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우 대형트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 대형트럭은 1973년 이스즈 트럭을 기반으로 GMK 시보레 트럭으로 처음 출시되어, 이후 새한자동차, 대우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는 동안 다양한 모델 변화와 기술 발전을 거쳤다. 1976년에는 엔진 국산화가 이루어졌고, 1980년대에는 라인업이 확장되었다. 1995년 대우 차세대 트럭의 출시와 함께 이스즈 기반의 대우 대형 트럭은 단종되었다. 경쟁 차종으로는 현대 대형트럭, 기아 KB트럭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파사트
    폭스바겐 파사트는 1973년부터 폭스바겐에서 생산 중인 전륜구동 방식의 중형 승용차로, 아우디 80과 플랫폼을 공유하며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형태로 판매되고, 대한민국에는 4세대부터 공식 수입되어 유럽, 북미, 중국 등에서 판매된다.
  • 1973년 도입된 자동차 - 혼다 시빅
    혼다 시빅은 혼다에서 생산하는 준중형차로, 1972년 출시 후 유류 파동 시기에 연비로 인기를 얻었으며 CVCC 엔진으로 미국 시장에서 성공했고, 3도어 해치백 모델은 굿 디자인 대상을, 여러 차례 일본 올해의 차를 수상했으며, 2021년 11세대 모델이 세단과 해치백으로 판매 중이다.
  • 새한자동차의 차종 - 대우 맵시
    대우 맵시는 1982년 새한자동차에서 출시되어 대우자동차에서 XQ 엔진을 탑재한 맵시-나로 인기를 얻었으며 르망 출시 후 택시 모델로 병행 생산되다 1989년 단종된 준중형 승용차이다.
  • 새한자동차의 차종 - 새한 레코드
    새한 레코드는 새한자동차에서 생산한 자동차 모델이며, 1.9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여 레코드와 레코드 로얄 두 가지 트림으로 출시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대우 대형트럭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우 이스즈트럭
제조사타타대우상용차
생산 년도1973년~1995년
조립전라북도 군산시
선행 차량신진 대형트럭
후속 차량대우 차세대 트럭
차체 형식2도어 트럭
관련 차량새한 엘프

2. 역사

1973년부터 1995년까지 대우 대형트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이스즈 트럭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엔진 국산화, 디자인 변경, 성능 개선 등을 통해 1970~80년대 한국 상용차 시장을 주도했다.

연도주요 내용
1973년이스즈 캡오버형 TX, TD 트럭 기반의 GMK 시보레 6.5톤 및 8톤 카고 트럭, 6.5톤 덤프 트럭 출시.
1974년 ~ 1975년모델 다양화, 캡오버형 카고 트럭 페이스리프트, 미국 GMC 보닛형 트럭 도입.
1976년디젤 엔진 수입 제한으로 일부 모델 엔진을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D0846HM 엔진으로 변경. GMK에서 새한자동차로 사명 변경 (SMC 엠블럼).
1977년10.5톤, 11톤 트럭 엔진을 D2156HM 엔진으로 변경.
1983년대우자동차로 사명 변경 (DAEWOO 엠블럼). 프런트 마스크 페이스리프트, V8 310마력 엔진 탑재 15톤 덤프트럭 출시.
1984년V8 엔진 트랙터 및 콘크리트 펌프 트럭, 콘크리트 믹서 트럭 출시.
1985년전 차종 마이너 체인지 (스티어링 휠, 대시보드 변경, 섀시 보강).
1986년전 차종 페이스리프트 (헤드램프, 스피드램프 변경). 8톤 및 11톤 트럭 신형 엔진 탑재, 터보 엔진 등장.
1992년전 차종 페이스리프트, 에어 서스펜션 시트 적용, V365T 엔진 등장, 신규 라인업 (8.5톤 카고, 11톤 윙바디) 출시.
1993년국내 최초 대형 6기통 터보 인터쿨러 엔진(D2366Ti) 개발 및 적용.
1994년마이너 페이스리프트 (데칼, 엠블럼 변경, 파워 윈도우 추가), 18톤 카고 트럭 출시.
1995년대우 차세대 트럭 출시로 단종.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간략하게 주요 내용만 요약했다.

