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산구는 삼국사기에 약로현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1935년 광주군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송정시를 거쳐 1988년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어 자치구인 광산구로 설치되었다. 2015년 기준 인구는 40만 명 이상이며, 현재 21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공항, 광주송정역 등 교통 시설과 호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등 교육 시설이 있으며,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가 위치해 있다. 또한,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광산구 - 광주교통방송
TBN 광주교통방송은 1997년 개국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FM 97.3MHz와 103.5MHz 주파수로 교통정보와 다양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교통방송국이다. - 광주 광산구의 행정 구역 - 송정동 (광주광역시)
송정동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전라도 병영인 내상성이 있던 곳이며 광주송정역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역들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아파트 단지와 오피스텔이 있는 지역이다. - 광주 광산구의 행정 구역 - 수완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은 200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중심의 주거 지역으로, 교육 기관과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하나로클럽 등의 상업 시설을 갖추고 아름마을, 장자울마을, 성덕마을, 해솔마을 등의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광주광역시의 구 - 서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는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광역시청 소재지이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유스퀘어, 상무지구, 금당산, 개금산, 송학산, 상무지구, 풍암지구, 금호지구 등을 포함하고 1980년과 1995년 분구를 거쳐 2011년 동천동이 신설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구 - 동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동구는 삼한시대 마한에서 시작하여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천이 흐르는 동고서저 지형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며 13개의 행정동과 9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광산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광산구 |
| 한자 표기 | 光山區 |
| 로마자 표기 | Gwangsan-gu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wangsan-gu |
| 유형 | 자치구 |
| 국가 | 대한민국 |
| 지역 | 호남 |
| 광역 자치 단체 | 광주광역시 |
| 하위 행정 구역 | 19개 동 |
| 면적 | 222.89 km² |
| 인구 (2024년 9월) | 392,653 명 |
| 인구 밀도 | auto |
| 방언 | 전라 |
| 웹사이트 | 광산구청 |
| 구청장 | 박병규 |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 상징 | |
| 구목 | 소나무 |
| 구화 | 목련 |
| 구조 | 백로 |
| 정치 | |
| 국회의원 (갑) |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을) |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
| 구청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29번길 15 |
| 이미지 | |
![]() | |
![]() | |
![]() | |
![]() | |
2. 역사
삼국사기에 나오는 약로/약로한국어현이 있었다.
2. 1. 광산군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14] 1937년 7월 1일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되었다.[15] 1949년 8월 14일 나주군 평동면, 삼도면, 본량면이 광산군에 편입되었고, 광산군청이 광주시 대의동에서 송정읍 송정리로 이전하였다. 1955년 7월 1일 효지면, 석곡면, 극락면, 서방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16] 1958년 1월 1일 지산면, 대촌면, 서창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었다.[17] 1963년 1월 1일 광주시 서호동, 방하동, 신호동이 광산군 서창면으로, 광주시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이 광산군 대촌면으로 환원되었다.[18]2. 2. 송정시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이 광주 주변의 위성도시로 성장함에 따라 '''송정시'''로 승격되었다.[19][7]2. 3. 광산구
1988년 1월 1일 전라남도 송정시와 광산군이 광주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광산구'''가 설치되었고, 자치구로 승격하였다.[20][8] 1988년 5월 1일 자치구가 설치되었다.[8]1989년 4월 1일 대촌출장소 도촌동을 도금동으로, 비아출장소 도촌동을 도천동으로 개칭하였고,[21] 1990년 4월 1일에는 오산동을 오선동으로 개칭하였다.[22]
1995년 1월 1일 광주직할시가 광주광역시로 개칭되면서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되었다.[8] 1995년 4월 20일 서창출장소가 서구에, 대촌출장소가 남구에 편입되었다.[8]
1997년 6월 5일 비아출장소를 폐지하고 광산구 비아동, 신가동 및 첨단지소를 설치하였다.[8] 1998년 10월 15일 출장소를 동으로 전환하였다. 송정3동을 송정2동으로, 용운동과 소촌동을 어룡동으로 합동하였다. (16행정동)[8]
2002년 3월 25일 비아동을 첨단동으로 분동하였다. (17행정동)[8] 2003년 6월 30일 첨단동을 첨단1동과 첨단2동으로, 신가동을 운남동으로 분동하였다. (19행정동)[8] 2009년 9월 1일 신가동을 신창동으로 분동하였고,[23][9] 2010년 9월 6일 신가동을 수완동으로 분동하여[24][10] 현재의 21개 행정동 체제가 확립되었다.
