SRT 열차가 출발하고, 후행 경전선/동해선 SRT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출발한다. SRT은 1~8호차까지 운행하며, 복합열차는 1~18호차까지 운행한다.[16] 교류 25,000V 특고압 전류 감전 사고 위험으로 두 편성 간 직접 전력 공급은 하지 않고,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 2개의 팬터그래프가 올라간 채로 운행한다.[16]
5. 승차량 변동
wikitext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철도역으로, 전국에서 서울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5]
연도별 | 이용 현황[5] | |||||||
---|---|---|---|---|---|---|---|---|
경부선 | 대구선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합계 | 합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77,269 | 1,282,677 | 31,099 | 1,891,045 | 849,177 |
하차 | 미개통 | 1,374,255 | 1,742,485 | 62,540 | 3,179,280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400,297 | 1,570,276 | 28,709 | 2,999,282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579,498 | 1,142,460 | 29,815 | 1,751,773 | 887,875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57,497 | 1,212,496 | 30,859 | 1,800,852 | 754,330 |
하차 | 미개통 | 1,324,858 | 1,566,192 | 59,936 | 2,950,986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352,202 | 1,430,894 | 25,873 | 2,808,969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539,247 | 1,100,698 | 27,146 | 1,667,091 | 708,700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63,849 | 1,064,131 | 28,261 | 1,556,241 | 633,013 |
하차 | 미개통 | 1,213,510 | 1,358,739 | 67,251 | 2,639,500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253,584 | 1,266,026 | 24,824 | 2,544,434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460,257 | 980,476 | 20,158 | 1,460,891 | 680,352 | ||
2004년 | 하행 | 승차 | 472,952 | 306,483 | 1,036,959 | 18,098 | 1,834,492 | 696,876 |
하차 | 2,827,276 | 608,567 | 1,171,366 | 20,318 | 4,627,527 | 시발 | ||
상행 | 승차 | 2,827,224 | 615,014 | 1,114,241 | 7,012 | 4,563,491 | 종착 | |
하차 | 445,253 | 319,068 | 1,005,085 | 16,526 | 1,785,932 | 720,206 | ||
2005년 | 하행 | 승차 | 796,778 | 232,768 | 1,003,362 | 22,690 | 2,055,598 | 837,075 |
하차 | 4,565,825 | 335,184 | 1,103,279 | 139 | 6,004,427 | 시발 | ||
상행 | 승차 | 4,555,662 | 318,631 | 1,051,984 | 80 | 5,926,357 | 종착 | |
하차 | 780,400 | 277,596 | 886,491 | 13,922 | 1,958,409 | 849,630 |
;대구도시철도공사
연도 | 1일 평균 승차 인원[6] |
---|---|
1998년 | 5,913 |
1999년 | 8,659 |
2000년 | 미공개 |
2001년 | 8,964 |
2002년 | 9,116 |
2003년 | 4,600 |
2004년 | 8,591 |
2005년 | 9,379 |
2006년 | 12,372 |
2007년 | 11,840 |
2008년 | 11,684 |
2009년 | 11,368 |
2010년 | 11,672 |
2011년 | 12,532 |
2012년 | 12,747 |
5. 1. 일반철도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철도역으로, 전국에서 서울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17]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5]연도별 | 이용 현황[5] | |||||||
---|---|---|---|---|---|---|---|---|
경부선 | 대구선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합계 | 합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77,269 | 1,282,677 | 31,099 | 1,891,045 | 849,177 |
하차 | 미개통 | 1,374,255 | 1,742,485 | 62,540 | 3,179,280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400,297 | 1,570,276 | 28,709 | 2,999,282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579,498 | 1,142,460 | 29,815 | 1,751,773 | 887,875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57,497 | 1,212,496 | 30,859 | 1,800,852 | 754,330 |
하차 | 미개통 | 1,324,858 | 1,566,192 | 59,936 | 2,950,986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352,202 | 1,430,894 | 25,873 | 2,808,969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539,247 | 1,100,698 | 27,146 | 1,667,091 | 708,700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63,849 | 1,064,131 | 28,261 | 1,556,241 | 633,013 |
하차 | 미개통 | 1,213,510 | 1,358,739 | 67,251 | 2,639,500 | 시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1,253,584 | 1,266,026 | 24,824 | 2,544,434 | 종착 | |
하차 | 미개통 | 460,257 | 980,476 | 20,158 | 1,460,891 | 680,352 | ||
2004년 | 하행 | 승차 | 472,952 | 306,483 | 1,036,959 | 18,098 | 1,834,492 | 696,876 |
하차 | 2,827,276 | 608,567 | 1,171,366 | 20,318 | 4,627,527 | 시발 | ||
상행 | 승차 | 2,827,224 | 615,014 | 1,114,241 | 7,012 | 4,563,491 | 종착 | |
하차 | 445,253 | 319,068 | 1,005,085 | 16,526 | 1,785,932 | 720,206 | ||
2005년 | 하행 | 승차 | 796,778 | 232,768 | 1,003,362 | 22,690 | 2,055,598 | 837,075 |
