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장 김창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영화 《대장 김창수》는 1896년 명성황후 시해범으로 오인되어 투옥된 청년 김창수가 감옥에서 겪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그는 감옥에서 억울한 조선인들을 위해 글을 가르치고, 철도 건설에 동원되는 등 고난을 겪지만, 고종의 도움으로 사형을 면하고 탈옥하여 독립운동가 김구로 변모한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허구를 가미하여 제작되었으며, 배우들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으나, 이야기 전개와 음악 사용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2017년 개봉 당시 국방부 주최 특별 시사회와 제작 발표회를 거쳤으며, 개봉 첫 주말 흥행 순위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세종대왕 즉위 전 3개월을 배경으로 왕이 되기를 거부한 충녕대군이 노비와 옷을 바꿔 입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주지훈이 1인 2역을 맡아 연기했다.
  •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 - 남한산성 (영화)
    남한산성(영화)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청나라에 항전하는 인조와 신하들의 갈등을 그린 영화로,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과 다양한 인간 군상을 묘사하며, 2017년에 개봉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2017년 영화 - 노무현입니다
    노무현입니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그의 정치 입문, 좌절, 재기, 그리고 2002년 대통령 선거 경선 과정을 조명한다.
  • 2017년 영화 - 문영
    문영은 말을 못하는 소녀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그린 2015년 서울독립영화제 공개작으로, 김태리 주연, 서울농아인협회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확장판이 개봉되었다.
  •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 남산의 부장들
    남산의 부장들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중앙정보부 부장들의 갈등과 권력 암투를 그린 영화이며, 김충식 작가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이병헌, 이성민 등이 출연하여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한 배역을 연기하고, 10.26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호평을 받았다.
대장 김창수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Man of Will'의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어 제목대장 김창수
로마자 표기Daejang Gim Changsu
영어 제목Man of Will
지시이원태
제작김영호
각본이원태
음악김형석
촬영홍재식
편집김창주
제작사BA 엔터테인먼트, 무비 스퀘어 픽처스, 원탁 픽처스
배급사키다리 Ent
개봉일2017년 10월 19일
상영 시간115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흥행 수입270만 미국 달러
관련 정보
관련 사건치하포 사건

2. 줄거리

1896년, 청년 김창수는 조선의 치하포(현재의 북한)에서 명성황후 시해범으로 추정되는 일본인을 살해하고 현장에 자백서를 남긴 뒤 체포된다.[6] 그는 재판장에서 국모의 원수를 갚고 나라의 치욕을 씻었을 뿐이라고 주장하지만 사형 선고를 받고 인천 감옥소에 수감된다.

일본의 편에 선 감옥소장 강형식은 김창수를 온갖 고문으로 괴롭히고, 다른 죄수들마저 그에게 등을 돌린다. 김창수는 감옥에서 가난하고 배우지 못했다는 이유로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는 조선인들의 현실을 목격하고 변화를 꿈꾸기 시작한다. 그는 글을 모르는 죄수들과 교도관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이는 죄수들이 누명을 벗거나 교도관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김창수의 명성은 점차 높아졌다.[4]

김창수와 다른 죄수들은 철도 건설 현장에 강제로 동원되어 열악한 환경 속에서 노동해야 했다.[7] 이 과정에서 김창수의 교육 활동은 일본의 편에 선 감옥소장 강형식의 분노를 샀다. 강형식은 죄수와 교도관을 폭행하고 건설 자금을 횡령했으며, 김창수마저 폭행하려 했으나 다른 이들의 저지로 실패했다.[4][6]

한편, 일본 영사들은 조선 정부에 김창수의 사형 집행을 압박했다. 김창수는 교수형에 처해질 위기에 놓였으나, 처형 직전 고종의 명령으로 목숨을 건진다. 김창수에게 글을 배운 죄수들과 교도관들이 고종에게 그의 구명을 청하는 탄원서를 보냈기 때문이다. 고종은 김창수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으려 한 그의 행동을 치하했다.[4][6]

1898년 3월 19일, 김창수는 동료 몇 명과 함께 간수들의 묵인 하에 감옥을 탈출한다. 격분한 강형식이 교도관들을 다그치지만, 곧이어 김창수의 목숨을 구하는 명령을 전달했던 조선 관리가 강형식의 부패 증거를 가지고 나타나 그를 체포한다.[6]