3. 행정 구역
광산구의 행정 구역은 21개의 행정동과 7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5][11] 광산구의 면적은 222.916 km²이며, 2015년 12월 기준 인구는 400,753명이다.[25]
|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 송정1동 | 松汀1洞 | 1.43 | 4,516 | 11,607 |
| 송정2동 | 松汀2洞 | 1.14 | 2,906 | 6,390 |
| 도산동 | 道山洞 | 4.01 | 5,778 | 14,561 |
| 신흥동 | 新興洞 | 5.51 | 1,982 | 4,907 |
| 어룡동 | 魚龍洞 | 17.86 | 11,318 | 29,106 |
| 우산동 | 牛山洞 | 4.55 | 11,475 | 25,014 |
| 월곡1동 | 月谷1洞 | 0.86 | 5,467 | 13,781 |
| 월곡2동 | 月谷2洞 | 1.12 | 7,249 | 19,372 |
| 비아동 | 飛鴉洞 | 4.92 | 3,020 | 7,079 |
| 첨단1동 | 尖端1洞 | 2.22 | 7,405 | 24,178 |
| 첨단2동 | 尖端2洞 | 3.45 | 14,960 | 42,093 |
| 신가동 | 新佳洞 | 1.58 | 9,037 | 24,640 |
| 운남동 | 雲南洞 | 2.84 | 11,276 | 32,450 |
| 수완동 | 水莞洞 | 4.62 | 26,208 | 79,083 |
| 하남동 | 河南洞 | 15.41 | 6,814 | 19,660 |
| 임곡동 | 林谷洞 | 29.82 | 1,245 | 2,298 |
| 동곡동 | 東谷洞 | 16.29 | 1,005 | 2,089 |
| 평동 | 平洞 | 29.09 | 2,104 | 3,813 |
| 삼도동 | 三道洞 | 38.74 | 1,323 | 2,548 |
| 본량동 | 本良洞 | 33.48 | 1,170 | 2,206 |
| 신창동 | 新昌洞 | 3.98 | 11,994 | 33,878 |
| 광산구 | 光山區 | 222.91 | 148,252 | 400,753 |
수완동은 광산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행정동으로, 2015년 12월 기준 약 8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25]
3. 1.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 및 인구
4. 인구
광산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1990년 12만여 명에서 2015년 41만여 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다.
5. 교육
광산구는 교육 도시로서, 여러 대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사립대학교로는 호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가 있으며, 사립전문대학으로는 광주보건대학이 있다. 고등학교로는 전남공업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등학교,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정광고등학교, 숭덕고등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 광일고등학교, 명진고등학교, 보문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첨단고등학교, 운남고등학교, 수완고등학교, 장덕고등학교, 성덕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광주인화학교, 광주선광학교가 있다.
5. 1. 대학교
5. 2. 고등학교
5. 3. 특수학교
6. 교통
광주공항에서 대한항공(제주), 아시아나항공(김포, 제주), 티웨이(제주) 여객기가 김포공항, 제주공항으로 연결하고 있다. 광주송정역은 호남선 용산↔목포간 열차의 필수정차역이며, 경전선의 시종착역이다. 무안-광주간 고속도로의 종점이 운수 나들목에 위치해 있고, 서광산 나들목이 평동에 위치해 있다. 호남고속도로 광산 나들목, 산월 나들목이 있다.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남광산 나들목이 있다. 1번 국도, 13번 국도, 22번 국도 등이 지난다.
6. 1. 항공
6. 2. 철도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은 호남선(용산↔목포) 및 경전선(광주↔순천) 열차가 정차한다. 광주선 극락강역이 있다. 호남선 임곡역과 화순역이 광주송정역에 연결된다. 경전선 동송정역도 광주송정역에 연결된다. 북송정삼각선은 화순역, 북송정역, 동송정역을 연결한다. 광주도시철도 1호선은 광주공항역, 송정공원역, 광주송정역, 도산역, 평동역을 지난다.6. 3. 도로
7. 스포츠
남부대학교 국제수영장은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와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수영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광주여자대학교 체조경기장도 스포츠 시설로 활용된다.
8. 대형마트
광산구에는 대형마트로 이마트 광산점, 롯데마트 수완점 및 첨단점, 홈플러스 광주하남점, 하나로클럽 광주점이 있다.
9. 자매 결연 도시
광산구는 대한민국 4개 도시, 중화인민공화국 1개 도시 등 5곳과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26]
- 교류 도시 목록[26]
- * 대구광역시 수성구: 2021. 9. 9. 자매결연
- * 부산광역시 동구: 1998. 10. 22. 자매결연
- * 경기도 이천시: 2004. 9. 14. 우호교류 협정
- * 경상남도 함양군: 2008. 12. 24. 자매결연
- * 중화인민공화국 톈진시(천진시) 진난구(진남구): 1997. 09. 22. 자매결연
9. 1. 대한민국
광산구는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과 자매 결연 및 우호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2021년 9월 9일에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자매 결연을 맺었으며, 1998년 10월 22일에는 부산광역시 동구와 자매 결연을 체결했다. 2004년 9월 14일에는 경기도 이천시와 우호 교류 협정을 맺었고, 2008년 12월 24일에는 경상남도 함양군과 자매 결연을 체결했다.9. 2. 중화인민공화국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 September 2024를 2024-09-01로 변환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gwangsan.go.k[...]
2007-11-17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gwangsan.go.k[...]
2007-11-17
[4]
웹사이트
Welcome to Gwangsan-gu
http://gwangsan.go.k[...]
2007-11-17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gwangsan.go.k[...]
2007-11-17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7]
법률
광주직할시및송정시설치에관한법률
1986-05-08
[8]
법률
광주직할시와전라남도의관할구역변경및송정시·광산군폐지에관한법률
1987-11-28
[9]
구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9-06-10
[10]
구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11]
웹사이트
안전행정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2-12-01 # 2012년 12월 기준을 2012-12-01로 변환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법률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35-09-28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16]
법률
시·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06-29
[17]
법률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18]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9]
법률
광주직할시및송정시설치에관한법률
1986-05-08
[20]
법률
광주직할시와전라남도의관할구역변경및송정시·광산군폐지에관한법률
1987-11-28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wangsan.[...]
2016-11-08
[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wangsan.[...]
2016-11-08
[23]
구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9-06-10
[24]
구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5]
웹사이트
안전행정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5-12-01 # 2015년 12월 기준을 2015-12-01로 변환
[26]
웹인용
광산구 소개>광산구 안내>자매결연
https://www.gwangsan[...]
202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