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촌동 (남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촌동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1914년 4월 1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면하여 시작되었으며, 이후 광주시에 편입, 광산군으로 환원, 광주직할시 광산구 편입 등의 과정을 거쳐 1995년 남구에 편입되었다. 주요 주거 시설로는 빛고을한일베라체, 에너지밸리 제일풍경채 퍼스트파크, 도시첨단 남해오네뜨 등이 있으며, 대촌중앙초등학교, 무학초등학교, 대촌중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남구의 행정동 - 송암동 (광주)
송암동은 1995년 광주광역시 행정구역 자치구 통합으로 서구 송정동과 남구 월산동 일부가 합쳐져 만들어진 동으로,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송원중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광주 남구의 행정동 - 양림동
양림동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동으로, 다양한 지명 유래가 전해지며, 기독교 선교의 중심지이자 전통 문화와 서양 문화가 결합된 문화예술마을이다. - 광주 남구의 행정 구역 - 송암동 (광주)
송암동은 1995년 광주광역시 행정구역 자치구 통합으로 서구 송정동과 남구 월산동 일부가 합쳐져 만들어진 동으로,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송원중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광주 남구의 행정 구역 - 양림동
양림동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동으로, 다양한 지명 유래가 전해지며, 기독교 선교의 중심지이자 전통 문화와 서양 문화가 결합된 문화예술마을이다. - 1995년 설치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1995년 설치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대촌동 (남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대촌동 |
한자 표기 | 大村洞 |
영문 표기 | Daechon-dong |
위치 | 광주광역시 남구 |
행정 정보 | |
법정동 | 구소동 양촌동 도금동 승촌동 지석동 압촌동 화장동 칠석동 석정동 신장동 양과동 이장동 대지동 원산동 월성동 |
동주민센터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591 |
통계 정보 | |
인구 | 6298명 (2022년 3월 기준) |
기타 | |
웹사이트 | 대촌동 행정복지센터 |
2. 연혁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병하였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광주군 유등곡면(柳等谷面) | 향등리(香嶝里), 지산리(芝山里), 수춘리(水春里), 광석리(光石里) | 대촌면 양과리 |
대문리(大門里), 복호리(復戶里), 개동리(開東里) | 대촌면 압촌리 | |
만산리(萬山里), 원촌리(院村里), 내동리(內洞里) | 대촌면 원산리 | |
순생리(順生里), 이장리(泥場里), 황산리(黃山里), 복수리(福壽里), 야평리(冶坪里) | 대촌면 이장리 | |
지석리(支石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지석리 | |
광주군 대지면(大枝面) | 본촌리(本村里), 상촌리(上村里) | 대촌면 대지리 |
승촌리(昇村里) | 대지면 승촌리 | |
양촌리(良村里), 반촌리(板村里) | 대촌면 양촌리 | |
곡촌리(谷村里), 산촌리(山村里) | 대촌면 월성리 | |
광주군 칠석면(漆石面) | 본동리(本洞里) | 대촌면 칠석리 |
도촌리(陶村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도촌리 | |
도덕리(道德里), 구소리(九沼里) | 대촌면 구소리 | |
도장리(都莊里), 죽촌리(竹村里) | 대촌면 신장리 | |
나주군 두산면(頭山面) | 신기리(新基里), 반월리(班月里), 상촌리(上村里) | |
광주군 계촌면(桂村面) | 석교리(石橋里), 내동리(內洞里), 석정리(石亭里), 상장리(上章里) | 대촌면 석정리 |
화장리(禾場里), 지동리(支洞里), 농막리(農幕里) | 대촌면 화장리 |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었다.[1] 12월 2일에 대촌출장소를 설치하고 15개동을 송석동(松石洞)·등룡동(登龍洞)·학승동(鶴昇洞)의 3개 행정동으로 분동하였다.[2]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3]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및 송정시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었다. 광산구 대촌출장소로 개칭되었다.[4] 1989년 4월 1일 도촌동을 비아출장소 도촌동과의 구별을 위해 도금동으로 개칭하였다.[4] 1995년 4월 20일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어 행정동 대촌동이 되었다.[5]