마지막 장면에서 김창수는 감옥을 떠나며 외모가 변화하는데, 이는 그가 김창수에서 독립운동가 김구로 변화했음을 상징한다.[6][4]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 유승목 : 이영달 역
  • 신정근 : 조덕팔 역
  • 정규수 : 양원종 역
  • 이서원 : 김천동 역
  • 곽동연 : 최윤석 역
  • 김윤성 : 나춘배 역
  • 전배수 : 박동구 역
  • 다케다 히로미츠 : 와타나베 역
  • 김재영 : 김상노 역
  • 배진웅 : 최작두 역
  • 윤병희 : 황봉구 역
  • 이태일 : 김만철 역
  • 이순원 : 천종수 역
  • 한철우 : 학부대신 역
  • 박경근 : 법부대신 역
  • 김광영 : 경무관 역
  • 유성안 : 영사관 직원 역
  • 한성천 : 집배원 역
  • 박지훈 : 가토 히데키 역
  • 임형태 : 노인죄수 역
  • 배재영 : 어린죄수 역
  • 박성택 : 일본요인 1 역
  • 야마노우치 타스쿠 : 일본요인 2 역
  • 염혜란 : 면회자 역
  • 황재필 : 마상구파 1 역
  • 이정현 : 마상구파 2 역
  • 정완희 : 술취한간수 역
  • 김정한 : 조는간수 역
  • 황규인 : 짐챙기는간수 역
  • 이원석 : 이송간수 역
  • 권택기 : 맞는죄수 역
  • 박재원 : 선비죄수 역
  • 윤영균 : 벌방죄수 역
  • 최윤빈 : 배식죄수 역
  • 김시호 : 놀란죄수 역
  • 조홍우 : 대서부탁죄수 역
  • 박경관 : 죽통죄수 역
  • 윤영호 : 면회죄수 역
  • 권반석 : 몰골죄수 1 역
  • 신동훈 : 몰골죄수 2 역
  • 박원희 : 몰골죄수 3 역
  • 박영우 : 몰골죄수 4 역
  • 조영애 : 기모노 여인 역
  • 최서윤 : 게이샤 1 역
  • 진유빈 : 게이샤 2 역
  • 이예슬 : 게이샤 3 역
  • 박수빈 : 게이샤 4 역
  • 안수빈 : 게이샤 5 역
  • 이동후 : 개항장 인력거꾼 역
  • 이원태 : 은행장 역
  • 홍재식 : 부은행장 역
  • 김영호 : 전보대신 역
  • 강수호 : 연회장 청나라인 1 역
  • 이창훈 : 연회장 청나라인 2 역
  • 김시우 : 개항장 청나라인 1 역
  • 이훤행 : 개항장 청나라인 2 역
  • 박재규 : 개항장 청나라인 3 역
  • 박정숙 : 황봉구 노모 역
  • 김길영 : 재판관 1 역
  • 이정철 : 재판관 2 역
  • 김왕용 : 일본측 요인 역
  • 최현준 : 경무관 2 역
  • 김형훈 : 서기 역
  • 전정일 : 조선유림 1 역
  • 윤택승 : 조선유림 2 역
  • 황정용 : 조선측 기자 1 역
  • 김대현 : 조선측 기자 2 역
  • 이신우 : 일본측 기자 1 역
  • 오안진 : 일본측 기자 2 역
  • 이종운 : 어전회의 대신 1 역
  • 박재영 : 어전회의 대신 2 역
  • 마이클 존 데이비드 : 당구치는 서양인 1 역
  • 웬트 그레고리 제임스 : 당구치는 서양인 2 역
  • 데베르디에바 갈리아 : 개항장 서양인 가족 엄마 역
  • 키라 본다 : 개항장 서양인 가족 딸 역
  • 그리 피터 : 서양인 연인 남 역
  • 무살리모바 이리나 : 서양인 연인 여 역
  • 안드레아스 프론크 : 외국인 측량기사 1 역
  • 다니엘슈 다닐로 : 외국인 측량기사 2 역
  • 이브겐 살리에크 : 외국인 측량기사 3 역
  • 폴라제프 티모 : 외국인 측량기사 4 역
  • 강채민 : 수레끄는아이 역
  • 최정은 : 개항장 기모노아이 1 역
  • 박효빈 : 개항장 기모노아이 2 역
  • 김지성 : 호텔보이 1 역
  • 위제영 : 호텔보이 2 역
  • 김현비 : 함거 따라가는 아이 1 역
  • 강대현 : 함거 따라가는 아이 2 역
  • 김지호 : 함거 따라가는 아이 3 역
  • 서장현 : 천종수 아들 1 역
  • 김건 : 천종수 아들 2 역
  • 서주연 : 천종수 딸 역

