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광주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 남구는 1995년 서구에서 분구되어 신설되었으며, 17개의 행정동과 30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선동은 광주에서 부유하고 학원가가 밀집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8월 기준 인구는 약 21만 명이며, 경전선 효천역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도곡역이 지나간다. 대구 남구, 부산 강서구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구 - 서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는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광역시청 소재지이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유스퀘어, 상무지구, 금당산, 개금산, 송학산, 상무지구, 풍암지구, 금호지구 등을 포함하고 1980년과 1995년 분구를 거쳐 2011년 동천동이 신설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구 - 동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동구는 삼한시대 마한에서 시작하여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천이 흐르는 동고서저 지형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며 13개의 행정동과 9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광주광역시의 행정 구역 - 서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는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광역시청 소재지이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유스퀘어, 상무지구, 금당산, 개금산, 송학산, 상무지구, 풍암지구, 금호지구 등을 포함하고 1980년과 1995년 분구를 거쳐 2011년 동천동이 신설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행정 구역 - 동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동구는 삼한시대 마한에서 시작하여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천이 흐르는 동고서저 지형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며 13개의 행정동과 9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구 (광주광역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고유 명칭 | 남구 |
한자 표기 | 南區 |
로마자 표기 | Nam-gu |
위치 | 호남 광주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행정동 17개 |
면적 | |
전체 면적 | 61.03 km² |
인구 | |
총 인구 | 207,363명 |
인구 조사 년도 |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auto |
방언 | 전라도 |
정치 및 행정 | |
행정 구역 종류 | 자치구 |
구청장 | 김병내 |
구청장 소속 정당 | (정보 없음) |
국회의원 | 동구·남구 갑: 정진욱 (더불어민주당) 동구·남구 을: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
웹사이트 | 남구청 |
상징 | |
구목 | 은행나무 |
구화 | 철쭉 |
구조 | 비둘기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역사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1995년 3월 1일 서구에서 분구되어 남구가 신설되었으며(양림동, 방림동, 봉선동, 사동, 구동, 서동, 월산동, 백운동, 주월동, 진월동, 노대동, 덕남동, 송하동, 임암동, 행암동), 봉선동을 봉선1동과 봉선2동으로 분동하였다.[9][11]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대촌출장소(양과동, 원산동, 이장동, 압촌동, 도금동, 지석동, 석정동, 대지동, 칠석동, 화장동, 월성동, 신장동, 구소동, 양촌동, 승촌동)를 편입하여 대촌동으로 개편하였다.[9][11]
광주광역시 남구는 17개의 행정동과 30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면적은 61.03 km2이며, 2020년 8월 기준 인구는 다음과 같다.[12]
1998년 10월 1일 사동, 구동, 서동을 사직동으로 통합하였다.[9][11] 2000년 6월 30일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을 월산동으로 통합하였다.[10][11] 2011년 10월 1일 방림2동 일부 지역을 동구에 편입하고, 서구 풍암동 일부를 송하동(행정동: 송암동)에 편입하였다.[11] 2021년 4월 1일 행정동 봉선1동을 법정동 봉선동에 편입하였고,[11] 2021년 7월 26일 효덕동을 효덕동과 진월동으로 분동하였다.[11]
3. 행정 구역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양림동 楊林洞 0.63 3,306 7,420 방림1동 芳林1洞 0.59 3,089 7,138 방림2동 芳林2洞 0.56 4,102 9,258 봉선1동 鳳仙1洞 0.83 6,682 14,233 봉선2동 鳳仙2洞 1.80 9,956 29,414 사직동 社稷洞 0.61 3,076 5,501 월산동 月山洞 0.93 4,100 7,708 월산4동 月山4洞 0.57 4,788 8,966 월산5동 月山5洞 0.44 3,501 6,654 백운1동 白雲1洞 0.49 5,220 12,673 백운2동 白雲2洞 0.44 3,194 6,204 주월1동 珠月1洞 1.27 8,450 19,741 주월2동 珠月2洞 1.16 4,047 8,478 효덕동 孝德洞 - - - 진월동 眞月洞 - - - 송암동 松岩洞 6.84 7,562 19,873 대촌동 大村洞 35.41 2,995 5,828 남구 南區 61.02 92,806 215,701