2. 1.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병하였다.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광주군 유등곡면(柳等谷面) | 향등리(香嶝里), 지산리(芝山里), 수춘리(水春里), 광석리(光石里) | 대촌면 양과리 |
대문리(大門里), 복호리(復戶里), 개동리(開東里) | 대촌면 압촌리 | |
만산리(萬山里), 원촌리(院村里), 내동리(內洞里) | 대촌면 원산리 | |
순생리(順生里), 이장리(泥場里), 황산리(黃山里), 복수리(福壽里), 야평리(冶坪里) | 대촌면 이장리 | |
지석리(支石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지석리 | |
광주군 대지면(大枝面) | 본촌리(本村里), 상촌리(上村里) | 대촌면 대지리 |
승촌리(昇村里) | 대지면 승촌리 | |
양촌리(良村里), 반촌리(板村里) | 대촌면 양촌리 | |
곡촌리(谷村里), 산촌리(山村里) | 대촌면 월성리 | |
광주군 칠석면(漆石面) | 본동리(本洞里) | 대촌면 칠석리 |
도촌리(陶村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도촌리 | |
도덕리(道德里), 구소리(九沼里) | 대촌면 구소리 | |
도장리(都莊里), 죽촌리(竹村里) | 대촌면 신장리 | |
나주군 두산면(頭山面) | 신기리(新基里), 반월리(班月里), 상촌리(上村里) | |
광주군 계촌면(桂村面) | 석교리(石橋里), 내동리(內洞里), 석정리(石亭里), 상장리(上章里) | 대촌면 석정리 |
화장리(禾場里), 지동리(支洞里), 농막리(農幕里) | 대촌면 화장리 |
2. 2. 광주시 편입과 광산군 환원
1914년 4월 1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면하였다.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광주군 유등곡면(柳等谷面) | 향등리(香嶝里), 지산리(芝山里), 수춘리(水春里), 광석리(光石里) | 대촌면 양과리 |
대문리(大門里), 복호리(復戶里), 개동리(開東里) | 대촌면 압촌리 | |
만산리(萬山里), 원촌리(院村里), 내동리(內洞里) | 대촌면 원산리 | |
순생리(順生里), 이장리(泥場里), 황산리(黃山里), 복수리(福壽里), 야평리(冶坪里) | 대촌면 이장리 | |
지석리(支石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지석리 | |
광주군 대지면(大枝面) | 본촌리(本村里), 상촌리(上村里) | 대촌면 대지리 |
승촌리(昇村里) | 대지면 승촌리 | |
양촌리(良村里), 반촌리(板村里) | 대촌면 양촌리 | |
곡촌리(谷村里), 산촌리(山村里) | 대촌면 월성리 | |
광주군 칠석면(漆石面) | 본동리(本洞里) | 대촌면 칠석리 |
도촌리(陶村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도촌리 | |
도덕리(道德里), 구소리(九沼里) | 대촌면 구소리 | |
도장리(都莊里), 죽촌리(竹村里) | 대촌면 신장리 | |
나주군 두산면(頭山面) | 신기리(新基里), 반월리(班月里), 상촌리(上村里) | |
광주군 계촌면(桂村面) | 석교리(石橋里), 내동리(內洞里), 석정리(石亭里), 상장리(上章里) | 대촌면 석정리 |
화장리(禾場里), 지동리(支洞里), 농막리(農幕里) | 대촌면 화장리 |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2월 2일에 대촌출장소를 설치하고 15개동을 송석동(松石洞)·등룡동(登龍洞)·학승동(鶴昇洞)의 3개 행정동으로 분동하였다.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및 송정시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었다. 광산구 대촌출장소로 개칭되었다. 1989년 4월 1일 도촌동을 비아출장소 도촌동과의 구별을 위해 도금동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4월 20일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어 행정동 대촌동이 되었다.
2. 3. 광주직할시 광산구 편입
1914년 4월 1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면하였다.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12월 2일에 대촌출장소를 설치하고 15개 법정동을 송석동·등룡동·학승동의 3개 행정동으로 분동하였다.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1988년 1월 1일 광산군 및 송정시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면서 광산구 대촌출장소로 개칭되었다. 1989년 4월 1일 도촌동을 비아출장소 도촌동과의 구별을 위해 도금동으로 개칭하였으며, 1995년 4월 20일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어 행정동 대촌동이 되었다.
