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칭 관계는 집합 X 위의 이항 관계 R⊆X²에서 임의의 x, y∈X에 대해 (x, y)∈R이면 (y, x)∈R을 만족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크기 n의 유한 집합 위에는 총 2n(n+1)/2개의 대칭 관계가 존재한다. 동치 관계는 추이적이며 반사적인 대칭 관계의 예시이며, "같다"는 등식, "…와 결혼했다" 등의 관계 또한 대칭 관계에 해당한다. 비대칭 관계와 반대칭 관계와는 독립적인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칭 관계 | |
---|---|
관계 속성 | |
정의 | 어떤 집합의 원소 간의 관계에서, 한 원소가 다른 원소와 관계를 맺을 때, 그 역도 성립하는 관계이다. |
수학적 정의 | 집합 X에 대한 이항 관계 R에 대해, 만약 모든 a, b ∈ X에 대해 (a, b) ∈ R이면 (b, a) ∈ R인 경우, R은 대칭적이라고 한다. |
예시 | |
예시 1 | 수학에서, '같음' 관계는 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만약 a = b이면 b = a이기 때문이다. |
예시 2 | '...와 결혼했다' 관계는 (사람들의 집합에서) 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만약 A가 B와 결혼했다면, B는 A와 결혼했기 때문이다. |
예시 3 | '...와 같은 생일이다' 관계는 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만약 A가 B와 같은 생일이라면, B는 A와 같은 생일이기 때문이다. |
속성 | |
필요충분 조건 | 관계 R이 대칭적일 필요충분 조건은 R이 자신의 역관계와 같다는 것이다. 즉, R = RT이다. 여기서 RT는 R의 역관계를 나타낸다. |
관계 종류 | |
관련 관계 | 반사 관계 비대칭 관계 추이 관계 |
2. 정의
집합 위의 이항 관계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대칭 관계'''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3. 성질
크기 인 유한 집합 위에는 총 개의 대칭 관계가 존재한다. 작은 에 대하여, 이는 다음과 같다 ().
:1, 2, 8, 64, 1024, …
대칭적이고 추이 관계는 항상 준반사 관계이다.
''n''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 관계의 수는 이진 행렬 표현에서 오른쪽 위 삼각형이 관계를 완전히 결정하고 임의로 주어질 수 있다는 점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진 위 삼각형 행렬의 수, 즉 2''n''(''n''+1)/2만큼의 대칭 관계가 존재한다.
3. 1. 반사 대칭 관계
집합 X 위의 반사 대칭 관계 R에 대하여, CR을 R의 극대 클릭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즉, CR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극대 부분 집합 C⊆X들로 구성된다.- 임의의 c, c'∈C에 대하여, (c, c')∈R
그렇다면, CR은 X의 덮개이며, 다음 두 성질을 만족시킨다.
- (A) 임의의 C∈CR 및 F⊆CR에 대하여, 만약 C⊆∪F라면, ∩F⊆C이다.
- (B) 임의의 S⊆X에 대하여, 만약 S가 CR의 원소의 부분 집합이 아니라면, CR의 원소의 부분 집합이 아닌 두 원소 집합 {s, t}⊆S가 존재한다.
반대로, 조건 (A)와 (B)를 만족시키는 X의 덮개 C가 주어졌을 때, X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 관계 RC를 정의하자.
:(x, y)∈RC ⇔ ∃C∈C: x, y∈C
그렇다면, RC는 반사 대칭 관계이다. R↦CR은 X 위의 반사 대칭 관계들의 집합과 조건 (A)와 (B)를 만족시키는 X의 덮개들의 집합 사이의 일대일 대응이며, 그 역함수는 C↦RC이다. 즉, 반사 대칭 관계의 개념은 위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덮개의 개념과 동치이다.[2]
4. 예
모든 동치 관계는 대칭 관계이다. 예를 들어 "같다"(등식)는 대칭 관계이지만, "보다 작다"는 대칭 관계가 아니다.[1]
순서체 K 위에서 |x-y|≤1과 같이 정의된 이항 관계는 반사 대칭 관계이다. 반면 0<|x-y|≤1과 같이 정의된 이항 관계는 대칭 관계이지만, 반사 관계는 아니다.
"…와 (대부분의 법적 체계에서) 결혼했다", "…의 완전한 생물학적 형제/자매이다" 등은 대칭 관계의 예시이다.[1]
4. 1. 수학에서의 예
- "같다" (등식) (반면 "보다 작다"는 대칭적이지 않다)[1]
-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에 대해 "…와 …는 비교 가능하다"[1]
- "...와 ...는 홀수이다"[1]:
- 「(A는 B와) 결혼했다」는 대칭 관계이지만, 「(A는 B보다) 작다」는 대칭 관계가 아니다.[1]
- 「(A는 B와) 같다」(등식).[1]
- 「A는 홀수이고, B도 홀수이다」[1]
4. 2. 수학 외의 예
- "…와 (대부분의 법적 체계에서) 결혼했다"
- "…의 완전한 생물학적 형제/자매이다"
- "…의 동음이의어이다"
- "…의 동료이다"
- "…의 팀 동료이다"
5. 비대칭 관계 및 반대칭 관계와의 관계
정의에 따르면, 공집합이 아닌 관계는 대칭 관계이면서 동시에 비대칭 관계일 수 없다. (여기서 'a'가 'b'와 관련이 있다면, 'b'는 ('a'와) 같은 방식으로 관련될 수 없다.) 그러나 관계는 대칭적이지도 비대칭적이지도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이하" 및 "포식"의 경우에 해당한다.
대칭 관계와 반대칭 관계 (여기서 'a'가 'b'와 관련되고 'b'가 'a'와 관련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a = b인 경우)는 실제로 서로 독립적이다. 다음 예시들이 이를 보여준다.
대칭 | 대칭 아님 | |
---|---|---|
반대칭 | 동일 인물임, 결혼함 | ~의 복수형임 |
반대칭 아님 | ~의 완전한 생물학적 형제임 | ~를 포식함 |
; 동치 관계: 추이적이며 반사적인 대칭 관계
6. 성질
원소 | 이진 관계 | 추이 관계 | 반사 관계 | 대칭 관계 | 전순서 | 부분 순서 집합 | 강한 약한 순서 | 전순서 | 동치 관계 |
---|---|---|---|---|---|---|---|---|---|
0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1 | 2 | 1 | 1 | 1 | 1 | 1 |
2 | 16 | 13 | 4 | 8 | 4 | 3 | 3 | 2 | 2 |
3 | 512 | 171 | 64 | 64 | 29 | 19 | 13 | 6 | 5 |
4 | 65536 | 3994 | 4096 | 1024 | 355 | 219 | 75 | 24 | 15 |
n | 2n2 | 2n(n−1) | 2n(n+1)/2 | ∑|k=0부터 n까지영어 k!S(n, k) | n! | ∑|k=0부터 n까지영어 S(n, k) |
- 제2종 스털링 수 ''S''(''n'', ''k'')는 크기가 ''n''인 집합을 ''k''개의 서로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 동치 관계: 추이적이며 반사적인 대칭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MAD3105 1.2
https://www.math.fsu[...]
Florida State University
2024-03-30
[2]
저널
On existence conditions for compatible tolerances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