하차 | 4,565,825 | 335,184 | 1,103,279 | 139 | 6,004,427 | 시발 | ||
상행 | 승차 | 4,555,662 | 318,631 | 1,051,984 | 80 | 5,926,357 | 종착 | |
하차 | 780,400 | 277,596 | 886,491 | 13,922 | 1,958,409 | 849,630 |
5. 2. 대구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은 1998년 5월 2일에 영업을 시작하였다.[18]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여파로 한동안 이용객이 감소하였다.[18] 2010년대에 들어서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19]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5,913 | 8,659 | 미공개 | 8,964 | 9,116 | 4,600 | 8,591 | 9,379 | 12,372 | [18] | |
노선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11,840 | 11,684 | 11,368 | 11,672 | 12,532 | 12,747 | 13,190 | 13,236 | 13,020 | 13,895 | [19] |
노선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18,566 | 18,284 | 18,911 | 11,238 | 12,915 |
6. 동대구역 광장
동대구역 광장은 2017년에 준공됐다.[20] 기차와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역 이외에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지하 통로, 주차장, 버스 승강장 등이 있다.[20] 사진 찍기 좋은 여러 가지 조형물, 여름철 시원한 물을 뿜는 바닥분수, 잠시 머물다 가기 좋은 자그마한 공원 등이 있다.[20]
7. 사건사고
2013년 5월 5일 저녁, 한 30대 남성이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생식기 일부를 칼로 자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1] 2015년 7월 31일 오전 11시쯤에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현장 바닥이 붕괴되어 11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8. 역 주변
동대구역 주변에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신세계백화점 대구점, 토이킹덤 대구점, 메가박스 대구신세계(동대구), 시코르 대구점 등이 입점해 있다. 또한, 반디앤루니스 대구신세계점, 일렉트로마트 대구점, 토이킹덤 대구점, 메가박스 동대구도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내부에 위치한다.
대구파티마병원, 대구동부소방서,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옛 조달청 자리), 동대구 에일린의뜰, 이안 센트럴D, 동대구역 우방아이유쉘, 경북고속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한다. 이 외에도 동대구 맨션, 대구문화방송, 귀빈 예식장, 대한지적공사 대구동부지사, 신천동 경북아파트, 효목동 계림아파트, 대한상공회의소, 신천4동 우체국, 경북수협 사거리, 신암3동 주민센터, 신천3동 주민센터, 동대구초등학교, 덕성초등학교, KT 동대구지사, 대구메리어트 호텔 등이 있다.
9. 인접한 역
KTX | |||
---|---|---|---|
서대구 | 행신 방면 | 경주 | 부산 방면 |
대전 | 서울 방면 (경부선 수원 경유) | 경주 | 부산 방면 |
서대구 | 행신 방면 (경부선 구포 경유) | 경산 | 부산 방면 |
서대구 | 행신 방면 (경전선 경유)[22] | 경산 | 진주 방면 |
김천(구미) | 행신 방면 (동해선) | 포항 | 포항 방면 |
SRT | |||
서대구 | 수서 방면 | 경주 | 부산 방면 |
김천(구미) | 수서 방면 (경전선 경유) | 밀양 | 진주 방면 |
김천(구미) | 수서 방면 (동해선 경유) | 포항 | 포항 방면 |
ITX-새마을 | |||
대구 | 서울 방면 (경부선) | 경산 | 부산 방면 |
대구 | 서울 방면 (동해선) | 경산 | 신해운대 방면 |
대구 | 서울 방면 (경전선) | 경산 | 진주 방면 |
ITX-마음 | |||
대구 | 서울 방면 (경부선) | 구포 | 부산 방면 |
서울 방면 (경부선) | 경산 | 부산 방면 | |
하양 | 포항 · 부전 · 태화강 방면 (동해선) | ||
무궁화호 | |||
대구 | 서울 방면 (경부선, 경전선) | 경산 | 부산 · 진주 방면 |
대구 | 영주 방면 (충북선) | ||
누리로 | |||
하양 | 태화강 방면 (동해선) | ||
무궁화호 | |||
하양 | 포항 · 부전 · 태화강 방면, 동해 방면 (동해선, 영동선)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
134 신천 | 설화명곡 방면 | 136 동구청 | 하양 방면 |
대경선 (경부선) | |||
K115 대구 | 구미 방면 | K117 경산 | 경산 방면 |
10. 사진
참조
[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06-04
[2]
뉴스
동대구역 증축공사 속도 낸다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0-06-09
[3]
뉴스
구미~경산 잇는 '대경선' 운행 첫날…"지하철 타는 것과 똑같네"
https://www.news1.kr[...]
[4]
웹사이트
http://www.dtro.or.k[...]
[5]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korail.go[...]
2011-01-03
[6]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http://www.dtro.or.k[...]
[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06-04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04-17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06-17
[10]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561호
2008-10-17
[11]
웹사이트
대구선·중앙선 경유
[12]
웹사이트
서대구 경유
[13]
기타
[14]
웹사이트
충북선 경유(충북종단열차)
[15]
웹사이트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열차는 1~8호차이고 동해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16]
웹사이트
경전선/동해선 열차는 1~8호차이고 경부고속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17]
웹사이트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2011-01-03
[18]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19]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20]
웹사이트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korean.visit[...]
[21]
뉴스
동대구역 자해 소동 현장 잔해사진 SNS 확산 ‘끔찍’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05-06
[22]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