2. 4. 광주광역시 남구 편입
1914년 4월 1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면하였다.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광주군 유등곡면(柳等谷面) | 향등리(香嶝里), 지산리(芝山里), 수춘리(水春里), 광석리(光石里) | 대촌면 양과리 |
대문리(大門里), 복호리(復戶里), 개동리(開東里) | 대촌면 압촌리 | |
만산리(萬山里), 원촌리(院村里), 내동리(內洞里) | 대촌면 원산리 | |
순생리(順生里), 이장리(泥場里), 황산리(黃山里), 복수리(福壽里), 야평리(冶坪里) | 대촌면 이장리 | |
지석리(支石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지석리 | |
광주군 대지면(大枝面) | 본촌리(本村里), 상촌리(上村里) | 대촌면 대지리 |
승촌리(昇村里) | 대지면 승촌리 | |
양촌리(良村里), 반촌리(板村里) | 대촌면 양촌리 | |
곡촌리(谷村里), 산촌리(山村里) | 대촌면 월성리 | |
광주군 칠석면(漆石面) | 본동리(本洞里) | 대촌면 칠석리 |
도촌리(陶村里), 신촌리(新村里) | 대촌면 도촌리 | |
도덕리(道德里), 구소리(九沼里) | 대촌면 구소리 | |
도장리(都莊里), 죽촌리(竹村里) | 대촌면 신장리 | |
나주군 두산면(頭山面) | 신기리(新基里), 반월리(班月里), 상촌리(上村里) | |
광주군 계촌면(桂村面) | 석교리(石橋里), 내동리(內洞里), 석정리(石亭里), 상장리(上章里) | 대촌면 석정리 |
화장리(禾場里), 지동리(支洞里), 농막리(農幕里) | 대촌면 화장리 |
1914년 4월 1일 칠석, 대지, 계촌, 유등곡 4개 면을 대촌면으로 합면하였다.
wikitable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1],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3]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및 송정시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면서 광산구 대촌출장소로 개칭되었다.[4] 1995년 4월 20일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어 행정동 대촌동이 되었다.[5]
3. 행정 구역 변천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광주군 유등곡면 향등리, 지산리, 수춘리, 광석리 대촌면 양과리 광주군 유등곡면 대문리, 복호리, 개동리 대촌면 압촌리 광주군 유등곡면 만산리, 원촌리, 내동리 대촌면 원산리 광주군 유등곡면 순생리, 이장리, 황산리, 복수리, 야평리 대촌면 이장리 광주군 유등곡면 지석리, 신촌리 대촌면 지석리 광주군 대지면 본촌리, 상촌리 대촌면 대지리 광주군 대지면 승촌리 대지면 승촌리 광주군 대지면 양촌리, 반촌리 대촌면 양촌리 광주군 대지면 곡촌리, 산촌리 대촌면 월성리 광주군 칠석면 본동리 대촌면 칠석리 광주군 칠석면 도촌리, 신촌리 대촌면 도촌리 광주군 칠석면 도덕리, 구소리 대촌면 구소리 광주군 칠석면 도장리, 죽촌리, 나주군 두산면 신기리, 반월리, 상촌리 대촌면 신장리 광주군 계촌면 석교리, 내동리, 석정리, 상장리 대촌면 석정리 광주군 계촌면 화장리, 지동리, 농막리 대촌면 화장리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2월 2일에 대촌출장소를 설치하고 15개동을 송석동·등룡동·학승동의 3개 행정동으로 분동하였다.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및 송정시 일원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었다. 광산구 대촌출장소로 개칭되었다. 1989년 4월 1일 도촌동을 비아동과의 구별을 위해 도금동으로 개칭했다. 1995년 4월 20일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어 행정동 대촌동이 되었다.
4. 주거
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빛고을한일베라체 한일건설㈜ 회재로 211 (지석동) 2008년 9월 에너지밸리 제일풍경채 퍼스트파크 제일건설㈜ ㈜광주남구첨단피에프브이 도시첨단산업로 58 (압촌동) 2022년 5월 도시첨단 남해오네뜨 남해종합건설㈜ ㈜엔에이치주택 도시첨단산업로 34 (압촌동) 2022년 4월 민간임대
4. 1.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빛고을한일베라체 | 한일건설㈜ | 회재로 211 (지석동) | 2008년 9월 | ||
에너지밸리 제일풍경채 퍼스트파크 | 제일건설㈜ | ㈜광주남구첨단피에프브이 | 도시첨단산업로 58 (압촌동) | 2022년 5월 | |
도시첨단 남해오네뜨 | 남해종합건설㈜ | ㈜엔에이치주택 | 도시첨단산업로 34 (압촌동) | 2022년 4월 | 민간임대 |
5. 교육
- 대촌중앙초등학교 (지석동)
- 무학초등학교 (월성동)
- 대촌동초등학교 (폐교) - 포충로 937 (양과동)
대촌중학교가 대촌동 행정구역 내에 있다.
5. 1. 초등학교
- 대촌중앙초등학교 (지석동)
- 무학초등학교 (월성동)
- 대촌동초등학교 (폐교) - 포충로 937 (양과동)
5. 2. 중학교
대촌중학교가 대촌동 행정구역 내에 있다.참조
[1]
법률
법률 제454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2]
웹사이트
http://www.namgu.gwa[...]
[3]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wangsan.[...]
2016-11-08
[5]
웹사이트
http://www.namgu.gw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