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중공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중공업은 1937년 일본인이 설립한 조선기계제작소를 대우그룹이 인수하여 설립한 기업이다. 한국기계공업(주)으로 시작하여, 1976년 대우중공업(주)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철도차량, 항공기, 건설기계 등을 생산하며 성장했으나, 1990년대 후반 대우그룹 워크아웃으로 인해 사업 부문이 분할되었다. 2000년 종합기계 부문은 대우종합기계(주)로, 조선 부문은 대우조선해양(주)으로 분할되었으며, 2005년 파산, 2013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조선업 기업 - HD현대미포
HD현대미포는 1975년 현대중공업 내 선박 수리업체로 설립되어 세계적인 수리 조선소로 평가받았으나, 경쟁 심화로 중소형 선박 건조 및 해외 진출로 사업을 전환하여 중형 선박 건조 분야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베트남에서 해외 수리 조선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조선업 기업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중공업 기업 -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군용기, 민간 항공기, 위성, 우주 발사체 등 항공우주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중공업 기업 -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은 1974년 설립되어 선박 건조, 해양 플랫폼, 풍력 발전 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조선 및 해양 플랜트 기업으로, LNG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강점을 가진다. - 대우그룹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그룹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대우실업으로 설립되어 2000년 (주)대우 무역 부문에서 분할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섬유, 철강 무역에서 시작해 플랜트, 자원 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0년 포스코 그룹에 편입,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여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 중이나, 미얀마 가스전 사업, 파푸아뉴기니 팜유 사업 등으로 논란이 있다.
대우중공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
원어 | Daewoo Heavy Industries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63년 5월 |
해체 | 2013년 11월 30일 |
이전 회사 | 조선기계제작소 |
이후 회사 | 종합기계부문: 대우종합기계 (현 HD현대인프라코어) 조선부문: 대우조선공업 (현 한화오션) |
분할 | 자동차사업부문: 새한자동차 철도차량사업부문: 한국철도차량 항공사업부문: 한국항공우주산업 |
인물 | 김우중(전 회장) |
산업 | 종합기계, 방위산업, 조선 |
대표 제품 | 국민차, 상용자동차, 중장비, 철도차량, 항공기, 선박건조 |
언어 | |
영어 | Daewoo Heavy Industries |
2. 연혁
1937년 6월 일본인이 경영하던 조선기계제작소를 대우에서 인수하여 설립했다.[1] 광복 직후 정부에 귀속되었다가,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으로 바뀌었다.[1]
1963년 5월, 대우중공업은 한국기계공업(주)으로 설립되었다. 1964년 11월에는 철도차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1966년 3월에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70년 8월, 대우중공업은 독일 M.A.N사와 디젤엔진 기술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1975년 7월, 한국산업은행 관리 체제에 돌입하면서, 경영상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1976년 10월 사명을 한국기계공업(주)에서 대우중공업(주)로 변경하였다. 1977년 2월 일본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를 맺었으며, 같은 해 12월 서울 지하철 1호선 국산조립 전동차를 서울교통공사에 납품하였다. 1978년 2월 내연기관 연구소를 설립하고, 1981년 11월 정밀공업 진흥의 탑을 수상했다.
1984년 9월 용접용 로봇을 개발하고, 1985년 1월 자체모델 솔라 굴삭기를 개발하였다. 1985년 6월 항공기(AX)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86년 11월 수출 1억불탑을 수상했다. 1989년 12월 인천공장에 소결합금 공장을 준공하였다.
1990년 2월 수평형 머시닝 센터(ACE-H100)를 개발하고, 1991년 12월 미국 GROVE사와 CRANE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1992년 10월 고유모델 전동지게차로 장영실상 대상을 수상하고, 1993년 6월 자기부상열차(DMV92)를 개발, 1993년 10월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 3월 그룹 차원의 세계경영 전략을 채택하고,1994년 5월 대전 연구센터를 개소하였다.
1994년 10월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대우중공업 조선사업부문으로 재출범하였다. 1994년 12월에는 말레이시아 TING MING사에 굴삭기 기술을 수출했다. 1995년 8월 독일현지법인 DAEWOO BAUMACHINEN GmbH를 설립하고, 1995년 11월 대형 트럭 신차 발표회를 가졌다.