3. 3. 특별출연

4. 역사적 사실과 영화적 허구

영화 《대장 김창수》는 백범 김구(1876 ~ 1949)의 청년 시절을 다루지만, 역사적 사실과는 다른 허구적 설정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8] 영화는 김창수(김구의 아명)가 명성황후 시해에 대한 복수로 일본인을 살해하고 인천 감옥에 투옥된 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감옥에서 그는 글을 모르는 죄수와 교도관들을 가르치고, 철도 건설 현장에 강제 동원되기도 하며, 고종의 명으로 교수형 직전에 목숨을 건진다. 이후 탈옥하여 독립운동가 김구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린다.[6][4][7]

그러나 영화 속 주요 사건과 설정 중 상당수는 실제 역사와 차이가 있다.


  • 쓰치다 조스케 살해 사건: 영화에서는 김창수가 살해한 일본인을 명성황후 시해범 중 한 명으로 묘사하지만, 역사 기록 및 연구에 따르면 당시 김창수가 살해한 인물은 土田讓亮|쓰치다 조스케jpn라는 이름의 일본인 상인으로,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10] 영화 감독은 이에 대해 쓰치다의 실제 역할보다는 당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조선 민중의 분노와 저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고 설명했다.[11]
  • 철도 건설 강제 동원: 영화에서는 김창수가 인천 감옥 수감 중 철도 건설 공사에 강제 동원되는 것으로 나오지만,[7] 이는 사실과 다르다. 김창수가 강제 노역을 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영화의 배경 시점(1896~1898년)이 아니라, 약 10년 후 두 번째 투옥 때 인천항 건설 현장에서였다.[12] 감독은 이 설정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가 내세운 근대화 사업 이면에 숨겨진 강제 노동과 착취의 실상을 고발하고자 했다고 밝혔다.[9][12]
  • 사형 집행 정지와 고종의 사면: 영화에서는 김창수에게 글을 배운 동료 죄수들과 교도관들이 고종에게 탄원서를 올려 사형 집행이 중지되는 것으로 극적으로 묘사된다.[4][6] 하지만 실제로 탄원서가 보내졌다는 기록은 없다. 김창수의 사형 집행이 정지된 것은 사실이나, 그 정확한 경위는 명확하지 않다. 감독은 증거 불충분으로 고종이 사면했을 것이라는 해석을 제시했다.[9]
  • 개명 시점: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김창수가 감옥을 떠나며 김구로 거듭나는 듯한 연출을 보여주지만,[6][4] '김구'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영화의 배경인 첫 번째 투옥 이후가 아니라, 두 번째 투옥 기간(1911년 105인 사건 연루) 즈음이었다.[12][9]


이 외에도 대부분의 조연 캐릭터, 교도소장 강형식의 악행 등은 극적 재미를 위해 창작된 허구이다.[8][4][6] 영화의 연출을 맡은 이원태 감독은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김창수라는 인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대중적 공감을 위해 어느 정도의 각색이 필요했다고 밝힌 바 있다.[9]

5. 평가 및 반응

2017년 9월 12일 서울 CGV 압구정에서 주요 출연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작 발표회가 열렸다.[15][16] 영화는 2017년 10월 19일 국내 극장에서 개봉했다.[15][16]

개봉 첫 주말에는 201,279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고, 142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개봉 4일간 누적 관객 수는 260,189명, 누적 매출액은 180만달러를 기록했다.[17][18]

5. 1. 부정적 평가

평론가들은 주연 배우들의 연기는 칭찬했지만, 이야기 전개 방식과 관객의 특정 감정을 유발하려는 음악 사용이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9] 일부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감옥을 배경으로 죄수들을 동정적으로 그린 1994년 영화 쇼생크 탈출과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19][8]