2. 1. 1973년 ~ 1976년: GMK 시보레 트럭, 이스즈 기반 모델 출시

1973년부터 1976년까지 GM 코리아(GMK)는 일본 이스즈와 기술 제휴를 맺고 시보레 브랜드로 대형 트럭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고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었으며, 엔진 국산화 시도가 이루어졌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주요 내용만 요약한다.

  • 1973년: GMK 시보레 트럭 출시 (6.5톤 및 8톤 카고, 6.5톤 덤프)
  • 1974년~1975년: 모델 다양화, 페이스리프트, 미국 GMC 트럭 도입
  • 1976년: 일부 모델 엔진 국산화 (대우중공업 D0846HM 엔진)

2. 1. 1. 1973년: GMK 시보레 트럭 출시

1973년 4월, 이스즈의 캡오버형 TX, TD 트럭을 기반으로 한 GMK 시보레 6.5톤 카고 트럭과 8톤 카고 트럭이 출시되었다. 6.5톤 카고 트럭에는 이스즈 DA640 엔진이, 8톤 카고 트럭에는 이스즈 D920 엔진이 장착되었다. 10월에는 이스즈 본네트형 TX 트럭을 기반으로 한 GMK 시보레 6.5톤 덤프 트럭이 출시되었으며, 이스즈 DA640 엔진을 탑재하였다.

2. 1. 2. 1974년 ~ 1975년: 모델 다양화 및 페이스리프트

1974년에는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4월에는 보닛형 덤프 트럭의 모델 체인지와 함께 보닛형 8톤 덤프 트럭(이스즈 D920 엔진)이 발매되었다. 8월에는 캡오버형 카고 트럭 차종이 모델 체인지되어 트럭 캡과 대시보드의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다.

9월에는 캡오버형 11톤 카고트럭(이스즈 E120 엔진)과 보닛형 10.5톤 덤프트럭(이스즈 E120 엔진)이 발매되었다. 또한, 미국 GMC S70/S71 시리즈의 보닛형 트럭도 도입되어 10.5톤 덤프트럭, 11톤 카고트럭, 34톤 트랙터가 발매되었다.

1975년 2월에는 캡오버형 11톤 고상 카고트럭(이스즈 E120 엔진) 및 캡오버형 10.5톤 덤프트럭(이스즈 E120 엔진)이 출시되었다.

2. 1. 3. 1976년: 엔진 국산화 시도

1976년, 디젤 엔진 수입 제한 및 상공부의 지시에 따라 일부 모델의 엔진이 변경되었다. 캡오버형 8톤 카고 트럭, 캡오버형 11톤 카고 트럭, 본네트형 8톤 덤프 트럭, 캡오버형 10.5톤 덤프트럭의 엔진이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D0846HM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2. 2. 1976년 ~ 1983년: 새한자동차 SMC, 대우자동차 시절

1976년 상공부의 지시에 따라 디젤 엔진 수입이 제한되면서, 8톤/11톤 카고 트럭과 8톤/10.5톤 덤프 트럭의 엔진이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d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1월, GMK에서 새한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면서 CHEVROLET 엠블럼에서 SMC 엠블럼으로 변경되었고, 6.5톤 트럭은 단종되었다.

1977년에는 10.5톤 및 11톤 트럭의 엔진이 d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 1월에는 대우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면서 SMC 엠블럼에서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프런트 마스크가 페이스리프트되고, 스피드램프에 덮개가 씌워졌으며, V8 310마력 D2848M 엔진을 탑재한 캡오버형 15톤 덤프트럭이 출시되어 라인업이 확장되기 시작했다.

2. 2. 1. 1976년 11월: 새한자동차로 사명 변경

1976년 11월 GMK에서 새한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면서 기존의 CHEVROLET 엠블럼에서 SMC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6.5톤 트럭은 단종되었다.