1996년 11월 인도 에스코트사에 굴삭기 기술을 수출하고, 1996년 12월 폴란드 디젤엔진 생산업체 ANDORIA S.A 지분 13%를 인수했다. 1997년 1월 초정밀 가공기를 개발했다. 1998년 1월 군산 엔진 연구동을 준공하고, 1998년 4월 중국 연대공장에 지게차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1998년 9월에는 고속전철 객차 조립공장을 준공했다. 1998년 11월 무역의 날에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1999년 3월 자동차 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고, 1999년 6월 철도차량사업부문을 한국철도차량(주)에, 1999년 7월 항공사업부문을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 현물출자했다. 1999년 8월 대우그룹이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2000년 10월 23일 대우중공업(주)의 주력 사업 부문인 종합기계 부문은 대우종합기계(주)로, 조선 부문은 대우조선해양(주)으로 분할되었다. 분할 후 남은 (구)대우중공업(주)은 청산을 위한 잔존 법인이 되었다. 이후 2005년 4월 1일 (구)대우중공업(주)은 파산 선고를 받았으며, 2013년 11월 30일 완전히 해체되었다.
2. 1. 1937년 ~ 1963년: 조선기계제작소 설립과 성장
1937년 6월 일본인이 경영하던 조선기계제작소를 대우에서 인수하여 설립했다.[1] 광복 직후 정부에 귀속되었다가,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으로 바뀌었다.[1]2. 2. 1963년 ~ 1976년: 한국기계공업(주) 시대와 사업 확장
1963년 5월, 대우중공업은 한국기계공업(주)으로 설립되었다. 1964년 11월에는 철도차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1966년 3월에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70년 8월, 대우중공업은 독일 M.A.N사와 디젤엔진 기술제휴 협약을 체결했다.1975년 7월, 한국산업은행 관리 체제에 돌입하면서, 경영상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2. 3. 1976년 ~ 1994년: 대우중공업(주)로의 사명 변경과 전성기
1976년 10월 사명을 한국기계공업(주)에서 대우중공업(주)로 변경하였다. 1977년 2월 일본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를 맺었으며, 같은 해 12월 서울 지하철 1호선 국산조립 전동차를 서울교통공사에 납품하였다. 1978년 2월 내연기관 연구소를 설립하고, 1981년 11월 정밀공업 진흥의 탑을 수상했다.1984년 9월 용접용 로봇을 개발하고, 1985년 1월 자체모델 솔라 굴삭기를 개발하였다. 1985년 6월 항공기(AX)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86년 11월 수출 1억불탑을 수상했다. 1989년 12월 인천공장에 소결합금 공장을 준공하였다.
1990년 2월 수평형 머시닝 센터(ACE-H100)를 개발하고, 1991년 12월 미국 GROVE사와 CRANE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1992년 10월 고유모델 전동지게차로 장영실상 대상을 수상하고, 1993년 6월 자기부상열차(DMV92)를 개발, 1993년 10월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 3월 그룹 차원의 세계경영 전략을 채택하고,1994년 5월 대전 연구센터를 개소하였다.
2. 4. 1994년 ~ 2000년: 대우조선공업 합병과 워크아웃
1994년 10월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대우중공업 조선사업부문으로 재출범하였다. 1994년 12월에는 말레이시아 TING MING사에 굴삭기 기술을 수출했다. 1995년 8월 독일현지법인 DAEWOO BAUMACHINEN GmbH를 설립하고, 1995년 11월 대형 트럭 신차 발표회를 가졌다.1996년 11월 인도 에스코트사에 굴삭기 기술을 수출하고, 1996년 12월 폴란드 디젤엔진 생산업체 ANDORIA S.A 지분 13%를 인수했다. 1997년 1월 초정밀 가공기를 개발했다. 1998년 1월 군산 엔진 연구동을 준공하고, 1998년 4월 중국 연대공장에 지게차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1998년 9월에는 고속전철 객차 조립공장을 준공했다. 1998년 11월 무역의 날에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1999년 3월 자동차 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고, 1999년 6월 철도차량사업부문을 한국철도차량(주)에, 1999년 7월 항공사업부문을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 현물출자했다. 1999년 8월 대우그룹이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2. 5. 2000년 이후: 분할 및 해체
2000년 10월 23일 대우중공업(주)의 주력 사업 부문인 종합기계 부문은 대우종합기계(주)로, 조선 부문은 대우조선해양(주)으로 분할되었다. 분할 후 남은 (구)대우중공업(주)은 청산을 위한 잔존 법인이 되었다. 이후 2005년 4월 1일 (구)대우중공업(주)은 파산 선고를 받았으며, 2013년 11월 30일 완전히 해체되었다.3. 사업 부문
3. 1. 종합기계 부문 (현 HD현대인프라코어)
3. 2. 조선 부문 (현 한화오션)
3. 3. 철도차량 부문 (현 현대로템)
3. 4. 항공 부문 (현 한국항공우주산업)
4. 주요 기술 개발 및 수상 실적
5. 사회적 영향
6. 관련 기업
6. 1. 현존 기업
6. 2. 소멸 기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