5. 2. 기타 반응

2017년 10월 15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국방부합동참모본부 직원 220여 명과 함께 '대장 김창수'를 관람하고 특별시사회를 열었다.[20][21] 이 자리에서 송 장관은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호국정신이 국군의 정통성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20][21]

평론가들은 주연 배우들의 연기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이야기 전개 방식과 관객의 특정 감정을 유도하기 위한 음악 사용이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9] 또한 일부 평론가들은 감옥을 배경으로 죄수들을 동정적으로 그린 1994년 영화 쇼생크 탈출과의 유사성을 지적하기도 했다.[19][8]

6. 제작 과정

이 영화는 2015년 시대극 영화 ''조선마술사''의 각본을 쓰고 2011년 공포 로맨틱 코미디 ''오싹한 연애''를 제작한 이원태 감독의 데뷔작이다.[14]

이원태 감독은 2012년 겨울, 가족 여행으로 상하이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옛 청사 중 한 곳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이 영화를 구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김창수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를 접한 그는, 역사적 장소에서 느낀 감동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 이야기를 영화화하기로 결심했다. 특히 그는 영화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김창수의 청년 시절에 초점을 맞추어 젊은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9][12] 또한 감독은 영화 제작 당시까지도 청산되지 못한 일본 식민주의의 유산 문제를 다루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언급했다.[9]

주요 촬영은 2016년 10월 31일에 시작되어 2017년 1월 31일에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AN OF WILL (2017) http://koreanfilm.or[...] 2017-10-14
[2] 웹사이트 CHO Jin-woong Takes on COMMANDER KIM CHANG-SOO http://www.koreanfil[...] Ko Film Biz Zone 2016-11-14
[3] 웹사이트 '대장 김창수' 조진웅이 보여 줄 '청년 김구'의 시간들 http://www.nocutnews[...] 2017-09-12
[4] 뉴스 [서곡숙의 시네마 크리티크] ‘대장 김창수’ ― 죽음과 삶, 두려움과 희망의 경계에서 https://www.ilemonde[...] 2017-10-16
[5] 웹사이트 'Man of Will' depicts Kim Koo as young man http://mengnews.join[...] Korea JoongAng Daily 2017-09-29
[6] 웹사이트 대한 임시정부의 김창수에서 김구가 되기까지, 대장 김창수 http://www.newsfreez[...] 2017-11-04
[7] 웹사이트 (Movie Review) 'Man of Will': Kim Koo biopic sheds new light on national hero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7-09-29
[8] 웹사이트 어쩐지 낯설지 않은 '대장 김창수' https://www.joongang[...] 2017-10-19
[9] 웹사이트 <대장 김창수>가 김구 미화? 왜곡 아니다, 핵심은... https://star.ohmynew[...] 2017-10-23
[10] 웹사이트 치하포사건 (鵄河浦事件) https://encykorea.ak[...]
[11] 웹사이트 뉴라이트와 현 정부에 조롱당하는 김구 주석 https://www.ohmynews[...] 2009-01-17
[12] 웹사이트 [인터뷰]영화 '대장 김창수' 연출 이원태 감독… 인천 감옥살이는 '김구 비긴즈' https://m.post.naver[...] 2017-11-08
[13] 웹사이트 Actor Cho recounts pressure of playing Kim Koo rol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14] 웹사이트 COMMANDER KIM CHANG-SOO Wraps in Gangwon-do Province http://www.koreanfil[...]
[15] 웹사이트 Cho Jin-woong, Song Seung-heon attend press conference for 'Captain Kim Chang-soo' http://english.yonha[...] 2017-09-13
[16] 웹사이트 New Korean film depicts early years of prominent independence fighter http://english.yonha[...] 2017-09-12
[17] 웹사이트 'The Outlaws' again dominates box office, soon to hit 5 mln viewers http://english.yonha[...] 2017-10-23
[18] 웹사이트 'The Outlaws' tops Korean box office for 2nd week http://www.ibtimes.s[...] 2017-10-23
[19] 웹사이트 결말까지 보이는 쉬운 위인전 '대장 김창수' http://www.news4000.[...] 2017-10-25
[20] 뉴스 송영무, 국방부 직원들과 영화 '대장 김창수' 관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7-10-15
[21] 뉴스 '대장 김창수', 국방부 특별시사회 개최...송영무 국방부 장관 참석 http://entertain.nav[...] 아시아경제 2017-10-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