2. 2. 2. 1977년 ~ 1982년: 엔진 국산화 확대

1976년 상공부의 지시에 따라 디젤 엔진 수입이 제한되면서, 8톤/11톤 카고 트럭과 8톤/10.5톤 덤프 트럭의 엔진이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d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1977년 11월에는 10.5톤 및 11톤 트럭 엔진이 d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이 시기 캡오버형 8톤 카고 트럭, 캡오버형 11톤 카고 트럭, 보닛형 8톤 덤프트럭, 보닛형 10.5톤 덤프트럭이 생산되었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도 10.5톤, 11톤 트럭의 엔진은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D2156HM 엔진으로 유지되었다.

2. 2. 3. 1983년: 대우자동차로 사명 변경

1983년 1월, 대우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되면서 기존 SMC 엠블럼에서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프런트 마스크가 대대적으로 페이스리프트되었고, 스피드램프에 덮개가 씌워졌다. 이와 함께, V8 310마력 D2848M 엔진을 탑재한 캡오버형 15톤 덤프트럭이 처음으로 출시되어 라인업이 크게 확장되었다.

2. 3. 1984년 ~ 1995년: 라인업 확장 및 기술 발전

1983년 8월, 대우자동차는 대형트럭의 프런트 마스크를 대대적으로 변경하고 스피드램프에 덮개를 씌우는 등 디자인을 개선했다. 같은 시기, V8 310마력 D2848M 엔진을 탑재한 15톤 덤프트럭을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1984년부터 1995년 단종될 때까지 특장차 출시, 엔진 및 디자인 개선, 차세대 트럭 출시 등이 이루어졌다.

2. 3. 1. 1984년: 특장차 출시

1984년 1월, V8 310마력 D2848M 엔진을 탑재한 39톤(4x2) 및 53톤(6x4) 트랙터와, 28M(11톤 새시) 및 22M(8톤 새시) 붐 길이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이 출시되었다. 같은 해 2월에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이 발매되어 특장차 라인업이 확장되었다.

2. 3. 2. 1985년 ~ 1994년: 성능 및 디자인 개선

1985년 11월, 대우 대형트럭 전 차종이 마이너 체인지를 거치면서 3스포크 스티어링 휠이 2스포크 스티어링 휠로 변경되었고, 대시보드 디자인이 크게 바뀌었다. 또한 섀시가 보강되었으며, 8톤 덤프트럭과 14.75톤 덤프트럭이 새로 출시되었다.

1986년 10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원형 4등 헤드램프가 각형 4등 헤드램프로 변경되었고, 스피드램프도 깔끔한 일체형으로 바뀌었다. 핸들 형상도 변경되었다. 8톤 트럭에는 새로 개발된 D1146 엔진이 탑재되었고, 11톤 트럭에는 D2366 엔진이 탑재되었다. 터보 엔진도 이 시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1992년 8월에는 마지막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외형이 크게 변경되었다. 1994년식과 구별하기 위해서는 앞면의 영문 대우 엠블럼과 옆문의 데칼 차이를 확인해야 한다. 에어 서스펜션 시트가 적용되었고, D2848T 엔진을 개량한 365마력 V365T 엔진이 등장했다. 또한, 8.5톤 카고(D2366 엔진)와 11톤 윙바디(D2366T 엔진)가 새로운 라인업으로 출시되었다.

1993년 5월에는 국내 최초로 대형 6기통 터보 인터쿨러 엔진인 320마력 D2366Ti 엔진이 개발되어 11.5톤 카고부터 14.5톤 덤프트럭에 적용되었다. D2366Ti 엔진을 탑재한 13톤 카고 트럭도 새로 출시되었다.

1994년 1월에는 마이너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옆문의 데칼이 변경되었고, 앞면의 영문 대우 엠블럼 간격도 좁아졌다. 편의 사양으로 파워 윈도우가 추가되었다. 11월에는 365마력 V365T 엔진을 탑재한 18톤 카고 트럭이 새로 출시되었다.

2. 3. 3. 1995년: 단종

1995년 10월 22년 만에 완전히 새로운 모델인 대우 차세대 트럭이 출시되면서, 이스즈 뉴 파워를 기반으로 한 기존 대우 대형 트럭들은 1996년에 최종적으로 생산이 종료되었다.

3. 사용된 변속기

종류
6단 수동변속기
10단 수동변속기
16단 수동변속기


4. 경쟁 차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