각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행정동 법정동 양림동 양림동, 방림동 방림1동 방림동 방림2동 봉선1동 주월동, 봉선동 봉선2동 봉선동 사직동 사동, 구동, 서동 월산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서동, 백운동 백운2동 백운동 주월1동 주월동 주월2동 월산동, 백운동, 주월동 효덕동 노대동, 덕남동, 행암동 진월동 진월동 송암동 행암동, 임암동, 송하동 대촌동 구소동, 양촌동, 도금동, 승촌동, 지석동, 압촌동, 화장동, 칠석동, 석정동, 신장동, 양과동, 이장동, 대지동, 월성동
봉선동은 광주에서 가장 부유하고, 가장 비싼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남 지역에서 가장 많은 학교와 학원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어 자녀를 둔 시민들에게 매우 선호되는 지역이다.[2][3]
3. 1. 행정동 및 법정동 목록
광주 남구의 행정 구역은 17개의 행정동과 30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면적은 61.03 km2이며, 2020년 8월 기준 인구는 다음과 같다.[12]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양림동 | 楊林洞 | 0.63 | 3,306 | 7,420 |
방림1동 | 芳林1洞 | 0.59 | 3,089 | 7,138 |
방림2동 | 芳林2洞 | 0.56 | 4,102 | 9,258 |
봉선1동 | 鳳仙1洞 | 0.83 | 6,682 | 14,233 |
봉선2동 | 鳳仙2洞 | 1.80 | 9,956 | 29,414 |
사직동 | 社稷洞 | 0.61 | 3,076 | 5,501 |
월산동 | 月山洞 | 0.93 | 4,100 | 7,708 |
월산4동 | 月山4洞 | 0.57 | 4,788 | 8,966 |
월산5동 | 月山5洞 | 0.44 | 3,501 | 6,654 |
백운1동 | 白雲1洞 | 0.49 | 5,220 | 12,673 |
백운2동 | 白雲2洞 | 0.44 | 3,194 | 6,204 |
주월1동 | 珠月1洞 | 1.27 | 8,450 | 19,741 |
주월2동 | 珠月2洞 | 1.16 | 4,047 | 8,478 |
효덕동 | 孝德洞 | - | - | - |
진월동 | 眞月洞 | - | - | - |
송암동 | 松岩洞 | 6.84 | 7,562 | 19,873 |
대촌동 | 大村洞 | 35.41 | 2,995 | 5,828 |
남구 | 南區 | 61.02 | 92,806 | 215,701 |
각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양림동 | 양림동, 방림동 |
방림1동 | 방림동 |
방림2동 | |
봉선1동 | 주월동, 봉선동 |
봉선2동 | 봉선동 |
사직동 | 사동, 구동, 서동 |
월산동 | 월산동 |
월산4동 | |
월산5동 | |
백운1동 | 서동, 백운동 |
백운2동 | 백운동 |
주월1동 | 주월동 |
주월2동 | 월산동, 백운동, 주월동 |
효덕동 | 노대동, 덕남동, 행암동 |
진월동 | 진월동 |
송암동 | 행암동, 임암동, 송하동 |
대촌동 | 구소동, 양촌동, 도금동, 승촌동, 지석동, 압촌동, 화장동, 칠석동, 석정동, 신장동, 양과동, 이장동, 대지동, 월성동 |
봉선동은 광주에서 가장 부유하고, 가장 비싼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남 지역에서 가장 많은 학교와 학원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어 자녀를 둔 시민들에게 매우 선호되는 지역이다.[2][3]
4. 인구
1995년 이후 남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15년에 소폭 증가하였다. 2020년 8월 기준, 남구의 인구는 약 21만 명이다.
5. 정치 및 행정
5. 1. 구청
현재 남구청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1동에 위치하고 있다.5. 2. 경찰
광주 남부경찰서가 남구의 치안을 담당한다.6. 교육 기관
남구는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특히 봉선동은 호남 지역 최대 학원 밀집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대학교로는 광주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송원대학교가 있으며, 전문대학으로는 기독간호대학이 있다.
고등학교는 서진여자고등학교, 동일전자정보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호남삼육고등학교, 송원여자고등학교, 송원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 대성여자고등학교, 대광여자고등학교, 동아여자고등학교, 인성고등학교, 수피아여자고등학교, 석산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광주대동고등학교, 설월여자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광주선명학교가 있다.
7. 교통
7. 1. 철도
경전선 효천역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도곡역이 남구를 지난다.8. 자매 도시
광주광역시 남구는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자매결연 도시들은 대한민국 내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 광역시, 도, 군 단위의 다양한 지역을 포함한다.
9.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 추정 날짜
[2]
웹사이트
올해 광주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아파트는?
https://news.sarangb[...]
[3]
일반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일반
[8]
일반
[9]
간행물
광주광역시 남구조례 제175호
[10]
간행물
광주광역시 남구조례 192호
[11]
서적
2011년 통계연보
(출판사 정보 없음)
[12]
웹사이트
광주 남구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www.namgu.gwa[...]
2020-08-01 # 추정 날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